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소식(蘇軾)의 『동파역전(東坡易傳)』에 나타난 괘효구조(卦爻構造)를 바라보는 제물론적 인식

        차영익(CHA Young-ik) 한림대학교 태동고전연구소 2021 泰東古典硏究 Vol.46 No.-

        본 논문은 소식(蘇軾)의 『주역(周易)』을 바라보는 독특한 시각이라고 할 수 있는 제물론(齊物論)적 관점에서 『동파역전(東坡易傳)』에 나타난 괘효구조(卦爻構造)를 해명하되, 왕필(王弼)과 정이(程頤)의 역학해석과 비교를 통하여 그 특징을 밝힌 것이다. 소식은 평생 『장자』의 영향을 깊이 받았다. 특히 「제물론」의 ‘이도관지(以道觀之)’의 관점으로 현실문제를 바라보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소식은 『주역』의 괘와 효의 관계도 이런 「제물론」의 ‘이도관지’의 관점에 따라 해석한다. 이것은 일종의 구조적(構造的) 관점이라고 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괘합효별(卦合爻別)’설이라고 할 수 있다. 부분적인 효의 관점에서 바라보면 어떤 사태에 대해 적당하게 대처하지 못하지만, 전체적인 괘의 관점에서 바라보면, 사태를 적당하게 대처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는 곧 전체와 부분의 관계를 말하며, 의식적인 감각기관과 사려기관의 작용을 멈추고 무의식적인 정신의 작용으로 현상을 바라보라는 『장자』의 제물론적 시각과 일치한다. 소식은 왕필(王弼)이 괘효구조를 설명하는 방식을 창의적으로 계승하여 재해석한다. 그것은 그의 폄적이라는 개인적 상황과 밀접한 연관이 있다. This paper analyzes Sushi s unique view in interpreting the Zhouyi. Sushi was deeply influenced by the thoughts of Zhuangzi throughout his life. In particular, he has the characteristic of looking at real problems from the perspective of “look at things from the standpoint of ‘Tao’”(以道觀之) of discussion on making all things equal(齊物論). Sushi also interpret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exagrams and lines based on the perspective of discussion on making all things equalin in DongpoYizhuan(東坡易傳). This is what it s called “The theory of understanding the entire hexagram comprehensively and interpreting the lines specifically”(卦合爻別說). This is a kind of structural perspective. From the perspective of the partial lines, we can t deal with certain situations properly, but From the perspective of the entire hexagram, the situation can be dealt with appropriately. This i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whole and the part, it can be said that it is consistent with “look at things from the standpoint of ‘Tao’” of discussion on making all things equal, which stop the work of the sensory and thought organs - consciousness, look at the status quo through the work of shen(spirit) - unconsciousness.

      • KCI등재

        논문(論文) : 소식(蘇軾) 창작론 중 "허정(虛靜)"설 연구

        차영익 ( Young Ik Cha ) 고려대학교 중국학연구소 2010 中國學論叢 Vol.27 No.-

        虛靜說源出於道家哲學, 老庄認爲道的基本特征就在於虛和靜, 其時, 虛靜屬於人生哲學範疇.到了魏晉時代, 陸機和劉협首次自覺地把虛靜說運用到文學創作理論中。到了蘇軾, 他更積極地把空靜(虛靜)運用到文學創作的認識論中, 該文通過對蘇軾論空靜的硏究, 試圖探索他如何繼承和發展了虛靜說。

      • KCI등재

        논문(論文) : 고려대 소장본≪속진문충공문장정종(續眞文忠公文章正宗)≫문헌에 관한 일고찰(一考察)

        차영익 ( Young Ik Cha ) 고려대학교 중국학연구소 2011 中國學論叢 Vol.31 No.-

        高麗大學校圖書館所藏本≪續眞文忠公文章正宗≫是在朝鮮明宗11年(1556)刊行的詩文選集。原來≪文章正宗≫是南宋時代眞德修編輯過,到了明朝,鄭柏是效法≪文章正宗≫的體式編輯元明代文人詩文的,這就是≪續眞文忠公文章正宗≫。本論文考察高麗大學校圖書館所藏本≪續眞文忠公文章正宗≫的意味和價値。

      • KCI등재

        소식의 『동파역전』에 나타난 성정론에 대한 정감론적 분석

        엄연석(Eom, Yeon Seok),차영익(Cha, Young Ik) 인제대학교 인간환경미래연구원 2019 인간 · 환경 · 미래 Vol.- No.22

        본 논문은 이모우티비즘 윤리설과의 비교철학적 관점에서 동파東坡 소식蘇軾 1036~1101의 정감론을 검토하여 이를 기반으로 『동파역전』의 괘효사 해석에 나타난 특성을 고찰하려는 목적으로 작성되었다. 논문에서는 현대 이모우티비즘 윤리설의 관점과 비교하여 동파가 주역을 주석하면서 적용한 ‘정감’ 또는 ‘인정’이 귀납적 특성을 가지고 있음을 중점적으로 해명하고자 하였다. 동파는 성정 개념을 『주역』의 괘와 효에 대응시켜 성性은 괘卦가 되고, 정情은 효爻가 된다고 보았다. 그는 성과 정의 관계를 선험적 선善의 원리로서 성으로부터 정이 필연적으로 연역되는 것이 아니라, 개별적인 특수성을 가지는 경험적인 정情이 귀납적으로 일반화된 총합을 성性이라고 보았다. 이모우티비즘과 비교할 때, 동파가 말하는 성정性情 개념 또한 선험적인 도덕적 본질의 의미를 가지는 것이 아니라, 자연적으로 타고난 경험적 특성을 의미하는 만큼 이로부터 보편적인 도덕판단이 도출될 수 없다. 동파가 괘효사에 대한 해설에서 제시한 ‘정감情’이 윤리적 판단의 선험적 근거가 될 수 없다는 점에서 이모우티비즘에서 언급하는 정의情意 또는 감정과 유사한 의미를 갖는다. 그러나 동파는 인정人情을 인의仁義 또는 정도正道와 같은 도덕적 지향을 가진 것으로서 연속성을 가지는 것으로 해석하기도 하였다. 이점에서 동파의 성정에 관한 언급은 경험적 정의와 윤리적 명제의 연속성을 부정하는 이모우티비즘의 한계를 수정하여 그 연속성을 말하고자 했던 스티븐슨의 입장에 접근한다. This essay has a purpose to intend to investigate Su Shi"s theory of human dispositions and the explanatory characteristic about sentence of hexagram and lines in the Dongpo"s Commentary of Book of Change in point of view compared with the theory of emotivism. In the thesis writer is able to illuminate preponderantly that while emphasizing the emotion, his thought of the I Ching has the inductive characteristic in point of view of contemporary emotivism. In other words this writing includes emblemo-numerology and moral-principle science of I Ching developed into the history of thought of the I Ching and tried to analyse the meaning which Su Shi"s Yi Xue involved in a viewpoint of theory of mind and human nature in the criteria of emotion concept. Dongpo matches human[性] nature and emotion[情] with hexagram and lines and regarded human nature as hexagram, emotion as lines. He considered relationship human nature with emotion from the point of view that emotion is not necessarily deduced from human nature as a priori principles of good, rather human nature is total of empirical emotions being generalized inductively. In comparison with emotivism, because the conceot of Dongpo"s human nature and emotion has not meaning as a priori essence of morality, but has empirical characteristic being endowed naturally, one cannot derive an universal moral judgment from it. In that feeling emotion which Dongpo suggested in the explanation on the sentence of hexagram and lines cannot be a priori foundation of ethical judgement, it has a meaning parallel to emotion of emotivism. But on the other hand Dongpo viewed human feelings such as benevolence and righteousness[仁義] or rightway as having moral orientations. In this point, Dongpo"s statement of human nature and emotion is approximate to assertion of C.L. Stevenson, which intended to assert continuity between empirical emotion and ethical judgement by modifying limitation of emotivism. 본 논문은 이모우티비즘 윤리설과의 비교철학적 관점에서 동파東坡 소식蘇軾 1036~1101의 정감론을 검토하여 이를 기반으로 『동파역전』의 괘효사 해석에 나타난 특성을 고찰하려는 목적으로 작성되었다. 논문에서는 현대 이모우티비즘 윤리설의 관점과 비교하여 동파가 주역을 주석하면서 적용한 ‘정감’ 또는 ‘인정’이 귀납적 특성을 가지고 있음을 중점적으로 해명하고자 하였다. 동파는 성정 개념을 『주역』의 괘와 효에 대응시켜 성性은 괘卦가 되고, 정情은 효爻가 된다고 보았다. 그는 성과 정의 관계를 선험적 선善의 원리로서 성으로부터 정이 필연적으로 연역되는 것이 아니라, 개별적인 특수성을 가지는 경험적인 정情이 귀납적으로 일반화된 총합을 성性이라고 보았다. 이모우티비즘과 비교할 때, 동파가 말하는 성정性情 개념 또한 선험적인 도덕적 본질의 의미를 가지는 것이 아니라, 자연적으로 타고난 경험적 특성을 의미하는 만큼 이로부터 보편적인 도덕판단이 도출될 수 없다. 동파가 괘효사에 대한 해설에서 제시한 ‘정감情’이 윤리적 판단의 선험적 근거가 될 수 없다는 점에서 이모우티비즘에서 언급하는 정의情意 또는 감정과 유사한 의미를 갖는다. 그러나 동파는 인정人情을 인의仁義 또는 정도正道와 같은 도덕적 지향을 가진 것으로서 연속성을 가지는 것으로 해석하기도 하였다. 이점에서 동파의 성정에 관한 언급은 경험적 정의와 윤리적 명제의 연속성을 부정하는 이모우티비즘의 한계를 수정하여 그 연속성을 말하고자 했던 스티븐슨의 입장에 접근한다. This essay has a purpose to intend to investigate Su Shi"s theory of human dispositions and the explanatory characteristic about sentence of hexagram and lines in the Dongpo"s Commentary of Book of Change in point of view compared with the theory of emotivism. In the thesis writer is able to illuminate preponderantly that while emphasizing the emotion, his thought of the I Ching has the inductive characteristic in point of view of contemporary emotivism. In other words this writing includes emblemo-numerology and moral-principle science of I Ching developed into the history of thought of the I Ching and tried to analyse the meaning which Su Shi"s Yi Xue involved in a viewpoint of theory of mind and human nature in the criteria of emotion concept. Dongpo matches human[性] nature and emotion[情] with hexagram and lines and regarded human nature as hexagram, emotion as lines. He considered relationship human nature with emotion from the point of view that emotion is not necessarily deduced from human nature as a priori principles of good, rather human nature is total of empirical emotions being generalized inductively. In comparison with emotivism, because the conceot of Dongpo"s human nature and emotion has not meaning as a priori essence of morality, but has empirical characteristic being endowed naturally, one cannot derive an universal moral judgment from it. In that feeling emotion which Dongpo suggested in the explanation on the sentence of hexagram and lines cannot be a priori foundation of ethical judgement, it has a meaning parallel to emotion of emotivism. But on the other hand Dongpo viewed human feelings such as benevolence and righteousness[仁義] or rightway as having moral orientations. In this point, Dongpo"s statement of human nature and emotion is approximate to assertion of C.L. Stevenson, which intended to assert continuity between empirical emotion and ethical judgement by modifying limitation of emotivism.

      • KCI등재

        《中朝學士書翰錄》의 脫草 原文 및 校釋

        강찬수(Kang, Chan-soo),김희경(Kim, Hee-kyoung),차영익(Cha, Young-ik) 원광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6 열린정신 인문학연구 Vol.17 No.2

        고려대학교 도서관 한적실에 소장되어 있는 《중조학사서한록》은 1858년 동지부사 자격으로 연행한 바 있는 소정 김영작이 귀국을 전후하여 청나라 문인인 정공수, 진한, 이함, 옹학함, 장병염, 이문원 등 6명의 청나라 문인들로부터 받은 14편의 친필서한과 그의 아들 도원 김홍집이 1892년에 조정황에게서 받은 1편의 친필서한을 모아놓은 척독자료이자, 19세기 한중 양국 문인들의 시문 교류 상황을 연구하는 데 있어 중요한 의미를 지닌 역사자료이다. 원문 전체에 대해 초보적으로 진행한 탈초와 교석, 한중 양국 문헌의 비교 작업을 통해 《중조학사서한록》15편의 서한 내용 중에서 현전하는 연행록 및 이들의 문집자료에 미 수록된 내용들이 발견됨으로써, 김영작 부자와 청나라 문인들의 관련 사적에 대해 새롭게 검토하고 김영작 부자의 문집에 미 수록된 내용들을 보완할 수 있게 되었다. 이 외에도 본 척독자료는 19세기 한중 양국 문인들이 담론한 사학관념, 심리 변화, 문헌 교류 및 상호 문화 등에 관한 교류 정황 및 의의에 대해 검토할 수 있는 생생한 내용들이 담겨 있는데, 이에 본고에서는 그 원문과 각주, 현대어 번역문을 차례로 정리하여 학계에 소개하고자 한다. Jungjo Hagsa Seohanlog(《中朝學士書翰錄》), recently found in the rare books collection of Korea Univ. library, is a collection of cursive letters and poems that six Qing Dynasty"s scholars--Cheng Gongshou (程恭壽), Chen Han(陳翰), Li Xian(李銜), Weng Xuehan(翁學涵), Zhang Bingyan(張丙炎), Li Wenyuan(李文源) sent to two Choson Dynasty"s scholars, Kim Yongchak(金永爵), and Kim Hongchip(金弘集), in the late 19<SUP>th</SUP> century. Testifying to the various cultural exchanges between two cultures and nations, it is an invaluable historical material for the study of the responding poems by the scholars of two different regions. Through a preliminary decoding of these letters and poems collected in Jungjo Hagsa Seohanlog, an inquiry about the consensus among scholars about some of its ambiguous sentences, and a comparative study of relevant historical documents as background information, I investigate the undiscovered contents of “Yeonhaengnok”(燕行錄), and some of lost listings in poem anthologies of the period. By doing so, I hope to facilitate a further study that can discover and make up the missing contents of Kim Yongchak’s anthology and several unexplored, hidden stories of these Qing Dynasty’s scholars. Finally, this paper wishes to provide the research materials on the actual modes of intercultural communication that reveals different historical perspectives, and the mutual exchanges on both cultural and literary levels. A meaningful study in this field will ultimately expand the horizon of an intercultural study of comparison between Korea and China in the late 19<SUP>th</SUP> centu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