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교육과학을 위한 기초작업자로서의 교육철학: 비판적 실재론에 근거한 교육과학과 교육철학의 관계 설정

        곽태진 한국교육철학학회 2019 교육철학연구 Vol.41 No.1

        In a Western tradition that distinguishes philosophy from science, establishing a proper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becomes the basis for appropriate philosophical and scientific works. This is also true of the philosophy of education and science of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the relationship between philosophy of education and science of education, based on critical realism. According to critical realism, science is the work of investigating the structures and causal mechanisms that generate certain phenomena based on empirical grounds, and philosophy is the work of revealing premise assumptions that enable such scientific works. Moreover, philosophy should play a role as an ‘under-labourer for science’ above all else. Applying these discussions to science of education and philosophy of education, the following conclusions can be drawn. Philosophy of education should play the role of ‘under-labourer for science of education’ as philosophy of science of education. In other words, the philosophy of education should play the role of supporting the progress of science of education by studying philosophically the premise assumptions of science of education. This philosophical work includes the preparation of methodological guidelines for the appropriate empirical research of science of education. Thus, the perspective of ‘philosophy of education as an under-labourer for science of education’ derived from critical realism is a modest but ambitious project. The work based on this perspective will be a very important foundation for the progress of educational studies as a whole, including both philosophy of education and science of education as well as science of education. 철학과 과학을 구분하는 서구의 한 전통에서 볼 때, 양자의 관계를 적절히 설정하는 것은 적절한 철학적 작업과 과학적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기초가 된다. 이러한 사정은 교육철학과 교육과학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즉 양자의 관계를 적절히 설정하는 것은 교육철학과 교육과학 각각의 적절한 작업 수행을 위해서 중요한 기초작업이 된다는 것이다. 본 연구는 비판적 실재론이라는 과학철학에서 제시되고 있는 철학과 과학의 구분, 그리고 양자의 관계에 대한 논의에 근거하여 교육과학과 교육철학의 관계를 설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비판적 실재론의 과학관 및 철학관에 의하면, 과학은 경험적 근거 위에서 문제가 되는 현상의 원인이 되는 구조와 인과기제를 밝히는 작업이고, 철학은 그러한 과학의 전제가정들을 밝히는 작업이다. 그리고 철학은 다른 무엇보다 ‘과학을 위한 기초작업자’로서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이러한 논의를 교육과학 및 교육철학에 적용하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게 된다. 교육철학은 ‘교육과학철학’, 즉 교육과학에 대한 철학으로서 교육과학을 위한 기초작업자의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즉 교육철학은 교육과학의 전제가정들을 철학적으로 검토함으로써 교육과학의 진전을 뒷받침하는 역할을 해야 하는 것이다. 이러한 교육과학철학적 작업에는 적절한 교육과학의 연구를 위한 방법론적 지침을 마련하는 일까지 포함된다. 따라서 비판적 실재론으로부터 도출되는, ‘교육과학을 위한 기초작업자로서의 교육철학’이라는 견해는 겸손하면서도 야심찬 기획이며, 이러한 입장에 바탕을 둔 작업은 교육과학은 물론 교육철학과 교육과학 모두를 포함하는 교육학 전체의 진전을 위해서도 매우 중요한 기초작업이 될 것이다.

      • KCI등재

        학회지를 통해 본 교육철학 연구 동향: JPE, ET, KJPE를 중심으로

        우정길 ( Jeong Gil Woo ) 한국교육철학학회(구 교육철학회) 2011 교육철학연구 Vol.33 No.2

        본고는 2005-2010년 사이 Journal of Philosophy of Education(영국교육철학회), Educational Theory(미국교육철학회 & 미국J.Dewey학회) 및 The Korean Journal of Philosophy of Education(한국교육철학회)에 게재된 550편의 논문을 대상으로 교육철학 연구동향을 고찰하였다. 특히 시험연구를 통해 도출된 "교육철학의 자기성찰과 변혁"이라는 관점은 본 연구의 틀과 논지 형성에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발견하게 된 교육철학 연구의 동향은 다음과 같이 서술할 수 있다. 즉, 교육철학은 대외적으로는 사회문제의 진단 및 해결 그리고 시대적응이라는 도전에 직면해 있고, 대내적으로는 교육철학 학문성의 현대적 재개념화라는 과제에 직면해 있다. 전자를 통하여서는 교육철학의 기능과 의의가 사회적으로 확인될 필요가 있으며, 후자를 통하여서는 교육학의 모 학문이자 분과학문인 교육철학의 의의와 위상이 재확인 될 필요가 있다. 현재 교육철학은 교육사회 문제로 눈을 돌림으로써 교육철학의 외연을 확대하고, 교육철학의 학문적 정체성에 대한 자기성찰을 통해 내적 타당성을 공고히 해 나가는 과정에 있다고 여겨진다. This article tries to give an overview on the international tendency of research in the contemporary philosophy of education. The author analyses recent journal articles in the last six years, which belong to the societies of philosophy of education - Journal of Philosophy of Education (UK), Educational Theory (USA), The Journal of Philosophy of Education (South Korea) - and brings them to an international comparision. Focussing on the perspective "self-reflection and transformation of philosophy of education", which was developed through a pilot test, the author shows, in what subjects the philosophers of education of these journals the most interested. The international tendency of research in the philosophy of education can be summarized as "social engagement and the need for self-reflection with reorientation of this discipline"; in other words, active participation in the social problem through social-philosophical orientation, and need for revision and redefinition of the identity of the philosophy of education and emphasis on empirical research. Moreover this article shows specific features of each research group, which are related to the different cultures and traditions of the philosophies of education.

      • KCI등재

        일제강점기 한국 교육사상가에 대한 연구 현황 고찰

        우정길 ( Woo Jeong-gil ) 한국교육철학학회(구 교육철학회) 2019 교육철학연구 Vol.41 No.2

        본고는 일제강점기 한국 교육사상가 관련 현대 한국 교육학계의 연구 현황을 다음 네 가지 범주로 나누어 검토하고 있다. 즉, 첫째, 교육사학계와 교육철학계의 연구 동향분석에 나타난 일제강점기 교육사상가 연구의 빈도, 둘째, 한국의 교육사학계와 교육철학계 학술대회를 통해 표출된 일제강점기 교육사상가들에 대한 관심과 연구 성과, 셋째, 교육사상사 분야 개인연구 속에 나타난 일제강점기 교육사상가들에 대한 탐구들, 넷째, 일제강점기 교육사상가를 연구한 단행본과 소논문 등이 그것이다. 이를 통해 도달하게 된 결론은, 해방이후 70여 년 동안 혹은 한국교육학회 교육사·교육철학회의 창립(1964) 이래 지난 50여 년 동안 “일제강점기 교육사상가”는 적극적 관심과 연구의 대상이 되지 못하였다는 것이다. 전체적으로 연구의 양은 미흡(未洽)하였으며, 교육사상사와 교육사상가에 관심을 가진 소수의 학자들을 중심으로 그 명맥이 이어져 온 연구들은 산재(散在)하거나 심화된 연구로 이어지지 않고 있다. 3·1운동 및 대한민국임시정부수립 100주년을 맞는 2019년을 기점으로 기존의 산재한 연구들을 한 데 모으고 미흡을 보완하여서, 현대 한국 교육철학의 중요한 토대 중 하나인 일제강점기 애국계몽운동가 혹은 민족교육선각자들의 교육사상의 역사적·교육학적 가치를 재고해 나갈 필요가 있을 것이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ecent tendency of researches on Korean philosophers of education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in terms of four following categories: (A) the frequency of research on the topic in the fields of Korean history and philosophy of education (B) the concerns about the topic and the results of researches presented in the conferences of the Korean Philosophy of Education Society and the Korean Society for History of Education (C) the studies on philosophers of education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in individual researches of history of Korean educational thoughts, and (D) the books and articles highlighting educational philosophers of education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The authors concludes that the academic societies of Korean history and philosophy of education have not given enough attention to the topic of Korean philosophers of education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since the Korean national liberation of 1945 or even since the establishment of the academic society of Korean History and Philosophy of Education in 1964. The numbers of researches on the whole is not sufficient and, if ever, the researches were conducted by a small group of scholars, never systematically enough nor deeply enough. The authors argue that, starting in 2019, the centenary year of the March First Independence Movement and the establishment of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we need to encourage the research on Korean philosophers of education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to reconsider the historical and educational significance of their thoughts and deeds, and to share the spirit of their patriotic enlightenment movement.

      • 철학, 무엇을 언제 가르칠 것인가- 플라톤의 폴리테이아를 중심으로 -

        서정욱 한국철학교육학회 2008 철학ㆍ윤리 교육 연구 Vol.24 No.40

        본 논고에서는 플라톤이 정의한 철학의 의미를 지혜의 문제로 보고, 이 지혜를 언제 어떻게 무엇을 갖고 가르칠 것인가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플라톤은 오늘날 초등학생 시기부터 음악과 체육교육을 시켜야 된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 음악과 체육교육은 인성을 위해 필요한 교육이며, 이 인성교귝은 오늘날 도덕 혹은 윤리교육이다. 이종란은 전래동화를 통해 이미 우리는 인성교육을 받았다고 주장하면서 우리의 도덕 교육시기를 정하였고, 1980년대 서울대학교 철학연구동문회에서는 추론능력향상, 창조성의 개발, 개인과 대인 관계의 성장, 윤리적 지성의 계발, 경험 중에서 의미를 발견하는 능력의 계발 등 모두 다섯 가지를 제시하여 어린이 철학교육의 목적을 제시하였다. 플라톤은 어린아이에게 음악을 가르칠 때, 가사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결국 무엇을 가르칠 것인가의 문제를 플라톤은 영웅서사시에서 찾았다. 철학을 도덕이나 윤리교육의 교제로 삼는다면, 철학사와 철학의 주제가 가르침의 대상이 될 것이다. 플라톤이 호메로스나 헤시오도스의 텍스트를 중요하게 생각했다면, 결국 오늘날 우리가 중요하게 생각해야할 것은 철학사보다는 철학의 주제이다. 이상을 중심으로 본고에서는 어린이 철학교육의 필요성을 가르치는 시기, 목적 그리고 무엇을 가르칠 것인가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 KCI등재

        한국 다문화교육의 철학과 방향 탐색

        정지아 ( Jeaah Jung ) 한국교육철학학회 2015 교육철학연구 Vol.37 No.3

        본 논문의 목적은 현 한국 다문화 상황의 한계와 다문화주의 문화철학의 문제를 극복하는 다문화주의 철학의 재개념화를 통하여 한국 다문화교육의 철학과 방향을 모색하는데 있다. 한국 다문화 상황의 한계는 사회적 문화적 토대조건이 미비한 구조적 한계 상황 속에서 다문화 담론화 과정을 국가가 주도함에 따라 주류 사회적 논의들과 단절되어 있고 다문화주의는 동화정책 중심으로 진행되고 있다는 것이다. 한국 다문화주의 철학의 핵심적 문제인 문화철학의 문제는 교육과의 관계에서 문화해석의 문제, 문화 상대주의와 가치상대주의의 연계 문제, 문화본질주의적 시각의 문제들로 요약 된다. 이상의 상황적 한계와 문화철학적 문제들을 극복함으로써 한국 사회 현실에 적합한 규범적 당위성과 구현 및 문제해결 가능성을 가진 한국의 다문화주의 성격을 모색하였다. 그리고 이같이 도출한 한국적 다문화주의 철학으로부터 교육의 논리로 번역한 한국 다문화교육의 철학과 방향을 결론적으로 제안하였다. 그것은 다문화 시민성 교육, 다층적 문화정체성의 육성, 다양한 문화에 대한 도덕교육적 측면의 강화, 문화를 넘어서는 실존적 문화인의 육성, 다문화적문해 능력, 그리고 다문화교육의 평생 교육적 측면을 포함해야 하는 것으로 결론지었다. Faced with the multicultural challenge of the Korea and the world, this study explores the philosophy of multicultural education of Korea, based on the analysis of multicultural conditions of the society and underlying multiculturalism as cultural philosophy. As Korean society is not yet to be structurally prepared to meet the relevant multicultural conditions, multicultural policy, its social discourse and education have been limited to government policies, and one-directional assimilation of Korean culture. The critical problems of multiculturalism are in the interpretation of culture as determinism, the concept of culture as group identity and unchanging essence, and absolute cultural relativism. Therefore, the multicultural philosophy with contextural relevancy for current society need to meet the limitations of multicultural conditions and overcome the problems of cultural philosophy itself. Finally, the philosophy of multicultural education is translated from the multiculturalism reconceptualized. The directions of multicultural education derived are: multicultural citizenship, multidimensionality of cultural identity, respect for cultural differences and cultural criticism, respect for cultural transcendence of individual, multicultural literacy, and extending the multicultural education to social and life-long enterprise.

      • 철학과 도덕ㆍ윤리의 본질과 성격, 그리고 그 교육방안 : 도덕ㆍ윤리 연구의 철학귀속성과 도덕ㆍ윤리 교육의 정체성

        홍윤기 한국철학교육학회 2009 철학ㆍ윤리 교육 연구 Vol.25 No.41

        도덕교과개정시안의 현장 검토에서 한국의 초ㆍ중ㆍ고등학교 도덕 교사들은 도덕교과의 정체성을 철학과 비판적 사고와 연결시켜 규정하는 것에 상당한 정도로 반발하였다. 그들의 주장은 한 마디로 “도덕ㆍ윤리와 철학은 학문적으로 아무런 관련이 없으며, 철학적 성찰은 그 성격이 모호한 추상적 개념이다.” 는 것이다. 본 논문은 철학과 도덕ㆍ윤리에 관해 한국 도덕 교사들 사이에 엄존하는 이런 오도된 학문관에 충격을 받아 철학과 도덕ㆍ윤리의 학문적 정체성과 그 둘 사이의 내재적 연관성을 단지 원론적 수준이 아니라 학문이론에 기초하여 입증하려고 시도한다. 현대 학문이론에 따르면, 하나의 학문(과학)이 성립하려면 그 학문 고유의 문제의식, 개념, 지적 결과를 생산할 수 있고 타당성 평가를 할 수 있게 만드는 탐구방법. 학문적 표현 및 의사소통 방식이 있어야 한다. 철학은 삶의 존재적ㆍ주체적ㆍ창조적 기반과 관련된 근본적 궁극성에 대한 물음을 고유의 문제의식으로 하여, 현안연관적 개념을 정립하고, 비 판적ㆍ부정적ㆍ창의적 사고를 축으로 하는 철학적 사고를 통해 현안문제에 관한 철학적 의견과 명제를 산출하는 분명한 작동구조를 갖고 있다. 이 가운데 좋음-나쁨, 옳음-그름의 도덕적 평가를 통해 끊임없이 각 인간의 행위, 삶, 성품을 조형하는 ‘윤리학’은 바로 이 평가가 의거하는 도덕적 가치들의 순간순간 의 궁극성으로 인해 더 말할 나위 없는 철학함의 영역으로 유지된다. 즉 윤리학은 그 학문적 정체성에 있어서 결코 철학에서 분화, 독립할 수 없는, 철학에의 내적 귀속성을 갖고 있다. 인간이 왜 도덕적이라야 하는 보다 근본적인 윤리철학의 물음뿐만 아니라 인간은 어떻게 도덕적인가 하는 윤리학 그 자체의 구성요건에 관한 물음도 철학함을 통해 응답되어야 한다. 따라서 철학과 도덕ㆍ윤리의 관계는 불가분리의 내재적 귀속성 관계이며, 어떤 경우에도 비판적 사고는 윤리학의 탐구와 도덕의 정립에서 가장 기본적인 사고방식으로 규정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