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孟子』 ‘不得於言, 勿求於心, 不得於心, 勿求於氣’에 대한 莊子적 해석

        정우진 ( Jung¸ Woojin ) 동양철학연구회 2021 東洋哲學硏究 Vol.107 No.-

        『孟子』 「「公孫丑上」에는 ‘不得於言, 勿求於心, 不得於心, 勿求於氣’라는 고자의 말이 인용되어 있다. 이 글에 대한 전통적 해석은 통일되어 있지 않다. 현대 철학자인 니비슨은 이 구절을 부동심의 맥락에서 해석했고, 『莊子』 「人間世」편의 유사한 구절도 같은 맥락에서 진술된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나 『莊子』의 해당 구절은 인지적 맥락에서 진술되었음이 비교적 분명하다. 맹자와 장자는 동시대에 활동했던 철학자이고, 두 사람이 인용한 진술도 본질적으로 유사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두 철학자는 각기 다른 맥락을 전제하고 있다. 본고에서는 『장자』의 유사한 글이 부동심이 아닌 인지적 맥락에서 진술된 것임을 밝히고, 인지적 맥락에서 『맹자』의 글을 해석할 수 있음을 논증했다. 『맹자』의 글을 인지적 맥락에서 해석함으로써, 맹자 철학에 잠복해있던 인지적 측면에 관한 논의를 발굴하고, 전국시기의 철학을 인지의 지평에서 조망할 수 있을 것이다. In the First Chapter of Gongsunchou of Mengzi, Gaozi’s words are cited: 不 得於言, 勿求於心, 不得於心, 勿求於氣. Traditional interpretations of this passages are different. The modern philosopher Nibison interpreted this passages in the context of stability of mind, and claimed that similar passages in the chapter of In the World of Men of Zhuangzi were also stated in the same context. However, it is relatively clear that Zhuangzi's passages are stated in a cognitive context. Mencius and Zhuangzi were contemporary philosophers, and the statements they quoted are essentially similar. Nevertheless, the two philosophers presuppose different contexts. In this paper, it was revealed that Zhuangzi's similar passages were stated in a cognitive context rather than stability of mind, and demonstrated that Mencius could be interpreted in a cognitive context. By interpreting Mencius's passgaes in a cognitive context, it will be possible to discover discussions about the cognitive aspects that have not yet been revealed in Mengzi and to look at the philosophy of the Warring States period from the cognitive horizon.

      • KCI등재

        장자의 물화에 대한 해석

        정우진 ( Jung¸ Woojin ) 한국공자학회 2021 공자학 Vol.45 No.-

        철학적으로 매우 미묘한 주제를 다루는 「제물론齊物論」은, 『장자』를 대표한다고 할 수 있다. 「제물론」제일 뒤에 있는 호접지몽 우화에는 깨달음과 변화라는 중요한 철학적 논제가 포함되어 있다. 세계가 구성된 것임을 깨달아야 한다는 것이 호접지몽 우화의 중요한 가르침 중 하나다. 장자는 호접지몽 우화의 물화物化라는 표현을 통해 변화와 세계에 대한 자신의 관점을 밝히고 있다. 물화는 제물이라는 장자철학의 이념과 상통해야 할 것인데, 물화라는 표현 직전에 나오는 분分자 때문에 해석에 어려움이 있다. 분은 제물과 양립하기 어려워 보이기 때문이다. 본고에서는 물화가 생성적 세계관을 나타내는 개념이라고 해석함으로 써, 분과 제물을 양립시킬 수 있는 해석을 제안한다. Zhuangzi's second chapter, Qiwulun 齊物論, deals with some of the most philosophical and subtle subjects in Zhuangzi. The Butterfly's Dream Fable at the very back of Qiwulun can be said to be a fable that represents the entire Zhuangzi philosophy. The Butterfly's Dream Fable contains important themes of enlightenment and change. One of the important teachings of the Butterfly's Dream Fable is that we must realize that the world is not objectively real, but is unconsciously constructed by ourselves. Zhuangzi reveals his worldview through the expression Wuhua 物化 in the parable of the butterfly's dream. Wuhua should be consistent with the ideology of the Zhuangzi philosophy of qiwu 齊物, but it causes difficulties in interpretation because of the 'fen 分' character immediately before the expression wuhua. Because fen is not compatible with qiwu. In this paper, by interpreting wuhua as a concept representing emergent generative theory, an interpretation that can reconcile fen and qiwu is proposed.

      • KCI등재

        네트워크 분석과 동적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국내 인공지능 분야 연구동향 분석

        정우진,오찬희,주영준,Jung, Woojin,Oh, Chanhee,Zhu, Yongjun 한국문헌정보학회 2021 한국문헌정보학회지 Vol.55 No.4

        In this study, we aimed to understand research trends of domestic artificial intelligence research. To achieve the goal, we applied network analysis and dynamic topic modeling to domestic research papers on artificial intelligence. Among the papers that have been indexed in KCI (Korean Journal of Citation Index) by 2020, metadata and abstracts of 2,552 papers where the titles or indexed keywords include 'artificial intelligence' both in Korean and English were collected. Keyword, affiliation, subject field, and abstract were extracted and preprocessed for further analyses. We identified main keywords in the field by analyzing keyword co-occurrence networks as well as the degree and characteristics of research collaboration between domestic and foreign institutions and between industry and university by analyzing institutional collaboration networks. Dynamic topic modeling was performed on 1845 abstracts written in Korean, and 13 topics were obtained from the labeling process. This study broadens the understanding of domestic artificial intelligence research by identifying research trends through dynamic topic modeling from abstracts as well as the degree and characteristics of research collaboration through institutional collaboration networks from author affiliation information. In addi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by governmental institutions for making policies in accordance with artificial intelligence era. 본 연구는 국내 인공지능 분야 연구동향을 파악하기 위해 국내 학술지에 발표된 인공지능 분야 논문들을 대상으로 네트워크 분석 및 동적 토픽 모델링 분석을 진행하였다. 2020년까지 KCI(한국학술지인용색인)에 등록된 논문 중 '인공지능'과 'artificial intelligence' 두 개의 키워드 중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이 논문 제목 또는 색인 키워드에 포함한 2,552개 논문들의 메타데이터 및 초록을 수집하였다. 키워드, 소속기관, 주제 분야, 초록의 추출 및 전처리 작업을 진행하였고 키워드를 활용한 키워드 동시 출현 네트워크 구축 및 분석으로 국내 인공지능 분야의 주요 키워드를 확인하였으며, 소속기관 정보를 활용한 기관 협력 네트워크를 통해 국내외 산학기관들의 협력 정 도 및 특징을 파악하였다. 또한 연구 대상 논문들 중 한글로 작성된 1845개의 초록 들을 대상으로 동적 토픽 모델링을 진행하였으며, 주제어들을 토대로 13개의 주제를 레이블링하였다. 레이블링 된 13개의 주제를 통해 국내 인공지능 연구 분야의 시기별 주제 동향을 파악하였다. 본 연구는 기존의 선행연구들에서 시도하지 않은 저자 소속기관 등을 활용한 기관 협력 네트워크 및 초록을 활용한 동적 토픽 모델링을 통해 국내 인공지능 분야 연구동향 파악의 시야를 확장하는 것으로 학술적 의의를 지닌다. 또한, 본 연구의 결과가 인공지능 시대에 부합하는 국가 정책 수립 기여라는 실질적 함의를 시사한다.

      • KCI등재

        객체 인식 모델을 활용한 적재 불량 화물차 탐지 시스템

        정우진,박진욱,박용주,Jung, Woojin,Park, Jinuk,Park, Yongju 한국정보통신학회 2022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26 No.12

        Recently, the increasing number of overloaded vehicles on the road poses a risk to traffic safety, such as falling objects, road damage, and chain collisions due to the abnormal weight distribution, and can cause great damage once an accident occurs. therefore we propose to build an object detection-based AI model to identify overloaded vehicles that cause such social problems. In addition, we present a simple yet effective method to construct an object detection model for the large-scale vehicle images. In particular, we utilize the large-scale of vehicle image sets provided by open AI-Hub, which include the overloaded vehicles. We inspected the specific features of sizes of vehicles and types of image sources, and pre-processed these images to train a deep learning-based object detection model. Also, we propose an integrated system for tracking the detected vehicles. Finally, we demonstrated that the detection performance of the overloaded vehicle was improved by about 23% compared to the one using raw data.

      • KCI우수등재

        수행자로서의 연단술사

        정우진(Woojin Jung) 한국철학회 2014 철학 Vol.0 No.121

        연단술은 황홀과 절망의 극단 속에서 꽃피운 전근대 동양문화다. 연단술 연구는 크게 종교적인 것과 역사적인 것의 둘로 나눌 수 있다. 본고의 관심은 수양론에 있다. 연단의 조제과정에 수반되는 의례에서 종교적 수행론을 읽어내는 연구가 있었다. 이용주는 연단술 의례의 의미를 엘리아데의 관점에서 포착했다. 의례에 기반한 논의로는 연단술을 수양론이라고 부를 수 있을 뿐이다. 본고의 목적은 연단술의 도가수양론적 특성을 확인하는 데 있다. 연단술을 도가수양론이라고 규정하기 위해서는 도가수양론의 원형적 특성을 연단술이 공유한다는 점을 드러내야 한다. 본고에서는 연단술과 도가수양론사이의 공통점을 확인했다. 도가수양론의 원형은 마음을 허정하게 함으로써 정신을 깃들게 하는 것이다. 『참동계』 연단술에는 이런 도가수양론의 원형이 들어 있다. 천지의 모양을 본뜬 솥은 동시에 마음을 상징한다. 솥 안에서 만들어지는 단은 천지의 교감을 통해 만들어지는 정(신)이자 도가수양론의 목적인 정신이다. 정신을 신체 밖의 마음에서 만들어낸다는 점에서 연단술은 외화된 물리적 도가수양론이라고 할 수 있다. Chinese alchemy is a product of east asian scientific culture. The modern studies about Chinese alchemy can be divided into religious and historical studies. The concern of this study is self-cultivation. Then, this study can belong to the religious study. The previous studies which has been performed in modern Korea contain the research that interpreted Chinese alchemy as religious, based on the rituals performed during manufacturing elixir. This approach shows that Chinese manufacturing alchemy process can be interpreted as a self-cultivation process, but can not present the character of Taoism. This study investigated the structural similarity between Taoism self-cultivation and Chinese alchemy, based on Zhoyicantongxie and original Taoism classics such as Guanzi, Zhuangzi, Huainanzi. The object of original self-cultivation of Taoism is to lodge numinous essence in the heart by emptying out emotions, excessive thoughts and so on. Chinese alchemy has same structure. The reaction vessel modeling universe also symbolize heart, a lodging of numinous essence. The elixir manufactured in reaction vessel symbolizes the numinous essence that lodge at heart in Taoism self-cultivation. The numinous essence, that is, elixir is made outside of the body. So we can call Chinese alchemy as externalized and physical Taoism self-cultivation.

      • KCI우수등재

        楊朱사상의 연구

        정우진(Woojin Jung) 한국철학회 2017 철학 Vol.0 No.131

        『도덕경』은 살아남음 그 자체를 중시했음에 반해, 양주학파는 자득하는 삶을 꿈꾸었다. 『장자』와 양주학파는 모두 자득하는 삶을 제안했으나 강조점이 달랐다. 양주는 『장자』와 가깝고 『도덕경』과는 멀다. 『도덕경』이 도가적처세와 ‘主術’의 문헌이고 장자가 도가적 세계관을 기술한 인물이라면, 양주학파는 도가적 삶의 양상을 제안했다고 평가할 수 있다. 양자는 도-지-형의 가치적 위계를 지니고 있었다. 치도는 자득을 수반했다. 따라서 자득하지 못했다면 치도에 이르렀다고 할 수 없었다. 치도에 이르기 위해서는 욕망을 배제해야 했다. 욕망은 나의 본성을 왜곡시켰다. 왜곡되지 않은 본성은 진이라고 불렸다. 진은 본성에 이르기 위한 과정적 개념이자 본성자체이기도 했다. 양주학파는 진에 토대해서 자득하는 삶의 양상을 제안했다. Daodejing valued survival itself. However, Yangzi pursued contented life. Zhuangzi and Yangzi both presented an idea that person each pursue contended life. However, they put an emphasis on different points. Daodejing is a script of rulership; Yangzi can be told to present the life style of Daojia. Yangzi has a value hierarchy, Dao-intention-body. Being a whole into Dao entails personal satisfaction. Therefore, when there is not satisfaction, it can’t be said one became a whole into Dao. Desire distorted one’s nature. Nature not distorted is called ‘眞.’ ‘眞’ is a nature itself and a through concept to reach nature. Yangzi presented a life style that pursue one’s satisfaction by a theory founded on ‘眞.’

      • KCI등재

        호량지변에서 읽어낸 장자의 인지방식

        鄭宇鎭(Jung, Woojin) 한국동양철학회 2021 동양철학 Vol.- No.56

        『장자』「추수」편의 호량지변은 앎의 방식에 관한 흥미로운 쟁점을 담고 있다. 장자가 물고기가 즐겁다고 말하자, 혜시는 다른 존재의 심리상태를 알 수 없다는 점에 근거해서 장자를 비판한다. 에임스 등의 선행연구자들은 장자의 앎을 현대 인지과학의 체화된 인지유형으로 해석한다. 그러나 이런 해석은 장자적 인지방식의 고유성을 밝히지 못한 채, 장자의 인지를 체화된 인지의 예로 소비할 뿐이라는 비판에서 자유롭지 못하다. 본고에서는 장자의 개념과 이론에 즉해서 장자의 인지방식을 논구했다. 구체적으로 氣가 전의식적 기초정서를 이루는 심리생리적 생명 에너지임을 논구했고, 기를 통한 인지의 기제가 음악적 앎과 같이 공명현상에 의거하는 것이라는 해석을 제안했다. The joy of fish story in Zhuangzi contains an interesting issue about the way of knowing. When Zhuangzi says fish is fun, Hui Shi criticizes Zhuangzi on the basis that he cannot know the psychological state of other beings. Prior researchers such as Ames seem to have recognized Zhuangzi s knowledge as an embodied cognitive type of modern cognitive science. However, this interpretation is not free from criticism that it only consumes Zhuangzi s cognition as an example of embodied cognition without revealing the uniqueness of Zhuangzi s cognition method. In this paper, Zhuangzi s cognition method has been discussed in line with Zhuangzi s concept and theory. Specifically, it was discussed that qi is the psychophysiological life energy that constitutes the basic preconscious emotions, and it was revealed that the mechanism of cognition through qi is based on resonance like musical knowledge.

      • ubiTrack을 이용한 방위 인식 기법

        정우진(Woojin Jung),우운택(Woontack Woo) 한국정보과학회 2005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32 No.1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에서의 맥락 인지 응용들은 사용자의 상황에 맞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위치 정보를 활용한다. 그러나 대부분의 실내 위치 추적 시스템들은 환경이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함으로 프라이버시 문제가 야기 된다. 또한 더욱 지능화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위치 정보와 더불어 방위 정보 인식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 제안된 방법은 사용자나 대상물의 방위를 알기 위해서 기존의 ubiTrack의 수신기에 두개의 적외선 수신기 소자를 부착한다. 두개의 적외선 수신 소자는 각각의 위치를 측정하고 각각의 위치로 부터 사용자나 대상물의 위치와 더불어 방위, 크기를 인식한다. 또한 대상물에 부착되어 있는 수신기가 대상물의 위치를 환경에 일정한 시간을 간격으로 환경에 알려 주도록 하여 사용자의 프라이버시 침범되지 않는 상태에서 사용자와 대상물의 위치 ? 방위 정보를 제공한다. 실험 결과 제안된 방법은 홈 환경 내에서 여러 대상물의 방위를 10도 안팎의 오차를 가지고 인식하였다. 따라서 제안된 방법은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에서 여러 맥락 인지 서비스와 연동하여 사용자의 의도를 반영한 여러 LBS에 쉽게 응용이 될 수 있다.

      • AHCISCOPUSKCI등재

        經脈의 기원 : 경맥의 기원에 관한 주요가설의 비판적 검토를 통해

        정우진(JUNG Woojin) 大韓醫史學會 2010 醫史學 Vol.19 No.2

        In this paper, I tried to investigate the origin of Jingmai(經脈) through examination of some important hypotheses brought up by modern scholars and introduce new hypothesis. Hypotheses about the origin of Jingmai that have been investigated in this paper are as follows. 1) Hypothesis by Joseph Needham and Kano Yoshimitsu(加納喜光) that Jingmai is originated from hydraulic engineering or twelve rivers. 2) Hypothesis by some chinese scholars like Zhou yimou(周一謀) that Jingmai is originated from subjective experience of the Neishi(內視) daoist experience. 3) Hypothesis by Yamada Keiji(山田慶兒) that Jingmai is originated from moxibustion supported by shamanism 4) Hypothesis by Li jianmin(李建民) that Jingmai is originated from Daoyinshu(導引術) one of the body-cultivation techniques Hypothesis 1) has the problem of the fallacy of circular argument. I can drag the opposite resolution from the same basis used by Kano Yoshimitsu. There is the problem of misreading in the hypothesis 2). The words quoted by Zhou yimou are not related to the twelve Jingmai (12正經) but Qijingbamai(奇經八脈). Yamada Keiji and Li jianmin presuppose that at first Mai(脈) was just blood vessel. Then they follow each way as mentioned above. I agree their opinion that at the beginning Mai was just blood vessel. But I think that Mai was affected by the schema of shamanism. Mai as the vessel that not only blood but Qi(氣) go through is conceived by the schema of shamanism, I think.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