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모든 이를 위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검사의 측정학적 적합성 탐색

        이옥인,홍성두 한국학습장애학회 2015 학습장애연구 Vol.12 No.2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validate th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scale for all high school students. In the item development phase, the items were constructed based on the application of the Bandura's(1997) theory of self-efficacy to the Career Decision-making context. In the validation phase, data was collected from 258 high school students. Cronbach’s alpha for the final 25 items was .936, suggesting that the scale has high internal consistency.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result showed that the evidence for the construct validity of the scale was secured.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also provided the evidence of the construct validity of th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scale. In conclusion, limitations, directions, and implications for research are discussed. 이 연구에서는 모든 학생들을 위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검사(CDMSE-SF)의 측정학적 적합성을 탐색하기 위해 장애학생과 비장애학생 모두를 대상으로 신뢰도와 타당도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를 위해 장애학생과 비장애학생 258명(장애학생 80명, 비장애학생 178명)이 참여하였으며, 내적합치도 신뢰도 계수를 산출하고, 구인 타당화를 위해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CDMSE-SF의 전체 신뢰도는 .936으로 나타났고, 각 요인별로 .692에서 .936으로 분포하여 비교적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CDMSE-SF 타당도 검증 결과, 5개 요인 간에는 정적 상관이 나타났고, 상관의 범위는 .641에서 .767의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또한 CDMSE-SF의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적합도 지수는 대체로 타당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표준화 회귀계수는 .726~.901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CDMSE-SF의 기초연구로 장애학생과 비장애학생 모두를 포함하여 적용할 때 신뢰할 수 있고, 타당하며 교육현장에 적용가능하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음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특수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삶의 질 인식

        이옥인,박은영,홍재영 한국시각장애교육&재활학회 2011 시각장애연구 Vol.27 No.3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pecial education teachers’ recognition of quality of life related to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their work-related stress. First, the results show that the teachers’ gender, education, monthly income and school do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s in each sub category of quality of life, that the older they are, the higher their career recognition is, and the younger they are, the higher the emotion area is, and that the more career years they have spent as a special education teacher, the higher their career recognition is. Second, while the sub area of work-related stress has no significant relation with the teachers’ monthly income and school, the female group shows higher level of work- related stress than the male group. Also, the higher the level of a teacher’s age, education and career years is, the higher their work-related stress is, while in the area of relation conflict, organization system and job culture, the group of teachers who have 11-15 career years show a significantly higher level of work-related stress than the group of those who have less than 5 career years. Third, the verification by correlation between special education teachers’ recognition of quality of life and work-related stress shows that the area of career life and career demand have a positive correlation, while the emotion area and the areas of career demand and relation conflict have a negative correlation. 이 연구의 목적은 특수교사를 대상으로 인구사회학적특성에 따른 삶의 질 인식과 직무스트레스, 살의 질 인식과 직무스트레스 간의 관계를 알아보는 데 있다. 연구 결과 첫째, 특수교사의 성별, 교육정도, 월평균 수입, 근무 학교에 따른 삶의 질 각 하위영역은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령대가 높을수록 삶의 질 하위영역 중 직장생활 영역 인식이 높았으며, 정서영역은 연령대가 낮을수록 높게 나타났다. 또한, 근속연수가 많을수록 삶의 질 하위영역 중 직장생활 영역 인식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특수교사의 월평균 수입, 근무 학교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각 하위영역은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여자 교사집단이 남자 교사집단 보다 직무요구에 대한 스트레스가 더 높게 나타났다. 또한 연령, 교육수준, 근속연수가 높을수록 직무스트레스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관계갈등, 조직체계, 직장문화 영역에서 각각 5년 이하의 교사집단보다 11-15년 이하의 교사집단이 이 영역에 대한 직무스트레스가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특수교사들은 삶의 질과 직무스트레스의 상관관계를 검증한 결과, 직장생활 영역과 직무요구 영역은 정적인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정서 영역과 직무요구 영역 및 관계갈등 영역 간에는 부적인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수교사의 삶의 질 인식과 직무스트레스 간의 관계를 바탕으로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필요한 방안 및 향후 연구의 필요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

        시각장애 중학생의 일기문에 나타난 응집성에 관한 연구

        이옥인,홍재영 한국시각장애교육&재활학회 2013 시각장애연구 Vol.29 No.4

        Text coherence is an inner structural quality of sentences in a text that is related to the association of contents expressed in a text, thereby creating semantically complete unity. Text coherence is deeply related to thematic progression, where a main theme is developed using sentences based on the unified subject and closely associated with re-acceptance in order to substitute already-expressed objects into semantically related contextual elements. In this study, diaries written in braille (294 texts and 2,928 text segments) by 12 middle school student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matic progression and the re- acceptance principle. The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a form of development from a description section to a main theme section was used most frequently, in 2,025 cases (83.2%). It was also revealed that development from a main theme section to a main theme section was found in 367 cases (15.1%). In particular, development from description to a main theme could be subdivided into 1,831 simple linear cases (75.5%), which accounted for the majority. In addition, a development from main theme to main theme could be subdivided into 211 simple main theme section repetition cases (8.7%). The analysis result according to the re-acceptance principle displayed in the diaries showed that 377 explicit re-acceptance cases (88.9%) were found, while 47 implicit re-acceptance cases were revealed (11.1%). The explicit re-acceptance principle, representing the most common type of re-acceptance, mostly corresponded to the equivalence relation (349 cases, 82.3%). In more detail, cases that used equivalence relation comprised the following: 219 synonym repetition cases (51.7%), 96 anaphora use cases (22.6%), 22 contextual reasoning cases (5.2%), 9 cases of omission of alternative words (2.1%), and 3 semantic ground cases (0.7%), in order of frequenc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meaningful as a foundational study to search for various teaching plans to improve the ability to generate text coherence in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 텍스트 응집성이란 텍스트를 이루는 문장의 내부 구조적 자질로 텍스트가 표상하는 내용의 연결성과 관계되며 의미적으로 완결된 하나의 통일체를 이루는 것을 의미한다. 텍스트 응집성은 통일된 화제를 중심으로 문장들을 전개하는 주제부 전개방식과 연관이 깊으며, 이미 출현한 대상을 문맥적으로 관련있는 요소로 다시 대치하는 재수용과 관련이 깊다. 이 연구에서는 시각장애 중학생 12명의 일기문(점자, 묵자)자료 294개(텍스트 분절문 2,928)를 주제부 전개방식과 재수용 원리에 따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설명부가 주제부로 전개 되는 형식이 2,025개 사례(83.2%)로 가장 많이 나타났다. 또한 주제부가 주제부로 전개되는 형식은 367개 사례(15.1%)에 해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설명부가 주제부로 전개되는 방식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단순 선형 사례가 1,831개(75.5%)로 거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었다. 또한 주제부가 주제부로 전개되는 방식은 단순 주제부 반복 사례가 211개(8.7%)로 가장 많이 나타났다. 일기문을 통해 나타난 재수용 원리에 따른 분석 결과 명시적 재수용 사례가 377개(88.9%)로 나타났고, 함축적 재수용 사례는 47개(11.1%)로 나타났다. 재수용 원리 방식으로 가장 높은 사례를 보인 명시적 재수용 원리는 대부분 등가 관계(349개, 82.3%)에 해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등가 관계를 나타내는 사례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동어반복 219개(51.7%), 대용어 96개(22.6%), 상황적 논거 22개(5.2%), 대체어 생략 9개(2.1%), 의미론적 근거 3개(0.7%)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시각장애학생의 텍스트 응집성을 향상을 위한 다양한 지도방안을 모색하는데 기초연구로서 의의가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장애대학생의 자기조절이 진로탐색에 미치는 영향: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이옥인,임양미,유장순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2016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 Vol.9 No.1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direct effect of self-regulation on career exploration of university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the mediating effects of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in the pathway. The subjects were 190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two universities located at Chungcheongnam-do and Jeollabuk-do, and completed questionnaires on career exploration,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nd self-regulation. The data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s correlation,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SEM).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self-regulation directly and positively related with career exploration of university students with disabilities. Further,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regulation and career exploration. Therefore,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partially exerted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of self-regulation to career exploration. The findings imply that there is a need to develop education or counseling programs for improving the level of self-regulation and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in order to decide career effectively in universities 본 연구는 장애대학생이 진로탐색 활동을 효과적으로 수행하는 데 자기조절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살펴보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충청남도와 전라북도에 위치한 2개 대학교에 재학 중인 장애대학생 109명을 대상으로 진로탐색,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자기조절 척도를 실시하였다. 또한 자기조절과 진로탐색 간의 관계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구조방정식 모델 중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요인의 집중타당성과 판별타당성 검증을 통해 타당도가 높은 문항들로 관측지표를 만들어 연구모델의 적합도를 살펴보았으며, 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AMOS 21.0 프로그램의 부트스트레핑 절차를 적용하였다. 연구결과, 장애대학생의 자기조절은 진로탐색과 정적인 관계가 있었으며(β = .37, p < .001), 장애대학생의 자기조절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간에도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정적인 관계(β = .71, p < .001)가 제시되었다. 또한 장애대학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탐색 간에는 정적인 관계가 나타났다(β = .54, p < .001). 또한 장애대학생의 자기조절과 진로탐색 간의 관계에 있어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p = .007). 연구결과를 종합해보면, 자기조절은 진로탐색과 직접적인 관계가 있으며 동시에 장애대학생의 자기조절과 진로탐색 간의 관계는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의해 매개되는 것으로 나타남으로써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부분 매개효과가 제시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장애대학생이 효과적인 진로탐색을 통해 진로를 결정하기 위해서는 자기조절을 높일 수 있는 교육과 지원이 대학 내에서 이루어져야 하며, 진로결정에 대한 자기효능감을 높일 수 있는 지도가 지속적이고 체계적으로 병행되어야 한다는 점을 시사하였다.

      • KCI등재

        자기결정 진로발달 전략이 성인 중증장애인의 작업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이옥인,박은영,최경림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2009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Vol.52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elf-determined career development model on the job performance for adults with moderate to severe mental retardation in vocational rehabilitation training center. Multiple probe baseline design across subjects were employed in three students adults with mental retardation. The dependent variables were the necessary time and accuracy during performing assemble of pigment set or Valpar 10. The result of intervention was showed the reduction of the necessary time and increase of accuracy of performance. In conclusion, self-determined career development model was effective on improving job performance since it lead to the use of self-directed learning strategies and encompass various strategies to use. However, it is necessary to develop detailed instruction and guidance for adults with mental retardation to apply. Therefore, follow up studies in the future should examine the effects of various programs or strategies, which is applicable to adults with mental retardation. 이 연구는 자기결정 진로발달 전략이 성인 중증장애인의 작업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었다. 연구참여자는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 전남 직업능력 개발센터의 직업훈련생 세 명으로, 설계는 대상자간 중다간헐기초선 설계를 적용하였다. 종속변인은 물감분류하기나 발파작업과제의 작업수행시간과 정확도였다. 중재결과 참여자들의 작업수행시간이 감소하였으며, 수행의 정확도는 유지되었다. 이 연구는 성인 중증장애인이 더 나은 문제해결자가 되고, 자신의 흥미에 기초한 직업을 선택하고 목표를 세우는 것을 배울 수 있으며, 새로운 것을 배우도록 촉진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이 연구는 성인장애인에게 선택하기, 결정하기 및 자기조정과 같은 자기결정 전략이 직업활동에 중요한 요인이 되며, 궁극적으로 이들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 KCI등재

        근거이론을 바탕으로 살펴본 특수교사의 내용교과 교수적 수정 과정에 대한 경험적 인식

        이옥인,권회연 한국특수아동학회 2019 특수아동교육연구 Vol.21 No.4

        연구목적: 이 연구에서는 사회과와 과학과의 교수적 수정과정에서 특수교사들의 경험과 과정을 알아보고 교수적 수정이 특수교육의 보편성과 특수성 차원에서 어떠한 영향을 받고 미치는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연구방법: 연구문제에 보다 포괄적으로 이해, 접근하기 위해 Strauss와 Corbin(1998)의 근거이론 방법을 적용하였다. 근거이론의 연구방법은 연구문제 설정, 연구대상자 확정, 문헌고찰, 자료 수집, 부호화 과정, 이론 구축의 절차를 따랐다. 연구 참여자는 「장애학생 통합교육 교수․학습자료」의 사회과, 과학과 집필에 참여한 12명의 특수교사를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 및 결론: 연구 참여자와의 면담을 통해 얻은 자료를 기반으로 지속적인 질문과 비교분 석의 절차를 통해 밝혀진 개념을 명명하고 유사한 개념끼리 묶어 추상화하여 범주화시킨 결과, 147개의 개념과 36개의 하위범주 및 14개의 범주를 발견하였다. 내용교과에 대한 특수교사의 교 수적 수정 노력과 이로 인한 장애학생의 수업참여를 이끄는 인과적 조건은 ‘교수적 수정 주체 간 역할 규명’과 ‘기울어진 관계’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에 대한 맥락적 조건은 ‘상황적 한계: 혼자 는 불가능’, ‘학교의 변화 시작’, ‘내용교과의 특수성’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수교사가 내용교과의 교수적 수정에서 겪는 중심현상은 ‘교수적 수정 노력’, ‘장애학생의 수업 참여’인 것으로 나타났으 며, 중재적 조건으로 ‘특수교사와 일반교사의 협력 제도화’, ‘교육과정 재구성을 향한 학교 여건의 변화’, ‘인적 자원의 확충’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참여자가 사용한 작용/상호작용 전략은 ‘접근 방법의 다양화 및 교수적 수정을 통한 일반교육과정 접근’, ‘문제해결적 접근’, ‘질 높은 교수 적 수정 자료의 제공’으로 나타났으며, 이를 통해 결과적으로 ‘통합교육의 정착 및 교사 성장’이 나타났다.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xperiences and processe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on the social studies and science how the instructional adaptation is implemented. Strauss and Corbin (1998) 's ground theory method was applied to understand and approach the research problem more comprehensively. Method: The research method of Ground theory followed the procedure of research establishment, study subject determination, literature review, data collection, encoding process, theory construction. The study participants included 12 special education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e social studies and science department writings of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by Korea National Institute for Special Education. Results & Conclusion: We found 147 concepts, 36 subcategories, and 14 categories. The cause of the teacher's pedagogical correction of the content subjects and the causal events that led to the participation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were the ‘identifying roles between pedagogical actors` and the ‘a slanted relationship'. The conditions were found to be ‘situational limits: not alone', ‘school changes' and ’specificity of content subjects'. The main phenomena that special teachers experience in instructional adaptation of content subjects are ‘instructional adaptation efforts' and ’participation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classes, and 'intermediate cooperation between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general teachers' and ‘changes in school conditions’ and ‘expansion of human resources’ are needed. The action / interaction strategies used by the participants were found to be ‘general curriculum approach through diversification of approaches and instructional strategies', 'problem solving approach', and ‘providing high quality instructional adaptation'. This resulted in the establishment of integrated education and teacher growth.

      • KCI등재

        장애학생 통합교육 사회과 교수-학습자료의 보편적 학습설계 적용 분석

        이옥인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22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 Vol.8 No.1

        This study examined whether the integrated education social studies textbooks developed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were properly implemented in terms of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For analysis,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for inclusive education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grade 3~6 social studies textbooks”, which were instructional adaptation, were selected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who are unable to learn the contents of general textbooks for the 3rd to 6th grade of the elementary school social course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The social curriculum grades are composed of 20 units, including general public, geography and history. The content analysis standard was based on detailed items of 9 definitions according to the 3 principles of UDL presented in CAST (2018). Overall, the aspect of providing multiple means of action and expression was the most frequently observed, followed by providing multiple means of representation and providing multiple means of engagement.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textbook developers can use these results as a resource for designing curricula and lessons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the inclusive classroom. 이 연구에서는 장애학생을 위한 통합교육 사회과 교수·학습자료가 보편적 학습설계 측면에서 어떻게 구현되었는지 살펴보았다. 분석을 위해 2015 개정 교육과정 초등학교 사회과 3~6학년까지 일반 교과서 내용을 장애학생을 위해 교수적합화(adaptation)한 「장애학생 통합교육 교수·학습자료: 사회과」교재를 선정하였다. 사회과 3~6학년 교재의 세부영역은 일반사회, 지리, 역사이며 총 20개 단원을 분석하였다. 내용분석기준은 CAST(2018)에서 제시된 UDL 3개 원리에 따른 9개 항목을 기준으로 하였다. 연구결과 사회과 교수·학습자료는 다양한 행동과 표현수단의 제공 원리가 가장 많이 적용되었으며, 다양한 표상수단의 제공 원리와 다양한 참여수단의 제공 원리 순으로 적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에 입각하여 이 사회과 자료는 통합교육 환경에서 특수교사나 교과서를 개발하는 교사들이 장애학생을 위한 교육과정과 수업을 설계하는 가르치는 자원으로 활용할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 KCI등재

        글씨쓰기에 어려움이 있는 장애학생을 위한 한국형 쓰기자기평가검사의 측정학적 적합성 검증

        이옥인,임양미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6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6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construct validity of self-evaluated writing scale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who had difficulties in writing. After interpreting the Here’s How I Write scale developed by Goldstand et al. (2013), we administered Delphi survey to 40 special education professionals, calculated the content validity ratio and decided the final scale of 21 questions applicable to Korea. Additionally, we carried out the scale to 350 disabled and normal students for testing construct validity.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or both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without disabilities, the overall internal consistency of scale are higher than .89 and the internal consistency of factors of scale are higher than .66. The confirmative factor analysis using AMOS 21.0 and SPSS 21.0 to verify construct validity showed fit index at relatively satisfactory level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without disabilities. Furthermore, while there were relatively strong convergent validity and discriminant validity in the sub-factors of scale for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the level of convergent validity and discriminant validity were relatively lower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이 연구에서는 쓰기에 어려움이 있는 장애학생을 위한 K-HHIW의 측정학적 적합성 탐색을 위해 장애학생을 대상으로 신뢰도와 타당도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를 위해 번안된 쓰기 자기평가 검사를 국내 특수교육 분야 전문가 40명에게 델파이 조사하였으며, 적합한 21개 문항으로 최종문항을 완성하였다. 이후 개발된 K-HHIW에 대해 장애학생과 비장애학생 350명(장애학생 116명, 비장애학생 234명)이 참여하여 내적합치도 신뢰도 계수를 산출하고, 구인 타당도 검증을 위해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장애학생의 전체 신뢰도지수는 .927로 비장애학생 신뢰도지수 .889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 두 집단 모두 하위요인의 신뢰도가 .661에서 .911로 분포하여 비교적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K-HHIW의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장애학생의 경우 RMSEA는 .08로 적합한 수준이며 GFI, CFI, NFI는 비장애학생과 비교했을 때 다소 낮지만 적합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또한 비장애학생의 자기평가 척도의 하위요인에 있어 집중타당성 수준은 양호한 것으로 나타난 반면 장애학생의 경우 비장애학생의 비해 집중타당성 수준이 낮은 것으로 제시되었다. 마지막으로, 비장애학생의 경우 척도의 하위요인 간 어느 정도의 판별타당성이 검증된 반면 장애학생의 경우 신체수행능력과 쓰기수행 하위척도의 판별타당성은 다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