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행복주택사업이 타산업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

        최차순(Choi, Cha Soon) 한국부동산학회 2015 不動産學報 Vol.62 No.-

        본 연구의 목적은 행복주택사업이 국민경제에 미치는 파급효과를 분석하여 행복주택사업의 역할과 위상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13년 한국은행에서 발행된 2011년 산업연관표를 이용하여 행복주택사업이 고용, 생산, 수입 및 전․후방효과를 I-O분석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1.행복주택사업이 전 산업 부문에 미치는 생산유발계수는 1.67이며, 생산유발효과는 4조 527억 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수입유발효과는 1,522억원, 부가가치유발효과는 1조 7,667억 원이며, 부가가치유발계수는 0.73, 고용유발효과는 28,959명인 것으로 나타났다. 2.행복주택의 생산유발계수 1.67은 펜션주택 1.45, 보금자리주택 1.65, 택지개발의 생산유발계수 1.50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행복주택이 국민경제에 미치는 파급효과가 큼으로 내수경기를 활성화시키기 위해서는 건설경기의 지속성을 시사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1. CONTENTS (1) RESEARCH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estimate the economic impact of the Happyhouse in the national economy by using the data of 2014 Housing Services Manual of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The economic impacts of the Happyhouse are analyzed under fields : Production, Import, Value Addition and Employment. (2) RESEARCH METHOD The research methods is a static Input-Output(I-O) analysis. The data for this analysis has been used the I-O table of 2011 which is published by the Bank of Korea in 2013. (3) RESEARCH FINDINGS The suggestions that are made from this study are follows : 1. The overall impact of product will be 4,052.7 billion won and the product induction ratio could be 1.67. The gross impact of import will be 152.2 billion won. The gross value added generated from the production will be 1,766.7 billion won and the value added induction ratio could be 0.73. Also, to be measured that 28,959 job will be created due to the Happyhouse construction. 2. This research results indicate that the 1.67 times of the production inducement coefficient of the Happyhouse is higher than the 1.45 of Pention Housing, 1.65 of the Bogeumjari Housing and 1.50 of the development of housing site. 2. RESULTS For this above macroeconomic analysis , the paper concludes that the Happyhouse have a big positive impact in the national economy. It is need to continually invest and construct the Happyhouse for turning around of the country economy.

      • KCI등재

        「공공주택 특별법」에서 행복주택에 관한 평가와 과제

        여경수 국회입법조사처 2016 입법과 정책 Vol.8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Happiness Housing (haeng-bok public housing)’ in the special act on public housing. Public housing was established to provide decent and safe rental housing for eligible low-income families, the elderly, the disabled. As a governmental project for universal housing and welfare, Happiness housing refers to public rental houses which attempt to provide high quality housing with low price to young people. Public housing policy in residential welfare policies has been evaluated as the best policy for housing stability. The major problem of Korean housing policy is that the change of housing policy corresponding to current circumstance has not been sufficiently reflected despite the structural change of Korean society. Happiness housing aims to create a vibrant living areas for young people. Happiness housing creates jobs for its residents and neighbors. Happiness housing can be a economic growth force for local community by attracting local business, accomodations, and public facilities. With regard to the invigoration of Happiness housing, 「Special Act on Public Housing」 specifies various exemption laws in area such as public facilities district. However, concerning the Happiness housing, a few issues such as conflict with residents in neighboring towns, housing rent, and eligibility rules, can arise. Therefore, these issues need to be fully considered when implementing the Happiness housing policy. 본 논문은 공공주택특별법상 행복주택에 관한 연구이다. 공공임대주택은 공공이 재정 또는 기금의 지원을 받아 건설, 매입하여 분양 또는 임대를 목적으로 공급하는 주택이다. 행복주택은 공공시설부지와 공공기관 보유 토지 등을 활용하여 대학생・신혼부부처럼 주거취약계층에게 임대주택을 건설・공급하는 주택이다. 행복주택은 주로 젊은 계층에게 적절한 주거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공공임대정책이다. 공공임대주택정책은 주거복지정책에서 주거안정을 위한 최선의 정책으로 평가받고 있다. 그럼에도 우리나라 주택정책의 문제는 우리사회가 구조적인 변화가 이미 진행되고 있음에도, 시대환경에 맞는 주택정책의 변화가 충분히 반영되지 못하는 점이다. 행복주택은 시대변화에 부응하기 위한 공공임대주택의 하나의 유형으로 도입되었다. 행복주택은 비교적 젊은 계층이 정주하는 활기찬 주거단지를 조성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행복주택은 입주민들이 지역 사회와 동화되어 일자리를 창출하도록 한다. 행복주택단지 내에 숙박시설, 상업시설, 공공시설을 입주시켜서 행보주택단지가 지역사회의 경제성장 동력이 되고자 한다. 「공공주택 특별법」상 행복주택의 성공적인 정착을 위해서 공공시설부지 등에서 각종 특례를 규정하고 있다. 하지만 행복주택사업과 관련해서 인근 주민과의 갈등, 행복주택 임대료와 행복주택 입주자격에 관한 논란의 소지가 있다. 행복주택의 성공적인 시행을 위해서는 향후 갈등 관리, 행복주택 임대료 조정 및 입주자격의 문제에 관한 면밀한 검토가 필요하다.

      • KCI등재

        행복주택리츠의 사업구조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장인석(Chang, In Seok) 한국부동산학회 2018 不動産學報 Vol.75 No.-

        이 연구는 리츠를 활용한 행복주택 공급에 대해 처음으로 시도되는 연구로서 행복주택리츠 공급사례와 도입 효과를 살펴보고 행복주택리츠 운용의 지속을 위한 사업구조 개선방안을 모색한 것이다. 금번 연구에서 소개하는 행복주택리츠는 그동안 손실사업으로 인식되었던 장기공공임대주택에 대해 민간재원 투입이 가능하도록 공공정책과 금융기법을 결합하는 것이다. 연구결과 행복주택리츠는 공공사업시행자 부채감축에 괄목할만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의 확장을 위해 행복주택리츠는 최소 수익창출을 전제로 하므로 합리적인 제비용 결정과정과 기금 출자의 내부수익률 및 융자금리 조정 필요성을 설명하였다. 이와 더불어 부동산금융 관점에서 행복주택리츠는 30년 임대운영의 초장기 상품이므로 안정적인 재원조달 및 합리적 의사결정을 위해 허브리츠 설립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1. CONTENTS (1) RESEARCH OBJECTIVES The long-term public rental housing supply using for REITs is a new turning point that combines financial technology and public works by constructing a vehicle. Which it can finance private investment in rental housing business that has been recognized as a loss business. This study sought to improve the business structure and rational system improvement for the sustainability of the supply of happy houses supplied by the REITs. (2) RESEARCH METHOD This study empirically aid to compares the difference of happy housing supply structure as the direct construction of the public project owner and the REITs. For this purpose, we compare the size of the debt and the business balance as the business effects of the direct construction method of happy houses and the financing method as the REITs. (3) RESEARCH FINDINGS As a result, it is emphasized that the starting point of happiness house REITs is rational decision making in order to apply the cost ratio for improvement of business performance unlike the existing direct construction method. It is necessary to diversify the business structure that can combine profitable business with profitable business such as happy house by utilizing HUB REITs structure. 2. RESULTS Happy Housing REITs should be recognized as a new turning point in the supply of long-term public rental housing and diversification of business methods for public works project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that the investment of REITs by existing public project developers is separated by accounting, and to reasonably select the cost reduction process of REITs operation mechanism.

      • KCI등재

        장기공공임대주택에서의 행복주택 주거단지 계획특성에 관한 연구

        박철흥,안정근,배민철 한국주거환경학회 2017 주거환경(한국주거환경학회논문집) Vol.15 No.4

        'Happy housing' was planned to construct long-term public rental housing by utilizing unused state/public land such as railway site in downtown. Approach to job&home, youth group & local vitalization, are three key words of Happy housing, which makes it different from Permanent rental housing & National rental housing, the existing long-term public rental housing that used to be built on the housing development site in the outskirts of city. This study has tried to empirically analyze the land use of the proposed site, density plan, size of housing unit, the current situation of planning the local amenities toward the Happy housing 148 complex which was approved as a business from 2013 to 2016. As a result of analysis, the proposed site of Happy housing was located as various uses such as public site of government office building in the downtown, terminal site & market place, furthermore, it was located the existing developed land for housing for more than 50% due to the limitation of urban available housing site. The average number of households amounts to 600 ones, while the average floor area ratio for residential area is shown to be 166%. Though the number of households compared with that of Permanent rental housing & National rental housing is 209 households smaller, but the floor area ratio has been shown to be 20% higher. The unit household has been planned focusing on single-person & two persons household, while 4 types of 16㎡, 21㎡, 26㎡, 36㎡ occupy 86% of the whole households. Local amenities projected for the local vitalization are mostly composed of social enterprise, national & public child-care center as well as share-house of cooperative child-care whose whole facilities occupy 52% out of 11 amenities, which reflects the higher interest of the relevant area for creating local jobs & child-care. In order to supplement & develop Happy housing, securing high quality proposed site, extending the size of unit household for newly married couples, expanding the local amenities positively and strengthening the community facilities specialized for youngsters are necessary, furthermore, the combination of rental housing among Permanent housing, National rental housing and Happy housing is required. 행복주택은 철도부지 등 미사용 도심내 국공유지를 활용하여 장기공공임대주택을 건설하기 위해 계획되었다. 직주근접, 젊은계층, 지역활성화는 행복주택의 핵심 3대 키워드이며, 도심 외곽 택지개발지구에 건설되었던 기존 장기공공임대주택인 영구,국민임대주택과의 차별화 요소이기도 하다. 본 연구에서는 '13년-'16년 사업승인된 행복주택 148단지에 대해 후보지 토지용도 및 계획 밀도, 단위세대 규모, 지역편의시설 계획현황을 실증분석하고, 영구,국민임대주택과의 차이점을 제시하였다. 분석 결과 행복주택의 후보지는 도심내 공공청상부지, 터미널부지, 시장부지 등 다양한 용도에 입지되었으며, 도심 가용택지의 한계로 기 개발된 택지개발지구에도 50% 넘게 입지되었다. 평균 세대수는 600세대, 주거지역 평균용적률은 166%로 영구,국민임대잔지에 비해 세대수는 209세대 적으나 용적률은 20% 높게 나타났다. 이는 작은 대지면적에 고밀 계획을 의미하며, 도심내 입지하는 행복주택의 특징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단위세대는 1,2인 가구 위주로 계획되어 16m2, 21m2, 26m2, 36m2 4개 타입이 전체의 86%를 차지한다. 지역활성화를 위해 계획되는 지역편의시설은 사회적기업, 국공립어린이집, 공동육아나눔터가 전체 11개 시설 중 52%를 차지해 지역 일자리 창출과 보육에 대한 다앻 지역의 높은 관심을 반영한다. 도심내 주거빈곤에 시달리는 젊은계층에 제공되는 행복주택은 성공적 임대주택 정책으로 평가받고 있다. 이를 보완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양질의 후보지 확충, 신혼부부를 위한 다누이세대 규모 확대, 지역편의시설의 적극적 확충과 젊은 계층에 특화된 커뮤니티시설의 강화가 요구되며, 나아가서는 영구임대,국민임대,행복주택간 임대주택의 통합이 필요하다.

      • KCI등재

        도시재생 연계형 소규모 행복주택 사업모델 개발 연구

        김옥연(Kim, Ok-Yeon),권혁삼(Kwon, Hyuck-Sam) 한국도시설계학회 2017 도시설계 : 한국도시설계학회지 Vol.18 No.4

        행복주택은 사회초년생 등 사회활동이 활발한 젊은 층을 위한 공공임대주택으로서 직주근접이 가능하고 기존 생활인프라 시설이 있는 도심 내에 공급해야 한다. 그러나 도심 내에 임대주택 건설 가용부지가 부족하고 높은 지가 등으로 기반시설의 설치 없이 소규모로 행복주택을 공급할 가능성이 크다. 특히 노후 다가구매입임대주택을 재건축하여 행복주택으로 공급하는 경우 소규모점적 형태로 분산 개발함에 따라 난개발의 우려와 관리업무의 어려움이 예상된다. 따라서 도심내에 행복주택을 공급하는 경우 행복주택 지구를 중심으로 일정 범위의 주변지역의 기반시설도 함께 정비하는 도시재생 연계형 소규모 사업방식으로 추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도심내 행복주택 공급사례 중에서 주변지역 정비와 연계한 사업을 심층 분석하여 도심내 행복주택 공급시 주변지역 정비에 대한 계획내용과 구체적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 주변지역 정비를 담당하는 지자체의 부담을 줄이기 위한 국비사업과의 연계방안 등을 제시하였다. The “Haeng-bok” public rental housing project provides houses designed for young people who have just started working or are actively engaged in social activities. Therefore, “Haeng-bok” public rental housing should be located in the inner city where it is easy to commute to work and use the existing infrastructure. In the inner city, however, it is highly likely that public housing is developed on a small scale without infrastructure because of the lack of available land and high land prices. In particular, when multi-family rental housing for the elderly is redeveloped for “Haeng-bok” public rental housing, it can cause urban sprawl and congestion in the inner city because the new public housing tends to be developed sporadically on a small scale, like scattered dots. For this reason, when “Haeng-bok” public rental housing is provided in the inner city, it is necessary to systematically manage the city and overcome opposition to it from inhabitants and local governments by renewing the infrastructure in the neighboring areas of the public housing district. To this end, the present study conducted in-depth analysis on the previous “Haeng-bok” public housing projects that were carried out concurrently with neighboring area renewal; the objective was to suggest detailed plans and specific guidelines for such renewal in case of similar future developments in the inner city. As local governments should take charge of neighboring area renewal, this study suggested a way to link it with a state-funded project in order to ease their financial burden.

      • KCI등재

        행복주택의 지속가능성 제고 방안에 관한 연구 - 스마트성장 정책의 관점을 중심으로 -

        유상조 ( You Sang Jo ) 한국감정평가학회 2016 감정평가학논집 Vol.15 No.2

        본 연구의 목적은 행복주택의 지속가능성을 스마트성장(smart growth) 정책의 관점에서 조명해 보는 것이다. 이러한 접근은 행복주택의 부지공급 가능성이라는 좁은 의미의 지속가능성을 넘어 도시 및 주택정책의 보다 거시적이고 장기적인 시각에서 행복주택의 지속가능성을 살펴볼 수 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스마트성장은 1990년대 미국에서 도시의 무질서한 외연확산(urban sprawl)이 야기하는 토지이용, 교통혼잡, 환경파괴, 도심 공동화 등의 다양하고 복잡한 문제에 종합적으로 대처하기 위한 방안으로 등장하였다. 스마트성장 정책의 10가지 원칙 중 행복주택의 지속가능성에 기여할 수 있는 5가지 원칙, 즉 (1)부담가능한 주택의 공급, (2)직주근접의 실현, (3)주택과 비주택의 혼합을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 도모, (4)도심재생에서의 활용, (5)공동체 형성(community-building)의 기재 등을 도출하였다. 각각의 원칙들이 기존의 공공임대주택의 부정적 측면을 극복한 차별성 있는 행복주택을 만들기 위해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향후 행복주택이 진정한 의미의 ‘행복’ 주택으로 자리 잡기 위해서는 우리의 실정에 맞는 스마트성장 정책의 정치한 적용과 행복주택 거주자와 주변 거주자에게 생기는 변화를 지속적으로 관찰하고 분석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review the Happy House’s sustainability from the perspective of smart growth policy. It is meaningful to examine through the macro and long-term urban and housing policy view beyond the narrow sustainability called site capacity for Happy House supply. Smart growth was introduced to cope comprehensively with the various and complex problems such as land use, traffic jam, environmental destruction, inner city decline caused by the urban sprawl in the United States in the 1990s. The 5 principles are drawn by the way that literature review and interview with public officials among the 10 principles of smart growth policy. The 5 principles are as follows: (1) Supplying affordable housing, (2) Fulfilling job Housing proximity, (3) Boosting local economy by the mix housing with non-housing, (4) Using in urban revitalization, (5) Means of community-building. How to apply each principle is analyzed to make distinctive Happy House that overcomes the negative aspect of the existing public housing. It will be necessary to consistently examine and analyze the changes of the dwellers in and around the Happy House for its sustainability.

      • KCI등재

        공공임대 행복주택이 인접 주택의 가치에 미치는 영향 연구

        정재훈,박정훈 서울대학교 한국행정연구소 2020 行政論叢 Vol.58 No.3

        Happy Housing is a type of Public Rental Housing characterized by constructing low-priced houses using cheap land owned by the public in the city center and supplied mainly to younger people such as college students, young adults, and newlyweds. However, Happy Housing projects are often delayed, scaled down, or canceled due to the strong resistance and collective action by nearby residents. The main cause of this phenomenon is unclear recognition and concerns about a possible drop in the sale price of adjacent houses. In this context, this study conducted a difference-In-differences analysis to identify empirically the effect of Happy Housing occupancy on sale price using houses nearby as an experimental group and houses not nearby as a comparison group. The aggregate data results show that Happy Housing has a positive significant effect on the sale price of nearby houses, contrary to resident concerns of a price drop. The results analyzed for each Happy Housing complex showed a positive significant effect for the Chun Wang 7 complex whereas those for the Gang Il 11 complex were not significant. Additional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also shows similar results. All of the results lead to the conclusion that Happy Housing has a positive, or at least neutral, effect on the sale price of nearby houses. Some policy implications are suggested based on this analysis. 공공임대 행복주택은 도심 내 공공이 보유한 저렴한 토지를 활용하여 주택을 건설하고 대학생, 청년 및 신혼부부 등 주로 젊은 계층을 대상으로 공급하는 정책이다. 하지만 행복주택은 대상지 인근 주민들의 거센 반발과 집단행동으로 인해 사업이 지연·축소되거나 일부는 취소되는 경우도 발생하고 있다. 공공임대주택 정책 집행과정에서 최대 난관으로 지적되고 있는 이러한 현상의 주요원인으로 인접한 주택의 가격하락에 대한 지역주민의 막연한 우려 및 님비(NIMBY) 현상을 들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행복주택이 인접한 주택의 매매가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실증적으로 확인하기 위해 대상 행복주택 단지에 인접한 주택을 실험집단으로 인접하지 않은 주택을 비교집단으로 하여 대상 행복주택 단지의 입주 전과 후의 매매가격 변화를 확인하는 이중차분 분석을 진행하였다. 통합 자료를 활용한 연구결과 행복주택의 입주는 인접한 주택의 가격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행복주택 단지별 분석에서는 천왕 7단지의 경우는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강일 11단지의 경우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은 결과를 보였다. 추가적으로 분석한 위계적 조절회귀분석에서도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결과를 종합하면 행복주택이 인접주택의 가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거나, 적어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행복주택이 실제 입주이후 인접 주택의 가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실증적으로 검증한 최초의 연구 결과로 추정된다. 분석 결과에 근거하여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행복주택이 인근 비아파트 임대료에 미치는 영향

        윤명탁 ( Yun Myung-tak ),이창무 ( Lee Chang-moo ),노희순 ( Roh Hui-soon ) 한국부동산분석학회 2021 不動産學硏究 Vol.27 No.1

        행복주택은 대학생, 신혼부부, 사회초년생 등 젊은 층의 주거안정을 위해 공급되는 공공임대주택이다. 공공임대주택 제도는 주거안정이란 필요성에도 불구하고 부정적 인식으로 인해 걸림돌이 되고 있다. 원활한 공급과 정부대응을 위해서는 행복주택이 주변 주택시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이 필요하다. 현재까지 공공임대주택의 공급 효과에 관한 연구는 주로 아파트를 대상으로 논의되어왔다. 하지만 본 연구는 비아파트의 임대료를 알아본다는 차원에서 차별성을 둘 수 있고 행복주택의 영향권 내 아파트 외 유형의 가격 변화를 분석하는 것 또한 의의가 있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의 설정한 최대거리 권역은 행복주택을 중심으로 반경 1.6km이다. 이는 반경 1.6km를 초과하게 되면 주택의 비아파트 주택간 이질성으로 인해 추정결과가 왜곡될 수 있으며, 최대거리 권역 내 비아파트 주택들의 가격추세는 동일하다고 간주하기 위함이다. 이 후 분석은 행복주택과의 거리를 기준으로 인접권역내지역과 인접권역외지역으로 분리하여 각 그룹의 임대료를 행복주택 공급 전후로 비교하게 된다. The Happy house is a form of public rental housing with the aim of providing affordable housing for young people including college students, newlyweds and social beginners. Negative public perceptions of public housing, however, have been a major obstacle to expanding it. Given the importance of public rental housing in the housing policy, the effects of the Happy House development on the local housing market need to be carefully examined. While empirical studies have mainly focused on the effect of public rental housing on the value of neighboring apartments,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 on non-apartment rents. The distance threshold for the empirical methodology is set at 1.6 km from the Happy House, assuming that the price trend of housings remains constant over time within the area. Heterogeneity in housings would be a crucial empirical issue beyond the 1.6 km threshold. For the empirical analysis, rents are compared between two groups - housings within and beyond the threshold - over two time periods: before and after the development of the Happy House.

      • KCI등재후보

        민간부문을 활용한 행복주택 사업활성화 방안에 대한 연구

        김용순(Kim, Yong Soon),이석제(Lee, Seok Je),남영우(Nam, Young Woo) 대한부동산학회 2015 大韓不動産學會誌 Vol.33 No.1

        행복주택은 대학생 및 신혼부부의 주거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안으로 사회적으로 많은 관심을 받고 도입되었다. 그러나 현재 행복주택의 공급은 원활하게 진행되지 못하고 있다. 사업을 도입한 초기단계에서는 인근주민의 반대로 적정한 입지확보가 쉽지 않았으며 실행단계에서는 재원마련이 걸림돌이 되고 있다. 특히 그동안 임대주택공급을 주도하던 LH공사의 재무구조악화로 행복주택의 공급에도 민간자본의 참여가 필요하게 되었다. 따라서 민간자본의 참여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도적 기반이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행복주택공급에 민간부문이 참여하기 위한 방안으로 노후임대아파트의 재건축 및 민간소유토지를 활용한 행복주택의 공급을 제시하였다. 특히 수익성확보를 위해서 분양아파트의 개발과 병행하거나 상업용 시설을 설치하는 등 복합개발의 방식으로 사업이 필요하다는 점을 제안하였다. 행복주택사업의 수익구조 개선방안으로는 행복 주택의 운영기간이 30년으로 민간투자자들이 참여하기가 어려우므로 투자기간을 10년 단위로 구분하고 리파이낸싱을 하는 방안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민간부문의 투자유치를 위한 손실보전방안으로는 최소비용보전방식의 도입이나 갭펀드의 도입 등을 제시하였다. Happy House has been introduced as an alternative for solving social housing problems of college students and newlyweds. However, the current supply of Happy house has not been going smoothly. Because of opposition from nearby residents in the initial stage of the project it was not easy to find a suitable location. In the execution phase funding it has been a stumbling block. The participation of private capital was needed to supply the happy house in worse financial structure of LH rental housing construction. Therefore, the institutional framework must be established for the participation of private capital. In this study, the proposed supply of a happy home and utilizing reconstruction of old apartments for rent privately owned land. In particular, this study proposes to perform with the development of a condominium for profitability. The development of condominiums and commercial facilities for the profitability of a proposed mixed-use development to install along the way. Happiness House of the operating period is difficult to private investors participated in 30 years. Thus separate investment period decade and it is necessary to the refinancing. In order to reduce the losses of the private sector suggested the Gap Fund and MCC.

      • KCI등재

        공공임대주택이 인근 아파트가격에 미치는 영향 - 서울시 LH공급 행복주택을 중심으로 -

        양지은,김재환,심희철 사단법인 한국융합기술연구학회 2023 아시아태평양융합연구교류논문지 Vol.9 No.6

        In accordance with the rapidly changing real estate policy, price instability in the real estate market has led to failure to stabilize housing prices and instability in the jeonse market. Accordingly, the government is supplying various housing welfare policies to young people such as college students, young people, and newlyweds by utilizing inexpensive land in the city center. However, it is difficult to choose the location of public rental housing due to vague concerns from residents about falling prices of nearby houses such as the NIMBY phenomenon. Like these residents' concerns, we would like to confirm whether public rental housing actually affected the prices of nearby apartments with the case of happy housing supplied by the Korea Land and Housing Corporation to Seoul. Based on the first moving-in date, this study selected a happy housing (Oryu Happy House, Gajwa Happy House) with more than 200 households supplied by the Korea Land and Housing Corporation from 2022. First, the average apartment price increase rate three years before the project was implemented and the last three years was compared. For comparison, apartments with more than 100 households within 500m of the straight line distance from the Happy Housing Complex were set as adjacent apartments, and apartments with more than 100 households within 1km were set as comparison groups. In addition, based on the Hedonic price model, the sales cases of the target site were analyzed after the project was implemented.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straight distance from the happy housing case site did not affect the increase in apartment sales prices. 급변하는 부동산 정책에 따라 부동산 시장의 가격 불안으로 집값 안정 실패와 전세시장 불안이 나타나고 있다. 이에, 정부는 도심의 저렴한 토지를 활용하여 대학생, 청년, 신혼부부 등 청년층을 대상으로 다양한 주거복지 정책을 공급하고 있다. 하지만 님비(NIMBY) 현상과 같은 인근 주택의 가격 하락에 대한 주민들의 막연한 우려로 인해 공공임대주택 입지 선정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런 주민들의 고민과 같이 실제로 공공임대주택이 인근 아파트 가격에 영향을 미쳤는지에 대해 한국토지주택공사가 서울에 공급한 행복주택 사례를 대상으로 확인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2022년까지 한국토지주택공사가 공급한 200가구 이상의 행복주택(오류 행복주택, 가좌 행복주택)을 연구 대상지로 선정하였다. 일차적으로 사업시행 3년 전과 최근 3년 간의 아파트 평균 가격상승률을 비교하였다. 비교를 위해 행복 주택단지와 직선거리 500m 이내의 100가구 이상 아파트를 인접 아파트로, 1km 이내의 100가구 이상 아파트를 비교집단으로 설정하였다. 또한 헤도닉가격모형을 기반으로 사업 시행 이후 해당 대상지의 매매 사례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행복주택 사례지와의 직선거리는 아파트 매매 가격 상승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