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학업적, 사회적 성취목표지향성의 잠재프로파일에 따른 학업적, 사회적 적응의 차이

        염혜선(Hyeseon Yeom),이은주(Eunju Lee) 한국교육심리학회 2016 敎育心理硏究 Vol.30 No.1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학업적 및 사회적 성취목표지향성에 따른 잠재프로파일을 구분하고 프로파일에 따른 학업성취, 또래관계, 학업적 및 사회적 유능감의 차이를 검증해보고자 하였다. 특히 다중목표관점에서 개인중심적 접근 방법을 통해 잠재프로파일별 학업적 및 사회적 적응을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었다. 8개 초등학교에 재학중인 5, 6학년 학생 647명(남 303명, 여 347명)을 대상으로 연구한 결과, 학업적 및 사회적 성취목표지향성에 따라 ``높은 성취목표형``, ``평균 성취목표형``, ``낮은 성취목표형``의 3가지 유형으로 구분되었다. 학업적 및 사회적 성취목표가 모두 높은, 높은 성취목표형은 평균 성취목표형과 낮은 성취목표형에 비해 학업성취, 학업적 및 사회적 유능감에서 유의미하게 높은 수준을 나타냈다. 낮은 성취목표형에 비해 학업적 및 사회적 수행접근과 수행회피목표가 유의미하게 높은 평균 성취목표형이 유의미하게 낮은 수준의 또래관계 질을 나타냈다. 본 연구는 학업적 및 사회적 숙달목표뿐만 아니라 수행접근과 수행회피목표도 높은 집단이 학업적, 사회적 적응이 가장 우수함을 보여준다. 그러나 학업적 및 사회적 숙달목표가 낮을 경우에는 수행접근과 수행회피목표 수준의 차이는 학업적, 사회적 적응의 차이로 이어지지 않았으며, 또래관계 질의 경우 학업적 및 사회적 수행접근과 수행회피목표가 낮을수록 오히려 긍정적 효과가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이론적 함의와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이 논의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latent profiles of academic and social achievement goal orientations an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perceived academic achievement, friendship quality, academic competence and social competence among profile groups. Applying latent profile analysis with 647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ree distinct profiles of academic and social achievement goal orientations were identified; high achievement goal profile (i.e., high in both academic and social goals), average achievement goal profile (i.e., average level in both academic and social goals), and low achievement goal profile (i.e., low in both academic and social goals). High profile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levels of perceived academic achievement, academic competence, and social competence than other two roups. Average profile group and low profile group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perceived academic achievement, academic competence, and social competence, except for the friendship quality. Although average profile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performance- approach and performance-avoidance goals than low profile group, these differences did not lead to the differences in academic and social adjustment. Given that these two groups had low mastery goals, the positive effects of performance-approach and performance-avoidance goals may be limited to the children with high mastery goals. The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 KCI등재

        환경적 요인에 의한 대학생의 학교생활 만족도와 학업성취에 관한 연구

        공효순 ( Hyo Soon Kong ) 아시아.유럽미래학회 2011 유라시아연구 Vol.8 No.2

        학습자들의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중에 학교생활만족은 매우 중요한 매개변인으로 추정, 인식되고 있다.이것은 학업성취를 높이기 위한 제 환경의 개선은 먼저 학습자의 학교생활만족을 고려하여 이루어져야 하고 학교생활만족이 개선될 때 비로소 학업성취의 향상이 이루어질 것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즉, 학교생활만족이 없는 상황 하에서는 학업성취의 향상을 기대할 수 없을 것임을 시사하는 것이다. 그러나 학교생활만족이 매개변인으로서의 기능을 항상, 언제나, 어느 상황에서나 수행하는 것인지의 여부에 대해서는 의문이 제기된다. 상황에 따라 학교생활만족이 이루어지지 않아도 학업성취는 그 필요성의 강약, 학습자의 정신적, 육체적 제 조건 등, 다른 변인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번 연구는 위와 같은 필요성에 따라 다른 상황, 다른 환경에 있는 다른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학교생활만족이 학업성취에 매개변인의 역할을 수행하는지 여부를 실증적으로 조사 검증하여 학습자의 환경이 어떠한 이유와 과정을 학습자에게 제공하여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발견하려는 시도인 것이다. 이번 연구에서는 호텔경영학 전공자의 학업수행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제 학습 환경요인 중 물리적 환경, 작용적 환경, 전공에 대한 비전, 소진경험 등이 호텔경영학 전공자의 학교생활만족, 학업성취 등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 가에 대하여 조사, 분석하였다. 특히 이때 학교생활만족이 매개변수로의 역할을 수행하는지 여부를 추정하는 것이 이 연구의 주목적 중에 하나이다. 이에 따라 이번 연구를 통해서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물리적 환경, 작용적 환경, 전공비전 등은 모두 학교생활만족에 정(+)의 관계를 나타낸다. 그러나 이때 학습자의 소진경험은 학교생활만족과 유의한 관계를 나타내지 않았다. 둘째, 학교생활만족은 학업성취와 정(+)의 관계를 나타낸다. 셋째, 소진경험을 제외한 물리적 환경, 작용적 환경, 전공비전 등은 학업성취와도 직접적으로 정(+)의 관계를 나타낸다. 이것은 학교생활만족이 매개변수로서의 역할을 수행하지 않음을 시사해 준다. 즉, 이때 물리적 환경, 작용적 환경, 전공비전 등은 학교생활만족을 통해서만 학업성취에 정(+)의 관계를 갖는 것이 아니고 직접적으로도 학업성취에 정(+)의 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나, 학교생활만족은 학업성취의 주요 매개변수가 되지 못하는 것으로 추정되는 것이다. 이는 호텔경영학 전공자들의 학업향상, 학업성취에 필요한 학습 환경을 개선할 때에 학교생활만족을 우선적으로 고려할 필요성이 요구되지는 않는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는 것이다. 즉 호텔경영학 전공자들에 있어 학교생활만족은 학업성취 고양에 필요한 중요 독립변수 중에 하나임에 틀림없으나 학교생활만족만이 학업성취에 최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할 사항은 아닌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검증결과는 교육현장에서 상기의 변인들에 대한 고려가 우선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최선의 노력을 경주하여야 할 것을 시사해 준다. Among various parameters influencing students` scholastic achievements, satisfaction of school life is assumed to be a very important parameter. This means that improvement of environments for elevating scholastic achievements shall be performed in consideration of students`` satisfaction of school life above all and that elevation of scholastic achievements shall be realized only when satisfaction of school life is improved. In other words, it indicates that elevation of scholastic achievements cannot be expected without satisfaction of school life. A question is raised, however, whether satisfaction of school life functions as a parameter always at any time and in any situation. place. It is considered that, even though satisfaction of school life is not achieved in a certain situation, scholastic achievements also can be influenced by other parameters such as strength of necessity, students` psychological, physical conditions, etc. Accordingly,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i) to positively investigate whether satisfaction of school life of various students in different situations and different environments functions as a parameter of scholastic achievements, and (ii) to find what causes and processes such students`` environments provide for students to influence their scholastic achievements. This study investigated and analyzed how physical environments, process environments, visions of job, burn-out experience, etc. among various learning environments probably influencing learning of the students majoring in Hotel Management Science influence their satisfaction of school life, scholastic achievements. etc. In particular, it is one of the main purposes of this study to assume whether satisfaction of school life functions as a parameter. The results obtained through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 Firstly, physical environments, process environments, visions of job, etc. were all in positive (+) relation to satisfaction of school life. Burn-out experience of students, however, did not show a significant relation to satisfaction of school life. Secondly, satisfaction of school life showed a positive (+) relation to scholastic achievements. Thirdly, physical environments, process environments, visions of job, etc., except burn-out experience, also showed directly positive (+) relations to scholastic achievements. This indicates that satisfaction of school life does not function as a parameter. In other words, it is found that physical environments, process environments, visions of job, etc. are in positive (+) relations to scholastic achievements not only through satisfaction of school life, but also in a direct manner. Accordingly, it is assumed that satisfaction of school life is not an important parameter of scholastic achievements. It indicates that it is not required to primarily consider satisfaction of school life for the purpose of elevating scholastic achievements of the students majoring in Hotel Management Science and improving their learning environments. In other words, in case of the students majoring in Hotel Management Science, it is judged that satisfaction of school life is definitely an important independent parameter of scholastic achievements, but is not considered the only most primary factor for elevating scholastic achievements. Accordingly, these findings of this study indicate the necessity of doing best efforts to primarily consider above-mentioned parameters in schools.

      • KCI등재

        청소년 학업성취도의 종단적 변화와 영향요인 분석: 정의적 특성을 중심으로

        최진수,정혜원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12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longitudinal effect of affective characteristics of adolescents on academic achievement. Methods To do this, hierarchical linear growth model was applied to the 1st to 3rd year of the 1st panel by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2018 (KCYPS 2018). Results First, academic achievement increased linearly over the years. Second, the initial status of academic achievement appeared to be higher as creativity, monthly average income, and father's final education were higher. And emotional problems, life satisfaction, and number of siblings showed negative effect on the initial status. Third, it was found that academic enthusiasm had a significant effect on both initial status and change rate of academic achievement. Especially for the girls, the rate of change in academic achievement was in a positive direction. Conclusions It is expected to provide basic data to discuss variou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for increasing academic achievement by improving students' intrinsic and affective characteristics. 목적 본 연구는 청소년의 정의적 특성이 학업성취도의 종단적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연구를 위해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 2018 (KCYPS 2018)의 중1 패널 1차(2018년)~3차년도(2020년) 자료를 활용하였다. 학업성취도의 종단적 변화와 개인차를 탐색하고자 2수준 다층 성장 모형(hierarchical linear growth model)을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학업성취도의 초기치와 변화율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고, 창의성, 월평균 소득, 아버지 최종학력이 학업성취도의 초기치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쳤다. 정서 문제, 삶의 만족도, 형제자매 수는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이들 변인이학업성취도 변화율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아 변인의 긍정적 영향력이 지속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업열의는 학업성취도의 초기치와 변화율에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학업열의가 높을수록 학업성취도 초기치가 높지만, 학업성취도의 평균적 선형 감소 양상을 보이는데 학업열의가 높은 경우 이와 같은 감소율을 더욱 증가하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넷째, 성별에 따라 학업성취도의 변화율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여학생의 경우 학업성취도 변화율이 양적 방향인 것으로나타났다. 결론 청소년들의 학업성취도를 예측할 수 있는 개인의 정의적 특성요인과 가정환경요인을 함께 탐색함으로써 학업성취도의 효과적인 향상을 위해 다양한 교수학습 방안을 논의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학업성취도가 낮은 학생에 대한 학업성취 프로그램 효과 메타분석

        배병덕,이옥인,박은영 한국특수아동학회 2019 특수아동교육연구 Vol.21 No.1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academic achievement program for students with low academic achievement through meta-analysis. The research problems were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magnitude of the academic achievement program for students with low academic achievement? Second, what is the effect size of the characteristics of research (independent variable, student type, interventionist, subject, dependent variable, school level) and the intervention characteristics(intervention period, intervention time, intervention environment) of the academic achievement program for students with low academic achievement? Method: For this purpose, 20 experimental research papers published in the Korea Citation Index (including candidates) of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were analyzed. Data analysis was performed by using the meta-analysis program CMA (Comprehensive Meta Analysis 3.0). The standardized mean difference effect size of the academic achievement program was calculated. Results: First, the overall effect size of the academic achievement program was 1.073, which was a very large effect size. Second, the effect sizes of the characteristics of research of the academic achievement program were as follow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independent variable of the academic achievement program, dependent variable, student type, interventionist, subject and school level. Thir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effect sizes of the intervention period (times), intervention time (minutes), and intervention environment, which a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academic achievement program.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rough the meta-analysis, the actual usefulness of the academic achievement program was confirmed by comprehensively analyzing the content and effect size of the academic achievement program for students with low academic achievement. 연구목적: 본 연구는 학업성취도가 낮은 학생을 대상으로 한 학업성취 프로그램의 효과를 메타분석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었다. 연구목적에 따른 세부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학업성취도가 낮은 학생을 대상으로 한 학업성취 프로그램의 효과크기는 어떠한가? 둘째. 학업성취도가 낮은 학생을 대상으로 한 학업성취 프로그램 연구의 특성(독립변인, 학생 유형, 중재자, 교과, 종속변인, 학교 급) 및 프로그램의 특성(중재 기간, 중재 시간, 중재 환경)에 따른 효과크기는 어떠한가? 연구방법: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한국연구재단의 등재지 및 등재 후보지에 출판된 20편의 실험연구 문헌을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 메타분석 프로그램 CMA (Comprehensive Meta Analysis 3.0)를 이용하였으며, 학업성취 프로그램의 표준화된 평균차이 효과크기를 계산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학업성취 프로그램의 전체 효과크기는 1.073으로, 매우 큰 효과크기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업성취 연구의 특성에 따른 효과크기를 분석한 결과 독립변인, 종속변인, 학생 유형, 중재자, 교과 및 학교 급에 따른 효과크기는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업성취 프로그램의 특성인 중재 기간(회), 중재 시간(분), 중재환경에 따른 효과크기는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들은 메타분석을 통해 학업성취도가 낮은 학생을 대상으로 한 학업성취 프로그램 내용과 효과크기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학업성취 프로그램의 실제적인 유용성을 확인하였다는데 시사점이 있다.

      • KCI등재

        학업성취도 수준과 가정의 경제적 수준에 따른 학교적응과 인터넷 중독 성향 차이

        송연주(Song, Yeon-Joo),이동훈(Lee, Dong-Hun),함경애(Ham, Kyung-Ae),이상수(Lee, Sang-Soo) 경성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4 인문학논총 Vol.35 No.-

        본 연구는 초, 중학생의 학업성취 수준과 가정의 경제적 수준에 따라 학교적응과 인터넷 중독 성향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연구대상은 B시에 소재한 21개의 초등학교 4, 5, 6학년 877명과 20개의 중학교 1, 2, 3학년 692명의 학생들과 학생의 담임교사들이다. 가정의 경제적 수준에 대한 지표는 가정 형편이 어려워 학교에서 지원받는 급식비 지원 유무를 사용하였다. 학생은 인터넷 중독 성향 척도에 응답하였고, 교사는 학업성취도 수준과 급식비 지원을 묻는 문항 및 학교적응 척도에 응답하였다. 학업성취도 수준은 우수집단과 보통이하집단으로 구분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학업성취 우수집단과 보통이하집단 간 학교적응과 인터넷 중독 성향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급식비 지원집단과 미지원집단 간 학교적응과 인터넷 중독 성향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학업성취 수준과 가정의 경제적 수준에 따른 학교적응과 인터넷 중독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일원변량분석과 Scheffe 검증을 실시한 결과, 학업성취 보통이하/급식비 지원 집단은 학업성취 우수/급식비 지원 집단, 학업성취 우수/급식비 미지원 집단 및 학업성취 보통이하/급식비 미지원 집단보다 학교적응을 더 어려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터넷 중독 성향은 학업성취 우수/급식비 미지원 집단이 학업성취 보통이하/급식비 지원 집단 및 학업성취 보통이하/급식비 미지원 집단에 비해 낮은 수준의 인터넷 중독 성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업성취 수준과 가정의 경제적 수준의 상호작용에 따라 학교적응과 인터넷 중독 성향에서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기 위해 이원변량분석을 실시한 결과, 상호작용효과가 유의하지 않았다. 분석결과에 기초하여 논의 및 함의가 제시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ifference of school adjustment and internet addiction tendency according to academic performance and home economic status. Home economic status was measured by free school meals. For this study, self-report data was collected from elementary 4-6th school students and middle school students, measuring internet addiction tendency. Their class teachers also completed checklists on academic performance, free school meals, and school adjustment. The students were divided into 2 groups (above-average and low-average) according to the level of academic performance and whether to apply for free school meals or not. One-way Anova, Scheffe test, and two-way Anova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collec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differences on school adjustment and internet addiction tendency between the above-average and the low-average group of academic performance groups. Second, differences on school adjustment and internet addiction tendency whether to apply for free school meals or not were revealed. Third, those who were in the low-average group of academic performance with receiving free school meals were more likely to have on school maladjustment problems and internet addiction tendency compared to other groups. There was no interaction effect between academic performance and home economic status. Based on the results, findings and implications were discussed.

      • KCI등재

        학생이 지각한 교사 성취압력이 고등학생의 학업성취에 미치는 종단적 효과 : 사회경제적 배경과의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백병부 한국교육개발원 2013 한국교육 Vol.40 No.2

        본 연구는 서울교육종단연구 자료를 활용하여 학생이 지각한 성취압력이 학업성취의 제고 및 사회경제적 배경에 따른 교육격차 해소에 어떠한 영향을 끼치는지를 분석한 것이다.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SES는 고등학생들의 학업성취에 독립적인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었다. 구체적으로 SES는 이전 학업성취 수준을 비롯한 여타의 변수들이 통제된 상태에서도 국어, 영어, 수학 과목의 초기 학업성취도를 향상시키고 있었다. 한편 SES는 국어, 영어, 수학 과목의 학업성취 증가율에 부적인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었는데, 그 영향력의 정도가 SES에 따른 초기 학업성취도에서의 격차를 만회할 수 있는 정도는 아니었다. 이러한 결과는 가정배경은 고등학생들의 학업성취 격차를 야기하는 주요 원인 중의 하나임을 입증해 주는 것이다. 둘째, 학생이 지각한 성취압력은 학업성취 수준을 제고하는 데 일정 정도의 도움을 주고 있었지만, SES에 따른 교육격차를 감소시키는 데는 한계가 있었다. 구체적으로 성취압력에 대한 인식은 SES를 비롯한 여타의 변수들이 통제된 상태에서 영어, 수학 과목의 초기 학업성취 수준을 향상시키고 있었다. 그러나 SES와 성취압력과의 상호작용항을 추가로 투입해 본 결과 성취압력에 대한 인식은 국어, 영어, 수학 모두에서 최하의 SES를 가진 학생에 비해 중상 이상의 SES를 가진 학생의 학업성취 초기값을 유의미하게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성취압력을 내면화시키는 것만으로는 가정배경에 따른 학업성취 격차를 감소시키는 데 한계가 있다는 것을 시사하는 것이다. This study uses SELS (Seoul Educational Longitudinal Study) to analyze the longitudinal effects of students' perceived academic press on academic achievement and the educational gap of high school students. The major findings are: First, socio-economic status (SES) has independent effects on the academic achievement of high school students. Specifically, SES increases the initial academic achievement when other variables are controlled. However, SES has negative effects on the achievement slopes of Korean, Math and English, and the effects are such that it is not possible to make up for the achievement gaps in early academic achievement from SES. Second, while academic press plays an important role in academic achievement, there are limitations to how much the educational gap created by SES may be decreased. Specifically, academic press is helpful in raising early academic achievement when other variable are controlled. However, the interaction between SES and academic press increases the academic achievement of higher- and middle-SES students more than that of lower-SES students. These results show that perceived academic press has certain limitations in terms of decreasing the educational gap.

      • 마음챙김, 학업탄력성, 귀인성향과 학습된 무기력의 관계

        김재철(Kim, Jae Chul),문종길(Mun, Jong gil) 한남대학교 교육연구소 2014 교육연구 Vol.22 No.-

        본 연구는 마음챙김, 학업탄력성, 귀인성향이 학습된 무기력에 미치는 영향 및 그것이 학업성취 수준에 따라서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었다. 분석 자료는 부산광역시와 인천광역시의 인문고 학생 704명이었고, 학습된 무기력에 대한 마음챙김, 학업탄력성, 귀인성향의 영향력을 확인하기 위해 중다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을 실시하였다. 또 다집단분석(multiple group analysis)의 원리를 활용하여 마음챙김, 학업탄력성, 귀인성향, 학습된 무기력 간의 구조적 관계가 학업성취 수준에 따라서 달라지는지 보기 위해 학업성취 수준(학업성취 하, 학업성취 상)에 대한 경로계수 동일성 검증을 시도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된 무기력에 대한 마음챙김, 학업탄력성, 귀인성향의 설명력을 분석한 결과, 학습된 무기력에 대한 마음챙김, 학업탄력성, 귀인성향의 영향력은 전체 분산의 54.1% 설명하고 있었고, 마음챙김, 학업탄력성, 귀인성향 모두 학습된 무기력을 유의미하게 설명하는 변수로 나타났으며, 그 중 마음챙김의 설명력이 가장 컸다. 둘째, 학업성취 수준에 따라 학습된 무기력에 대한 마음챙김, 학업탄력성, 귀인성향의 설명력을 분석한 결과, 학습된 무기력에 대한 마음챙김, 학업탄력성, 귀인성향의 영향력은 학업성취 상 등급의 영향력이 학업성취 하 등급의 영향력 보다 더 컸고, 학업성취 상 등급의 경우 마음챙김, 학업탄력성, 귀인성향 모두 학습된 무기력을 유의미하게 설명하는 변수로 나타났으며, 그 중 마음챙김의 설명력이 가장 컸다. 반면, 학업성취 하 등급의 경우 마음챙김, 학업탄력성, 귀인성향 중에서 학습된 무기력을 유의미하게 설명하는 변수는 마음챙김, 학업탄력성이었다. 학업성취 수준에 따라 학습된 무기력에 대한 마음챙김, 학업탄력성, 귀인성향의 영향력이 집단 간에 차이가 나타난 변수는 귀인성향이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impact of mindfulness, academic resilience and attribution on learned helplessness and moderating effect of academic achievement. The data analyzed in this study is a survey data of 704 high school students in P and I city during from July 10 to July 18, in 2014.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SPSS v20 and Amos v20. Major findings are follows. First, mindfulness, academic resilience and attribution were found to have a direct impact on learned helplessness. A total 54% of variance in the learned helplessness was accounted for by impact of mindfulness, academic resilience and attribution. Second, The impact of mindfulness, academic resilience and attribution on learned helplessness was greater, when the level of academic achievement was high, compared to when it was low. In addition, when the level of academic achievement was high, the learned helplessness was accounted for by impact of mindfulness, academic resilience and attribution. But when the level of academic achievement was low, the learned helplessness was accounted for by impact of mindfulness, academic resilience.

      • KCI등재

        부모의 성취압력과 학업성취 간의 관계: 부모의 교육지원행동,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와 학업적 지연행동의 조절효과

        추상엽,임성문 한국청소년학회 2008 청소년학연구 Vol.15 No.7

        본 연구는 부모의 성취압력이 고등학생의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 부모의 교육지원행동이 1차 매개변인이고 자녀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2차 매개변인인 경로모형을 설정하고 이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나아가 부모의 성취압력이 교육지원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에서 자녀의 학업적 지연행동의 조절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충북, 충남에 소재한 6개 고교에서 설문조사한 후 683명(남 349명, 여 334명)의 자료를 사용하여 구조방정식모형으로 연구모형의 적합도와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본 연구에서 설정한 경로모형은 관찰된 자료와 잘 부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부모의 성취압력이 많을수록 자녀에 대한 교육지원행동이 증가하고, 더 많은 부모의 교육지원행동은 자녀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높여 결국 학업성취가 증가함을 의미한다. 둘째, 학생의 학업적 지연행동은 부모의 성취압력이 교육지원행동에 미치는 경로에서 조절효과를 나타냈다. 즉, 학업적 지연행동 수준이 높은 집단에서보다 지연행동 수준이 낮은 집단에서 부모의 성취압력이 교육지원행동에 더 큰 정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고등학생 자녀의 학업에 대한 부모의 성취지향적 태도가 실제적인 학업성취 향상을 가져오는 데는 부모의 높은 수준의 교육지원행동이 중요하고 이 과정에 학생의 학업지연행동 수준이 일정부분 관여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est the pass model which parental achievement pressure affects parental involvement, parental involvement affects academic self-efficacy, and finally academic self-efficacy affects high school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Furthermore, it was investigated whether academic procrastination has a moderating effect in the pathway from parental achievement pressure to parental involvement on the pass model. Data were collected from 683 students(349 males, 334 females) in six high schools. For the analyses of the mediating effects and the moderating effect,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ling was used. The results were following. First, the pass model was identified to fit observed data. It means that as parents have more expectation to their children, they give more academic supporting activities to them, and then parental involvement makes to enhance children's academic self-efficacy, which finally leads to increase their academic achievement. Second, academic procrastination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achievement pressure and parental involvement on the pass model. That is, the influence of parental achievement pressure on parental involvement in the lower mean group was bigger than the influence in the upper mean group. These results suggest that in order to increase high school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education or counseling interventions which can reduce student's academic procrastination as well as increase the levels of parental achievement pressure, parental involvement, and student's academic self-efficacy are needed.

      • KCI등재

        초등학생의 학업,사회적 성취목표지향성, 자기결정성, 학업성취도 및 학교생활적응의 구조적 관계 분석

        조한익 ( Han Ik Cho ) 한국초등교육학회 2014 초등교육연구 Vol.27 No.4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학업·사회적 성취목표지향성, 자기결정성, 학업성취도 및 학교생활적응의 구조적인 관계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초등학교 5-6학년 882명으로 남학생은 475명이고 여학생은 407명이다. 측정도구는 학업적 성취목표 지향성, 사회적 성취목표지향성, 자기결정성, 학교생활적응검사이며 학업성취도는 2013학년도 2학기말 학업성취도 평가결과를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학업숙달 목표지향성, 학업수행접근 목표지향성은 학업성취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나, 학업 수행회피 목표지향성과 사회수행회피 목표지향성은 학업성취도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사회숙달 목표지향성, 학업숙달 목표지향성은 학교생활적응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나, 학업수행회피 목표지향성은 학교생활적응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사회숙달, 사회수행접근, 사회수행회피 목표 지향성은 자기결정성을 매개로 학업성취도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하게 나타났다. 학업숙달목표와 학업수행회피 목표지향성도 자기결정성을 매개로 학업성취도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와의 관련성, 시사점 등이 논의되었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academic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self-determination theory, academic achievement, and school adjustment. The subjects were 882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which boys were 475 and girls were 407. The instruments used in the study were social-, academic goal orientation, self-determination, and school adjustment. Academic achievement were Korean, Math, Social studies, Science, and English administered as a summative evaluation in the 2nd semester of 2013. Statistical methods were correlation and descriptive statistics by SPSS 21.0 program. Model fits and mediation effects of research model were analyzed by Mplus 6.0 program. Academic mastery goal orientation and performance approach goal orientation had positive effects on achievement but social performance avoidance- and performance avoidance goal orientation had negative effects on achievement. Social mastery- and mastery goal orientation had positive effects on school adjustment but performance avoidance goal orientation had a negative effect on school adjustment. Self-determination had a mediation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mastery-, social performance-, social performance avoidance goal orientation, academic achievement, and school adjustment. Mastery- and performance avoidance goal orientation had positive effects on academic achievement and school adjustment by the mediation of self-determination.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the social-, academic goal orientation and related variables were discussed.

      • KCI등재

        전문계 고등학생의 학업성취, 자아개념, 학교적응 및 학교부적응행동 간의 관계

        이명숙,이규민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09 교육과학연구 Vol.40 No.1

        이 연구는 전문계 고등학교 학생들의 학업성취와 자아개념, 학교적응 및 학교부적응 행동 간의 관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학교부적응행동은 무단결석, 교내흡연, 학교폭력으로 세분화하여 그러한 학교부적응 행동을 보이는 집단과 보이지 않는 집단으로 구분하였다. 학교부적응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기 위해 로지스틱 회귀분석 방법이 사용되었고 분석결과 학업성취가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학생들의 학업성취를 스태나인 점수(1-9등급)로 표기하였을 때, 학업성취가 1등급 상승하면 학교부적응 행동을 일으킬 확률이 약 40% 감소하였다. 학교부적응행동 표출 가능성을 낮추는 다른 요인으로는 학교규칙, 일반자아, 가족자아 등이 있었다. 예상과는 달리 신체자아와 교우관계는 좋을수록 부적응행동을 표출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업성취도를 설명하는 변수를 분석하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이 사용되었고, 분석결과 성취자아와 능력자아, 학교수업, 가족자아, 학급자아, 학교규칙 변인들이 높은 정적 영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신체자아나 일반자아 요인은 학업성취도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결과는 자아개념이 학업성취도에 정적으로 영향을 준다는 선행연구와는 차별화된 결과로, 자아개념의 하위영역 구인에 따라 학업성취도에 주는 영향력이 다를 수 있음을 보여준다. 자아개념의 하위요인들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단계적 회귀분석을 적용한 결과, 학급자아, 성취자아, 정서자아, 가족자아, 사회자아 5가지 하위요인이 높은 영향력을 미치는 변인으로 선택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들은 자아개념이나 학교적응 변인들을 고려할 때 하위요인으로 세분화해서 분석하는 접근의 유용성을 보여주는 것으로써, 학교부적응행동을 보이는 학생을 지도하기 위해 차별화된 전략적인 접근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is research analyzes the relationships among academic achievement, self-concept, school-related adjustment, and school maladjustment behavior of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The school maladjustment behaviors include absence without notice, smoking in the school, and violence in the school. Students are sorted to two groups depending on whether they show the school maladjustment behavior or not. We used a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method to analyze the factors to influence on the school maladjustment behavior. We found that academic achievement turned out to be one of factors. When the academic achievement is expressed in stanine score system, one class increment in academic achievement makes decrease in the probability of exhibiting school maladjustment behavior by about 40%. Other factors to lower the probability of exhibiting school maladjustment behavior would be school regulation , general and family self-concept. It was somewhat surprising to find that the better physical self-concept and schoolmate relationship, the higher the probability of exhibiting school maladjustment behavior. It was found through stepwise regression method that the academic achievement of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was positively affected by the achievement self-concept, ability self-concept, school lesson adjustment, family self-concept, classroom self-concept, and school regulation adjustment. However, physical and general self-concept are found to have a negative influence on academic achievement. The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five subordinate factors of self-concept(classroom, achievement, emotional, family, and social self-concept)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school-related adjustment. These results may imply that it could be useful to analyze self-concept and school-related adjustment factors at the subordinate factor leve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