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한국어 교재의 통시적 연구와 현황

        나은영(Nha, Eun-young) 한국어교육연구학회 2021 한국어교육연구 Vol.- No.14

        한국어 교재의 발전 과정은 최초의 한국어 교재가 개발되고 나서 약 2세기가 지나면서 역사적으로나 한국어 교육학적으로 많은 변화가 있었다. 한국어 교육학이 점차 학문적인 분야로 정착되어 가는 것이 사실이고, 특히 한국어 교재의 연구사에 대해서는 국어학사와 같이 체계적이고 본격적인 정리가 필요하다. 한국어 교재의 변화과정을 역사적으로 살펴보기 위해서 여러 가지 요소를 고려하여 당시의 정치 문화와 사회적 요소는 물론 교재의 내용과 형식에서 강조점이 무엇인지 살펴보고자 한다. 이 연구는 한국어 교재 편찬의 역사적 변천과 실제 교재형식이나 내용의 연관성을 중심으로 특히 시기별로 나누어서 한국어 교재와 관련성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선행 연구사에서 한국어 교재를 중심으로 한 시기와 한국어 교육학적인 시기가 어떻게 연계했는가를 보았다. 이에 따라 각기 구분한 시기별 교재 내용이 어떻게 변화하였는지 보고, 한국어 교재를 중심으로 시기 구분과 각 시기에 한국어 교재의 내용적 특성이 어떠한지를 재정리하였다. 또한 한국어 교재의 현황을 살펴보고, 앞으로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의 발전을 위하여 한국어 교재가 기준 삼아야 할 방향은 향후 과제로 삼으려 한다. ‘교재는 교육의 모든 것이다’라는 말처럼 교재에는 교육내용, 교육목표, 교육 방법 등이 총체적으로 들어있다. 따라서 교재의 중요성은 한국어 교육에 두말할 나위 없이중요하다. This study is to describe the process of Korean language textbooks according to the periods from the 18th century until the present. This study focuses on the Korean language textbooks which are divided into six perirods diachronically and shows various contents and characteristics in each period. Major theme in the study is how Korean language textbooks changed in their formats during the six periods. A lot of contents and schemata in the testbooks teaching styles, student tasks and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periods are discussed. This study suggests the diverse textbooks for the development of the future Korean language learning with the various Korean language learners. In the future, Korean language researchers need more detail studies and efforts for the various Korean language learners’ textbooks, depending on their nationalities and levels in addition.

      • KCI등재후보

        한국어 학습 영향 요인들의 상관관계 분석

        장난(ZHANG NAN) 한국어교육연구학회 2015 한국어교육연구 Vol.- No.3

        2013년 교육부(http://meo.go.kr)가 발표한 국내 거주 외국인 유학생 자료에 따르면 총 외국인 유학생의 수는 85,923명으로 집계되었으며 그중 중국인 유학생 수의 비율이 58.6%를 차지하고 있다. 이 통계 결과는 중국인 유학생에 대한 관심과 연구가 다양한 분야와 관점에서 이루어져야 함을 보여주는 자료가 된다. 본 연구는 한국어를 배우는 중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쓰기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후 효과적인 쓰기 교육 방안을 제안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학습자들의 한국어 수행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인으로 나이·성별·전공·한국어 학습기간을 설정하고 각 변인과 학습의 관계를 객관적인 분석 수치로 제시하였다. 또한 이를 토대로 중국인 학습자들의 한국어 쓰기 방안을 구체적으로 뒷받침할 수 있는 이론적 틀을 마련한 것은 이전 연구들과는 차별되는 의의가 있다. 1장은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는 본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을 제시하고 선행연구를 제시하였다. 2장에서는 본 연구의 연구모형을 중심으로 연구의 조사대상 및 방법, 자료처리 과정을 설명하였다. 3장에서는 조사 결과를 분석하여 연구변인들의 분류변수별 차이를 살펴보고 연구 문제를 검증하였다. 4장에서는 연구결과를 고찰하여 중국인 학습자들을 위한 한국어 쓰기교육의 효율적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객관적인 자료 분석의 결과와 연구의 시사적인 의의에도 불구하고 표본의 한계와 학생의 개별적인 특성과 수행능력이 제한되었다는 점은 아쉬움으로 남는다. 하지만 본 연구가 이후에 진행될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교육 연구에 유익한 자료를 제시하고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쓰기 교육 과정을 설계하고 교수하는 교사들에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는 연구 자료로 남길 바란다. 본 연구는 성별, 나이, 전공, 한국어 학습기간, 한국어 공부 목적 분류 변수에 따른 각 문항들의 응답 분포를 분석함으로서 분류 변수별로 연구 변인들의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함으로써 외국어로 중국인 학습자들의 쓰기에서 나타나는 현황에 대한 구체적인 자료를 제시함으로써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쓰기 능력 향상을 위한 교육 연구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것이다. 이 연구가 중국인 학습자들의 한국어 쓰기 학습에 기초적인 자료가 되길 바라며 ,앞으로 한국어 쓰기 교육에 대해 더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는 긍정적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 According to statistics on foreigner students in Korea publish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http://meo.go.kr) in 2013, the total number of foreigner students in Korea was 85,923, and 58.6% were from China. These statistics suggest that careful research should be made in various areas and from diverse perspectives on Chinese students learning the Korean language.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writing skills in Chinese students learning the Korean language, and to propose an effective writing education method. Age, gender, major, and the period of Korean language learning were selected as independent variables influencing Chinese students’ Korean language competency,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variable and learning was presented in objective numeric values. This study is also distinguished from previous studies in that it established a theoretical frame for supporting Chinese students’ Korean language writing methods substantially. Chapter I presented the purposes and necessities of this study for Chinese students learning the Korean language, and reviewed previous studies. Chapter II examined the concept, meanings, and importance of Korean language writing education through theoretical discussions and reviews, and explored efficient writing education methods proposed in previous studies. Chapter III explained the subjects, methods, and data processing of this study using the research model of this study. Chapter IV analyzed survey results, examined difference in research variables by category, and answered the research questions. Chapter V discussed the results, and proposed an efficient method of Korean language writing education for Chinese learners. Despite the outcomes of objective data analysis and the significance of the findings, however, this study has limitations such as small sample size and the scope limited to students’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competency. Nevertheless,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provide useful data to future research on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Chinese learners and to be helpful to teachers in designing the process of writing education for the Korean language as a foreign language and in teaching their students.

      • KCI등재후보

        온라인 한국어 수업과 오프라인 한국어 수업의 학습자 성취도 비교 연구 : 초급 어휘를 중심으로

        김현우(Kim hyun woo) 한국어교육연구학회 2020 한국어교육연구 Vol.- No.13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 수요가 급증하고 한국어 교육의 세계화를 위해 온라인 한국어 수업과 오프라인 한국어 수업의 학습자 만족도와 성취도를 비교하여 온·오프라인 한국어 수업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에서는 학습자를 대상으로 온·오프라인 한국어 수업을 실시하여 성취도를 비교하고 만족도를 조사하였다. 연구의 순서는 1장과 2장에서 본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을 밝히고 선행 연구자의 내용을 살펴보며 이 연구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모색한다. 3장에서는 핵심어인 온라인 한국어 교육과 오프라인 한국어 교육의 장·단점을 살펴보고 성취도 비교 연구 시 나타날 유형을 예측하여 살펴본다. 4장에서는 실제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온·오프라인 한국어 수업의 성취도를 비교·연구하고 나타난 결과를 분석하고자 한다. 또한 온라인 수업에 대한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내용을 요약·정리하고 본 연구의 의의를 서술하고 한계점을 다음의 과제로 남기며 온·오프라인 한국어 교육의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져야 함을 제언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the quality of online and offline Korean language classes by comparing the learner satisfaction and achievement of online and offline Korean classes in order to increase the demand for Korean language and to globalize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this study, online and offline Korean language classes were conducted for learners to compare their achievements and to examine their satisfaction. The sequence of studies reveals the purpose and necessity of this study in chapters 1 and 2 and examines the contents of the preceding researchers to explore the direction in which this study should proceed. Chapter 3 examines the merits and demerits of online Korean education and offline Korean language education, which are key words, and predicts the types that will appear in the comparative study of achievement. In Chapter 4, we will compare and study the achievements of online and offline Korean language classes to actual learners and analyze the results. We also want to conduct a satisfaction survey of online classes. Chapter 5 summarizes and organizes the contents of this study, describe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eaves limitations as the following tasks, and suggests that research on online and offline Korean language education should be actively conducted.

      • KCI등재후보

        베트남인 학습자 대상 한국어교육 연구 동향

        응웬 티 꾸잉안(Nguyen Thi Quynh Anh) 한국어교육연구학회 2020 한국어교육연구 Vol.- No.12

        본 연구에서는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한국어 교육연구물에 대한 동향을 분석한 후 그 분석 결과를 토대로 베트남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교육 연구 및 한국과 베트남의 언어 연구 측면에서 어떤 결과를 얻었는지 정리하고자 한다. 그리고 더 나아가 향후 베트남 학습자의 한국어 교육연구의 방향과 문제점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삼는다. 이를 위해서 본 연구는 베트남과 한국에서 발표된 베트남 관련 한국어 교육 논문 수의 총 390편을 선정하여 일반 기준(논문유형별, 연도별)과 영역별(한국어 교육일반, 한국어 교육내용, 교수학습, 대조연구, 통·번역)의 두 가지 분류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이 세 가지 시사점으로 정리한다. 첫째, 베트남 관련 한국어 교육연구가 양적인 성장을 이루었다. 특히 최근 3년 안에(2017년, 2018년, 2019년) 발표한 논문 수는 176편으로 1990년대부터 현재까지 발표된 전체 연구물의 45%를 차지하고 있다. 둘째, 베트남 관련 한국어 교육연구들이 연구 영역이 다양화되었지만 질적으로는 아직도 해결해야 할 문제점이 많이 남아 있다. 분석 대상인 전체 390편에 중에 박사학위 논문은 단 24편에 그쳐 베트남 학습자 관련 한국어 교육연구가 보다 전문적이며, 심도 있는 논의를 할 필요가 있다. 영역별 동향 분석을 통해 보면 베트남 관련 한국어 교육연구의 대부분은 개별어휘나, 한자어 대조 분석연구, 한국어와 베트남어의 음운적 대조를 이룬 연구들이다. 그리고 한국(어)학을 전문으로 교육하고 있는 베트남 내 대학기관의 학생 수가 증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들을 위한 체계적인 교육과정이나 전문적인 교재개발에 대한 연구가 보다 미비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핵심어 네트워크 분석을 진행함으로써 앞서 연역적인 접근법으로 분석한 결과를 확인하였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trend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research for Vietnamese learners and summarize its results to point out the problems and propose further research direction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collected a total of 390 studies published from 1995 to August 2019. Then, researcher classified them into two categories of yearly trends and research types with five genres including General Korean Education Issues, Korean education Content, Korean Language Teaching and Learning, Contrastive Study and Interpreting and Translation. The results showed that studies on Korean language education related to Vietnam has a quantitative growth. In specific, there were 176 papers published during the last 3 years(2017, 2018, 2019), accounting for 45% of the total published works from 1995 to present. However, although the number of research has risen sharply since 2005, many problems still need to be solved. Among 390 studies analyzed, there are only 24 doctoral thesis. This means studies on Korean Language Education related Vietnam needs to be discussed deeply and professionally. Third, most of the Vietnam-related Korean Language Education research mainly focused on the contrast between Sino-Korean and Sino-Vietnamese language, either individual vocabulary or Phonological contrast. The lack of study related to Korean curriculum or Korean textbooks for Vietnamese Korean learners is pointed out as a problem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research. Lastly, to confirm that results, we analyzed and made the key-words network.

      • KCI등재후보

        체계적인 한국어 교육을 위한 한국어 학습자 분류 제안

        편윤희(Pyon Yoon Hee) 한국어교육연구학회 2015 한국어교육연구 Vol.- No.3

        본 연구는 한국어 교육의 효율성을 위해서 학습자를 체계적으로 분류하는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학습자를 바르게 이해하여, 학습자에게 적당한 방법과 수준으로 한국어를 교육하여 효율성을 높이는 것이다. 현재 한국어 교육은 ‘학문 목적’과 ‘취업 목적’으로 분류를 하고 있다. 그런데 한국어 교육의 수요자들은 다양하게 변화하고 있다. 그리고 변화된 수요자를 대상으로 교육은 하고 있는데, 과거의 분류에 의해서 교사의 재량으로 교육하는 형편이다. 수요자에 맞는 교육 체계가 부족한 형편이다. 현재 한국어 교육은 대한민국의 각 관청에서 시행하고 있다. 또 각 관청은 각자의 특징을 가지고 각자의 기준으로 한국어를 교육하려고 한다. 그래서 한국어 교사를 채용하고 한국어 교육을 실시할 때에 중복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본 연구에서 한국어 학습자를 ‘국내 학습자’와 ‘국외 학습자’로 분류하였다. ‘국내 한국어 학습자’는 ‘결혼이민자’, ‘중도입국 자녀’, ‘다문화 자녀’로 구분하였다. ‘국외 한국어 학습자’는 ‘국내에 입국한 유학생’, ‘교양을 목적으로 한국어를 습득하는 외국인’, ‘취업을 목적으로 하는 외국인’으로 구분하였다. 그리고 ‘국내에 입국하는 난민’, ‘국외 해외동포 자녀’까지 포함시켰다. 한국어 학습자를 구체적으로 분류하여 학습자에게 적합한 교재 확충과 교사 양성을 이룰 수 있도록 제안하였다. 단 여기에서는 학습자의 국가별 언어와 문화 특징 등에 대해서는 고려하지 않았다. The subject of our study is to present a systematic approach to classify the learner to the efficiency of the Korean language. To understand correctly the learner, teacher have to know the suitable way and approach and to increase the efficiency when teaching the Korean language. It is that various government provide Korean language education, current. Also they do in each other by a himself criteria. So when they conduct to overlap and repeat for the recruitment and training of Korean teachers. In this study, the Korean students were classified as domestic and international students. In domestic Korean language learners divide marriage immigrants, immigration midway children, multicultural children. Overseas Korean language learners divide the purpose of the study in Korea, the culture, the work. This study include a refugees in Korea and Korea diaspora children at overseas. Korean students classify proposed to be achieved by appropriate teaching materials and teacher training. Korean language classify, that just two, ‘student’ and ‘working’. This subject insist ‘Korean students’ and ‘Foreigner student’ from studying purpose. The former purpose to get Korea citizenship, the latter just foreign language for self-purpose. ‘Korean students’ is ‘marriage immigrants’, ‘multicultural children’. ‘Foreigner student’ is ‘student studying abroad’, ‘foreign workers’, ‘culture student’, etc.

      • KCI등재후보

        화상 한국어 말하기 수업의 학습자 만족도에 관한 연구

        김현우(Kim hyun woo) 한국어교육연구학회 2022 한국어교육연구 Vol.- No.16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 수요가 급증하고 한국어 교욕의 세계화를 위해 화상 한국어 말하기 수업의 학습자 만족도를 연구하여 화상 한국어 말하기 수업의 질을 향상시키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를 대상으로 화상 한국어 말하기 수업을 실시하여 만족도를 조사하였다. 연구의 순서는 1장에서 본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을 밝히고 선행연구자의 내용을 살펴보며 이 연구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모색한다. 2장에서는 화상 한국어 수업이 이루어지는 유형과 내용을 살펴보고 다양한 내용의 화상 수업 플랫폼을 비교하여 연구한다. 3장에서는 실제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화상 한국어 말하기 수업의 만족도를 연구하고 나타난 결과를 분석하고자 한다. 또한 화상 한국어 말하기 수업에 대한 학습자의 의견을 종합하여 연구에 나타나지 않는 학습자의 의견을 듣고자 한다. 4장에서는 본 연구의 내용을 요약·정리하고 본 연구의 의의를 서술하고 한계점을 다음의 과제로 남기며 화상 한국어 말학기 교육의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져야 함을 제언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the quality of video Korean speaking classes by studying the satisfaction of learners in video Korean speaking classes for the rapid increase in demand for Korean language and globalization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this study, video Korean speaking classes were conducted for learners to investigate satisfaction. In Chapter 1, the purpose and necessity of this study are clarified, the contents of previous researchers are examined, and the direction in which this study should proceed is sought. Chapter 2 examines the types and contents of video Korean classes and compares various contents of video class platforms to study them. Chapter 3 attempts to study the satisfaction of video Korean speaking classes for actual learners and analyze the results. In addition, I would like to collect learners opinions on video Korean speaking classes and listen to learners opinions that do not appear in the study. Chapter 4 summarizes and summarizes the contents of this study, describe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eaves limitations as the following tasks, and suggests that research on video Korean end-semester education should be actively conducted.

      • KCI등재후보

        시 작품을 활용한 한국어 교육 연구

        송선주(Song Sun Ju) 한국어교육연구학회 2014 한국어교육연구 Vol.1 No.-

        외국인 학습자가 한국어를 배울 때 그 사회의 언어를 많이 배울 수 있는 것이 문학작품이다. 본고에서는 문학작품중 시작품을 택하여 외국인 학습자로 하여금 한국의 문학작품을 더 빨리, 더 쉽게 이해하고 익혀서 더 많은 한국어를 알고 실생활에 활용할 수 있음을 목적으로 한다. 한국어 학습자는 문학작품이 고차원적인 언어의 산물이라는 점에서 한국어의 특수성을 이해하는 좋은 계기가 될 것이며, 또한 한국 문학을 학습하는 도구로 활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한국어 교육에서의 문학교육은 그 의의를 가질 수 있다. 문학 작품, 특히 시작품은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 일부 활용되고 있다. 시 작품은 그 나라의 사상과 정서를 담고 있고, 운율적인 언어의 정제된 학습 자료로써 다양한 활동을 통해 듣기, 읽기, 쓰기, 말하기교육 등을 골고루 발달시킬 수 있는 교육적 가치가 높은 텍스트이다. 학습자가 시 텍스트를 쉬운 것부터 접근해서 언어를 익히고, 감상을 통하여 한국인의 정서를 충분히 느낄 수 있다는 것이 시를 매개로 한 한국어 언어 문학의 중요한 의의가 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한국어 교육의 목표인 한국어교육을 살펴보고, 시를 통한 한국어 학습자의 다양한 한국어 획득의 가능성과 실제 생활에서 잘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찾도록 한다. 그래서 실제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의 한국어 학습자의 수업 목표와 학습자들의 상황에 맞는 적절한 시 텍스트를 선정하고, 그 방법을 마련한다면 학습자들에게 더 많은 흥미를 부여하고 학습 동기를 유발하여 문학작품을 쉽게 이해하고, 한국의 정서와 관련된 언어교육에 효과를 가져 오는 학습을 하게 될 것이다. 또한 다양한 한국어 사용의 기회를 충분히 제공해 줄 수 있으리라 본다. 연구 방법은 이론교육과 실제 현장교육에서의 한국어교육방법을 찾아 이론과 실제의 조화를 이루고자 한다. This has resulted in the number of students learning korean as a second language expanding. Therefore, focusing on communication methods has come up with for teaching Korean to foreigners beyond the fact that we stressed teaching grammar for years in the past. To develop communication competency, importance shouldn't only be set on linguistic structure or morphology but also practicality in language. I have chosen a poetic genre of a literary work, which is very helpful for studying foreign language, to make foreigners study Korean easier. This thesis is aimed at helping foreigners learn Korean sufficiently and use it practically in daily life through the studying of poetry as well as how to make use of it to teaching foreigners. This will lead to learners understanding, the profound distinctiveness of Korean due to poetry being a highly difficult product of language. Also, usage of literary works on teaching Korean will be another great key. Poetry has been partially used on teaching Korean. Since it is based on the nation's thoughts and emotions, poetry has the value of education as a refined learning material, to develop linguistic skills such as listening, reading, writing and through various activities. It is a consequent significance of teaching Korean, through literary work. Therefore, studying with language education on a theoretical basis, this thesis will follow by finding the way to use Korean practically in daily life as well as the capability of gaining various skills by learning poems. It would motivate learners and bring more interest to them if the appropriate purposes and text were given in the field. Also, it would produce sufficient opportunities to use Korean in a diverse manner. This study aims find theories on education and thereby instructional methods in the field, and harmonize theory and reality.

      • KCI등재후보

        한국어 어휘의 구조적 특성에 따른 교육방안

        황은영(Eun-young Hwang) 한국어교육연구학회 2021 한국어교육연구 Vol.- No.14

        본 연구는 외국인 한국어학습자들에게 어휘 교육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한국어교육에서 말하기, 듣기, 쓰기, 읽기, 문법 교육에 비해서 어휘 교육은 소홀하게 다루어졌다. 그러나 의사소통 능력을 중시하는 요즘, 어휘교육은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초급단계의 의사소통 활동에서는 어휘가 출발점이며, 고급단계에서는 한국어 사용의 정확성을 위해 어휘가 마지막 단계라고 할 수 있을 만큼 중요하다. 그러나 실제 교육 현장에서는 체계적인 어휘교육의 지침서도 없고, 이에 대한 연구 역시 부족하다. 중·고급 학습자들도 어휘 학습 과정의 어려움을 겪고 있을 뿐만 아니라 외국인 유학생들 사이에서도 어휘 능력이 부족해 어려움을 겪고 있는 현실이다. 또한 학습자들의 수준이 제각각이어서 변수가 많은데 이러한 부분은 교사의 지속적인 연구와 어휘에 대한 단계적인 접근을 통해 달라져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어 어휘 교육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다음과 같은 연구를 진행했다. 먼저 한국어 어휘의 구조적 특성을 체계적인 구조, 구조적인 구조, 의미적인 구조, 사회언어학적인 구조로 살펴보았다. 각각의 특징과 학습자의 수준에 따른 어휘 교육의 방안으로는 교수법 차원의 제시, 매체 활용 차원의 제시, 어휘 제시상의 유의점을 가지고 각 등급별로 지도하는 것을 제안했다. 마지막으로 어휘 게임을 활용해서 효과적인 한국어 어휘 교육 방안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present vocabulary education methods to foreign Korean learner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vocabulary education was neglected compared to speaking, listening, writing, reading, and grammar education. However, nowadays vocabulary education, which values communication skills, can play a very important role. Vocabulary is the starting point for beginner-level communication activities, and vocabulary is important enough to be the last step for the accuracy of Korean language use in the advanced stage. However, there is no guidance for systematic vocabulary education in the field of practical education, and there is also a lack of research on it. Middle and high-level learners are having a hard time in the vocabulary learning process, and foreign students are also suffering from a lack of vocabulary skills. In addition, there are many variables because the level of learners is different, and this part should be changed through continuous research by teachers and step-by-step access to vocabulary. In this paper, we conducted the following studies as a way to solve the problems of Korean vocabulary education. First, we looked at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Korean vocabulary in a systematic structure, structural structure, semantic structure, and sociolinguistic structure. As a way to teach vocabulary according to each characteristic and level of learners, it was proposed to guide each grade with the significance of teaching method-level presentation, media-use-level presentation, and vocabulary presentation. Finally, through vocabulary games, effective Korean vocabulary education measures were proposed.

      • KCI등재후보

        한국어 연결어미 ‘-아/어서’의 오류 양상 연구 : 한국어 학습자 오류 말뭉치 분석을 중심으로

        장명비(ZHANG MINGFEI) 한국어교육연구학회 2021 한국어교육연구 Vol.- No.14

        이 연구는 한국어 연결어미 ‘-아/어서’에 대해 등급별 한국어 학습자의 오류 양상을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선행연구를 분석과 문법서를 참고하여 ‘-아/어서’의 [원인]과 [시간 순서]의 특징을 정리하였다. 그리고 국립국어원의 한국어 학습자 말뭉치 오류 데이터를 대상으로 등급별 오류 유형과 빈도를 분석하였다. 또한 선행연구들을 넘어 유사 문법뿐만 아니라 의미적인 관계가 먼 문법의 오류 양상까지 살펴보고 초·중·고급 학습자가 연결어미 ‘-아/어서’를 사용할 때의 오류 유형과 빈도를 살펴보았다. 본고의 분석 결과를 보면 한국어 문법 교육은 해당 등급 단계에서 독립 문법을 제대로 교수·학습해야 할 뿐만 아니라 뒤에도 오류가 나타나지 않도록 적당한 시기에 다시 문법을 비교해서 가르쳐야 한다. 그리고 유사 문법 비교 연구는 물론이고 학습자의 오류 양상을 꾸준히 분석하면서 비교가 필요한 비유사 문법도 재교육을 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본고에서 오류 분석만 하고 교육 방안에 대해 다루지 못한 것은 한계이다. 앞으로 실제 교육 현장에서 수업에 어떻게 적용할 것인지에 대한 교수법은 추후 연구 과제로 남긴다. 본 논문이 향후 한국어 문법 교육 연구에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면 좋겠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rror phenomena of Korean learners by grade for the Korean connective ending -아/서 . The characteristics of [reason] and [chronological order] of -아/서 were summarized by referring to the analysis of previous studies and grammar book. Furthermore, the error types and frequencies by grade were analyzed for corpus error data of Korean learners of the National Institute of the Korean Language. Moreover, beyond previous studies, we examined not only the similar grammar but also the error phenomena of grammar with a distant semantic relationship, as well as the error types and frequencies when elementary, middle, and advanced learners use the connective ending -아/서 .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of this paper, Korean grammar education should not only appropriately teach and learn independent grammar at the corresponding level, but also need to compare and teach grammar again at a suitable time so that errors do not appear afterwards. Besides, I think that it is necessary not only to research the similar grammar comparison but also to re-educate the non-similar grammar that requires comparison while constantly analyzing the learners’ error phenomena. In the future, teaching methods on how to apply them to classes in the actual educational field are left as future research tasks, and I hope this paper will be of any help in future research on Korean grammar education.

      • KCI등재후보

        문학텍스트를 활용한 한국어 문화교육 연구

        김민라(Kim Min Ra) 한국어교육연구학회 2014 한국어교육연구 Vol.1 No.-

        한국어교육에서 의사소통 중심의 교육이 활발하게 연구가 이루어지면서 문화교육에 대한 관심도 증가하였다. 외국어교육에서 문화교육은 자국의 문화와 타국의 문화까지 확장하여 이해하고 비교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한국어교육에서 의사소통 중심 교육의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면서 문화교육에 대한 관심도 증가하여 교육의 방향이 학습자 중심으로 지향되어 가고 있다. 언어 사용에 있어 정확성 추구에서 유창성을 강조하게 되어 의사소통 능력이 중요시되어 강조됨에 따라, 1970년대 이후 언어 능력을 문법적 능력 외에 그 언어가 쓰이는 사회와 문화에 관한 지식과 거기에 적합한 언어를 구사하는 능력임을 인지하게 되었다. 언어 교육에 있어서도 문법 구조 중심의 교육에서 벗어나 사회, 문화적 요인의 중요성이 부각되었다. 그로 인해 1980년대 들어와서는 문화 교육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었다. 언어를 잘 구사하려면 문화를 제대로 이해하지 않고서는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선녀와 나무꾼」의 이야기를 활용하여 중ㆍ고급 학습자가 모국의 문화와 한국의 문화 습득에 대한 이해를 하고 비교 문화를 통해 다양한 문화적 측면을 이끌어낼 수 있는 유형으로 '나무꾼 지상회귀형을 선택하였다. Active studies on the communicative approach resulted in increasing culture education. Culture education in teaching foreign language education sets importance on understanding and comparison between one's own culture and other's. with active studies on the communicative approach in teaching korean. People showed more interest in culture education and that has been leading learner-centered education. Due to fluency more than accuracy being acquired in communication skill, people have aspired toward the linguistic competence that covers its society and culture beyond grammatical competence since the 1970s. The significance of social and cultural factors in language education is highlighted rather than teaching grammatical structure. So culture education has become a big part of language education since the 1980s. We cannot exclude cultural understanding to have a great linguistic competence when learning a foreign language. This study aimed at the cultural understanding of intermediate and high level learner's own country and Korea through「A fairy and a woodman」, and chose <A type of Returning to the earth of the woodman> to derive the conclusion that it can bring diverse cultural factors through comparison of culture. Educators should alert learners about Korean cultural elements such as intangible values, Korean sentiment through Korean fairy tales, and what Korean traditional image is, not so much as westernized modern Ko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