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도・중복장애학생을 위한 의사소통 중재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단일대상연구를 중심으로

        배병덕,박은영 한국보완대체의사소통학회 2018 보완대체의사소통연구 Vol.6 No.1

        Background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communication intervention on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using single-subject design research. Method: This study analyzed nine single-subject design studies that were published in Korea Citation Index-listed journals(including candidate journals). In order to calculate the effect sizes of the communication intervention, this study derived Tau U scores presented as one of the methods to calculate the effect sizes of single-subject design research. After measuring Tau U scores according to the variables of individual studies, this study used Kruskal-Wallis test and Mann-Whitney U test to compare and analyze the effect sizes according to moderating variables independent variable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 types of disability, genders, ages, and school levels), and research characteristics (research designs, intervention environments, intervention period, treatment fidelity). Result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calculating Tau U as effect sizes in order to examine the effect of communication intervention on desirable behaviors and problem behaviors in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in a total of 9 analysis papers, Tau U as the effect size on desirable behaviors (the number of analyses = 156) to be expected that the effect size of dependent variables would be positive was 0.93, whereas Tau U as the effect size on problem behaviors (the number of analyses = 33) to be expected that the effect size of dependent variables would be negative was -0.87. Conclusion: Thus, it was confirmed that the effects of intervention on desirable behaviors and problem behaviors were very effective overall in the papers that were analyzed. There were mostly high effect sizes according to diverse intervention variables in the studies on communication intervention of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Also,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diverse moderating variable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types of disabilities reported. Lastly, this study discussed the direction for future studies on communication intervention on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연구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중도․중복장애학생을 위한 의사소통 중재의 효과를 단일대상연구를 중심으로 살펴보는데 있다. 연구방법: 이 연구는 한국연구재단(KCI)의 등재지(후보지 포함)에 출판된 9 편의 단일대상 연구 논문을 분석하였다. 의사소통 중재의 효과크기를 계산하기 위하여 단일대상 연구들의 효과크기 계산 방법의 하나로 제시된 Tau U값을 도출하였다. 개별연구물들의 변인에 따른 Tau U값의 측정 후, KrusKal Wallis와 Mann-Whitney U 검정을 활용하여 종속변인, 인구학적 특성(장애유형, 성별, 연령, 학급 급), 연구의 특성(연구설계, 중재환경, 중재 기간, 중재충실도)의 조절변인에 따른 효과크기를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의사소통 중재가 중도ㆍ중복장애 학생의 바람직한 행동과 문제 행동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Tau U 효과크기를 계산한 결과, 총 9 편의 분석 논문에서 종속변인을 효과크기가 양의 방향일 것으로 예상되어지는 바람직한 행동(분석수 = 156)에 대한 효과크기 Tau U = 0.93, 음의 방향일 것으로 예상되어지는 문제 행동(분석수 = 33)에 대한 효과크기 Tau U = -0.87 로 나타났다. 결론: 따라서 전체 논문의 바람직한 행동과 문제 행동에 대한 중재는 매우 효과적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중도․중복장애 학생을 대상으로 한 의사소통 중재 연구의 다양한 중재 변인에 따른 효과는 대부분 높은 효과크기를 보였다. 다양한 조절변인에 따른 효과크기를 비교 분석한 결과 장애유형 등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중도․중복장애학생의 의사소통 중재의 후속연구를 위한 방향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후보

        My First AAC 앱을 활용한 중재가 중도·중복장애학생의 물건사기 의사소통행동에 미치는 효과

        배병덕,채수정 한국보완대체의사소통학회 2017 보완대체의사소통연구 Vol.5 No.2

        Background & Objective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communication intervention using My First AAC application on buying goods from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Method: This study used A-B design with maintenance for four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The symbols were selected and reorganized for the participants, respectively. The four participants practiced the communication skills according to the training scripts. The results of the intervention were analyzed using visual analysis, trend, and intervention effects (PND, Tau-U).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intervention using My first AAC app increased communication behaviors, and the effects of the intervention were maintained. Second, the magnitude of the effect of the intervention was fairly large. Conclusion: The findings reveal that intervention using AAC application based on a smart device would be a good choice to improve communication behaviors on buying goods from offour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in local stores.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My First AAC 앱을 활용한 중재가 중도·중복장애학생의 물건사기 의사소통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본 연구는 기초선, 중재, 유지로 구성되었으며, 4명의 중도·중복장애학생이 참여하였다. 대상 학생의 언어적 특성, 현행 수준을 고려하여 My First AAC 앱의 상징을 재구성하여 의사소통 기능 훈련 스크립트 활동에 맞추어 물건사기 의사소통 행동을 실시하였다. 중재 결과는 시각적 분석, 기울기, 중재의 효과(PND, Tau-U) 등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My First AAC 앱을 활용한 중재 활동이 참여 학생 모두의 물건사기 의사소통 행동을 증가시켰으며, 물건사기 의사소통행동이 유지되었다. 둘째, 중재의 효과 크기는 상당히 크게 측정되었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의 결과들은 중도·중복장애학생에게 스마트기기를 기반으로 한 AAC 앱을 이용한 중재 활동이 지역사회 상점들(편의점, 패스트푸드점)에서 물건사기 의사소통행동을 할 수 있다는 좋은 방안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장애학생을 위한 앱 기반 스마트러닝 효과성에 대한 체계적인 문헌분석: 단일대상연구설계를 중심으로

        배병덕,이옥인,신미경 한국특수아동학회 2018 특수아동교육연구 Vol.20 No.2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ynthesize the effects of app-based smart learning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 specific research questions according to the research purpose were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single-case research studies implementing app-based smart learning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Second, what is the overall effect size of app-based smart learning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ird, does the overall effect size vary by the type of dependent variables (reading, writing, mathematics, communication, transition education, behavior, and physical activity)? Method: The study analyzed 18 articles with single-case research designs published in the Korean Citation Index lists. Data analysis was performed by using the GetData Graph Digitizer 2.26 web program, and the Tau-U (Parker, Vannest, Davis, & Sauber, 2011) value was measured by comparing the scores between the baseline and intervention phases. Results & Conclusion: First, app-based smart learning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was used in various contents such as reading, writing, and mathematics; moreover, they were also used in other subjects including transition education, behavior modification, communication, and exercise. The frequently reported research settings were special schools or special classes. Second, the overall intervention effect was .983 (p < .001), indicating a significant improvement from the baseline to the intervention phases.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ffect size of intervention by dependent variables, the effect size was all highly in reading, writing, math, communication, transition education, behavior, and physical activities.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학생을 대상으로 앱 기반 스마트러닝을 적용한 중재연구들의 중재 효과성을 체계적인 문헌분석으로 종합․분석하는 것이다. 연구목적에 따른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학생을 위한 앱 기반 스마트러닝을 활용한 단일대상 중재연구의 일반적인 특징은 어떠한가? 둘째, 장애학생을 위한 앱 기반 스마트러닝을 활용한 단일대상 중재연구의 전체 효과크기는 어떠한가? 셋째, 장애학생을 위한 앱 기반 스마트러닝을 활용한 단일대상 중재 연구의 효과크기는 종속변인별(읽기, 쓰기, 수학, 의사소통, 운동, 행동, 전환교육 등)로 어떻게 차이가 나타나는가? 연구방법: 이를 위해 한국연구재단의 등재지(후보포함)에 출판된 18편의 단일대상 연구 문헌을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은 GetData Graph Digitizer 2.26 웹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기초선과 중재구간의 종속변인 점수를 대조하여 분석하였으며, Tau-U(Parker, Vannest, Davis, & Sauber, 2011) 값을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장애학생을 위한 앱 기반 스마트러닝은 읽기, 쓰기, 수학, 전환교육 교과의 성격에 따라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었으며, 행동중재나 의사소통, 운동을 위한 중재로도 활용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앱 기반 스마트러닝은 주로 특수학교나 특수학급 등의 수업 환경에서 활용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전체 중재의 효과크기는 .983(p<.001)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기초선과 중재구간 간의 중재효과는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종속변인별로 중재의 효과크기를 분석한 결과, 읽기, 쓰기, 수학, 의사소통, 전환교육, 행동, 신체활동 모두에서 효과크기가 높게 나타났다.

      • KCI등재

        학업성취도가 낮은 학생에 대한 학업성취 프로그램 효과 메타분석

        배병덕,이옥인,박은영 한국특수아동학회 2019 특수아동교육연구 Vol.21 No.1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academic achievement program for students with low academic achievement through meta-analysis. The research problems were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magnitude of the academic achievement program for students with low academic achievement? Second, what is the effect size of the characteristics of research (independent variable, student type, interventionist, subject, dependent variable, school level) and the intervention characteristics(intervention period, intervention time, intervention environment) of the academic achievement program for students with low academic achievement? Method: For this purpose, 20 experimental research papers published in the Korea Citation Index (including candidates) of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were analyzed. Data analysis was performed by using the meta-analysis program CMA (Comprehensive Meta Analysis 3.0). The standardized mean difference effect size of the academic achievement program was calculated. Results: First, the overall effect size of the academic achievement program was 1.073, which was a very large effect size. Second, the effect sizes of the characteristics of research of the academic achievement program were as follow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independent variable of the academic achievement program, dependent variable, student type, interventionist, subject and school level. Thir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effect sizes of the intervention period (times), intervention time (minutes), and intervention environment, which a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academic achievement program.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rough the meta-analysis, the actual usefulness of the academic achievement program was confirmed by comprehensively analyzing the content and effect size of the academic achievement program for students with low academic achievement. 연구목적: 본 연구는 학업성취도가 낮은 학생을 대상으로 한 학업성취 프로그램의 효과를 메타분석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었다. 연구목적에 따른 세부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학업성취도가 낮은 학생을 대상으로 한 학업성취 프로그램의 효과크기는 어떠한가? 둘째. 학업성취도가 낮은 학생을 대상으로 한 학업성취 프로그램 연구의 특성(독립변인, 학생 유형, 중재자, 교과, 종속변인, 학교 급) 및 프로그램의 특성(중재 기간, 중재 시간, 중재 환경)에 따른 효과크기는 어떠한가? 연구방법: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한국연구재단의 등재지 및 등재 후보지에 출판된 20편의 실험연구 문헌을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 메타분석 프로그램 CMA (Comprehensive Meta Analysis 3.0)를 이용하였으며, 학업성취 프로그램의 표준화된 평균차이 효과크기를 계산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학업성취 프로그램의 전체 효과크기는 1.073으로, 매우 큰 효과크기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업성취 연구의 특성에 따른 효과크기를 분석한 결과 독립변인, 종속변인, 학생 유형, 중재자, 교과 및 학교 급에 따른 효과크기는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업성취 프로그램의 특성인 중재 기간(회), 중재 시간(분), 중재환경에 따른 효과크기는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들은 메타분석을 통해 학업성취도가 낮은 학생을 대상으로 한 학업성취 프로그램 내용과 효과크기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학업성취 프로그램의 실제적인 유용성을 확인하였다는데 시사점이 있다.

      • 신계념 LNG-RV 운반선의 현황

        배병덕 한국항해항만학회 2007 한국항해항만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 No.추계

        최근 엘엔지운반선(LNGC)은 선체의 대형화, DFDE디젤엔진탑재, 재액화설비등의 변화와 함께 해상터미널의 역할을 동시에 할 수 있는 LNG-RV(Regasification Vessel)의 출현을 경험하였으며, 이러한 신계념의 선박의 개발개념, 운항방식 등에 대하여 살펴보도록 한다.

      • KCI등재

        KT-1 군항공기 소프트웨어 국제공동개발 사업의 미션 소프트웨어 신뢰성 시험방안에 관한 연구

        배병덕(Byung Duck Bae),이선아(Seonah Lee) 항공우주시스템공학회 2023 항공우주시스템공학회지 Vol.17 No.6

        지금까지 해외 수출용 KT-1 군용 고정익 항공기에 통합된 임무 소프트웨어는 해외업체와 국제 공동개발을 통하여 개발이 되었으며, 감항인증을 위해 DO-178B를 기반으로 하는 해외업체의 개발 환경과 절차를 준수함으로써 소프트웨어의 신뢰성을 인정받을 수 있었다. 하지만, 최근에는 해외 수출 시 DO-178C 인증을 요구하고 있으며, 국내 소요군에 납품 시 방사청 무기체계 소프트웨어 개발 및 관리 매뉴얼 준수를 위해 신뢰성 시험을 필수적으로 요구하고 있다. 본 논문은 기 개발된 KT-1 수출형 항공기체계통합 사업의 국제 공동개발에 있어 국내 감항인증을 받기 위한 문제점을 기술하고 DO-178C와 무기체계 소프트웨어 개발 및 관리 매뉴얼을 모두 준수하기 위한 해결방안을 찾아서 최적의 소프트웨어 신뢰성 시험 방안을 제시한다. Thus far, a mission software component of the KT-1 military fixed-wing aircraft for overseas export has been developed through international joint development with foreign companies. The reliability of the software component could be certified by complying with the development environment and procedures of foreign companies based on DO-178B. However, recently, DO-178C certification is required for overseas exports, and reliability tests to comply with the weapon system software development guidelines are required for domestic military forces. In this paper, we describe the problems in obtaining domestic airworthiness certification in the international joint development of a previously developed KT-1 export-typed aircraft system integration project. To this end, we find a solution to comply with both DO- 178C and the Weapon System Software Development and Management Manual and provide the optimal software reliability test method.

      • 30[㎾]급 매입형 영구자석 BLDC 전동기 설계

        배병덕(Byung-Duk Bae),김지은(Ji-Eun Kim),정태욱(Tae-Uk Jung)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 2011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1 No.5월

        In this paper, the design of an electric vehicle motor drive was carried out. By considering the structural condition and applying the volume design technique, the initial dimension was set. The motor design satisfied the requirement specification through the finite element analysis was proposed.

      • KCI등재

        시각중복장애 관련 연구의 동향과 과제

        배병덕(Bae, Byoung-Duck),홍재영(Hong, Jae-Young) 한국시각장애교육재활학회 2018 시각장애연구 Vol.34 No.3

        이 연구는 국내ㆍ외 시각중복장애 관련 선행연구를 토대로 연구 동향을 알아봄으로써, 향후 시각중복장애 연구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최근 10년간 국내ㆍ외 시각중복장애 관련 연구 65편을 분석하였다. 분석을 위하여 선행 연구 고찰을 통하여 분석 준거를 설정하였고, 이를 토대로 학술지, 출판연도, 연구 주제, 연구 방법, 연구 대상, 연구 방법에 따른 연구 주제 별 동향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학술지는 ‘Journal of Visual Impairment & Blindness’ 21편, ‘시각장애연구’ 19편, ‘American Annals of the Deaf’ 7편 등 주요 3개의 학술지에 분석 대상 65편의 연구물 중 47편(72.3%)이 발표되었다. 출판연도별 결과는 2011년에 가장 많이 발표되었다. 또한 2009년에서부터 2013년까지 5년간 32편(49.2%)이 발표되었으며, 2014년부터 2018년 6월까지 33편(50.8%)이 발표되어, 최근 10년을 기준으로 상반기 5년, 하반기 5년 동안 연구물이 지속적으로 발표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연구 주제는 교사관련 연구가 가장 많았다. 연구 방법에서는 질적 연구 방법, 실험연구 방법이 주로 이루어졌고, 실험연구 방법에는 단일대상연구가 주로 이루어졌다. 연구 대상에서는 맹농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가장 많이 이루어졌다. 연구 방법에 따른 연구 주제는 실험연구에서는 상호작용 및 정서적 관계 촉진, 질적 연구에서는 교사 관련 연구 주제가 많이 이루어졌다. 이 연구는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시각중복장애 관련 연구에 대한 향후 과제를 제시하였고, 시각중복장애 관련연구의 방향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resent study analyzes domestic and international studies of cases of visual impairment with multiple disabilities to investigate the research trends of this a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basic data required for future studies on this same topic. This study analyzed a total of 65 Korean and international studies related to visual impairment with multiple disabilities conducted during the past 10 years. Existing studies were reviewed to establish analysis criteria. Study trends of past study topics were then analyzed with respect to academic journal, publication year, study topic, study method, study subject, and study topics by study methods. Analysis revealed that 47 papers (72.3%) were published in 3 major academic journals out of the total 65, including 21 in Journal of Visual Impairment & Blindness, 19 in The Korean Journal of Visual Impairment, and 7 in American Annals of the Deaf. The highest number of papers per year was 2011, although 32 (49.2%) were published between 2009 and 2013, and 33 (50.8%) between 2014 and June 2018, revealing that studies were regularly published during both halves of the past decade. The most frequently researched topic was teacher-related studies. Most frequent study methods were qualitative and experimental methods, and experimental studies were mostly of single-subject design. The most frequently studied subject was visually impaired persons with hearing impairment. Stimulating interaction and emotional relationships were the most frequent topics in the experimental studies, and teachers were the most frequent topic in the qualitative studies. Based on this literature review, this study suggests future topics for studies of visual impairment with multiple disabilities. The findings of this study will serve as basic data for exploring future directions in research into visual impairment with multiple disabil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