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청소년의 학업관련 투자시간과 학업성취도의 종단적 변화가 동기조절과 행동조절에 미치는 영향

        조한익(Han Ik Cho),김영숙(Young Suk Kim) 한국교육심리학회 2016 敎育心理硏究 Vol.30 No.1

        본 연구는 청소년의 학업관련 투자시간, 학업성취도의 종단적 변화가 동기조절과 행동조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한국청소년정책연구소(NYPI)에서 실시한 한국청소년패널조사의 중1패널 2351명으로 2차년도∼5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였다. 측정도구는 학업관련 투자시간, 학업성취도, 동기조절, 행동조절 등이다. 학업관련 투자시간의 초기값과 변화율, 학업성취도의 초기값과 변화율은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변량 잠재성장모형에서 학업관련 투자시간의 초기값과 변화율은 학업성취도의 초기값과 변화율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업성취도의 초기값과 변화율은 동기조절과 행동조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학업관련 투자시간 초기값과 변화율도 동기조절과 행동조절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학업관련 투자시간의 초기값과 변화율은 학업성취도의 초기값과 변화율을 매개로 하여 동기조절과 행동조절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성별에 따른 차이를 살펴본 결과 학업관련 투자시간 초기값이 학업성취도 초기값에 미치는 영향, 학업관련 투자시간 초기값이 학업성취도 변화율에 미치는 영향, 학업관련 투자시간 변화율이 학업성취도 변화율에 미치는 영향, 학업관련 투자시간이 동기조절에 미치는 영향, 학업성취도 변화율이 동기조절과 행동조절에 미치는 영향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선행연구와의 관련성, 교육적 의의, 연구의 제한점 등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learning time and achievement changes of secondary school students on motivational and behavioral regulations using multivariate latent growth modeling. Four years of longitudinal data were collected from 2nd grade middle school students to 2nd grade of high school students by the Korean Children & Youth Panel Survey. The instruments used in the study were learning time, academic achievement, and motivational and behavioral regulations. The initial values and slopes of studying time and academic achievement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multivariate latent growth modeling, the initial value and slope of learning time effected on the initial value and slope of academic achievement. Also, the initial values and slopes of learning time and academic achievement effected on the motivational and behavioral regulations. In the analysis of the mediation effect, the initial value and slope of learning time effected on the motivational and behavioral regulations by the mediation of the initial value and slope of academic achievement. In the analysis of multivariate modeling by boys and girls, there had differences on the paths from the initial value of learning time to the initial value of academic achievement, from the initial value of learning time to the slope of academic achievement, from the slope of learning time to the slope of academic achievement, from the slope of learning time to the motivational regulation, and from the slope of academic achievement to motivational and behavioral regulations. In the end, the implications derived from the results,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the following studies were presented.

      • KCI등재

        초등학생의 학업,사회적 성취목표지향성, 자기결정성, 학업성취도 및 학교생활적응의 구조적 관계 분석

        조한익 ( Han Ik Cho ) 한국초등교육학회 2014 초등교육연구 Vol.27 No.4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학업·사회적 성취목표지향성, 자기결정성, 학업성취도 및 학교생활적응의 구조적인 관계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초등학교 5-6학년 882명으로 남학생은 475명이고 여학생은 407명이다. 측정도구는 학업적 성취목표 지향성, 사회적 성취목표지향성, 자기결정성, 학교생활적응검사이며 학업성취도는 2013학년도 2학기말 학업성취도 평가결과를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학업숙달 목표지향성, 학업수행접근 목표지향성은 학업성취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나, 학업 수행회피 목표지향성과 사회수행회피 목표지향성은 학업성취도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사회숙달 목표지향성, 학업숙달 목표지향성은 학교생활적응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나, 학업수행회피 목표지향성은 학교생활적응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사회숙달, 사회수행접근, 사회수행회피 목표 지향성은 자기결정성을 매개로 학업성취도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하게 나타났다. 학업숙달목표와 학업수행회피 목표지향성도 자기결정성을 매개로 학업성취도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와의 관련성, 시사점 등이 논의되었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academic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self-determination theory, academic achievement, and school adjustment. The subjects were 882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which boys were 475 and girls were 407. The instruments used in the study were social-, academic goal orientation, self-determination, and school adjustment. Academic achievement were Korean, Math, Social studies, Science, and English administered as a summative evaluation in the 2nd semester of 2013. Statistical methods were correlation and descriptive statistics by SPSS 21.0 program. Model fits and mediation effects of research model were analyzed by Mplus 6.0 program. Academic mastery goal orientation and performance approach goal orientation had positive effects on achievement but social performance avoidance- and performance avoidance goal orientation had negative effects on achievement. Social mastery- and mastery goal orientation had positive effects on school adjustment but performance avoidance goal orientation had a negative effect on school adjustment. Self-determination had a mediation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mastery-, social performance-, social performance avoidance goal orientation, academic achievement, and school adjustment. Mastery- and performance avoidance goal orientation had positive effects on academic achievement and school adjustment by the mediation of self-determination.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the social-, academic goal orientation and related variables were discussed.

      • 직접 메탄올 연료전지를 이용한 휴머노이드 로봇의 전원시스템 개발

        조한익(Joh, Han-Ik),하태정(Ha, Tae-Jung),조재형(Cho, Jae-Hyung),김종호(Kim, Jong-Ho),채승훈(Chae, Seung-Hoon),황상엽(Whang, Sang-Youp),문상흡(Moon, Sang-Heup),하흥용(Ha, Heung-Yong),조백규(Cho, Baek-Kyu),오준호(Oh, Jun-Ho)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06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06 No.11

        전극 전해질 복합체가 하나로 구성된 단위전지는 전기출력이 낮아 원하는 전기출력을 얻기 위하여 단위전지를 여러 장 직렬로 쌓아 스택을 구성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400W급 직접메탄을 연료전지 스택을 제조하여, 운전 조건의 최적화를 위한 실험을 수행하였고, 한국형 휴머노이드 로봇인 Hubo에 적용하여 그 동특성을 평가하였다. 0.8M 메탄을 용액은 260 ml/min의 유량을, 공기는 42LPM을 스택에 주입하여 400W의 성능을 나타내었다. 연료전지 스택의 온도와 전압의 편차는 작았으며 정상 운전시스템의 온도는 약 70?C를 유지하였다. 로봇의 필요 전력이 높을 경우, 배터리와 연료전지가 동시에 부하 변동에 대응하였다 방전된 배터리는 로봇의 필요 전력이 낮아질 경우, 충전되어 이후의 방전 상황에 대비하였다. 연료전지 시스템 적용 결과 로봇의 성공적인 운전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교사정서 연구의 이론적 고찰: 개념, 모형, 관련성

        조한익(Cho, Han-Ik) 한국교육심리학회 2021 敎育心理硏究 Vol.35 No.4

        본 연구는 교사정서의 개념과 척도개발은 어떠한지, 교사정서의 원인과 결과를 포함하는 이론모형은 어떠한지, 교사정서와 교사, 학생관련 변인들과는 어떠한 관련성이 있는지 문헌고찰의 방법으로 살펴보았다. 먼저, 교사정서는 교실수업에서 교사가 느끼는 정서로 정의하였고 즐거움, 자부심, 분노, 불안감, 지루함의 5가지 교사정서를 검토하였다. 교사정서의 이론모형에서는 교사정서의 초기 인과모형과 수정된 인과모형을 바탕으로 교사정서의 원인, 교사정서의 발생, 교사정서가 수업에 미치는 영향을 폭넓게 연구하였다. 교사정서와 교사관련 변인들과의 관계는 교사인지, 교사동기, 정서조절 등의 내적요인, 수업행동, 수업전문성의 수업관련 요인, 교사소진, 교사이직의 부적요인으로 구분하여 연구하였다. 교사정서와 학생관련 변인들과의 관계는 인지, 동기, 정서를 포함하는 내적요인, 학습행동, 학업성취도의 학업관련 요인, 교실문제행동의 부적요인으로 구분하여 연구하였다. 관계요인으로는 교사정서와 교사-학생관계를 연구하였다. 본 연구는 교사정서에 대한 문헌들을 바탕으로 교사와 학생에게 중요한 교사정서 연구를 깊이 있게 살펴보았다는 데 의의가 있다고 본다. This study explores teacher emotions, examine its concept and the scale of development, review the theoretical model that includes its causes and effects, and look into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emotions and the variables of teachers and students. Teacher emotion is defined as the emotion felt by teachers during classroom instructions, and has been examined with a focus on joy, pride, anger, anxiety, and boredom. In the theoretical model, the cause of teacher emotions, which is the emotion itself, and the influence of the emotion on the class were widely based on the initial and modified causal models of teacher emotions.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emotion and teacher-related variables was divided into internal factors (teacher cognition, teacher motivation, and emotional regulation), class-related expertise (class behavior), and negative factors (teacher burnout and turnover). Teacher emotion and student-related variables were examined by dividing them into internal factors (cognition, motivation, and emotions), academia-related factors (learning behaviors and academic achievement), and negative factors (classroom problem behavior). As a relational factor, the study examined the importance of teacher emotions on the teacher-student relationship. This study explores in depth the emotions that are important to both teachers and students, based on the literature on teacher emotions.

      • KCI등재

        초등학교 교사의 학업낙관성, 교사열정 및 학생의 성취목표지향성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조한익 ( Han Ik Cho ) 한국초등교육학회 2015 초등교육연구 Vol.28 No.4

        본 연구는 초등학교 교사의 학업낙관성과 교사열정, 학생의 성취목표지향성이 학업성취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초등학교5-6학년 학급 담임교사 67명과 이들 학급에 속한 남학생 792명, 여학생 710명 총1502명이다. 측정도구는 교사용 학업낙관성과 교사열정척도, 학생의 성취목표지향성척도이며 학업성취도는 국어, 사회, 수학, 과학, 영어 성적이다. 본 연구에서 학생차원은 학업성취도와 성취목표지향성이고 교사차원은 학업낙관성과 교사열정이다. 다층분석은 HLM 7.01(Hierarchical Linear and Nonlinear Modeling) 프로그램으로 이루어졌다. 연구결과 교사의 학업낙관성과 교사열정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주효과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성취목표지향성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주효과는 유의하게 나타났다. 학업낙관성과 교사열정은 숙달목표지향성과 수행접근 목표지향성과 상호작용하여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정적인 영향이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학업낙관성은 수행회피 목표지향성과 상호작용하여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부적인 기울기를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선행연구와의 관련성, 교육적의의, 연구의 제한점 등을 제시하였다.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teachers’ enthusiasm, academic optimism, and students’ achievement on academic achievement. The subjects were 1502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67 classroom teachers who were in charge of the students. The instruments used in the study were teacher enthusiasm, academic optimism, and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Academic achievements were Korean, math, social studies, science, and English implemented by each schools at the end of the 2014. Statistical methods were descriptive statistics with SPSS 21.0 and multi-level modeling analysis with HLM 7.01 program. There were no direct effects of teacher enthusiasm and academic optimism on academic achievement. However, teacher enthusiasm and academic optimism had positive effects on academic achievement with the interaction of the slope of mastery and performance approach goal orientation. Also, academic optimism had a positive effect on academic achievement by decreasing the slope of performance avoidance goal orientation. Implications for the research related to the literatures and suggestions were discussed.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우리나라 아동들의 행복과 우울수준

        조한익 ( Han Ik Cho ) 한국아동교육학회 2016 아동교육 Vol.25 No.1

        본 연구는 우리나라 아동들의 행복과 우울수준이 시간의 변화에 따라서 어떻게 달라지는가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서 한국청소년정책연구소(NYPI)에서 조사한 초등학교 1학년과 4학년패널자료를 사용하였다. 측정도구는 주관적 안녕감과 우울 척도이다. 연구결과 우리나라 아동들은 초등학교 시기에는 행복이 높아지지만 중학교로 올라가면서 행복은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학생의 행복은 여학생의 행복보다 전반적으로 높으며 초등학교 6학년 때에 가장 높게 나타났지만 중학교로 올라가면서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학생의 행복은 청소년기가 시작되는 초등학교 5학년때부터 중학교 때까지 계속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등학교 아동들의 우울도 학년이 올라갈수록 계속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학생의 우울은 남학생의 우울보다 높으며 학년이 올라갈수록 계속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아동들의 행복과 우울수준이 어느 정도인지 선행연구와 관련하여 살펴보았고 연구의 시사점 및 제한점 등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the level of happiness and depression during childhood. The longitudinal data were collected from 2 panel data, first one is 1st to 5th grade students of elementary schools, second one is 4th grade students of elementary schools to 2nd grade students of middle schools by the Korean Children & Youth Panel Survey. The subjects evaluated in the study included 2,342 children in panel 1 and 2378 children in panel 2 data. The instruments used in the study were subjective well-being and depression. In the result, children of elementary schools were higher on happiness, however, when they went up to middle schools their happiness dropped down. Boys’ happiness was high in elementary school period, however, when they came into middle schools their happiness showed falling curve. Girls’ happiness dropped from 5th grade of elementary schools to 2nd year of middle schools. Depress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as higher in the initial stage and went up through middle school period. Girls’ depression was higher than that of boys in elementary schools and continued to rise. Implications for the research related to the literatures and suggestions were discussed.

      • KCI등재

        자기결정성과 자기조절학습의 관계에 관한 메타분석

        조한익 ( Han Ik Cho ) 한국아동교육학회 2014 아동교육 Vol.23 No.2

        본 연구는 메타분석을 이용하여 자기결정성과 자기조절학습의 관계가 어떠한가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2000년∼2013년까지 이루어진 국내의 학위논문과 학술논문 총 23편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효과크기의 수는 295개이다. 자기결정성은 자기결정성 분류 형태인 내재적 동기, 확인/통합동기, 부과된 동기, 외적 동기, 무동기로 나누었다. 자기조절학습도 일반적인 분류 형태인 인지조절, 동기조절, 행동조절로 나누었다. 두 변인간의 관계에 관한 출판편의를 Orwin의 fail-safe N과 Egger의 회귀절편으로 분석한 결과 출판편의 가능성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 내재적 동기-자기조절학습의 효과크기는 .486, 확인/통합동기-자기조절학습의 효과크기는 .544, 부과된 동기-자기조절학습의 효과크기는 .379, 외적동기-자기조절학습의 효과크기는 -.046, 무동기-자기조절학습의 효과크기는 -.395로 나타났다. 이 효과크기들은 모두 이질적인 것으로 나타나 본 연구에서는 논문형태, 학교급별과 관련되는 독립변인들이 이질성의 원인이라고 판단하여 분석을 하였다. 논문형태에 따른 효과크기를 분석한 결과 내재적 동기-자기조절학습, 외적동기-자기조절학습에서는 학위논문의 효과크기가 학술논문의 효과크기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급별에 따른 효과크기를 분석한 결과에서도 내재적 동기-자기조절학습, 확인/통합동기-자기조절학습, 부과된 동기-자기조절학습, 외적동기-자기조절학습, 무동기-자기조절학습의 효과크기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선행연구와의 관련성, 연구의 시사점, 제한점 등이 논의되었다. This study is to synthesize the studie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determination and self-regulated learning by meta-analysis. For the study 295 effect sizes from 23 studies were analyzed by CMA2 Program. Self-determination was divided by intrinsic, identified/integrated, introjected, extrinsic motivation and amotivation along the self-determination continuum. Self-regulated learning was divided by cognition, motivation, and behavior regulation. Publication biases were analyzed by Orwin`s fail-safe N and Egger`s regression intercept. By the results of the analyses there were low possibilities of the publication bias. In the analysis of the effect size, intrinsic-SRL was .486, identified/integrated-SRL was .544, introjected-SRL was .379, external-SRL was -.046, and amotivation-SRL was -.395. There were heterogeneities in the effect sizes of subgroups, so the researcher thought these were attributed by the moderator variables such as published or unpublished studies and school classes. First, there were differences of the effect sizes between published and unpublished studies on intrinsic-SRL and extrinsic_SRL. Second, there were differences of the effect sizes of school classes on intrinsic-SRL, identified/integrated-SRL, introjected-SRL, external-SRL, and amotivation-SRL. The significances and implications of the research were discussed.

      • KCI등재

        성취목표지향성, 희망 및 학업성취도의 구조적 관계와 성별에 따른 잠재평균분석

        조한익(Han Ik Cho) 한국교육심리학회 2010 敎育心理硏究 Vol.24 No.4

        본 연구는 성취목표지향성, 희망 및 학업성취도의 관계를 살펴보고 성별에 따라서 잠재평균은 어떠한가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충남지역에 소재한 초등학교 6학년 학생 326명으로 측정도구는 성취목표지향성, 희망 검사이고 학업성취도는 도학력평가 결과를 활용하였다. 변인간의 관련성은 상관분석을 하였고 정규분포의 가정, 연구모형의 적합도, 경로계수 및 직·간접효과, 잠재 평균은 구조방정식모형을 통해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숙달접근 목표지향성은 희망과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정적인 영향이 있었고, 희망을 매개로 하여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간접효과도 유의하게 나타났다. 수행접근 목표지향성은 희망을 매개로 하여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간접효과만이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숙달회피와 수행회피 목표지향성은 희망과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녀 학생 집단간에 성취목표지향성, 희망 및 학업성취도의 잠재평균을 살펴보기 위해서 형태동일성, 측정동일성, 절편동일성, 요인분산동일성을 살펴본 결과 성별에 따른 동일성 이 모두 입증되었다. 잠재평균분석을 한 결과 남학생 집단은 여학생 집단보다 성취목표지향성, 희망 및 학업성취도에서 잠재평균과 효과크기가 낮게 나타났으나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mong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hope, and academic achievemen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addition to it, the study was to analyze latent mean analysis of the variables. The subjects were 326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responded to the questionnaires, these were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hope, and academic achievement. Academic achievement scores were from the final achievement test administered by the Chungnam Office of Education. Mastery approach goal orient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hope and academic achievement, and had a indirect effect on academic achievement by the mediation of hope. Performance approach goal orient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academic achievement by the mediation of hope. However, mastery and performance avoidance goal orientations had no effect on hope and academic achievement. There was no configural invariance, metric invariance, and scalar invariance between male and female groups. Given the three types of invariance satisfied, latent mean analysis was performed to test mean differences on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hope and academic achievement. According to the latent mean analysis where female group was used as reference group, male students showed lower latent mean values in three latent variables but the differences were not significant.

      • KCI등재

        초등학생의 정서, 성취정서 및 학업성취도의 구조적 관계 분석

        조한익 ( Han Ik Cho ) 한국초등교육학회 2013 초등교육연구 Vol.26 No.4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정서, 성취정서 및 학업성취도의 관계를 살펴보는데 목적이있다. 연구대상은 초등학교 5-6학년 744명이며 남학생은 369명, 여학생은 375명이다. 측정도구는 정서와 성취정서 검사이며 학업성취도는 도학력평가 결과를 활용하였다. 수업상황에서 정적정서는 즐거움 성취정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불안감과 지루함 성취정서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부적정서는 불안감과 지루함 성취 정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즐거움 성취정서는 학업성취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지만, 불안감 성취정서는 학업성취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숙제상황에서 정적정서는 즐거움 성취정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불안감과 지루함 성취정서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부적정서는 불안감과 지루함 성취정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시험상황에서 정적정서는 즐거움 성취정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불안감 성취정서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부적정서는 불안감 성취정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불안감 성취정서는 학업성취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와의 관련성, 시사점 등이 논의되었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s, achievement emotions and academic achievemen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subjects were 744 students in which boys were 369 and girls were 375. The instruments used in the study were emotion and achievement emotion scale. Academic achievement tests were korean, math, social studies, science, and english administered by the Education Research and Information Institute. Statistical methods are correlation and descriptive statistics by SPSS 21.0 program. Model fit and mediation effects of research model was analyzed by Mplus 6.0 program. In the class-related circumstance, positive emotions positively effected on enjoyment, but negatively effected on anxiety and boredom. Negative emotions positively effected on anxiety and boredom. Enjoyment, positively effected on academic achievement but anxiety negatively effected on academic achievement. In the homework-related circumstance, positive emotions positively effected on enjoyment, but negatively effected on anxiety and boredom. Negative emotions positively effected on anxiety and boredom. In the test-related circumstance, positive emotions positively effected on enjoyment, but negatively effected on anxiety. Negative emotions positively effected on anxiety and anxiety lowered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the achievement emotions and its related variables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