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蘭汀 先生의 漢字音 硏究에 관하여 –朝鮮(李朝) 漢字音 硏究를 中心으로–

        이준환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20 어문연구(語文硏究) Vol.48 No.3

        This article is intended to examine the traces of Nam Kwang-woo’s study of Sino-Korean based on the Joseon(Ijo) hanjaeum yeongu[the study of Sino- Korean in Joseon Dynasty]. In detail, I will take a look at Sino-Korean research history, methods and achievements of Sino-Korean research, and what these researches have done to the academic world. As can be seen in the study of Sino-Korean in Joseon Dynasty, he conducted a series of studies on the collection, arrangement, decoding and analysis of materials in various fields of Korean linguistics, which required more labor than other fields. However, the research paper and data collection and classification and analysis produced valuable results by making this a lifelong achievement. And this study led to the compilation and supplementation of the Middle and Modern Korean dictionary, which is indispensable for studying Korean history in harmony with the study of native languages centered on Middle Korean and Modern Korean. Someone point out that his study of Sino-Korean lacks research on the system. However, the study of the system is based on specific language data, and its value is never diminished in that a different understanding of the language data will change the understanding of the system. In fact, the academic achievements of individual Sino-Korean, including multiple Sino-Korean collected, arranged, analyzed, and studied by Nam Kwang-woo, are becoming more and more massive and precise, according to the influence of his on subsequent research. 이준환, 2020, 난정 선생의 한자음 연구에 관하여, 어문연구, 187 : 27~62 이 글은 蘭汀 南廣祐 先生의 한자음 연구의 발자취를 朝鮮(李朝) 漢字音 硏究를 중심으로, 선생의 한자음 연구사, 한자음 연구 방법과 연구 성과, 선생의 연구가 학계에 끼친 바를 순차적으로 검토하여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선생은 朝鮮(李朝) 漢字音 硏究 등에서 볼 수 있듯이 자료의 蒐集, 整理, 解讀, 分析 등의 일련의 연구 과정에서 국어학의 다른 분야에 비해 월등히 품이 많이 가고 고단한 한자음 연구를 하였다. 그러나 이를 평생의 업으로 삼고 끊임없이 盡力하여 연구서의 편찬 및 자전 편찬의 값진 성과를 이루어 냈다. 그리고 이런 연구는 중세 및 근대 국어를 중심으로 한 고유어 연구와 조화를 이루어 國語史를 연구하는 이라면 없어서는 안 되는 古語辭典을 펴내고 이를 지속적으로 수정하고 보완하고 확대하는 것으로 이어졌다. 선생의 한자음 연구는 體系에 관한 연구가 부족하다는 지적이 있지만 체계에 관한 연구는 구체적인 언어 자료를 基盤으로 이루어지는 것이고, 언어 자료에 대한 이해가 달라지게 되면 체계에 관한 이해도 달라진다는 점에서 결코 그 價値가 줄어들지 않는다. 실제로 선생이 수집하여 정리하고 분석하고 연구해 놓은 複數 漢字音을 비롯한 個別 漢字音에 대한 蓄積된 결과물 덕택에 거두게 된 학술적 성취가 점점 巨大해지고 精密해지고 있음을, 후속 연구에 끼친 선생의 영향을 통해서 확인할 수 있다.

      • KCI등재

        「隨喜功德歌」(普賢十願歌 제5) 解讀

        이준환 구결학회 2014 구결연구 Vol.33 No.-

        이 글은 차자 표기 자료의 연구 성과와 한자음에 관한 지식을 이용하여 「隨喜功德歌」를 해독하는 것을 목표로 한 것이다. 그간 논란이 되었던 제4구의 ‘呂’, 제9구의 ‘擬可’ 등을 비롯하여, 여러 곳의 어구들의 해독을 시도해 보았다. 제4구의 ‘有叱下呂’의 ‘呂’는 中古音 기반 한자음으로 읽으면 ‘려’로 보아야 하나, 불교 관련 문화의 전달 경로 등을 볼 때 敦煌 지역의 한자음이 유입되었을 가능성 있고, 중세국어의 어미의 실현 양상과 ‘呂’의 다른 향가에서의 쓰임을 고려하여 ‘리’로 읽었다. 제9구의 ‘擬可’는 漢譯詩와 普賢行願品을 고려할 때 문맥상으로는 [따르다]의 의미로 봄이 자연스러우나, ‘擬’의 의미와 ‘可’가 漢字音의 음절 구조상으로는 나타내기 어려운 ‘겨’를 적기 위해 차선으로 선택된 用字일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너겨’로 해독하였다. 이 이외에 제2구의 ‘尋只見根’은 중세국어를 고려하여 ‘작 보’으로 해독하였고, 제3구의 ‘毛叱所只’은 ‘’에 대응하는 ‘所’의 독법을 고려하여 [두루]의 의미를 지니는 부사로 추정되는 ‘못록’을 나타낸 것으로 보았다. 제7구의 ‘於內’는 한자음과 /ㆍ/의 음운적 특징 등을 감안하여 ‘어’로 읽었으며, 제8구의 ‘置乎理叱過’는 수사 의문문으로 볼 수 있고 수사 의문문에서는 의문사가 있어도 어미로 ‘-가’가 쓰이고 고대국어 한자음에서 介母의 탈락이 있음을 고려하여 ‘過’는 ‘-가’로 해독하였다. 제10구의 ‘至刀’는 문맥상 타동사로 보기는 어렵다는 점에서 ‘니르러도’로 해독하였다.

      • KCI등재

        舌音系 漢字音의 口蓋音化 : 諺簡 漢字音을 중심으로

        이준환 한국어학회 2007 한국어학 Vol.34 No.-

        The aim of this article is redebate the palatalization of Sheyin(舌音 : lingual sounds which are composed of Sheshangyin(舌上音) and Shetouyin(舌頭音)) in Sino-Korean. For this argument I mainly made use of Sino-Korean written in Eongan(諺簡). As a result, I came to a conclusion like below. Firstly, in palatalization of Sheyin, there is no distinction between Sheshangyin(舌上音) and Shetouyin. So, I could conclude that palatalization of Sheyin was happened in the same period and the palatalization of Shetouyin was not affected that of Sheshangyin. Secondly, palatalization of Sheyin was happened in /ㄷ, ㅌ/ which was followed by /i, j/. Namely palatalization in Sino-Korean was affected by palatalization of Modern-Korean and happened in the above phonological environment. Lastly, palatalization of Sheyin was not spreaded rapidly but step by step. This change is similar to palatalization in Modern-Korean. Judging from these, I came to a conclusion like this : the palatalization of Sheyin in Sino-Korean is unique change in itself, which rarely has nothing to do with palatalization in Modern-Chinese but internal factors.

      • KCI등재

        근대 국어 시기의 번역 국문 소설과 언해서의 번역 양상과 문체의 이해

        이준환 국제어문학회 2022 국제어문 Vol.- No.92

        이 글은 18세기에 한문의 번역으로 이루어진 국문 소설과 언해서의 번역 양상을 바탕으로 문체상의 특징을 살펴보고자 한 것이다. 연구 대상으로는 국문 소설에서는 『무목왕정충록(武穆王貞忠錄)』(1760)을, 언해서에서는 『어제백행원(御製百行源)』(1765)와 『무예도보통지언해(武藝圖譜通志諺解)』(1790)을 삼았는데, 이 세 문헌은 왕실과 관련성을 있는 문헌이라는 점에서 공통점이 있다. 이 문헌들에 구사된 국문 또는 국한문의 문체가 어떤 공통점과 차이점을 보이는지와 이곳에서 보이는 한자어 또는 한문의 역할이 어떤 것인지를 19세기의 국문 소설과 관련하여 살펴 문체적 양상을 살폈다. 『무목왕정충록』은 원전이 되는 『무목왕정충전』과 비교하여 보면 직역이 이루어진 부분도 있으나 국어 및 국어사용의 현실에 맞게 의역이 이루어지고 어휘가 선택되어 있다. 『어제백행원』은 구결문으로 제시된 한문을 언해하여 이루어진 것인데, 실제 언해문은 철저하게 구결문의 통사 구조를 따르면서, 하나의 구결로 묶이는 문장 성분인 한문이 갖는 문법 구조에 따라 번역되어 있다. 『무예도보통지언해』는 한문으로 된 원문과 언해문의 대응이 아주 투명하다. 이처럼 한문 번역으로 이루어진 텍스트들은 한문과의 관계 속에서 국어의 문체를 이해하는 데에 유용한 것들이다. 그런데 한문 번역과는 거리가 먼 국문 고소설인 『춘향전』, 『홍길동전』에서도 한자어 사용이 많이 보인다. 이 중에는 『춘향전』의 “초목군생지물(草木群生之物)이 개유이자락(皆有而自落)이라”와 같은 한문 구결문과 같은 양상을 보이는 것에서부터 일상적으로 쓰이는 것을 충실히 반영한 것이 두루 보여 다양한 층을 보이고, 동사의 의미를 갖는 한자어 명사가 쓰이는 양상이 보인다. 따라서 번역에 의한 것이든 그렇지 않은 것이든 정도의 차이는 있으나 국문 속에는 한문의 문법이 작동하는 경우가 많다. 이런 양상은 개화기 국어의 문체의 성격을 이해하고 판단하는 데에 꼭 참고해야 하는 것으로서 중요성이 있다. This article aim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yle based on the translation patterns of Korean novels and spoken language made by translating Chinese characters in the 18th century. The Korean novels to be studied are Mumokwangjeongchungrok(1760), and they are EojeBaekhaengwon(1765) and Muyedobotongjieonhae(1790). I looked at the styles of Korean or Chinese written in these three literatures and what kind of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they show here and what kind of Chinese or Chinese roles they play in relation to 19th-century Korean novels. Compared to Mumokwangjeongchungrok which is the original text, there are parts that have been translated directly, but it shows that the vocabulary is selected and translated according to the reality of Korean and Korean use. EojeBaekhaengwon was made by referring to Chinese characters presented in the old text, and the actual aspect of the old text shows that it is translated according to the internal structure of Chinese characters within a single text. Muyedobotongjieonhae is very transparent in response to the original text and the written text in Chinese characters. Texts made up of Chinese translation are useful for understanding the Korean style in relation to Chinese characters. However, it can be seen that Korean classical novels such as Chunhyangjeon and HongGildongjeon which are not translation of Chinese into Korean, are also widely used. Among them, Chinese nouns with various layers and meanings of verbs are used, as they are shown to faithfully reflect the daily use from those with the same style as the Chinese text. Therefore, there is a difference in degree, whether it is translated or not, but it can be seen that Chinese grammar often works in Korean. This aspect is thought to be important as it must be used as a reference object to understand and study the style of Korean language during the enlightenment perio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