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특집 2 : 개화기 및 현대국어 형성기 국어의 고찰 ; 대한제국 시기 국한문(國漢文)의 형성과 기원 -언해(諺解)와 관련하여

        김주필 ( Joo Phil Kim ) 반교어문학회 2014 泮橋語文硏究 Vol.0 No.38

        국한문은 우리말 구조로 되어 있지만 문장을 구성하는 각 어절의 실사는 한문의 실사를 그대로 끌어와 활용하고 있다. 이러한 國漢文은 형태·통사적 측면에서 한문과 우리말 표기인 국문의 중간에 위치한다. 이러한 국한문의 공시적인 특징은, 통시적으로 한문을 우리말 문장으로 언해하는 중간 단계에서 만들어진 유형이었을 가능성이 크다. 갑오개혁의 과정에서 국한문 사용에 크게 기여한 兪吉濬은 ≪七書諺解≫의 法을 效則하여 ≪西遊見聞≫을 국한문으로 작성한다고 하였다. 실제로 ≪七書諺解≫의 諺解文은 ≪西遊見聞≫의 국한문과 대동소이하다. 그런데 ≪七書諺解≫의 언해문은 ≪경서≫의 난해한 구절을 쉽게풀이한 釋義文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석의문은 한문의 실사들을 최소의 의미 단위로 분단하여 우리말 문장을 구성하는 어절의 실사로 활용한 것으로서, 어문생활사의 흐름 위에서 보면 석독구결문을 음독구결 방식으로 풀어서 쓴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러므로 국한문의 기원은 멀리 석독구 결이나 음독구결에 기원하고, ≪경서≫의 석의문이나 언해문을 직접 계승한, 한문을 우리말로 전환하는 한문 학습 방법에 있다고 생각된다. 이러한 관점에서 국한문은 조선시대에도 널리 사용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러한 국한문이 어떻게 대한제국 시기에 큰 흐름을 형성하여 현대국어 문장의 형성에 기여하게 _는_ 지 설명할 필요가 있다. 이에 대해서는 우리의 어문생활사를 바탕으로 정치, 사회, 문화 등 다양한 각도에서 심도 있는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This study is to show that kukhanmun(國漢文) in the Daehan Empire is not newly formed writing system in 19th century; we presume it is a sentence type of teaching Sino-Korean in Joseon Dynasty or it could be earlier than the Joseon Dynasty considering our historical tradition of language life. First of all, the kukhanmun, from late Joseon Dynasty, is widely used in eon-hae-mun (諺解文) of Kyong-Seo. It is the sentence type of choosing eum-dok(音讀) at every content words in each phrases not hun-dok(訓讀). Those sentence style has interval characteristics between the Chinese sentence and the Korean; syntactically make it similar to Korean sentence construction, morphologically by dividing it into a meaningful unit, rearrange the word as Korean order adding postposition which is the traditional reading style of seock-dockgu- kyul(釋讀口訣). Those sentence type in Kyong-Seo eon-hae-mun were built on seok-ui-mun(釋義文). The seok-ui-mun of Kyong-Seo is the way of reading it as eum-dok-gu-kyul (音讀口訣) by the interpretation of the difficult phrases in seock-dock-gu-kyul. Based on our tradition on our history of language life, the traditional official writing style is derived from the eon-hae-mun of Kyong-Seo or seok-ui-mun. Thus we could sat that it is originated from the way of reading seok-ui-mun or eon-hae-mun of Kyong-Seo for the mothod of learning Sino-Korean. Those teaching method of learning kukhanmun seems widely adopted in the Joseon Dynasty, it is restrictively shown in eon-hae of Kyong-Seo, but it is understood officially adopted as an official writing system after the Kabo Reform affected by the writing system of Japanese-Chinese and Kana honhyomun in Daehan Empire.

      • KCI등재

        대한제국 시기 國漢文의 형성과 기원 - 諺解와 관련하여

        김주필 반교어문학회 2014 泮橋語文硏究 Vol.0 No.38

        국한문은 우리말 구조로 되어 있지만 문장을 구성하는 각 어절의 실사는 한문의 실사를 그대로 끌어와 활용하고 있다. 이러한 國漢文은 형태・통사적 측면에서 한문과 우리말 표기인 국문의 중간에 위치한다. 이러한 국한문의 공시적인 특징은, 통시적으로 한문을 우리말 문장으로 언해하는 중간 단계에서 만들어진 유형이었을 가능성이 크다. 갑오개혁의 과정에서 국한문 사용에 크게 기여한 兪吉濬은 ≪七書諺解≫의 法을 效則하여 ≪西遊見聞≫을 국한문으로 작성한다고 하였다. 실제로 ≪七書諺解≫의 諺解文은 ≪西遊見聞≫의 국한문과 대동소이하다. 그런데 ≪七書諺解≫의 언해문은 ≪경서≫의 난해한 구절을 쉽게 풀이한 釋義文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석의문은 한문의 실사들을 최소의 의미 단위로 분단하여 우리말 문장을 구성하는 어절의 실사로 활용한 것으로서, 어문생활사의 흐름 위에서 보면 석독구결문을 음독구결 방식으로 풀어서 쓴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러므로 국한문의 기원은 멀리 석독구결이나 음독구결에 기원하고, ≪경서≫의 석의문이나 언해문을 직접 계승한, 한문을 우리말로 전환하는 한문 학습 방법에 있다고 생각된다. 이러한 관점에서 국한문은 조선시대에도 널리 사용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러한 국한문이 어떻게 대한제국 시기에 큰 흐름을 형성하여 현대국어 문장의 형성에 기여하게 도ㅓ는지 설명할 필요가 있다. 이에 대해서는 우리의 어문생활사를 바탕으로 정치, 사회, 문화 등 다양한 각도에서 심도 있는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This study is to show that kukhanmun(國漢文) in the Daehan Empire is not newly formed writing system in 19th century; we presume it is a sentence type of teaching Sino-Korean in Joseon Dynasty or it could be earlier than the Joseon Dynasty considering our historical tradition of language life. First of all, the kukhanmun, from late Joseon Dynasty, is widely used in eon-hae-mun (諺解文) of Kyong-Seo. It is the sentence type of choosing eum-dok(音讀) at every content words in each phrases not hun-dok(訓讀). Those sentence style has interval characteristics between the Chinese sentence and the Korean; syntactically make it similar to Korean sentence construction, morphologically by dividing it into a meaningful unit, rearrange the word as Korean order adding postposition which is the traditional reading style of seock-dock- gu-kyul(釋讀口訣). Those sentence type in Kyong-Seo eon-hae-mun were built on seok-ui-mun(釋義文). The seok-ui-mun of Kyong-Seo is the way of reading it as eum-dok-gu-kyul (音讀口訣) by the interpretation of the difficult phrases in seock-dock-gu-kyul. Based on our tradition on our history of language life, the traditional official writing style is derived from the eon-hae-mun of Kyong-Seo or seok-ui-mun. Thus we could sat that it is originated from the way of reading seok-ui-mun or eon-hae-mun of Kyong-Seo for the mothod of learning Sino-Korean. Those teaching method of learning kukhanmun seems widely adopted in the Joseon Dynasty, it is restrictively shown in eon-hae of Kyong-Seo, but it is understood officially adopted as an official writing system after the Kabo Reform affected by the writing system of Japanese-Chinese and Kana honhyomun in Daehan Empire.

      • KCI등재

        근대 전환기 국한문체의 형성과 자전, 사전, 학습서의 편찬

        이준환 배달말학회 2019 배달말 Vol.65 No.-

        This article trie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ormation process of the Korean-Chinese-language mixed style in the period of the modern transition and the compilation of Chinese-character dictionaries, bilingual dictionaries and study books published in earnest during this period. It is often thought that the pure Korean style will have little difficulty, compared to the Korean-Chinese-language mixed style, which is difficult to use, the difficulty of Chinese characters, and the degree of reflection of Chinese grammar. But that's not the case.In the pure Korean style, there was much to be done to solve the problems of Buncheol, Yeoncheol and mixture of Buncheol and Yeoncheo related to phonological phenomena and Sino-Korean, but the norms and reference books to help them were not appropriate. On the other hand, in the Korean-Chinese-language mixed style, the difficulty was relatively less, except for the shape of the Chinese character, the writing of the parts marked in the Korean alphabet, and the problems of Chinese consonants in the Chinese character. This was one factor that led to the relatively favorable position of the Korean-Chinese-language mixed style in the competition between pure Korean style and the Korean-Chinese-language mixed style. Due to the difficulties of this reality, the Westerner's bilingual dictionaries illustrates the difficulties associated with the Korean writing system at that time. In a reality where a bilingual dictionary compilation was essential for learning Korean and translating biblical texts, the compilation of a double-language dictionary was a combination of decision of writing, problem of meaning solving, and presentation of Chinese characters. Gale's Korean-English dictionary (1897) shows this best. A comprehensive knowledge of Chinese characters, the notes and meanings of Chinese characters, and the writing of Korean characters was required in order to be able to write the Korean-Chinese-language mixed style smoothly. A dictionary of Chinese characters was required to help. That is why such as Ji Seok-yeong Jajeonseogyo like a dictionary compiling, reflect realistic Sino-Korean and the meaning of Chinese characters that written by Korean Language. They also compiled Chinese language study books such as Eonmun to effectively cope with the era of the meaning of Chinese characters. And they tried to cope with the era of the Korean-Chinese-language mixed style by creating a study book that allows them to learn Chinese characters and foreign languages, such as Ahakpyeon. As a result, the compilation of Chinese characters dictionaries and study books is thought to be highly relevant to the effective style of limited writing in introducing and accepting new ideas, new culture, new learning, and distribution, etc. 이 글은 근대 전환기의 국한문체의 형성 과정과 이 시기에 본격적으로 간행되는 자전, 사전, 학습서의 편찬이 어떤 관련을 맺고 있는지를 살피려 한것이다. 국한문체가 한자의 사용 정도, 한자의 난도, 한문 문법의 반영 정도등에 따라 어려움이 있다고 보는 것에 비해 국문체는 별 어려움이 없으리라생각되지만 실상은 그렇지 않다. 국문체는 분철, 연철, 중철의 문제를 해결하고, 음운 현상 관련 표기, 한자음 표기, 조사와 어미의 표기 등에 관하여 해결해야 할 것이 많았는데, 이에 도움을 줄 규범과 참고서가 마땅치 않았다. 이에 반해서 국한문체는 한자의 자형, 국문으로 표기된 부분의 표기, 한자음병기 시의 한자음 문제 등을 제외하고는 상대적으로 어려움이 적었다. 이런 점은 근대적 교육, 신학문, 신논설 등에서 국문체와 국한문체의 경쟁에서 상대적으로 국한문체가 유리한 위치에 서게 된 하나의 요인이 되었다. 이런현실에서 서양인들이 편찬한 이중어 사전에는 당시 조선어의 표기법과 관련한 어려움이 잘 드러나 있다. 조선어 학습과 성서 번역 등을 위해서는 참고자료로서 이중어 사전 편찬이 꼭 요구되었던 현실에서 이중어 사전 편찬은표기의 결정, 뜻풀이의 제시, 한자 음훈의 제시 등이 복합된 고된 작업이었다. 게일의 『한영뎐』(1897)은 이를 가장 잘 보여 준다. 국한문체를 원활하게 구사하기 위해서는 한자, 한자의 음과 훈, 국문 표기 등에 관한 종합적인지식이 요구되었다. 이에 도움을 줄 자전 편찬이 요구되었던바, 지석영 등은『자전석요』처럼 현실 한자음을 제시하고 여러 국문 뜻풀이를 반영한 자전을편찬하고, 『언문』과 같은 한자어 학습서를 편찬하여 국한문 시대에 효과적으로 대처하게 하고, 『아학편』과 같이 한자와 외국어 학습을 할 수 있는 학습서를 만들어 국한문 시대에 대응하려 하였다. 이런 자전 및 학습서의 편찬은결과적으로 신사상. 신문물, 신학문의 수용, 소개, 유통 등에 국한문체가 효과적인 문체로 구실하는 것과의 관련이 높은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자전 체재에서 본 『국한문신옥편』의 한국자전사적 위상

        하강진(Ha Kang Jin)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2018 동양한문학연구 Vol.50 No.-

        이 글은 한국 자전의 역사를 통시적으로 서술하려는 장기적 목표 아래 일차적으로 근대 이후부터 광복 이전까지 출간된 자전들의 흐름을 탐색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근대 자전의 시작은 1908년 편찬된 정익로의 『국한문신옥편』인데, 前史에 해당되는 『전운옥편』의 단점을 개선함으로써 새롭게 부상한 민중들의 요구에 부응했다. 표제자는 『전운옥편』에 비해 5자가 늘어났고, 일부 부수 배열을 달리해 독자성을 갖추었다. 발음정보로 현실음을 많이 채택했고, 특히 부록의 「음운자휘」 색인은 자전의 고유한 특색을 갖추게 했다. 초판의 부분적 오류나 미비한 내용은 그 이후의 판본들에서 수정했을 뿐만 아니라 『정정증보 신옥편』에 이르러서는 총 표제자 수가 「보유」 한자 6,012자를 합쳐 17,021자로 확대되었다. 이러한 판본별 체재변화는 우리나라 자전 출판의 後史를 형성하는데 중요한 디딤돌이 되었다. 지석영의 『자전석요』(1909)는 『국한문신옥편』의 부수 배열 순서를 그대로 수용했고, 최초의 한일 대역자전인 박중화의 『일선대자전』(1912)은 표제자의 미시정보 제시 방식이 그것과 동일하다. 또 현공렴의 『한선문신옥편』(1913)은 『정정증보 신옥편』의 판식과 부수별 표제자 배열 방식이 같으며, 1918년에는 『국한문신옥편』과 흡사한 음부를 합편해 자전 체재를 개선했다. 또한 포켓판 초기 자전인 박건회의 『한일선 회중신옥편』(1914)과 이종정의 『한일선신옥편』(1916)도 부수 배열순서나 표제자의 의미정보가 매우 유사하다. 특히 대다수 한일 대역자전의 ‘부음고’ 체재와 부수배열 방식은 정익로의 『국한문신옥편』에 원천을 둔 것으로 일제강점기 때 출간된 자전 체재의 한전형을 이루었다. 최남선의 『신자전』(1915)은 별개이지만, 유한익의 『자림보주』 (1921)는 『국한문신옥편』과 같은 미시정보 제시방식을 취했다. 이처럼 광복 이전 여러 형태의 자전들은 출판 시대환경에 발 빠르게 대응해 정익로의 『국한문신옥편』에 내재된 자전적 결점을 개선하는 한편 그 체재의 장점을 다양하게 수용함으로써 독자들의 지식 욕구를 충족시키고 한자문화권의 원활한 언어 소통에 크게 기여했다. The paper aims investigate the flow of Sino-Korean dictionaries published in modern age until the liberation, with the bigger goal of unfold diachronic depiction of history of Sino-Korean dictionary. The beginning of modern Sino-Korean dictionary is a Gookhanmun-shinokpyeon, which was completed in 1908 by Chung Ik-Ro(鄭益魯). By improving previous version called Jeonun-okpyeon(全韻玉篇), it responded to the demands of newly emerging populace. Compared to Jeonun-okpyeon, Gookhanmun-shinokpyeon increased the number of title by 5 characters while equipping own identity by differentiating the arrangement of some radicals. A lot of real sounds is adopted as pronunciation information, and particularly the Phonetic Alphabet index of Appendix is featured with a unique dictionary characteristics. Although first edition had minor errors and limited contents, later editions not only revised them but also expanded the number of headings. When it came to the Jeongjeongjeungbo-shinokpyeon(訂正增補 新玉篇), the total number of titles was expanded to 17,021 by joining 6,012 characters of possessed . Each edition s change in format acted as an important stepping stone for forming the post history of Sino-Korean dictionary. Jajeonseokyo(字典釋要), which was written in 1909 by Ji Seok-young(池錫永) s, accepted the exact order of side-by-side arrangement of the Gookhanmun-shinokpyeon. Ilseondaejajeon(日鮮大字典), which was the first Korean-Japanese dictionary written by Park Joong-hwa(朴重華) in 1912, adopted the exact method of presenting micro-data for titles. Hanseonmun-shinokpyeon(漢鮮文新玉篇), which was written by Hyun Gong-ryeom(玄公廉) in 1913, uses the same title arrangement method for each radical with Jeongjeongjeungbo-shinokpyeon. Moreover, two pocket-sized dictionary Hanilseon-heijung-shinokpyeon(漢日鮮懷中新玉篇) written by Park Geon-hei(朴健會) in 1914 and Hanilseon shinokpyeon(漢日鮮新玉篇) by Lee Jongjeong(李鍾楨) in 1916 shares similar radical arrangement method and meaning contents of the title. In particular, Bueum Go(部音考) system and radical arrangement of Chung Ik-ro used in Gookhanmun-shinokpyeon were widely adopted, which later had formed a type of epitome for most Korean-Japanese dictionaries published in Japanese colonial era. Although Choi Nam-seon(崔南善) s Sinjajeon(新字典) published in 1915 was excluded, Jalimboju(字林補注) by Yoo Han-ik(劉漢翼) in 1921 adopts the same contents presentation method of Gookhanmun-shinokpyeon. These dictionaries emerging after the independence have been changing rapidly according to the fast-changing world of publication while improving the defects inherited from Gookhanmun-shinokpyeon by Chung, Ik-Ro, as well as while accepting the strengths of the system in various ways. By doing so, it not only satisfied the reader s need for literary comprehension but also made great contribution in facilitating communication in the cultural area of Chinese characters.

      • KCI등재

        한문과 고전의 분리, 번역과 국한문체 ― 게일의 『유몽천자(牖蒙千字)』 연구―

        임상석 고전문학한문학연구학회 2014 고전과 해석 Vol.16 No.-

        게일은 한국어와 한국 문화에 대해 사전 편찬, 한국 고전 번역 그리고 사찬 국한문체 성경 완역이라는 3단계에 걸친 업적을 남겼다. 이 글은 그가 1901년에 발표한 유몽천자 를 국한문체 독본이라는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사전 편찬 작업과 서구 초급 교과서 편성의 성과가 국한문체로 번역된 양상, 그리고 이 과정에서 한문이 고전의 세계에서 분리되어 시대적 요청에 맞는 국한문체로 형성된 과정을 논했다. 이 책은 근대계몽기 국한문체의 실상을 범주화하여 제시해주고 있지만, 정작 독본의 성격에 맞는 국어의 규범을 일관된 기준으로 보여주지는 못했다. 이 책이 현재적 의미를 가지는 것은, 근대 초기 국한문체 내지 한국어의 형성 과정에서 번역과 한문고전과의 관계를 집약적으로 드러내주기 때문이다. 또는 형성된 전근대적 고전의 세계에서 벗어나기 위해 겪었던 지난한 한국어의 과정—번역과 국어의 관계를 유몽천자 는 보여주고 있다. 또한 서문의 번역을 통해 자국적 한문고전의 형성을 시도한 유몽속편 의 성격도 일별해 보았다. As one of the most profound researcher about Korean language and culture, James Scarth Gale achieves three stages; 1st the compilation of dictionaries, 2nd the translation of Korean classics, 3rd the private complete translation of Bible in Korean-Chinese style. I analyze his Yumongchonja(1901) as the reader of Korean-Chinese Style. As the succession of his Korean dictionaries and the translation in Korean-Chinese style of English readers for primary school, it separates Classical Chinese from the world of classics. Otherwise, it presents practical categorizations of Korean-Chinese style in modern enlightenment era but as a reader and a textbook, it fails to propose normative official language. To the present Korean Studies, its value lies in presenting the relation of the translation and classics in Classical Chinese through the formational process of Korean language. Also, with the translation of the preface, I introduce its sequel, Yumongsokpyon(牖蒙續編).

      • KCI등재

        근대 전환기 개화 지식인의 “국문/언문”에 대한 인식과 구어체 글의 형성

        홍종선 ( Jong Seon Hong ) 우리어문학회 2016 우리어문연구 Vol.54 No.-

        근대 전환기를 맞아 일부 개화한 지식인들은 전통적인 한문에서 벗어나 국문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이를 주장하였다. 그러나 국문보다 한문에 더 익숙한 개인적인 한계와 당시 한문을 숭상하는 지식 사회의 분위기 속에서 그들은 순한글의 글이 아닌 국한문 혼용체의 글을 주로 발표하였다. 그들의 글은 ‘한문체, 한문구 국한문체, 한문어 국한문체, 한자어 국한문체, 한글체’ 등 다양하게 나타났다. 그들이 우리글을 쓸 때에 초기에 보이던 한문 구절이나 한문식 단어가 포함된 국한문체에서 한자 단어만 포함된 국한문체로 발전하기 위해선, 지식인 독자들을 설득하는것 이상으로 자기를 설득하고 극복하는 과정이 필요했다. 중세 국어 한문 불경의 번역서에는 ‘한자어가 포함된 국한문체’가 주로 쓰여, 비록 한자와 한글이 같이 쓰였지만 자연스러운 우리말 표현이 이루어졌다. 근대 국어 시기에 나온 고대 소설은 순한글로 쓰였으며, 특히 판소리계 소설은 구어체의 성격이 많은 텍스트이다. 따라서 근대 전환기의 국한문체와 한글체는 이러한 전통적인 문체들을 좀더 폭넓게 활용한 것일 뿐 새로운 문체를 만든 것은 아니다. 일상적인 언어를 자연스럽게 구사한다는 점에서 이인직 『혈의루』나 이광수『무정』은 오히려 판소리계 소설에 미치지 못하는 면도 있다. ‘-다’와 ‘-았다’는 구어체를 나타내는 표지가 될 수 없다. 문어에서 구어와 일치하는 정도를 높이기 위해선 문장 종결형을 포함한 구어적 표현을 문어에 어떻게 도입할 것인가에 대해 다양하게 접근해 나가야 할 것이다. 당시에도 순한글 글에서는, 국한문 글에서 종종 보이던 한문식 한자어가 나타나지 않고 고유어가 많이 쓰이며, 자연스럽게 구어체에 가까운 표현들이 이루어졌다. When the transition period to modern era in Korea arrived, some enlightened modern intellectuals were aware of and argued the importance of Korean instead of traditional Chinese. However, because of personal limits that they were more familiar with Chinese than Korean and in an atmosphere of knowledge society venerating Chinese, they mainly published an article in Korean-Chinese mixed body, not in net posts Hankeul. Their articles were written in diverse forms such as ``Gukhanmunche(Korean-Chinese mixed body) containing Chinese classics phrases``, ``Gukhanmunche containing Chinese classics words`` and ``Gukhanmunche containing Chinese characters words``. They had to pass the process of convincing, overcoming themselves and persuading modern intellectual readers in order to develop initial writing style with Gukhanmunche including Chinese classics phrases or words into Gukhanmunche including only Chinese characters words. In middle era <Korean> version of Chinese classics Buddhist scriptures, ``Gukhanmunche containing Chinese characters words`` were mainly used. Though Chinese characters and Hankeul were both used, natural Korean expressions were possible. Ancient Novels in modern era were written in net posts Hankeul, especially Pansori Novels had colloquial style of texts. Therefore Gukhanmunche in modern transition period was only a wide application of traditional Gukhanmunche not a creation of new body. Pansori Novels are rather better than Lee Injik’ “Hyeol-eui-ru” or Lee Kwangsu’ “Mujeong” in that they used daily language in their texts more naturally. ``-da`` and ``-at da`` cannot be the mark of colloquial style. We have to get access in a variety of ways when we introduce colloquial expressions involving sentence endings into written language in order to increase matching degrees of colloquial language and written language in Korean.

      • KCI우수등재

        근대적 문어 양식의 성립과 국한문의 규범화

        최경봉 국어학회 2020 국어학 Vol.0 No.94

        본고에서는 구어의 문어화 과정에서 국문과 국한문의 이중적 문어 체계가형성되었음에 주목하면서, 문어 체계의 한 축인 국한문 양식의 규범화에 대해논의하였다. 2장에서는 국한문이 근대적 문어 양식으로 대두된 맥락, 언해문에서 비롯한 전통적 국한문을 재형식화한 동기와 원칙, 국한문 양식의 전개 양상과 훈독식 국한문의 출현 의미 등에 대해 논의하였다. 3장에서는 국한문의 규범화를 당대의 국어 규범문법 논의와 관련지어 설명하고, 국한문 문어 양식이국문 표기법을 고안하는 데 끼친 영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유길준의 국한문체 기획과 문화의 전환 : 신채호, 최남선과의 비교연구

        임상석 우리어문학회 2012 우리어문연구 Vol.43 No.-

        Yu Giljun's planning for Korean-Chinese Styles is innovative and original which can be arranged two; first, writing with syntactic consistency and norms and second, pursuing for new genre beyond the style and frame of prose in classical Chinese. However his planning cannot be succeed to contemporary general people and literati due to their incongruity with senses of time. In Korean-Chinese Styles' blooming time, modern enlightenment era is the transitional period, as breaking out from the shackles of classics in classical Chinese. Therefore, general people hesitate to accept another new norms for Korean-Chinese writing, by Yu. Also his new genre ,such as Seoyugyeonmun, is rather premature for general people and literati, considering traditional reading custom. Confronting convulsional political/cultural transformation, general people including literati cannot have time and breadth of mind for new genre beyond traditional culture in classical Chinese and usually contemporary literati cannot have time and information for writing new genre as modern as Yu's. As a result, representative writer in modern enlightenment era mass-communication, such as Shin Chaeho cannot adopt Yu's planning for his own Korean-Chinese Styles. However, Yu's planning can be effective references for some new intellects such as Choi Namseon, trained by modern educational systems and lay the groundwork for cultural transformation from 1910s to 1920s. The transformational process of Korean-Chinese Styles by Yu Giljun, Shin Chaeho and Choi Namseon is a representative indicator for apprehending cultural transformation in modern Korea. 문법적 일관성을 갖춘 국한문체 작문법과 한문 산문 체격을 벗어난 새로운 장르의 추구라는 유길준의 2대 국한문체 기획은 독창적이고 탁발한 것이었지만, 당대의 시대상과는 맞지 않는 측면이 있어 언중에 수용되지 못한 양상이다. 한문고전의 엄격한 속박에서 벗어나기 시작한 당대의 언중들은 유길준이 제시한 새로운 문법적 규범을 받아들이기 어려웠다. 또한, 유길준이 추구한 새로운 장르도 당시의 감상 습관으로는 시기상조인 측면이 있었다. 『서유견문』 같은 긴 호흡의 글을 작성하기 위해서는 많은 시간과 정보가 필요한데, 당시의 환경에서 국한문체 작가들은 그런 시간과 정보를 갖출 여력을 가지지 못한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그러므로 대부분의 국한문체 문장들은 익숙한 한문 산문의 압축미로 회귀하였고, 근대 초반의 작문 교본 및 총독부의 조선어급한문 독본들도 한문 산문 형식을 기본으로 삼아 작성되었다. 언중들의 습속으로는 『서유견문』 같은 근대적 단행본 성격의 글보다는 익숙한 한문 산문의 체격이나 장르적 연관성을 갖춘 국한문체 저술이 더 쉽게 받아들여졌을 것이다. 또한, 급박한 정세 속에서 장편의 글을 읽고 있을 여유가 적었음도 쉽게 추측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신채호를 위시한 계몽기 언론의 주요 작가들은 유길준의 원칙을 따를 수 없었다. 그러나 유길준의 이와 같은 국한문체 구상은 최남선을 위시한 일군의 새로운 지식인들, 특히 근대적 교육을 이수한 이들에게 분명히 큰 참조점이 되었을 것이다. 『소년』, 『청춘』, 『시문독본』 등의 신문관에서 출간된 성과들은 문법적 일관성의 원칙에서는 어긋나지만, 한문 산문의 체격(體格)에서 벗어난 장르를 모색했다는 점은 유길준의 기획과 들어맞는 부분도 적지 않다. 그리고 이런 문체적 모색이 1920년대에 『개벽』등에서 본격적으로 나타난 문화의 전환 과정에 하나의 연원이 되었다는 점에서 유길준의 국한문체 기획은 근대계몽기 당대보다는 오히려 후대에 큰 영향력을 미쳤다고 평가할 수 있다. 유길준, 신채호, 최남선으로 이어지는 국한문체의 전환과정은 근대 문화의 전환을 보여주는 명징한 지표라 하겠다.

      • KCI등재

        『한성주보』의 국문체, 국한문체 기사 연구 -텍스트종류론적 관점에서-

        박은정 우리말글학회 2022 우리말 글 Vol.95 No.-

        Hansungjubo is a historically meaningful research topic and important in Korean studies because it was the first newspaper written in Korean and Korean-Chinese styles. Nonetheless, only a few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the style of writing in Hansungjubo because the newspaper written in Korean and Korean-Chinese styles accounted for a small portion of news media. And only a year after that, the newspaper got back to the original style, which was written in the Chinese style. This has something to do with characteristics in production and acceptance of the text. Feature stories were written in a relatively new style, while straight news, especially straight news were not written in the new style (the Korean and Korean-Chinese style). None of editorial was written in the Korean and Korean-Chinese styles at the same time, because people thought it was not necessary to write Korean unless they should use their mother tongue and that the Korean and Korean-Chinese style was less efficient than Chinese style. Poor understanding of the Korean style and negligence of it also mattered in this picture, so some news producers tried to investigate how to make a standard format of the news articles according to the Korean style, but their efforts ended up in failure. Yet articles written both in the Korean and Korean-Chinese styles had an effect on news headlines and contributed to the emergence of private newspapers including independent newspaper. 최초의 근대 신문인 한성순보 를 복간한 한성주보 는 우리나라 최초로 국문체 및 국한문체 기사가 실렸다는 점에서 역사적으로뿐만 아니라 국어학적으로도 가치가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제껏 한성주보 의 문체 연구는 미흡한데, 이는 전체 기사에서 국문체, 국한문체 기사가 차지하는 비중이 적었을 뿐만 아니라 겨우 32호를 끝으로 한문체 기사로 회귀하고 말았기 때문이다. 이러한 결과는 신문 기사의 생산 및 수용과 관련이 있다. 한성주보 의 국문체, 국한문체 기사 비율은 텍스트종류에 따라 다른데, 해설기사는 국문체, 국한문체 기사가 비교적 많은 반면 보도기사, 특히 국내 보도기사는 국문체 및 국한문체 기사가 적다. 또한 의견기사는 국문체 및 국한문체 기사가 한 편도 없다. 이는 기존의 한문체에 비하여 새 문체는 효율성이 떨어져서 자국어를 쓴다는 당위성 외에는 큰 필요성을 느끼지 못하였기 때문이다. 특히나 시의성과 관련 있는 보도기사에서 효율성이 떨어졌다. 의견기사의 경우 국문체 및 국한문체에 대한 이해 부족과 천시도 영향을 주었다. 이에 생산자들은 새로운 문체에 걸맞은 신문 기사 모형을 만들고자 탐색하였으나 실패로 끝났다. 또한 국문체는 교유명사 표기 및 띄어쓰기 문제로 가독성도 떨어졌다. 하지만 국문체 및 국한문체 기사는 신문 헤드라인에 영향을 주는 등 그 흔적을 남겼으며 훗날 독립신문 을 비롯한 여러 민간 신문이 등장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

      • KCI등재

        『국한문신옥편』 한자음 특징 연구

        나윤기(Na Yun Ki)(羅潤基) 대한중국학회 2016 중국학 Vol.55 No.-

        1908년에 출판된 『국한문신옥편』은 『전운옥편』을 저본으로 하여 한글 뜻풀이를 첨가하고 음운을 정리한 최초의 근대적 성격을 지닌 자전이다. 『전운옥편』과 약 100년의 시간적 차이가 있는 『국한문신옥편』은 편자의 의도에 의해 일부 한자음에 대해 수정을 가하였다. 본 논문은 『국한문신옥편』의 수정 한자음을 대상으로 그 유형과 성격을 『화동정음』 『전운옥편』등과 비교 분석하여, 『국한문신옥편』 한자음의 특징을 제시함으로써 字典史上의 가치를 조명하고자 한다. “Gookhanmun-shinokpyeon” published in 1908 is the first dictionary characterized as a modern one in which meaning explications have been added and pronunciations have been summarized. “Gookhanmun-shinokpyeon” temporally different about 100 years from “Jeonun-okpyeon” was corrected for some sounds of Sino-Korean with the intention of the editor. This paper attempted to highlight the value that this dictionary has in terms of the history of dictionaries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types and natures for the sounds of corrected Sino-Korean in “Gookhanmun-shinokpyeon” and presenting the features of the sounds of the Sino-Korean in the dictiona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