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장욱진 회화에 나타난 도가적 도상에 관한 연구 - 허정(虛靜)을 중심으로

        마승재 ( Ma Seung Jae ) 한국동양예술학회 2021 동양예술 Vol.51 No.-

        도상(圖像)이란 조형예술에 나타난 상징적 요소로 도상을 통하여 관람자는 작품에 드러나는 여러 요소들과 관념, 배경 등을 통찰하고 작품의 내재적, 심미적 의미를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회화에 나타난 도상을 읽어내는 작업은 작품에서 표현된 의미를 폭넓게 분석하고, 작품의 올바른 의미를 읽어낼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를 가진다. 본고는 이러한 이해를 근거로 장욱진 회화에 반복적으로 나타난 도상을 도가(道家)의 허정(虛靜)의 개념에 근거하여 고찰하고자 한다. 장욱진 회화에 반복적으로 재현되는 도가적 도상으로는 와유(臥遊)하는 모습, 도인의 형상 등이 있으며, 작품 속에 표현되는 인물들은 기거(箕踞)의 자세를 취하고 있거나 누워 있는 침와(寢臥)의 모습으로 나타난다. 이들의 공통적인 특징은 외부의 속박과 간섭에서 벗어난 자유로운 정신으로부터 표현되는 모습이며 『노자(老子)』와 『장자(莊子)』에 나타난 ‘허정(虛靜)’의 상태이다. 도가에서 말하는 허정의 상태는 어떠한 제한이나 간섭에서 벗어난 자유롭고 평정을 유지하는 관조의 상태이다. 즉, 장욱진 회화에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와유, 기거, 침와의 모습은 허정과 상통하는 모티프(Motiv)라고 볼 수 있다. 심신을 자유로운 상태로 풀어 놓는 와유, 기거, 침와의 모습은 시간과 장소에 구애 받지 않고, 예법 또는 법도에서 벗어난 몸가짐으로 정신을 무한의 세계로 확장할 수 있게 해준다. 이는 얽매임을 제거하고 마음의 고요함을 지키고 있는 그대로의 자유로운 상태라는 점에서 도가의 허정과 상관성을 갖는다. 예술 창작의 과정은 자유로운 상상과 연상을 통해 심미와 창작이 이루어지며 작가가 현실을 초월하여 자유로운 심미경계에 도달할 때, 비로소 자신의 창작 능력을 발휘할 수 있다. 본고에서는 허정의 철학적, 미학적 논의를 고찰하고, 허정의 개념이 장욱진 회화에서 어떻게 형상화되었는지 확인하였다. 이와 같이 철학적 고찰을 통해 회화를 바라보는 관점은 의미와 표현들이 다양하게 해석될 수 있는 가능성을 제공할 수 있다. Icon is a symbolic element in formative art, and through Icon, viewers can gain insights into various elements, ideas, and backgrounds in the work and grasp its intrinsic and aesthetic meaning. Thus, reading the icon in a painting is significant in that viewers can analyze the meaning expressed in the work broadly and identify its correct meaning. With this understanding, this paper intends to examine the icons appearing repeatedly in Chang Ucchin’s paintings based on Taoist’s concept of Xu-Jing. Taoist icons repeatedly reproduced in Chang Ucchin’s paintings include wòyóu (lying wandering) and the figure of ascetic, and the characters expressed in the work are taking the position of jījù (sitting down with legs wide apart) or qǐnwò (lying down comfortably). What they have in common are the expression of a free spirit from external restriction and interference and are the state of “Xu-Jing” in “Laozi” and “Zhuangzi.” The state of Xu-Jing in Taoism is a state of meditative contemplation and composure that is free from any restrictions or interference. In other words, wòyóu, jījù, and qǐnwò that appear repeatedly in Chang Ucchin’s paintings are seen as a motif that is in common with Xu-Jing. Jījù and qǐnwò, which release the mind and body to a free state, enable the expansion of the mind into an infinite world with a body free from manners or statutes, regardless of constraints in time and place. This is correlated with Taoist’s Xu-Jing in that it is a free state as it is, which removes the restraint and keeps the tranquility of the mind. In artistic creation, aesthetics and creation are achieved through free imagination and association, and an artist can demonstrate his or her creativity by reaching a free aesthetic boundary beyond reality. This paper reviewed the philosophical and aesthetic discussions of Xu-Jing and confirmed how the concept of Xu-Jing was embodied in Chang Ucchin’s paintings. Likewise, examining a painting through philosophical contemplation can provide the possibility of interpreting meanings and expressions in various ways.

      • KCI우수등재

        『회남자』의 허정(虛靜)과 인성

        정우진(Woojin Jung) 한국철학회 2017 철학 Vol.0 No.133

        『회남자』에는 마음의 평정을 의미하는 허정(虛靜)이 인성 본연의 특성임을 지지하는 글이 있다. 이런 구절은 『회남자』의 일관된 독해에 몇 가지 문제점을 야기한다. 먼저, 『회남자』에 영향을 미친 주요 문헌들에서 허정은 후천적으로 얻어지는 조건일 뿐, 인성의 고유한 특성이 아니다. 둘째, 인성은 어떠한 방향으로 발전할 수 있는 재질이라고 해석할 수 있는데, 허정은 재질이 잘 발현되기 위한 토양에 가깝다. 셋째, 허정에는 철학자의 이념이 들어 있어야 하는데, 도가의 이념은 도이지 허정이 아니다. 본고에서는 이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해석을 제안했다. 첫째, 『회남자』의 허정은 마음의 평정과 도를 묘사하는 허무라는 두 가지 의미를 지니고 있다. 둘째, 전자의 허정은 인성이라는 재질이 발현될 수 있다는 점에서 토양이라고 할 수 있지만, 후자의 허정은 도의 특성이라는 점에서 재질 즉, 도가 구체화된 인성의 특성이라고 할 수 있다. 본고의 해석은 『회남자』가 고유한 이론적 특성을 지니고 있는 도가류의 문헌이라는 평가를 지지한다. There are some sentences supporting that xujing(虛靜), that implies emptness and tranquiltiy of heart, is the essential characteristic of human nature. These phrases cause some problems in coherent reading of the Huinanzi. First of all, in the principal literatures that influenced the Huinanzi, 虛靜 is not essential characteristic of human nature. Second, human nature can be interpreted as a capacity that can develop in any direction, but 虛靜 is closer to the soil that help the capacity to develop in the direction. Third, there must be a philosopher’s ideology in the theory of human nature, 虛靜 can not represent the ideology of Daoism. The following interpretation in this paper resolve these problems: 虛靜 is a soil that helps the capacitiy to develop to its direction, but it can be said that it is the character of a capacity itself as a actualization of Dao(道). The interpretation of this manuscript supports the assessment of Huainanzi as a literature of Daoism, which has unique theoretical characteristics of itself.

      • KCI등재

        『장자』를 통해 본 마음과 교육

        이성미 ( Seomg Mi Lee ) 한국교육철학학회 2014 교육철학연구 Vol.36 No.1

        본 논문은 심학적 교육 전통의 발굴과 현대적 재해석이라는 마음교육 연구과제의 하나로서 장자의 마음과 교육을 논한 것이다. ‘성심’과 ‘허정한 마음’은 장자가 이해한 마음의 두 차원을 함축적으로 표현한 개념이다. 이 가운데 ‘성심’은 물아의 분리로 만들어진 허구적인 ‘나(我)’의 마음으로, 주변세계를 자신의 제한된 경험과 지식으로 분별하고 소유와 지배의 대상으로 파악하는 마음을 가리킨다. ‘허정한 마음’은 ‘나’라는 허구적인 관념이 해체된 후(喪我), 우주의 일부로 전체 생명과 연결된 ‘참된 나(眞我)’의 마음으로, 부분과 분별, 그리고 소유의 지평에 머물러 있던 의식이 전체와 수용, 그리고 존재의 지평으로 확장된 정신경계를 의미한다. 교육이 성심에 근거하여 행해질 때 그것은 하나의 ‘유위’이다. 유위의 교육은 교육대상에게 일정한 틀을 강제하고, 그 틀 바깥을 모험할 용기를 빼앗음으로써 교육대상의 자기창조적 본성을 마멸시킨다. 반면 교육자의 허정한 마음은 교육대상의 존재를 있는 그대로 품으며, 감화를 통해 자연스러운 배움을 일으킨다. 장자는 이러한 교육을 ‘불언지교(不言之敎)’라 했다. 장자의 마음과 교육의 이해는, 교육자의 마음에 교육대상의 주체적이고 창조적인 삶의 가능성을 결정하는 힘이 있음을 보여준다. This dissertation aims to clarify Zhuangzi`s understanding about heart-mind (xin, 心) and education (敎) as an assignment of ‘maum (마음) education’ that tries to reinterpret heart-mind centered traditions of eastern education and to apply it in today`s educational arena. Zhuangzi employs the metaphor of a huge fish and a huge bird which is transformed from the fish in order to explain that there are two different stages of human`s heart-mind. Cheng-xin (成心) and empty and unruffled (xu-jing, 虛靜) heart-mind represent impliedly two different stages of heart-mind in Zhuangzi`s philosophy. Cheng-xin is xin of ``I(我)``, a fabricated idea of a individual who separates himself from the whole (tiandi, 天地). Cheng-xin of ``I`` stays at a horizon of having (所有) to gain recognition from others and furthermore it trys to dominate other people`s sprit by reproducing itself through others. Xu-xin is the heart-mind of the true self who returns to be a part of the whole after deconstructing the fabricated idea of ``I`` (sang-wo, 喪我). Intentional act (有爲) is a kind of way to make a relationship with the outside world with cheng-xin and teaching is called as an intentional act when it is derived from cheng-xin. Educators with xu-xin perceive children partially with his discriminative knowledge while educators with empty and unruffled heart-mind understand children or students in relation to the whole cosmos and embrace(懷) their children as they are. Therefore parents and teachers with xu-xin can accept and wait for children`s growth and change as an inevitability in the large flow of the great nature. Zhuangzi called the teaching through one`s empty and unruffled heart-mind as "wordless teaching (不言之敎)." Zhuangzi`s understanding about human heart-mind and education shows that the possibility to encourage children to create their own lives depands on educators` heart-mind which dictates the features of education.

      • KCI등재

        논문(論文) : 소식(蘇軾) 창작론 중 "허정(虛靜)"설 연구

        차영익 ( Young Ik Cha ) 고려대학교 중국학연구소 2010 中國學論叢 Vol.27 No.-

        虛靜說源出於道家哲學, 老庄認爲道的基本特征就在於虛和靜, 其時, 虛靜屬於人生哲學範疇.到了魏晉時代, 陸機和劉협首次自覺地把虛靜說運用到文學創作理論中。到了蘇軾, 他更積極地把空靜(虛靜)運用到文學創作的認識論中, 該文通過對蘇軾論空靜的硏究, 試圖探索他如何繼承和發展了虛靜說。

      • KCI등재

        노자의 자기의식과 판단

        황순우 범한철학회 2009 汎韓哲學 Vol.53 No.2

        Der Weg zum Xujing(虛靜) verlangt die absolute Anstrengung vom Subjekt fuer die Erkenntnis und Praxis. Diese absolute Anstrengung ist der Weg von Laotzu, der aus dem Begriff des Xujing zur Deduktion des Begriffs des Selbstbewusstseins hinleitet. Das Selbstbewusstsein bei ihm ist der Anfangspunkt zum Grund fuer die Selbsterkenntnis und Gegenstandserkenntnis und auch zum Grund fuer die Welt und das Sein. Das ‘Ich bin Xujing’ ist das urspruengliche Urteil des ‘Ich bin.’ Hier ist das Ich, welches mit keiner Seinlichkeit verbunden ist, nur das Urspruenliche. Ich bin nicht, sondern nur das reine und durchsichtige Denken, was sich selbst bewusst wird. Das ‘Ich bin’ fuer Laotzu ist identisch mit dem ‘Ich denke.’ Das Selbstbewusstsein, welches das ‘Ich denke’ ist, erkennt die Gegenstandswelt, die mit existentialer Begierde verbunden ist, und leistet zuggleich die Selbsterkenntnis. Der Weg zur Gegenstandserkenntnis und Selbsterkenntnis ist der urspruengliche Naturweg, in dem das Tao sich selbst bewegt. Fuer das Erkenntnissubjekt bedeutet der Weg den Weg zum ‘Nichtstun(無爲)’ fuer die Welt und das Sein ueberhaupt. ‘허를 극에 이르게 하고, 정을 독실히 지키는 것’은 인식과 실천 주체에게 절대적인 노력을 요구한다. 이 절대적인 노력은 허정 개념에서 근원적인 자기의식 개념을 연역해 내는 노자의 길이다. 노자의 자기의식은 자기인식과 대상인식의 근거이고 세계와 존재의 근거가 되는 철학의 시작점이다. ‘나는 허정이다’는 ‘나는 존재한다’는 근원적인 판단이다. 여기에서 ‘나’는 존재성이 전혀 없어서 ‘근원’적일 뿐이다. ‘나’는 존재하지 않고 자기를 스스로 의식하는 순수하고 투명한 사유인 것이다. 노자에게 ‘나는 존재한다’는 것은 ‘나는 생각한다’는 것과 같다. ‘나는 생각한다’는 자기의식은 존재적 욕구와 결합해 있는 대상 세계를 근원적으로 인식하면서 동시에 자기인식을 수행한다. 대상인식과 자기인식을 해나가는 길이 바로 도가 움직여 나가는 근원적인 자연의 길이다. 인식 주체에게 이 길은 세계와 존재를 위한 ‘무위’의 길을 의미한다.

      • KCI등재

        < 몽유도원도 >의 심미(審美)와 창신(創新)에 관한 도교 미학적 고찰

        권현희 ( Hyeon Hee Kwon ) 한국미학예술학회 2016 美學·藝術學硏究 Vol.47 No.-

        본 논문은 조선 초기 안견의 <몽유도원도>에 내재된 유가, 도가의 심미(審美)의식의 창신(暢神)에 의해 구도의 재창조와 동시에 무한 초월된 우주공간을 재현하여 공간개념에서 양식창신(創新)한 도가 미학적 관점을 고찰한다. <몽유도원도>는 도가 미학적 관점의 허와 무의 관념수용에 의해 유가의 삼원 관념의 해체와 탈피, 그리고 장자미학의 소요유에 의한 무한 초월된 우주공간의 확대에 의해 구도와 공간개념에서 양식 창신된 것이다. 현실과 이상세계, 도원입구, 도원의 네무더기의 경물들은 흩어져 마치 분리된 듯, 서로 시각적 조화와 이동 시점의 변화를 이루어 대각선 또는 사선구도와 한국적 심미특색이 있는 넓고 시원하게 확대된 공간개념을 강조한다. 이것은 <몽유도원도>가 장자의 심미 관념인 허정과 자연무위정신, 그리고 심재와 좌망을 통해 유의 자유로운 정신과 정신수양을 추구하였다는 사실을 드러낸다. 이것은 또한 도가 미학적 요소인 허와 실과 유와 무의 대비, 그리고 무한과 무궁개념이 구도와 공간개념의 재창조에도 결정적으로 기여한 것이라는 사실 역시 표출한 것이다. 본 연구는 <몽유도원도>가 도가의 이상과 유가의 현실이라는 대립적인 자연관을 배태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상호조화를 이루고 있다는 사실, 그리고 특히 도가적 무의 심미의식은 구도 뿐 아니라 공간개념의 확대에도 중요한 영향을 주었다는 사실을 고찰한다. <몽유도원도>는 도가적 심미 관점의 수용결과로서 첫째, 장자 미학의 핵심인 허정과 도의 산수 관념을 함축한다. 유가미학의 도덕적 규범으로서의 자연관을 바탕으로 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유가의 규범에서 벗어난 도가적 도의 체득과 정신수양이 강조된 것이다. 둘째, 노장의 은일과 와유사상, 특히 무위자연의 심미의식을 내포한다. 셋째, 장자미학의 심재와 좌망을 통한 유의 자유정신과 소요유의 정신적 자유의 심미의식과 무궁한 공간관념을 드러낸다. 이러한 요소들은 <몽유도원도>가 도가 미학적 요소의 커다란 영향 하에 완성된 작품이라는 사실의 예시가 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aesthetics based on the ideas of ‘ri’, ‘do’ and ‘eui’, which originated from the philosophies of Confucianism, Taoism, Buddhism and the Zen sect, influenced ‘jeonsin’ and ‘euigyeong’ aesthetics found in <Mongyu Dowondo> painted by Ahn Gyeon in the early Joseon period, and artistic backgrounds behind which the influencing factors were formed. < Mongyu Dowondo > has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jeonsin’ and ‘euigyeong’, respectively based on the idea of ‘ri’ from the circles of yuantihua in the North Song period and that of ‘eui’ from the circles of literary painting. In other words, the traditional landscape painting shows an aesthetic fusion of the ideas of ‘ri’ and ‘do’ from Confucianism, Taoism, Buddhism and the Zen sect. The Confucian idea of ‘ri’ was the starting point of the vision of nature that oriented unity between heaven, earth, nature and man. In the North Song Period, the vision of the universe or universal ontology from neo-Confucianism and the artistic spirit of ‘ri’ fused with each other, forming the aesthetics of ‘jeonsin’. The aesthetics of the Zen-sect, or that of ‘sim’ often implied in literary painting greatly contributed to the aesthetic spirit of ‘saeui’. This study first clarifies the Confucian visions of nature and the universe both of which made the biggest contribution to the aesthetics of < Mongyu Dowondo >. Next, the study considers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universal ontology from neo-Confucianism of the North Song period, Taoistic vision of nature in the South Song period and artistic spirits reflected in a later variation of that ontology. Furthermore, this study investigates ‘saeui’ aesthetics based on Kwak Hee``s ideas of ‘won’ and ‘ri’, which were the key to aesthetics dominant in the North Song period, and ‘saeui’ aesthetics of literary painting, to which the Zen sect of the Win period contributed. This study conducts a few analyses in the following. Noting that Confucian aesthetics created ethical ontology and the visions of nature and the universe, all of which were based on the idea of unity between heaven, earth, nature and man, and that universal ontology from neo-Confucianism since the period of North Song influenced the idea of enormous space, suggested by the Geobi school of the same period, and then landscape painting, above all, the study analyzes the visions of nature and the universe from Confucianism and neo-Confucianism. By the way, the vision of the universe was changed by the period of South Song when neo-Confucianism of North Song gave way to Taoistic aesthetics whose vision of nature and spirit of art, both of which were based on the idea of the above mentioned unity, removed the idea of enormous space. In addition, the study analyzes Taoism-based aesthetic characteristics and art spirits since contrasts between truth and falsehood and between existence and nonexistence, found in the vision of the universe, had lots of effects on the creation of paintings. Finally, this study investigates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jeonsin’ and ‘saeui’ since < Mongyu Dowondo > has aspects of ‘euigyeong’ aesthetics, associated with the aesthetic sense of ‘won’ as the key to North Song’s art theory-based aesthetics and has aspects of ‘saeui’ aesthetics in which the idea of ‘eui’ from the theory of literary painting, influenced by the Zen sect-based aesthetics of the Win period, reflected.

      • KCI등재

        조선여행사(1945~1949)의 활동을 통해 본 해방공간기 관광

        조성운 숭실사학회 2012 숭실사학 Vol.0 No.29

        본고는 해방 이후 우리나라 최초의 여행사라 일컬어지는 조선여행사에 대한 최초의 연구라는 점에서 연구사적 의의를 갖는다고 생각된다. 그리하여 지금까지 공백으로 남아있던 해방 이후 우리나라 관광사에 대해 본격적으로 연구할 수 있는 토대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조선여행사는 일본여행협회 조선지부를 해방 직후 조선인 직원들이 접수하여 설립한 것으로 해방 이후 우리나라 최초의 여행사라 일컬어진다. 설립 이후 조선여행사는 관광객 모집을 통한 관광 활동과 관광진흥을 위한 주변 활동을 통하여 신생 독립국인 대한민국을 세계에 알리고자 하였다. 그리고 1949년 재단법인으로 전환하면서 社名을 대한여행사로 변경하였다. 이 과정에서 대한여행사의 총재로 허정이 취임함으로써 대한여행사의 정부의 외곽조직으로서의 성격을 분명히 하였다. 조선여행사가 행한 관광객 모집 방식에 의한 관광활동의 주된 대상지는 주로 국내의 명산이나 명승지였으며, 그 목적은 고적탐방과 하이킹에 두고 있었다. 그리고 1949년에는 해방 이후 중단되었던 관광버스를 다시 운행함으로써 관광 대중화에 앞장서고 있음도 보여주었다. This paper has its historical meaning in the point that it is the first study of Chosun Travel Agency which is considered to be the first travel agency in our country. Therefore it will be the base for studying in earnest the history of travel industry for the period after liberation from Japanese colony, which has been left blank until now. Chosun Travel Agency was established by Korean’s reorganizing Chosun branch of Japanese Travel Institute and it is considered to be the first travel agency in our country. It tried to let Korea which was a new independent country to be known to the world through activity of traveling and additional activity to promote travel. And as it was converted to a foundation, it changed its name to Daehan Travel Agency. In this process, it established its position as one of extra governmental organization as Huh Jung was selected to be the president of Daehan Travel Agency. The places which Chosun Travel Agency chose for traveling were usually the famous mountains and scenic attractions and the purpose of travel was the visit to historical remains or hiking. Additionally it seems that Chosun Travel Agency led the popularization of travel by resuming the bus travel which had been paused since 1949.

      • KCI등재

        논문(論文) : 『문심조룡(文心雕龍)』 『신사(神思)』편(篇) 일고(一考)

        김성희 ( Sung Hee Kim ) 한국한문고전학회(구.성신한문학회) 2006 漢文古典硏究 Vol.12 No.-

        劉협은 『文心雕龍』에서 마음이 문학의 中樞가 된다는 것을 力說하였는데, 여기서는 기존의 학자들이 ``神思``라는 개념을 정의하는데 있어 현대적인 문학용어를 활용하여 意譯으로 풀이한 것이 그 정확한 槪念定義로 도출하기엔 미흡했다고 보고, 유협이 문장 속에서 언급한 용어를 살려서 해석하고자 하였다. 유협은 「神思」편에서 문학을 창작해가는 마음의 기능으로 다음의 몇가지 용어들을 쓰고 있다. ``神思`` · ``思理`` · ``文思`` · ``意象``등이다. 이러한 용어를 길지 않은 문장을 통하여 창작으로의 發端과 要諦를 전하고자 했다. 즉, 神思는 외부의 사물과 현상이 작가의 눈과 귀를 통해 정신에 축적되어진 心象인 意象이 작가의 마음인 精神에 축적되어지는 과정으로 볼 수 있다. 작가의 정신은 志와 氣라는 장치를 통해 制御되고, 이 志와 氣로 조절된 精神의 思理가 오묘하게 된 상태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가 되기 위해서는 志와 氣를 虛靜한 상태를 통하여 조절해야 하며, ``意象 · 思理 · 言語``의 세가지가 긴밀하게 작용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구조 속에서도 작가가 타고난 資質에 따라 나타나는 고충을 느리고 빠른 두 가지로 구분하는데, 어느 것이던 훌륭한 문장을 완성하는 작가가 되기 위해서는 폭넓은 학문연마와 함께 문학을 구성하는 도구인 언어사용의 수련을 말하였다. 그리고 유협은 神思된 心力인 文思力이 일관성을 잃지 않기 위해서는 ``至精``과 ``至變``을 體와 用으로 운용되야 함으로 보았다. 그렇지만 문장 밖에서 느쪄지는 깊은 맛은 이루 다 표현 할 수 없는 것임을 밝힘으로써, ``神思``는 그토록 신비로운 것임을 재차 밝히고 있다. While Yu Hyeop emphasized in Munsimjorong(文心雕龍) that the mind should be the hub of literature, this study aimed at making an analysis with emphasis on terms he mentioned in the sentences, judging that existing researchers` using contemporary literary terms to translate freely is insufficient in defining an accurate concept of Sinsa(神思). Yu Hyeop uses the following few terms as a function of the mind for literary creation in the Sinsa Part: Sinsa(神思), Sari(思理), Munsa(文思), and Uisang(意象). An attempt was made to present the origin and the key of creation through not long sentences containing these terms. That is, Sinsa can be seen as a process in which Uisang that is the image of external objects and phenomena accumulated in the spirit through the author`s eyes and ears is accumulated in the spirit as the author`s mind. This is the state in which Sari of the author`s mind controlled by the devices of Ji(志) and Gi(氣) became profound. To be in such a situation, Ji and Gi should be controlled by the serene state with Uisang(意象), Sari(思理), and Eoneo (言語 language) closely serving each other. Even in such a composition, predications appearing by the author`s natural gift were divided into slow and fast ones, both of which suggested practice of using language, which is an instrument to compose literature, as well as wide-ranging academic training to be an author who can complete a good sentence. Yu Hyeop suggests that Jijeong(至精) and Jibyeon(至變) should be operated as Che(體) and Yong(用) for the literary idea, which is the idea of Sinsa, not to be inconsistent. But by indicating that the profoundness felt outside a sentence is beyond all description, he reconfirms that Sinsa is such a mysterious thing.

      • KCI등재

        노자의 ‘무위지치’ 연구

        정기원(Chung, Gi-Won)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5 인문과학연구 Vol.0 No.47

        대체로 정치사상은 당시 시대가 안고 있는 문제점의 제시와 그 해결에 관한 내용을 담고 있다. 이것은 소위 춘추전국시대라고 불리는 동주시대의 제자백가 사상들에서도 마찬가지다. 『노자』에는 정치에 관한 언설이 매우 많다. 그래서 비록 극단적 표현이긴 하지만 혹자는 노자사상을 정치사상으로 규정하기도 한다. 물론 그의 정치사상은 타 제자백가와 현저하게 달리 비움과 유약을 강조하긴 했지만, 그 역시 위정자에게 혼란한 사회를 질서 있고 평화로운 사회로 회복시켜 달라는 강한 주문을 하고 있기 때문이다. 노자는 가장 이상적 통치를 무위지치(無爲之治)로 표현하고 그것을 실현하는 사람을 성인(聖人)으로 표현하였다. 그는 무위지치를 실현하는 방법으로 통치자의 청정염담(淸靜恬淡) 무위자연 불감위천하선(不敢爲天下先) 등을 제시하고 있다. 청정염담은 마음이 맑고 고요하며 물욕을 갖지 말라는 뜻이고 무위자연은 인위적 제도를 줄이자는 것이며 불감위천하선은 공을 이루더라도 공치사에 빠지지 않기를 바라는 것이다. 이를 통해 도달한 위정자에게 노자는 성인이라는 호칭을 부여한다. 그러므로 그의 정치사상은 번잡한 제도와 법령을 만들어 그것에 의해 통치하는 타 제자백가와는 분명히 차이가 난다. 성인은 무위지치를 실현하는 사람이다. 성인은 ‘도(道)’를 가슴에 품고 도에 따라 순리대로 세상을 돌아가게 하여 국가의 평화로운 상태와 백성들의 평온을 유지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무위지치에 이르는 방법이 ‘허정(虛靜)’과 ‘지족(知足)’이다. 지족(知足)은 만족함을 알아서 멈추는 것이다. 세상의 이기(利器)를 쫓지 않고 순박하게 살아가는 것이다. 그러므로 무위지치는 허정과 지족을 통해서 마음을 비우고 백성들과 함께 순박하게 살아가는 정치철학의 요체(要諦)라고 할 수 있다. In general, political ideas are supposed to contain problems of the era and solutions for them as well. This also applies to the ideas of ‘philosophers of all classes’ who belong to ‘the warring states period’. As one of the representative philosophers of this era, Laotzu developed Taoism that is considered as a political philosophy by reasons of containing a lot of political remarks in it. Laotzu’s political philosophy is very different from the others: In that he puts an emphasis on emptying one’s mind and being flexible, but similarities coexist across all philosophies by asking politicians to rectify unstable society and establish public order. According to Laotzu, an ideal governance is the rule by Wu-wei in which he defines a saint as a person who fulfills an ideal virtue, while suggesting reinfrastructure of Wu-wei by keeping a state of being calm and peaceful without desire, being satisfied in mother nature by eliminating artificial restrictions, and doing many deeds far away from fake compliments. Laotzu defines a man of these qualities as a holy man, thereby distinguishing his political philosophy from those of ‘all other classes of philosophers’ which insist that people should be ruled by complicated regulations and laws. In Laotzu‘s opinion, a saint is a man who realizes Wu-wei and thereby can run a nation in order, while helping people maintain peace of mind according to his philosophy. To realize the rules of Wu-wei, one needs to empty one’s mind and to know self-satisfaction. To sum up, Wu-wei, the essence of Laotzu’s philosophy, is to empty one’s mind and peacefully live along with his/her people.

      • KCI등재

        명청사학회창립이십주년기념특집호 : 논문 ; 등활거의 묘명진심과 이왕학 비판

        이경룡 ( Lee Gyeong Lyong ) 명청사학회 2003 명청사연구 Vol.19 No.1

        鄧豁渠, 據自述學悟歷程而言, 自從嘉站己亥年(1539)拜師得聞`天機自運, 不假造作` 之良知學以來, 入靑城山參紳十年, 戊申年(1548)再入鷄足山, 落發出家, 解悟`人情事變外有個이議不得妙理`, 癸丑年(1553)偕王 (1511∼1587)入天池山, 禮訪曾聞獨知於王陰明的月泉禪師(1492∼1563), 聞得第二機卽是第一機之敎悔而養發, 丙申年(1556)在廣西省八八영, 定中悟見 `淸淨寶光`, 此後留住澧州八年講學, 甲子年(1564)移居黃安, 次年在耿定理家悟入`淸淨湛澈`之大光明藏. 他如此用淸淨無爲工夫來放下一切, 體悟湛然常寂, 恒河沙妙用之妙明眞心, 將此, 見性光景描述爲, `火里生蓮`, 又將淸淨寶光認爲無生法忍之智光, 時時提示以神光獨耀, 元明, 眞心妙明, 以及超然獨存玄妙之理. 他據見性宗旨來判敎, 小乘敎是專去煩惱, 垢盡理明, 大乘敎是煩惱卽是菩提, 事理混融, 上乘敎是 只主見性, 煩惱菩提俱皆分外, 亦卽視專透性命玄元之一窮. 他不僅貶斥小乘敎所謂事情好與不好上干之事上磨煉工夫, 又排斥大乘敎透徹神明, 只與造化同運幷行之神機工夫, 問難其不得超出天地造化管攝`之限, 二敎皆有`拖泥帶水`之病.他所示一切放下, 幷不是落空, 便是煩惱菩提俱皆分外之虛靜淨工夫, 只要放下一切, 則可頓入圓滿之妙明眞心, 上乘敎之天機自不容已, 被描寫`火燃泉達`, 據此來看, 最上乘敎乃是雙서遮雙照有無善惡之圓頓敎, 亦卽是妙有宗. 他先據佛敎世界觀來貶視儒道二敎之天地觀, 二敎所認天地, 只不過是大海中浮謳之一, 亦是五行造化之管攝播弄, 從而儒敎所重視之萬物一體, 只能與天地造化同運竝行, 位育功化, 不能超出天地造化之外, 終不得作天地造化外之自由人 ; 道敎, 尤其是全眞敎, 縱煉精氣神作長生不死之金仙, 亦只是與天地開闔共生同滅而已. 又, 二敎之窮神知化, 亦只是透徹神機, 不是天地外之天機. 他批評宋明心學之錯午, 先引據陳獻璋批評程明道〈定性書〉之誤解, 指出說, 性旣是常寂常照而常定, 不能談性之動靜, 性又是本體, 不得談有無, 更不得談加定之之功, 程明道如此錯誤, 都是誤認識神爲性之所致. 他又批評說, 陰明良知, 只是神明之覺而已,乃是神機, 不得超出天地五行造化管攝之外, 終不得解脫生死輪回, 只屬於大乘敎, 不是上乘敎. 他又批評王艮格物只是權乘, 亦卽是說, 王艮爲接引日用不知之百姓而敎儒家俗之德目, 此一民開講學, 簡直是事上磨煉之格物, 亦卽是拖泥帶水之方便敎而已, 遠離淸淨無爲工夫. 當時, 無論程朱學者崔銑, 甘泉學派唐樞, 呂懷, 或者陽明學者蔣信, 都談論,`神理`, 而鄧豁渠交談唐樞如蔣信, 貶視神機不如天機, 乃是政破此時學界所談神理之限.鄧豁渠如此批評陽明良知湛若水隨處體認天理之神機限界, 以及王艮格物方便敎. 據鄧豁渠先已隔聽聞越貞吉致知之談, 主張他是越貞吉之門人, 强要歸之於泰州學派, 又泰州學派涉入佛敎, 自越貞吉開始, 鄧氏歸佛亦是越氏所致, 黃宗義《明儒學案》亦尊從此說. 不過, 今據越氏言論, 鄧豁渠分明是受學於越氏, 其實, 他所學良知, 乃是越氏所傳徐월`天聰明`之旨, 從而可歸屬於泰州學派. 鄧豁渠自從聞良知敎開始懷疑其界限, 終於落發出家作禪僧, 悟入妙明眞心之大光明藏, 公開批評湛若水, 王守仁和王艮三人學術之誤解, 如此看來, 他不能完全同意陽明學派和泰州學派之宗旨. 目前有關鄧豁渠之生卒年度, 據《男詢錄》和李卓吾, 耿定向二人之言, 可推定爲1498年生, 1569年以後死. 他晩年脫規行爲, 雖然受到當時學界之嚴려責難, 被批評爲陽明學之末流, 又因一切放下工夫被認爲是空宗, 不過, 他所悟入之妙明眞心, 不是空宗, 便是妙有宗. 他的確突破湛王二學之限, 指出說:陽明良知是覺神明之神機, 王艮格物是權乘, 儒家萬物一體只是與天地造化幷運而已, 都不得超出天地浮구之外, 解脫生死輪回. 他又貶視神機不如天機, 亦是當時學界廣談神理之限. 他如此評論, 都可說是明末學界的成果.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