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2007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한문(漢文)Ⅰ』교과서에서 "한문지식영역"의 서술에 대한 고찰(考察)

        정순영 ( Jung Soon Young ) 한국한문고전학회(구 성신한문학회) 2013 漢文古典硏究 Vol.26 No.1

        본고는 현재 사용하고 있는 2007개정 교육과정에 의하여 편찬된 고등학교 『漢文Ⅰ』 교과서에서 ‘한문지식’ 영역에 대한 서술상의 문제점을 교육과정해설서와 함께 살펴보았다. 그 결과 ‘개사’의 문법의미 규정과 범주설정의 문제, 개사와 접속사구분의 혼란, ‘빈어’와 ‘보어’의 개념에 대한 구분기준의 모호성, ‘단어의 짜임’과 ‘어휘의 유형’에 대한 서술상의 혼돈, ‘문장의 유형’과 ‘글의 서술방식’에 대한 서술상의 혼돈, ‘문장의 수사법’에서 ‘도치’에 대한 설명의 불명확성 등을 보이고 있었다. 한문교과에 대한 관심이 타 교과에 비해 현저히 낮은 점을 생각해 볼 때, 교육과정해설서에 따른 교과서 서술에 통일성이 있어야 하며 교수자나 학습자가 이해하기 쉽게 서술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고는 2007개정 교육과정에 의하여 편찬된 고등학교 『漢文Ⅰ』 교 과서에서 서술상의 문제들을 살펴 교육과정이나 교과서 서술에서 再考되어야 할 점과 통일되고 규범적인 한문과 學校文法제정을 제언하였다. 그러나 어떠한 교수?학습내용이든 그것을 받아들이는 학습자의 성향에 따라 敎授法이 결정되어야 하므로, 文法敎授에 대한 다양한 敎授?學習方法의 개발도 중요하다. This paper studied problems for the Preposition present in high school ‘Chinese Ⅰ’ textbook by the Educational Curriculum Revision in 2007. In this results, its textbook carried out educational goal of Chinese on site schools through the activities of teaching and learning, so, enhancement on ability of reading and understanding must be proceeded to understand on structure of sentences. Also, the knowledge of Chinese mainly obtained through the textbook, therefore it`s important and the educational curriculum is more important. So, in this paper, it proposed contents of review in descriptive problems present ‘The Classical Chinese Ⅰ’ and standards and regulations of Chinese, but it depends on method of teaching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learners. Therefore, the teaching and learning on structure of sentences need to develop method on the teaching and learning.

      • KCI등재

        성북동 일대 명승 사적을 노래한 한문학 유산

        신영주 ( Shin Young-ju ) 한국한문고전학회(구 성신한문학회) 2021 漢文古典硏究 Vol.42 No.1

        이 논문은 성북동을 소개한 옛 문헌을 찾아 분석하고 소개한 것이다. 성북동은 도성에서 가까우면서 한적하고 아름다운 자연경관을 갖춘 나들이 공간이다. 특히 봄철에는 복숭아꽃이 만개하여 도성 사람들의 마음을 설레게 하였다. 그 만큼 많은 시인 묵객이 이곳을 찾았기에 적지 않은 한문학 창작이 이곳에서 이루어졌을 개연성이 크다. 그러나 기대만큼 많은 시문이 발견되지는 않는다. 이곳이 창작 공간이 된 것은 분명하나, 곧장 창작 소재로 활용되지는 않은 것이다. 이런 까닭에 성북동 지역 문화 콘텐츠 개발에 한문학 유산이 적극적으로 활용되지 못한 것 같다. 성북동을 기록한 문헌 자료가 넉넉하지는 못하지만, 과거의 문헌에서 관련 기록을 찾아내어 소개할 필요가 제기된다. 이에 부족하나마 성북동 공간을 시문으로 구현한 한문학 유산을 발굴하여 소개하였다. 먼저 여러 문헌 자료를 분석하여 성북동 일대에 존재하는 명승 사적을 조사하여 인문 지리적 성격을 알아보았고, 이어서 관련 한문학 작품 몇 편을 찾아서 소개하였다. 먼저 蔡濟恭이 1784년 봄에 기록한 「遊北渚洞記」와 나들이에 동행한 睦萬中이 기록한 「與樊巖公會游北屯」을 소개하였다. 이를 통해 성북동이 봄철에 꽃을 즐기는 나들이 공간으로 인기가 높았던 사실을 알아보았다. 이어서 鄭士龍이 1552년에 창작한 시와 尹愭가 1793년에 창작한 시 「上巳遊北渚洞」을 통해 성북동이 修禊의 장소로 활용된 사실을 알아보았다. 아울러 金鑢가 1815년경에 창작한 「晩春游覽 絶句十二首」를 통해 성북동 주변의 여러 명소가 나들이 코스로 묶여 많은 이의 사랑을 받았던 사실을 알아보았다. 여전히 부족하지만, 이를 토대로 관련 있는 소중한 역사 흔적들이 계속 발굴되고 그 속에 깃든 의미 있는 사연들이 복원되어 이 지역의 역사성이 더욱 강화될 수 있기를 바란다. 또 다양한 지역 콘텐츠가 개발되어 현대의 시민들에게도 소중한 공간으로 추억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is thesis found, analyzed, and introduced old literature that introduced Seongbuk-dong(城北洞). Seongbuk-dong, close to the capital city, is an outing space with a quiet and beautiful natural scenery. Especially in spring, peach blossoms were in full bloom, making people's hearts excited. In addition, it is highly likely that many poets visited and created many literary works. However, there were not as many poems left as expected. Although this place became a space for creation, It was not immediately used as a creative material. Because of this, it seems that the old literary heritage was not actively utilized in the development of cultural contents in the Seongbuk-dong region. Although there is not enough literature on Seongbuk-dong, The need to find and introduce relevant records from past literature is raised. So, even if it is not enough, I attempted to discover and introduce the literary heritage that embodied the Seongbuk-dong space as poetry. First, by examining the historical sites of scenic spots in the Seongbuk-dong area through various literature data, the humanities and ge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is area were investigated. Subsequently, several related literary works were introduced. First of all, I introduced the 「遊北渚洞記」 created by 蔡濟恭 in the spring of 1784 and the 「與樊巖公會游北屯」 created by 睦萬中 at the same time. Through this, found out that Seongbuk-dong was very popular as an outing space to enjoy flowers in spring. Next, introduced a poem created by 鄭士龍 in 1552 and 「上巳遊北渚洞」 by 尹愭 in 1793. Through this, found out that Seongbuk-dong was used as a place to 修禊. In addition, introduced the 「晩春游覽 絶句十二首」, created around 1815 by 金鑢. Through this, we found out that the spaces in Seongbuk-dong and surrounding areas were grouped together and loved by people who traveled. Although it is still lacking, I hope that based on this, valuable historical traces related to it will continue to be discovered, and meaningful stories in it will be restored, so that the historicity of the region can be further strengthened. In addition, it is expected that various local contents will be developed so that it can be remembered as a valuable space for modern citizens.

      • KCI등재

        청매인오선사(靑梅 印悟禪師)의 시문학연구(詩文學 硏究)

        ( Mi Seon Kim ) 한국한문고전학회(구 성신한문학회) 2014 漢文古典硏究 Vol.29 No.1

        본 논고는 영남지역 한문학의 유산물 중 靑梅印悟禪師의 詩文學硏究이다. 청매선사는 우리 한문학의 연구범위에 있어서 지역적으로 볼 때 영남지역의 한문학 내용에서 불가 선시의 범위를 차지하고 있다는데 중요한 의의가 있다 하겠다. 담양의 지리산 연谷寺·靈源寺등의 사찰에서 수행하며 悟道嶺를 넘나들며 깨달음을 얻었다는 十二覺詩의 선시가 현재에도 지리산 오도령을 넘나드는 뭇사람들에게 吟誦된다는 것은 영남 한문학 유산의 중요한 일맥을 차지하고 있음이 적실하다. 청매 한문학의 특질은, 선종에서 옛 선사들이 제자들을 지도하기 위해 제시한 公案·古則에 대해서 『靑梅集』 卷1에서 148가지의 公案을 하나하나 요지를 설명하고 송고시를 남겼다는 것이다. 이것은 청매가 당나라 선종의 공안송고시의 맥을 달마의 禪跡을 송고한 法演禪師를 비롯해 선종 제5조 弘忍에서 제6조 慧能이 偈頌을 지어 의발을 전수 받은 것을 公案으로 삼아 송고한 葛廬覃禪師의 송고시, 南泉普願禪師의 「牧牛頌」, 楚雲南禪師가 大梅法常의 공안 내용을 송고한 법맥을 우리나라 고려 무의자 혜심이 계승하고 이를 청매 인오선사가 수용하였다는 의의이다. 이상과 같이 더 이상 닦음도, 깨달음도, 얻음도, 잃음도 없음을 증득한 결과를 禪과 詩가 融合한 禪詩세계를 영남지역을 토대로 하여 남긴 靑梅禪師를 통하여 접근하여 고찰함에 매우 의미가 있었다. 청매선사 및 영남지역 한문학에 대한 관심을 기대하며 후고를 남겨둔다. This article is The Study on Poetry Literature of Cheongmae Ino Zen-master[靑梅印悟禪師] among the Chinese literature heritage in the southeastern part of Korea. Cheongmae Zen-master is an important meaning of Buddhist Zen poetry realm in the chinese literature contents in the study range geographical southeastern part of Korea. Damyang`s Jirisan Yeongoksa (燕谷寺)·Yeongwonsa(靈源寺) and so on, temples which he practiced and gained realization as he went and came often the Odoryeong(悟道嶺). That Zen poem is Sipigaksi(「十二覺詩」) is recited[吟誦] by people of all sorts and conditions who go and come often the Odoryeong in Jirisan right now. This means to clear the poem covers the important a vein of the southeastern part of Korea of Chinese literature heritage. In special, the characteristics quality of Cheongmae Chinese literature, in Zen Buddhism, explains the point one by one about 148 types catechetic questions for meditation in volume 1 The Cheongmae Collection[『靑梅集』] in order to instruct his disciples with presented catechetic questions for meditation[公案] and Gochik(古則) by ancient Zen-master and left the Songgo poems. As the above there was very meaningful consideration by approach through Cheongmae Zen -master who left based on the southeastern part of Korea Zen poetry[禪詩] realm which unites Zen and poetry of the realization of truth and wisdom in the results whether has no loss or gaining and training or realization anymore. I expect to interest in Cheongmae Zen-master[靑梅禪師] and the southeastern part of Korea area Chinese literature and leave the post consideration.

      • KCI등재

        논문(論文) : 신광한(申光漢)의 사부문학(辭賦文學) -낭만(浪漫) 추모류(追慕類)-

        김성수 ( Sung Su Kim ) 한국한문고전학회(구.성신한문학회) 2006 漢文古典硏究 Vol.13 No.-

        申光漢은 『企齋集』에 26편의 辭賦 작품을 남긴 한문학사에서 손꼽히는 사부 작가이다. 따라서 이에 대한 연구는 그의 문학을 연구한다든지 한국의 사부문학을 연구하는 데 있어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직 企齋의 사부문학에 대한 어떠한 연구도 없었다는 것은 매우 안타까운 일이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신광한의 사부 작품 중 감상적인 성격이 강한 사부 작품 9편을 낭만·애상·추모로 분류하여 소개하였다. 낭만에서 소개된 세 작품은 사대부 정신에 입각한 도가적인 田園閒靜이나 隱遁放逸의 가치관이 자연스레 발휘된 작품이다. 이러한 도가 문학은 여타의 사대부 문학에서도 확인할 수 있듯이 현실의 질곡을 벗어나기 위한 일시적 수단이었을 뿐 진정 도가에 심취한 작품은 아니었다. 그러나 이러한 작품들은 유학사상에 편중되어 있던 신광한의 사부 문학 세계를 다양화 시켜 주었다는 점에서 의미를 부여할 수 있다. 애상류의 작품은 中正을 중시했던 유자들에게서는 지양되어야 할 정서이기에 해당 작품들이 많지 않다. 그러나 애상이 인간의 보편적 정서라는 점을 생각한다면, 애상류가 오히려 문학적 속성과는 가깝다고 할 수 있을 것이며, 따라서 이러한 내용의 사부를 남기지 못한 다른 辭賦家들과 비교할 때 신광한 사부 문학의 가치를 높일 수 있다고 생각한다. 마지막으로 추모에서는 모두 네 작품을 소개하였다. 일반적 추모와는 달리 신광한의 추모 대상은 주로 전설상의 중국 인물들이라는 점에서 그의 작품은 추모 대상을 통해 유가적 도리를 찬송한 이념적 사부임을 짐작할 수 있었다. 특히 추모류에서 소개한 <先春嶺賦>는 다른 작품들과는 달리 우리의 역사 인물을 추모한 것으로 신광한의 주체적인 민족의식의 일 단면을 볼 수 있어 그의 사부 작품 중 가장 높은 문학적 가치를 부여할 수 있다고 여겨진다. 이상과 같은 분류 방식과 분류 내용에 적지 않은 잘못이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하지만 이에 대한 두려움 보다는 이를 계기로 한국의 사부문학에 좀 더 관심을 갖게 되어서 균형 있는 한문학 연구가 이루어지기를 기대하는 것에 본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Shin, Kwang-han is prominent author in the history of Chinese Literature, who left 26 pieces of Sabu Literature in the 『Collection of Gijae』. This thess introduced 9 pieces of his Sabu works, which reveal the strong emotion by classfying romanticism, lamentation, and the memory of deceased persons. 3 works, introduced in the romanticism, naturally unfold the values of taoistic mood of rural life or the value of seclusion and escape. These works are meaningful in a sense that they demonstrate the diversity of the world of Shin Kwang Ha Sabu literature. The sentiment of lamentation was sublated to the confucian scholars who put weight on moderation so that Shin Kwang Han didn`t write many works that belong to th sentiment of lamentation. However, when we compare lamentation works of Shin Kwang Han with other Sabu writers who didn`t leave the works of lamentation content, we can enhance the values of Shin Kwang Han Sabu Literature. Lastly, in the memory of deceased persons, all 4 works were introduced. In contrast to general memory of deceased persons, the memory object of Shin Kwang Han were mainly chinese figures who are legendary. It makes us judge that his works are ideological Sabu, praising the confucian obligation through memory objects. I hope that as a momentum with this study, more people will take interest in Sabu Literature of Korea and it will contribute to the balanced study on Chinese.

      • KCI등재

        외국인(外國人)을 위한 한국어(韓國語)1) 교육(敎育)에서 한자(漢字)?한자어교육(漢字語敎育)의 현황과 문제점 -하와이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박세진 ( Se Jin Park ) 한국한문고전학회(구 성신한문학회) 2014 漢文古典硏究 Vol.28 No.1

        본고는 외국인을 위한 漢字·한자어(漢字語)교육에 대한 실태를 파악하고 그 문제점을 찾아 올바른 방안을 제시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에 필자는 미국 하와이대학교에서 한자교육을 한 경험을 바탕으로 미국대학의 한자·한자어 교육의 현황을 살피고, 하와이대학교에서의 실제 사례를 통해 본 문제점을 파악하여 외국인을 위한 바람직한 漢字·漢字語교육의 방안을 제언하고자 한다. 한국의 위상이 높아짐에 따라 외국인 학습자들이 한국어뿐만이 아니라, 한국에 대한 문화를 심도 있게 배울 수 있는 한국학 분야에 대해 많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 특히 漢字·漢字語교육은 한국어 교육의 일부로서 한국어를 이해하고 어휘를 확장 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기 때문에 국내외에서의 외국인을 위한 한자교육의 현황을 파악하고 올바른 방안을 제시하는 것은 큰 과제가 아닐 수 없다. 그러므로 본고에서는 미국 대학에서의 한자교육의 현황을 살피고, 하와이 대학교에서의 漢字·漢字語교육의 실제와 문제점을 교재(敎材), 목표(目標)와 내용(內容), 교수-학습 방법, 평가 방법 등으로 나누어 살펴보기로 한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teaching Chinese characters and Sino-Korean words to foreigners as par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it is practiced outside Korea, identify problems in such practices and suggest solutions. For this purpose, the paper discusses practices of teaching Chinese characters and Sino-Korean words at US universities with the focus on those instituted by the University of Hawaii at Manoa where the author taught related courses as a visiting scholar for two semesters. Demand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opportunities to study Korean culture is growing abroad as Korea`s international status keeps improving. Education in Chinese characters and Sino-Korean words is an integral par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foreigners as their knowledge is vital to understanding the Korean language and expanding one`s Korean vocabulary. Against this background, the paper first gives a general survey of US university programs that teach Chinese characters and Sino-Korean vocabulary. It, then, narrows the focus to the programs at the University of Hawaii for a detailed examination of the textbooks used, the objectives and designs of the courses offered and the pedagogical and evaluation methods used.

      • KCI등재

        대전본(大全本) 사서장구집주(四書章句集注)의 음주(音注)에 대한 일고찰(一考察) - 『대학장구(大學章句)』와 『중용장구(中庸章句)』를 中心으로 -

        이규필 ( Lee Gyu-pil ) 한국한문고전학회(구 성신한문학회) 2017 漢文古典硏究 Vol.34 No.1

        이 연구는 대전본 사서집주의 음주에 대해 고찰하고, 한문전문연수기관 혹은 대학교에서의 사서 강의에 음주의 활용이 필요한지, 또는 그것이 과연 유의미한지를 모색하기 위해 시도된 것이다. 조선시대의 사서 교육은 전적으로 대전본 집주를 통해 이루어졌고, 현재 우리나라의 전문연수기관, 유관 단체, 대학의 한문학 관련 학과에서도 사서의 경우 대체로 주자집주를 교재로 삼고 있기 때문에 대전본 사서집주를 대상으로 하였다. 다만 음주에 대한 정리는 사서집주 전체를 해야 되겠지만, 본 연구가 목표로 하는 주요 논의는 『대학』과 『중용』에 실린 音注만으로도 가능한 바, 논지를 명료화하기 위해 본고에서는 『대학』과 『중용』의 음주에 한정하여 논하였다. 사서집주에 나타나는 음주의 형태는 1 聲調, 2 如字, 3 `A讀B`, 4 `音B`, 5 反切, 6 두 가지 이상 병용된 것, 이렇게 6형태로 나누어볼 수 있다. 이 여섯 유형에 대한 정리와 고찰을 바탕으로 본고는 `新儒學的 經學觀 표명에 관한 문제`, `新儒學의 經文 解釋에 관한 문제` `朱子 章句集注의 깊이 읽기와 새로이 읽기`에 대해 다루었으며, 아울러 `바른 음가 찾기와 언해음 고찰`, `경문의 문학적 장치-음악성의 이해` 등의 지점을 함께 고찰하였다. 이상의 논의를 통해 대전본 사서집주에 음주를 단 목적을 추론하고, 그를 통해 오늘날 四書 강의와 한문교육에서도 음주에 대한 이해와 활용이 유의미하리라는 결론을 추출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phonetic features (音注) of Daejeonbon(大全本), a variorum edition of the Four Chinese Books(四書音注), via examining how the study of its phonetic characteristics consists of a significant part of comprehension and explication of the Four Chinese Books, particularly for the purpose of teaching the text at Chinese language training institutes or in the college classroom. Learning the Four Chinese Books in the Joseon Dynasty was rendered entirely through the collected annotations of Daejeonbon. And the current education of the Chinese classics is still performed with the particular edition because many of the specialized training institutions and departments of chinese literature and language in the universities of South Korea are still in use of the annotated collections of the Four Chinese Books as the primary text to learn it. Granted that the arrangement for the phonetic study should be done for the entire Four Chinese Books, the main discussion of this article is converged around the Great Learning(大學) and the Doctrine of the Mean (中庸). Hence, this essay is primarily focused on the phonetic subject of the two classic texts in order to clarify my argument. The phonetics features of the edition can be divided into six parts: Tones(聲調), Ruzi(如字), Reading(讀), Sound(音), Fanqie(反·切), and combinations of the two or more. Based on the classification and the explication of those different types, this article deals with `the problems in establishing the Neo-Confucius view of the Chinese classics,` `the problems of Neo-Confucious scholars` interpretation of the classical texts`, and `the close reading and new interpretation of Zhu Xi`s Annotation (章句集注)`. In addition, I examine such phonetic dimensions as `the precise phonetic values and the pronunciation system of the Chinese in Joseon Dynasty`, also investigating the `literary device and musicality of the Chinese classics` together. Throughout the discussion, this study reasons the purpose of attaching the phonetic annotations to the variorum edition of the Four Chinese Books. In so doing, I come to conclude that the understanding and utilization of the phonetic features of the Confucius classics comprises a significant part of the research and education of the Four Chinese Books, especially in our time.

      • KCI등재

        논문(論文) : 개화기(開化期) 한문(漢文) 및 한문(漢文) 교육(敎育)에 대한 인식(認識) 일고(一考)

        남궁원 ( Won Namgung ) 한국한문고전학회(구.성신한문학회) 2006 漢文古典硏究 Vol.13 No.-

        본고는 개화기의 한문 및 한문 교육에 대한 견해들을 주로 살피고자 한다. 개화기 무렵의 한문과 한문 교육에 대한 논의는 매우 치열했고 활발했다. 개항은 중세의 정치 사회적 질서에 변화를 요구하였다. 아울러 어문 정책과 교육의 변화도 요구하였다. 단적으로 그간 공식적으로 유일한 종교였던 유교가 약화되었다. 지배적 문체였던 순한문체에 대한 심각한 회의가 일어났으며 곧바로 한문체 사용을 부정하는 주장이 거세게 등장했다. 그러나 한문을 옹호하고 사수하려는 움직임 또한 여전히 강했다. 한문이야말로 성현의 도를 담고 있는 글이라는 한문 숭배적 시각이 엄존하였다. 한문 폐지론과 한문 옹호론 사이에서 이 둘을 절충하는 견해가 발생했다. 즉 국문 사용이 당연한 것이긴 하지만 상황과 전통을 고려하여 국문과 한문을 함께 사용하자는 것이다. 이 주장이 가장 힘을 얻어 대세를 이루었다. 한문 교육의 목적은 다양하게 나뉘었다. 성현의 도를 담고 있는 글이 곧 한문이므로 마땅히 성현의 도를 배우고 익히기 위해 가장 중요하게 학습해야 한다는 전통적 주장이 여전히 존재하였지만 그 힘은 갈수록 약해졌다. 한문의 시대적 소임이 다했다는 주장이 제기되는 와중이라 한문 교육의 목적을 전통의 계승, 일본·중국 등 동양의 한자문화권과의 교류에 두기도 하고 또 원활한 어문생활을 위해 한문 교육이 불가피하다는 주장이 제기된다. 새로운 지식들을 소개하기 위해 한문을 교육해야 한다는 입장도 눈에 띤다. 한문 교육의 목적이 어떠하냐에 따라 한문 교육의 내용도 달라졌다. 경전과 사서를 발췌한 것도 있고 순전히 우리나라 작가의 글들만을 교과서 내용으로 삼은 것도 있으며 새로운 지식을 한문으로 소개하는 책도 있다. 한문 및 한문 교육에 대한 논의가 점차 가열되기 시작할 무렵 일본은 한국을 강제로 병합하였다. 그 결과 한문 및 한문 교육에 대한 논쟁의 자발적이고 합리적인 귀결을 맺지 못하였다. 그 대신 일본의 침략 정책의 일환으로 어문 정책과 교육이 좌우되면서 바람직하지 못한 방향으로 진행되었다. This survey is to examine various understandings of Chinese writing and Chinese writing Education in enlightening period, from the period of Opening ports to Japanese annexation(1896-1910). Dispute of Chinese writing and Chinese writing Education was fierce to be those days in enlightening period. Opening ports forced the authorities to change political and social circumstances. In addition, changes of language policy and education. For example, Confucianism have dwindled alarmingly. The usage of Chinese style, as a dominated style, touched a storm of criticism. Many of them were not advocating unique Chinese style. On the other hand, advocating only Chinese style said Chinese was true character, including the teachings of the sages. For or against launched eclectic opinions about Chinese writing style. That is Gukhanmunhonyong, a mixed style of writing Korean with Chinese characters. These styles were most valid. The aims of Chinese writing Education was multi-dimension. First of all, Chinese should take lessons because Chinese writing was made up of the teachings of the sages. Also Koreans, most parts, derived from Chinese character and Chinese writings. Still more, Chinese writing was one of the universal characters in East Asia. Contents of Chinese writing Education consisted of traditional scriptures and the Four Books of Ancient China. These advocators were dim. New textbooks published. But new trials denied because of repression of the Residency-General in Japan. As a session of Chinese writing Education, be suitable for after elementary school. On disputing Chinese writing and Chinese writing Education, Joseon were annexed by the Japan. As a result, disputing about them didn`t draw natural and rational conclusion. Instead under Japan aggressive policy, language policy and education went forward undesirable direction.

      • KCI등재

        논문(論文) : 개화기 글쓰기 교재 『실지응용작문법(實地應用作文法)』과 『문장지남(文章指南)』 연구

        남궁원 ( Won Namgung ) 한국한문고전학회(구.성신한문학회) 2006 漢文古典硏究 Vol.12 No.-

        『實地應用作文法』과 『文章指南』을 지은 저자 崔在學은 구한말 艮齋 田愚의 제자로서 주자학에 전념하였던 학자였다. 그러나 국가적 위기에 처하여 스승의 입장과 달리 현실 참여를 결심한 후 을사조약 반대 상소에 참여하고 각종 학회와 학교 건립에 간여한 계몽 운동가이고 독립운동가로 활동하였다. 崔在學의 저서를 교열한 朴殷植과 李沂 역시 동일한 이념과 실천 운동 선상에 있던 인물이었으며 이들은 한문의 지속 사용을 반대하고 국문 애호를 주장하되 현실적으로 국문전용이 불가함을 들어 國漢混用을 주장하였던 인물군이었다. 『實地應用作文法』은 당시에 國漢混用이 처음 본격 도입, 확대되고 있는 시점에서 지은이마다 서로 다르게 창작되는 혼란한 창작 현실을 개선하기 위해 집필된 책으로서 國漢混用의 규범서가 되어야 한다는 의도하에 집필된 도서이다. 『文章指南』은 『實地應用作文法』과 연계하면서 한문 글쓰기 전통의 승계를 목적으로 하였다. 『實地應用作文法』의 구성은 전반부에 이론 및 개념 설명 부분을 두고 후반부에 각 글의 종류별로 예문을 싣는 전통적이면서 이후에도 계속된 구성 방식을 채택하였다. 이론의 소개나 개념 설명이 모두 國漢混用文으로 이루어졌으며 『文章指南』과 같은 분류로 상호 연계하고 있다. 교재의 내용은 천편일률적으로 애국계몽 운동의 성향을 농후하게 담은 글들로 일관하고 있으며 간혹 전통적인 한문 글쓰기의 방식을 닮은 것도 있다. 『實地應用作文法』은 그때까지 있어 온 한문으로 글쓰기 방식을 계승하면서 새로운 시대 새로운 글쓰기 방식을 모색하려는 시도가 혼재하고 있어 전형적인 과도기적 양상을 띠고 있다. 때문에 고래로 이어져 온 글쓰기 이론과 먼저 간행된 국내외의 저술을 참고하되 특히 일본의 저술을 참고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글의 종류 부분은 종래의 양식을 답습한 면이 강하지만 각종 수사법에서는 새로운 서구 수사법 이론을 적용하려는 새로운 시도가 있다. 물론 오랜 고민과 연구를 통한 정제 과정이 없어 거칠고 비체계적인 점이 상존하기는 하지만 그 당시 작문법 서적이 전무한 불모지에서 이러한 책을 집필하여 새로운 글쓰기의 전범의 시금석이 되었다는 것만으로도 『文章指南』과 『實地應用作文法』의 의의는 대단한 것이다. 『Siljiengyongjakmunbeob(實地應用作文法)』 and 『Munjangjinam(文章指南)』 were written by Choi Jae-hak. Choi Jae-hak was a Confucian scholar in late nineteen century. In 1905, he took part in Patriotic Enlightment Movement. He attended meetings, built many schools and wrote many books vigorously. He insisted that he should use Korean together with Chinese, Ghanmunhonyong, in writings instead of only Chinese. 『Siljiengyongjakmunbeob』 was published at that point. In those days, writing style changed only Chinese into Korean together with Chinese. Though they had different writing styles, proper writing norm was nonexistent. To continue traditional Chinese writing, 『Munjangjinam』 had much to do with 『Siljiengyongjakmunbeob』. The aims of two books were to cope with confusing writing style in transitional period. Examine 『Siljiengyongjakmunbeob』 and 『Munjangjinam』. The first part seek an explain for theory and concept of writing. The second part put in examples about types of sentences with Ghanmunhonyong style. The contents of two books are made up partriotic messages, using traditional Chinese writing style. He handed on the torch Chinese writing style and searched new writing style both. 『Siljiengyongjakmunbeob』 played a great role in changing writing style in transitional period. 『Siljiengyongjakmunbeob』 has many examples with previous writing theory, including national and overseas writings, particularly Japanese writings. Some parts about sorts of sentences followed an old tradition. Other parts about each rhetoric tried to apply for new western rhetoric theories. Even so, two books is written for a short time. There were little proper writing books at that time. For this reason, the aims of two books launch into an area for new writings.

      • KCI등재

        논문(論文) : 한문 문헌에 대한 교감의 전통과 그 유형에 관하여 -몇 가지 사례를 중심으로-

        신영주 ( Young Ju Shin ) 한국한문고전학회(구.성신한문학회) 2008 漢文古典硏究 Vol.17 No.1

        인문 학술에서 교감은 매우 중요하다. 장구한 역사적 경험과 지식이 결집되어 우리 곁에 존재하는 것이 고전인데, 이를 정리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교감의 과정을 거쳐야 한다. 교감은 고전 정리의 기본이요 학술의 기반을 다지는 일이기도 하다. 최근 고전 정리에 대한 관심이 커져가고 있어 이에 대한 방법론적 성찰이 필요하게 되었다. 이에 본고에서는 교감의 전통에 관한 몇 가지 사례를 중심으로 검토해보았다. 먼저 우리가 이미 유무형의 자산으로 상속받은 교감의 오랜 전통에 대해 알아보았고, 다음으로 교감의 실무적 범주와 그 개별 유형을 알아보았다. Proofreading is very important in the humane studies. It is classics that exist beside us through the concentration of long-ranged historic experiences and knowledge, and in order to summarize them, it is indispensable to go through the process of proofreading. Proofreading is the basis of the summarization of classics and is like the solidification of the basis of the science. Recently, there has been a growing interest in the summarization of classics, which addresses the need for a methodological review of this. Thus, this study reviewed several cases in hopes of presenting at least a minimum of commitment to the inheritance of the proofreading tradition. First, the study found the long tradition of proofreading that we have has already been inherited as a tangible and intangible asset, and it looked into the scope of proofreading on a working level and the individual pattern of proofreading.

      • KCI등재

        논문(論文) : 한국선시(韓國禪詩)의 발달사(發達史)

        김미선 ( Mi Seon Kim ) 한국한문고전학회(구.성신한문학회) 2006 漢文古典硏究 Vol.13 No.-

        中國에서 禪宗이 성립된 이후 독자적인 많은 문헌을 갖게 되면서부터 문학이 활짝 꽃 피웠으며, 이러한 禪 文學의 가장 중요한 분야는 禪詩라고 할 수 있다. 물론 불교의 禪이 印度에서 發源하였듯이 禪詩의 연원도 인도에서 비롯되었음은 물론이다. 그러나 그의 진정한 발전은 역시 중국에 와서 이루어졌음 또한 인정해야 할 것이다. 이러한 中國의 선시를 受容한 한국 禪詩의 淵源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禪 文學의 意味·槪念·範圍·方法論·歷史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살피고 이해할 필요가 있다. 이 중 본고에서는 禪詩의 槪念 및 韓國의 禪詩의 발달 경로에 대해 고찰하였다. 禪詩의 槪念을 통해 禪과 詩의 그 相關性을 밝혔다. 詩의 相關關係로 禪의 槪念이 文字를 떠나[不立文字] 오직 마음과 마음에 의한 전수방법[以心傳心]에서 나온 것이라면, 人間과 自我와 그 觀照에 있어서 경이의 세계를 詩的인 靈感을 통하여 표현하는 것이 바로 禪詩이므로 相好發生論的으로 相關關係가 있음을 선시 개념에서 알 수 있었다. 또한 韓國 禪詩가 中國 禪詩를 어떻게 受容하여 發展되어 졌는가를 禪詩 發達史的 側面에서 考察하였다. 禪詩은 바로 中國的인 文化와 歷史的 背景을 바탕으로 하여 일어난 매우 뛰어난 文學思想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중국의 禪詩가 中唐·晩唐에 접어들어 크게 성함을 보였고, 韓國 高麗때 慧諶이 본격적으로 受容하여 朝鮮 後期 마지막 인물로 艸衣 意恂이 등장하여 韓國 禪詩의 脈을 잇고 있음을 밝혀 냈다. 本考의 남는 과제로는 이러한 禪詩史의 産物인 高格한 禪詩作品의 世界를 後考의 課題로 期約한다. After the establishment of Zen Buddism in China, many unique literatures were generated and literature was widely flourished. The most important field of such Zen Literate is Zen Poery. just as the Zen of Buddhism was originated in India, it is certain that origin of Zen Poetry was derived from india. However, we should acknowledge that the real development of Zen Poetry was made in China. in order to understand the origin of korea Zen Poetry, accepting the Zen Poetry of China, we need to investigate the meaning, concept, scope, methodology and history of Zen Literature in various field. Among them, this thesis investigated the concept of Zen Poetry and the development channel of Korea Zen Poetry. As mentioned above, the issue of the subject in korean Zen poetry was clarified according to the introduction, and the history of developing Zen poetry was explained. we also searched that how Zen poetry has been developed in korea by accepting the chinese Zen poetry. The discussion of developing korean Zen poetry was done with the historical point. The Zen poetry could be said that it is very excellent conception in the literature occurred by chinese culture and historical background. The Zen poetry had been expended during mid and late Dang kingdom in china. The chinese Zen poetry was accepted to korea by the buddhist priest Haesim in Koryo period of the old korea . It is succeeded to the tradition of the korean poetry by the buddhist priest Choeui in Chosun period of the old korea. The realm of the nobel Zen poetry will also be studied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