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李光洙가 李寶鏡이나 ‘외배’이던 시절 - 韓國語 글쓰기의 한 기원에 대하여-

        임상석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19 어문연구(語文硏究) Vol.47 No.4

        This paper is the review of transitional Korean Writing from 1908 to 1910s, focusing on Yi Kwang-su’s works, published under Yi Bo-kyeong or the pen name, a Sole Boat. From his late teens, as a result of practicing Korean-Chinese writing skills including Classical Chinese rhetorics, he can publish some articles in journals of Korean abroad students association in Japan such as Taegeukhakbo and Daehanheunghakbo, that have editing directions limited by Classical Chinese tradition. In these articles under his real name, Yi Bo-kyeong, he demonstrates rhetorics similar to Sin Chae-ho, the representative writer of Korean-Chinese mixed scripts in Enlightenment era. With the inauguration of Choe Nam-seon’s Sinmungwan, the media, liberated from Classical-Chinese rhetorics, such as Sonyeon and Cheongchun are provided to Yi and he can exhibit new Korean writing showing vivid inner-self and trivial every day lives. His practice of new Korean writing in Sonyeon and Cheongchun is synthesized in Mujeong, the milestone of Korean literary history. However, the outcome of Mujeong instantly transforms into Minjokgaejoron’s absence of alternatives and this paper attempts to offer the clue to this transformation through the review of re-writing Heosaengjeon, the significant Korean classic, which Yi should treasure as the self-proclaimed patriot. 임상석, 2019, 이광수가 이보경이나 ‘외배’이던 시절, 183 : 271~290 이 글은 이광수의 1908년부터 1910년대에 이르는 글들-이보경(李寶鏡)이나 외배의 이름으로 게재했던 문장들을 중심으로 한국 소설 및 한국어 글쓰기의 한 기원이 형성된 과정을 再構하려 했다. 10대 후반의 이광수는 한문전통을 수사법의 일부로 포함한 계몽기 국한문체를 연마하였으며 이 결과는 <태극학보>, <대한흥학보> 등의 일본유학생 잡지에 수록되었다. 이보경의 이름으로 게재된 이 국한문체 논설들은 계몽기 국한문체의 대표적 작가인 신채호의 그것과 유사한 양상을 나타내어 그의 多重的 작문 수련을 보여주는 자료이다. 최남선의 新文舘 창립으로 인해 한문전통에서 더 자유로운 <少年>과 <靑春> 등의 지면이 제공되었으며, 이광수는 여기서 비로소 국문 위주로 자기 내면과 일상을 가감 없이 보여주는 새로운 한국어 글쓰기를 선보이게 된다. 그리고 <소년>과 <청춘>의 작품들이 한국 문학사의 기념비 無情 으로 종합되었다. 그리고 무정 의 성과가 「民族改造論」이라는 대안의 부재로 이어진 과정을 애국주의자를 자처한 이광수가 한국의 대표적 고전인 「許生傳」을 재창작한 양상을 통해 논해 보았다.

      • KCI등재

        모바일 서비스 플랫폼 기술 동향 및 구축사례 분석

        임상석 에스케이텔레콤 (주) 2013 Telecommunications Review Vol.23 No.6

        본 논문에서는 컴퓨팅 환경이 PC중심에서 모바일 중심으로 변화함에 따라 모바일 서비스 플랫폼 구축시 필수적으로 고려해야 할 다섯 가지 기술 사항을 분석 및 도출 하였다. 이는 N 스크린 대응, Fat 클라이언트화, 네이티브 어플리케이션 기반 서비스 접점, 모바일 웹의 발전, 상시 연결성으로 요약된다. 또한 이러한 다섯 가지 기술 사항을 성공적으로 활용하고 있는 기업들의(페이스북, 넷플릭스, 에버노트, 링크드인) 서비스 플랫폼 구축 사례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마지막으로 서비스 플랫폼의 변화가 앞으로 어떻게 진행되어 나갈지도 전망하도록 하겠다.

      • KCI등재

        기동표적 추적을 위한 IMM/IE 혼합 필터의 성능개선

        임상석,박정호 한국항행학회 2001 韓國航行學會論文誌 Vol.5 No.1

        IMM과 IE의 장점을 혼합한 IMM/IE 혼합 알고리즘이 근래에 제시되었다. 이 혼합방식은 IMM이나 IE 방식의 단점을 어느 정도 보완하였으나 기동이 발생하는 시점에서 필터의 성능이 급격히 저하되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 IMM/IE 혼합 알고리즘의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두 가지 방안을 제안하고 그 성능을 Monte-Carlo 시뮬레이션으로 예증한다. Recently a new algorithm which combines advantages of the IMM and IE methods has been suggested. The combined-IMM/IE algorithm could improve the performance to some extent. However, the problem of large increase of tracking error near the maneuver detection due to the sudden maneuver input has not been solved. In this paper, we propose two schemes which can resolve this limitations of combined-INN/IE algorithm. For illustrations of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methods, Monte-Carlo simulations are carried out and the results are analyzed.

      • KCI등재

        『조양보(朝陽報)』와 『신민설(新民說)』: 「인인당주의어권리사상(人人當主義於權利思想)」의 역술과 이념의 모색

        임상석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2023 한국문학연구 Vol.- No.73

        이 글은 『조양보』가 번역을 통해 보호국 체제에 대응하기 위한 이념을 모색한 양상을 제시했다. 『신민설』 8절을 역술해 한국 독자를 위한 논설로 바꾼 『조양보』의 「인인당주의어권리사상(人人當主義於權利思想)」을 분석해 생략과 수정의 과정을 재구했다. 이 기사는 이 잡지의 주필인 장지연이 『신민설』의 역술에 자작을 조합한 논설인 「자강주의」․「국가빈약지고」와 동일한 방법론을 보여준다. 이 작업을 통해 『신민설』 8절에 수용된 예링의 『권리를 위한 투쟁』의 개인주의가 중국을 거쳐 대한제국에 다다른 과정을 재구했다. 법과 권리의 개인성을 자각해 이를 위해 투쟁하는 개인이란 예링의 이론은 국권을 위한 권리사상으로 『신민설』에서 변주되었고 『조양보』는 중국인을 위한 논설을 한국인의 각성을 위한 것으로 바꾸었다. 역술과 자작의 조합 양상을 통해 근대적 이념을 수용한 학습 과정이 구체적으로 드러난다. 『조양보』의 역술은 국민 사이의 평등을 강조한 『신민설』의 결론을 생략해 서구적 개인주의를 경계하는 한국 계몽주의의 일면을 보여준다. 한편 『조양보』는 더 많은 독자를 확보한다는 취지를 가졌기에 『대한자강회월보』보다 역술 과정에서 한국어 통사구조를 더 크게 반영하였다. 이 역술은 전근대 문언 문인에서 대중매체 작가로의 정체성 전환을 보여주는 것이기도 하다. This paper is studying the seek of idea in Joyangbo to confront a protectorate system by translation. I analyze localizing and adapting process of Joyangbo's leading article, “Everyone Must Have Consciousness of Right” which is the translation of 8th chapter in Liang Qichao's Xinminshuo. The article has commonalities with Daehanjaganghoe Monthly's articles which is the combination between the translation of Xinminshuo and own writing in Daehanjaganghoe Monthly by Jang Jiyeon, the chief editor of Joyangbo, Through reviewing the localization and adaptation of the article, I reconstitute how Xinminshuo's individualism, originated from Jhering's The Struggle for Law, was accommodated by Korean enlightenment writers. Jhering's idea, the struggling individual for one's legal rights with self awareness for individualism, transformed to consciousness of right mainly towards national rights in 8th chapter of Xinminshuo. And Joyangbo adapts 8th chapter to nationalistic article for Korean readers, “Everyone Must Have Consciousness of Right”. The procedure of adapting and localizing displays how Korean grasped western ideas. Meanwhile, by comparison Joyangbo's translational process of Xinminshuo has more close to Hangeul syntax than that of Daehanjaganghoe Monthly. The translation of Xinminshuo is the one of influential factors for Korean Empire's literati such as Jang Jiyeon for the transition of identity toward the mass-media writer.

      • KCI등재

        근대계몽기 잡지의 번역과 분과학문의 형성-『조양보』와 『대한자강회월보』의 사례-

        임상석 우리어문학회 2014 우리어문연구 Vol.50 No.-

        The essential task of Korean modern enlightenment era is to confront the crisis, Japanese colonization. As the spirit of the times, compathy that the traditional writing, thoughts and scholarship based on the classical language, classical Chinese must be replaced or improved with modern academic discipline based on national language, Korean is built during the era. However, to replace classical Chinese which have solid cultural tradition, the capability of national language is still insufficient. To broaden the contents of Korean language, translation in Korean-Chinese style is actively utilized and Daehanjaganghoe Monthly and Joyangbo represent aspect of translation and forming of academic discipline in the era. Especially, the latter propose the world of Dongmun(同文; the circle of same letters) which is alienated from the traditional world of their own(斯文). In Joyangbo, translation for information gathering and forming academic discipline is of greater importance than forming self-motivated arguments to confront the crisis of the era, colonization. Otherwise, in Daehanjaganghoe Monthly, forming arguments and publicizing political movements is more important than translation for information and modern academic discipline. Translation, in modern enlightenment era, influences not only information gathering but the formation of self-motivated arguments to confront the crisis at present. 한국의 근대계몽기는 식민지라는 위기에 직면한 시대였다. 고전어 한문으로 이루어진 작문, 사상, 학지는 국문으로 이루어진 근대분과학문의 세계로 대체되거나 보완되어야만 한다는 공감이 일종의 시대정신으로 설정되었다. 그러나 강고한 문화전통을 기반으로 지식의 계통과 작문의 체계가 갖추어진 한문을 대체하기에는 국문의 역량은 아직 부족했다. 국문의 내포를 확장하여 생산적인 문어로 설정하기 위하여 국한문체 번역이 적극적으로 활용되었던 것이며, 『조양보』와 『자강회월보』는 그 실상을 잘 드러내준다. 특히 전자가 국한문체를 통해 유교전통의 사문(斯文)과 분리된 동문(同文)의 세계를 추구했다는 취지를 주목해야 한다. 이 두 잡지는 일종의 단계적 차이를 보인다. 『조양보』는 정론의 차원에서도 중요한 부분이 적지 않지만, 시사적 정보를 위한 번역이 더 중요했다. 『대한자강회월보』는 번역도 중요하지만, 정론과 정치활동의 홍보가 더욱 비중을 가지게 되었다. 『조양보』와 『자강회월보』는 번역을 통해 고전어 한문을 대체 내지 보완하려는 노력을 보여주었으며, 특히 후자는 이 노력을 계몽기 당대의 시대적 현안에 대응하는 정치의 차원까지 확장한 양상을 보여준다. 번역은 정보 전달의 차원을 넘어 의무교육, 실업 강화 같은 자생적 대안의 형성에까지 영향을 끼쳤던 것이다.

      • KCI등재

        『대조선독립협회회보(大朝鮮獨立協會會報) 』의 취지와 구성 -조선의 독서인을 위한 세계의 정보-

        임상석 고려대학교 한국언어문화학술확산연구소 2022 Journal of Korean Culture Vol.59 No.-

        This paper is the research about The Chosun, the official bulletin of Independence Club can be evaluated as the first Korean magazine. It mainly focuses on international information on the contrary, The Independent delivers national issues and agendas. In mutual role allocation between two, the dual strategy of Independence Club can be comprehended. The newspaper is mainly for enlightenment toward uneducated ruled class but the magazine is for persuasion toward ruling literati. Before the Protectorate Treaty, the latter actively endeavored to grasp and respond for colonial crisis. I attempt to propose information and academic knowledge toward Korean literati by the planning of Independence Club through the review of the latter. The Chosun prioritizes the dissemination of international information instead leading articles by Korean. Its main information can be categorized as three parts such as international current affairs to deal with colonial crises, practical learning for capitalistic adaptation and scientific way of thinking, the basement for embracing international information. The primary methodology for self-strnengthening in Korean Empire magazine, education and industry is rooted from The Chosun. Due to lacks of coherence in editing and notation system, it appears the product of transitional periods. Also, magazine, which needs more research and longer prospect than newspapers is hardly accommodated in political convulsion in late 19th Century Korea considering its marginal influences comparing with The Independent. Its accepting three different linguistic styles, classical Chinese, Hangul and Korean-Chinese Style increases its confusion as mass-media. Different from enthusiastic planning of collecting papers from whole world in early issues, its academic information mainly limited in double translated documents from Qing dynasty published before Sino-Japanese War. Also the vigor of leading articles is decreased in latter issues. 이글은 독립협회의 기관지이자 한국 최초의 잡지인 『대조선독립협회회보 』에 대한 연구이다. 세계의 정보를 전파하는 역할에 집중했던 『대조선독립협회회보 』와 주로 국내의 현안을 주제로 삼은 『독립신문』의 대비를 보면, 독립협회는 교육 정도가 낮은 피지배층을 향한 계몽과 한문 지식을 가진 독서인을 향한 설득이라는 분리된 전략을 수행했다고 평가할 수 있다. 『회보 』를 통해 독립협회가 기득권에 가까운 계층을 위해 설정한 학술과 정보가 어떤 양상이었는지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한국인의 논설보다 세계 정보의 전달을 우선시했던 『회보 』는 제국주의에 대응하기 위한 세계의 시사와 자본주의에 적응하기 위한 실용적 학술 및 이에 근거가 되는 과학적 사고방식을 전파하려 했다. 대한제국기 잡지들에서 설정된 교육과 식산이라는 자강(自强)의 두 가지 주요 방법론의 원형은 『회보 』에 근원을 두고 있다고 하겠다. 『회보 』는 식민지 위기에 대한 능동적 대응을 을사늑약에 앞서 시도했던 것이다. 일관된 편집과 표기의 체제를 지키지 못한 『회보 』의 과도기적 양상은 신문에 비해 장기적 조사와 연구를 수행하는 잡지라는 매체를 수용하기 어려웠던 당대의 격변을 반영한 것이다. 그리고 한문, 한글 및 국한문체라는 3가지 문체를 동시에 채용했다는 점에서 혼란은 가중될 수밖에 없었다. 천하의 문서를 두루 수집한다는 초기의 의욕적인 구상이 수행되지 못하고 학술의 수집이 대체로 청일전쟁 이전 청나라의 중역 문헌 정도에서 벗어나지 못했으며, 논설도 초반 발행분에 비해 활력이 떨어지는 양상이다.

      • KCI등재

        20세기 한자권과 한국의 문자 문제 : 『한문맥의 근대』로 『한자권의 성립』을 보다 - 사이토 마레시, 한문맥의 근대: 청말=메이지의 문학권, 소명출판, 2018; 사이토 마레시, 한자권의 성립, 글항아리, 2018

        임상석 상허학회 2019 상허학보 Vol.56 No.-

        This paper is the review of Saito Mareshi’s newly Korean translated two books, the Formation of Sinographic Sphere and the Modernity of Sinographic Streams. Through it, I analyze arguments of them and relate to the reforming of Sinographic Sphere in 20th century Korea including ecriture issues. Representing their topics, I highlight Rai Sanyo and his Nihon Gaishi, becoming the root of Meiji national written language due to its elocution way, in spite of its anachronic royalism. It is a proof for Saito’s argue in the Formation of Sinographic Sphere, in that it demonstrates the division of ecriture system independent from culture and ideology. And rendering the counterpart of the Modernity of Sinographic Streams, I correspond Liang Qicao to Korean-Chinese styles writers in Korean Empire Era to debate issues of 20th century Sinographic Sphere. Furthermore, I suggest that problems about Korean-Japanese translation are connected to historic transition of Sinographic Sphere. 이 글은 2018년 말 한국어로 번역된 사이토 마레시 교수의 『한문맥의 근대』와 『한자권의 성립』 두 권의 논제를 소개하고 분석하면서 한국에서 20세기 초에 재편되기 시작한 한자권의 질서를 문자와 문체의 차원과 연동하여 논해보았다. 두 책의 논점을 따라가서 라이 산요의 한문 사서(史書) 『일본외사(日本外史)』의 훈독(訓讀) 낭송이 내용이나 집필 의도와 다른 차원에서 메이지의 국민 문체가 된 사정을 제시했다. 『일본외사』는 저자가 『한자권의 성립』에서 논했듯이 문화와 사상의 권역과 다른 문자 행위의 세계를 실증한 사례가 되는 것이다. 그리고 대한제국기 국한문체 언론의 주요한 참조였던 양계초와 메이지 작가들의 대응을 구성한 『한문맥의 근대』의 구도를 양계초와 대한제국 국한문체 작가들로 치환하여 한국의 20세기 한자권 문제를 논해 보았다. 더불어, 이 책들의 한국어 번역에 대한 문제들도 한자권의 역사적 확장에서 비롯되는 점도 살펴보았다.

      • KCI등재

        한문, 한자교재로 보는 식민통치와 한글전용-「漢文敎授捷徑 序」(1929), 『朝鮮歷史千字文』(1928), 『(대한민국)새千字』(1951)의 경우-

        임상석 한국한문학회 2019 韓國漢文學硏究 Vol.0 No.76

        From the restoration of sovereignty till 21st century, the Exclusive Usage of Hangul, the mainstream of Korean linguistic policy, can be established through otherizing Hanmun. Antagony between Hanja and Hangul is originated from language nationalism in Korean Empire era but it is fortified decisively with the colonial experience, the despising of Hangul lower than Hanmun. This paper is the research for transitional aspects of Hanmun under the Japanese colonial ruling through prefaces to Shortcut for Hanmun Education by Yeo Gyuhyeong and Jeong Manjo, representative Hanmun teachers for colonial education institutions and Sim Hyeonjin’s Thousand Character Classic for Korean History which distorts and defiles own history for colonizer’s sake. As intellects based on Hanmun tradition, they are sympathizer and collaborator for discriminating Korean language therefore, reviewing them is the considering the context of Korean language nationalism. Under restored sovereignty, for the purpose of the limitation of Hanja and Exclusive Usage of Hangul, New Thousand Character Classic of R.O.K can be published. It is the attempt to construct practical relation between Hangul and Hanja, with seeking values for new-born nation such as equality and democracy. On the contrary, Korean and Hanmun readers of Government General of Korea are mainly edited under the conservative value system, loyalty and filial piety. 주권이 회복된 해방이후부터 21세기까지 한국 어문정책의 주된 흐름이었던 한글전용은 한자와 한문을 타자화 하는 과정에서 실현되었다. 한자와 한글의 대결구조를 만드는 언어내셔널리즘의 연원은 대한제국 시대부터 기원하나 일본어와 한문의 아래에 위치하면서 그 공식적 위상을 위협당한 한국어의 식민지 차별 경험에서 결정적 변화가 나타났다고 볼 수 있다. 이글은 『한문교수첩경』에 수록된 친일유림이자 일제 제도권 한문교육의 담당자였던 여규형과 정만조의 서문과 식민자를 위해 자국사를 왜곡하고 폄하했던 심형진의 『조선역사천자문』을 통해 일제강점기에 나타난 한문의 위상 가운데 일단을 제시했다. 차별받는 한국어와 한국인을 방관하거나 혹은 그 차별에 적극적으로 부역했던 한문 지식인들을 통해 언어내셔널리즘의 한국적 배경을 확인하는 작업이었다. 그리고 회복된 한글의 주권 아래서 한자 제한과 한글전용을 목적으로 한 한자 교재 『(大韓民國)새千字』가 등장한다. 이 책은 한국어와 한자 사이에 독창적 관계 설정을 위해 노력하였으며 부분적으로 평등이나 민주주의 같은 신생국의 가치관에 대한 모색도 보여주었다. 주권 없는 상태의 총독부 독본들이 자유나 평등 같은 보편적 가치에 침묵하고 충효의 수구적 이념에 집중했던 것과 명백한 대조를 나타낸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