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임상의사의 폐경 후 호르몬 대체 요법에 대한 인식조사

        폐경연구소위원회 ( The Study Group For Menopause ) 대한폐경학회 2003 대한폐경학회지 Vol.9 No.1

        최근 폐경여성에서 호르몬 대체요법에 관한 진료가 가장 어려운 부분이다. 호르몬 대체 요법은 폐경기의 급성증상뿐 아니라 폐경으로 인한 만성증상에도 효과를 나타내고 있다. 폐경 후 호르몬 대체요법의 사용은 이점도 있으나 건강에 대한 단점도 있어 호르몬 처방에 있어서 각 환자의 치료 적응증, 치료 금기, 치료로 인한 장단점등에 관한 임상의사의 인식이 중요하다. 따라서 호르몬 대체요법(HRT)에 대한 임상의사의 인식조사를 통하여 폐경여성의 호르몬 치료와 처방에 관한 성향을 조사하고 폐경 치료의 문제점 발굴과 개선에 적극적으로 활용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2002년 7월 폐경학회 회원에서 우편으로 4쪽 분량이 되는 21문항의 설문지를 우송하였고 8월말까지 회수된 1026명의 설문지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호르몬 대체요법 시행에 관하여 응답자의 97.8%가 시행하고 있다고 답변하였다. 호르몬 대체요법의 적응증에 대하여서 폐경증상이 없는 환자에게 시행하는 경우 골다공증의 예방을 위하여 처방하는 경우가 777명 (75.7%), 삶의 질 향상을 위하여 708명(69%). 조기 폐경인 경우 468명(45.6%), 심혈관 질환의 예방을 위하여 294명(28.7%)이 처방 하였다. 호르몬 대체요법의 적응증에 대하여 폐경증상이 있는 여성에게 호르몬 대체요법을 처방하는 경우 vasomotor 증상을 위하여 934명 (91%), 성교통 524 명 (51.1%), 요로계 증상 치료 470 명 (45.8%), 질 증상 치료를 위하여 609 명 (59.3%), 관절통과 관절염 치료 505 명 (49.2%), 심리적 증상의 완화 498 명 (48.5%) 으로 나타났다. 폐경이 지난 여의사인 경우 현재 호르몬 대체요법을 받고 있는 경우가 124명(81%)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대다수의 대한 폐경학회 회원들이 폐경 후 호르몬 대체요법을 처방하고 있었고 주로 안면홍조의 치료와 골다공증예방을 위하여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다. Objectives : To describe trends and attitudes concerning the prescription of hormone replacement therapy. Methods : Self administered postal questionnarie sent to Korean menopausal society. members (gynecologists, family medicine practitioners and general practitioners). Results : Results showed 1003 physicians (99.1%) routinely offered HRT to their menopausal patients. A high proportion of postmenopausal women doctors (81%) used HRT. Most popular indication for HRT were prevention of osteoporosis(75.6%), wellbeing or quality of life(69.1%) and vasomotor symptoms(91.0%).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physicians in sex, age and practice pattern regarding indication to HRT. Most physician (79.8%) did not prescribe alternative medicine for postmenopausal women. Conclusions : Most Members of Korean menopausal society recommended HRT during menopause. Regarding indication to HRT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physicians in sex, age and practice pattern.

      • KCI등재

        폐경이행기 여성에서 폐경 예측지표로서 혈중 anti-Mullerian hormone, follicle-stimulating hormone, 초음파상의 동난포 개수 및 임상적 증상들의 유용성 평가

        김선미 ( Sun Mie Kim ),김석현 ( Seok Hyun Kim ),이정렬 ( Jung Ryeol Lee ),지병철 ( Byung Chul Jee ),서창석 ( Chang Suk Suh ),이중엽 ( Joong Yeup Lee ),김기철 ( Ki Chul Kim ),황도영 ( Yeong Hwang ),김정구 ( Jung Gu Kim ),문신용 ( S 대한산부인과학회 2012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5 No.2

        목적: 폐경이행기 한국 여성에서 폐경 예측 지표로서 혈중 anti-Mullerian hormone (AMH), follicle-stimulating hormone (FSH), estradiol, 자궁내막 두께, 초음파상의 동난포 개수 및 임상적 증상들의 유용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45-55세 사이의 폐경이행기 여성 104명이 참여하였으며 평균 13.1개월 간격으로 두 번에 걸쳐 방문하였다. 각 방문 시 최근의 월경력을 확인하고 골반 초음파검사를 시행하여 동난포 개수 및 자궁내막 두께를 측정하였으며 호르몬검사를 위한 혈액을 채취하였다. 최종 평가 지표는 두 번째 방문(T2) 시의 폐경 여부였으며 통계적 분석은 SPSS ver. 17.0을 사용하였다. 결과: 104명의 참여자 중 두 번째 방문시기에 폐경이 된 여성은 33명이었다. 두 번째 방문 시 폐경된 여성들은 그렇지 않은 여성들과 비교하여 첫 번째 방문 시의 FSH, estradiol, 자궁내막 두께, 동난포 개수, 최종 월경일로부터 경과일 및 최종 월경일과 그 이전 주기와의 기간에 있어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그러나 AMH 수치는 두 그룹 간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모든 인자들 중 최종 월경일로부터 경과일 및 최종 월경일과 그 이전 주기와의 간격이 폐경 발생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인 지표였다. 결론: 폐경이행기 여성에서 1년 정도의 짧은 간격을 두고 볼 때 AMH는 폐경을 예측하는 지표가 되지 못하였다. 첫 번째 방문 시 최종 월경일로부터 경과한 기간이 1년 후 폐경 예측의 더욱 유용한 지표이다. Objective: To assess the efficiency of anti-Mullerian hormone (AMH), follicle-stimulating hormone (FSH), estradiol, antral follicle count (AFC), endometrial thickness (EMT), and clinical findings as predictive markers of menopause in late reproductive-aged Korean women. Methods: A cohort of 104 women, aged 45 to 55 years in their menopausal transition were selected. The participants were assessed twice (T1 and T2) at a mean interval of 13.1 months. At each time, their menstrual history was determined; pelvic ultrasonography was performed to evaluate AFC and EMT; blood sampling was done. A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SPSS ver. 17.0 was performed, with the outcome measure of menopause at T2. Results: Of the 104 participants, 33 were postmenopausal based on their menstrual history at T2. Compared with women who stayed in the menopausal transition period, those who became postmenopausal at T2 differed significantly with regard to the following factors at T1: FSH, estradiol, EMT, AFC, days from the last menstrual cycle, and interval between the last 2 cycles. However, AMH levels were not different between the groups. Of all the parameters, a longer number of days from the last menstrual cycle and time interval between the last 2 cycles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occurrence of menopause. Conclusion: This study indicates that AMH is not a predictive marker of menopause in late reproductive-aged women over a relatively short timeframe (range, 0.5 to 2.5 years). Time since the last menstruation at T1 was a better predictor of menopause.

      • KCI등재후보

        공선옥의 『폐경전야』와 김훈의 『언니의 폐경』의 상호텍스트성 연구

        유진아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14 인문사회과학연구 Vol.15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e Gong Seon-ok‘s <The Night before Menopause> and Kim Hoon’s <Elder Sister`s Menopause> the feminist investigated the perspective of intersexuality. Research examined focus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works, rather than the impact of differences between the studies. And written by male authors and female writers Jean uterus with two new spatial differences between a rights - . Menopausal women with a map of how to get his ego investigation Moreover, as shown above, in the womb space of self-awareness and find middle - aged woman and looked to reconsider a feminist standpoint. Gong Seon-ok‘s of "The Night before Menopause” hit menopause in a woman's body that they are not subject to alienation and the value of the mature body, and the bodies of men and women with other women have the experience and mother`s instinctive love, and the creation and destruction of life talk about the space as a womb. Kim Hoon's, too, "Elder Sister`s Menopause" in the middle-aged and older women in menopause and soon his story about the speakers that will be what happens in the womb and during the process of middle-aged women feel menopause, which will talk about psychology. The most striking difference between the two works, "Elder Sister`s Menopause" and the sudden death of her husband, in which she finds out all the menopausal symptoms, is her acceptance to these symptoms. On the other hand, "The Night before Menopause" the spokes man their menopausal symptoms and dysfunctional behaviors denied through the process of resistance to change in their body shape that looks more and more recognition and acceptance to show. Also "Elder Sister`s Menopause" about menopause and menopause, along with his sister on the subject of female sexuality, or he has no regrets buying as opposed to the life of a wise mother, "The Night before Menopause" pregnant in the eyes of the disciples themselves I want to have a baby while it is impossible to know, to understand a life of love for life with limited maternal love for all things that have expanded into motherhood. These differences in the two works written by male authors see are real "Elder Sister`s Menopause" for women in a patriarchal system society, because of the existing order, as it can be thought of as follows. These differences in the two works are not meant to be the artist who did not follow the existing social stereotypes, because they show can be maintained. The work also showed differences in the individual problem, rather than the artistic community as a whole to be able to see the problem. 이 연구에서는 공선옥의 <폐경전야>와 김훈의 <언니의 폐경>의 상호텍스트성을 여성주의적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연구에서는 두 작품의 영향관계에 주목하기보다는 차이점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리고 남성작가와 여성작가에 의해 쓰여 진 두 소설에서 자궁이 지닌 공간적 의미의 차이와 갱년기를 맞은 여성들이 어떻게 자신의 자아를 찾아가는지도 함께 살펴보았다. 또한 앞서 살펴본 공간으로서의 자궁에 대한 인식과 중년여성의 자아 찾기를 여성주의적 관점에서 재검토해 보았다. 공선옥은 『폐경전야』에서 폐경기를 맞은 여성의 몸을 소외의 대상이 아닌 가치 있고 성숙한 몸으로 그리고 있으며, 남성과는 다른 몸을 가진 여성의 경험과 여성이 가지고 있는 모성, 그리고 생명의 생성과 소멸의 공간으로서의 자궁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다. 김훈 역시 『언니의 폐경』에서 중년의 여인인 언니와 머지않아 폐경을 맞게 될 화자 자신의 이야기를 통해 자궁에서 일어나는 현상과 그 과정 중에 느끼는 갱년기 중년 여성의 심리를 이야기하고 있다. 하지만 한 작품은 여성적 글쓰기를 통해 여성의 진솔한 경험을 이야기하고 있는 것에 반해 다른 한 작품은 실제적인 여성의 경험보다는 폐경기 여성의 심리나 상황이 다소 신비롭게 그려지고 있다. 이는 폐경기를 직접 경험한 여성작가와 그러한 경험에서 소외된 남성작가의 차이라고도 할 수 있다. 두 작품의 두드러진 차이는 『언니의 폐경』에서 언니는 남편의 갑작스러운 죽음과 함께 찾아든 자신의 갱년기 증상, 즉 폐경 증상을 순응적으로 받아들이고 있다. 반면에 『폐경전야』에서 화자는 자신의 갱년기 증상을 부정과 저항의 과정을 통해 역기능적 행동을 보이다가 자신의 몸의 변화를 점점 인정하고 받아들이는 모습을 보인다. 또한 『언니의 폐경』에서는 폐경을 맞은 언니가 폐경과 함께 자신의 여성성에 대해 문제 삼거나 미련을 가지지 않음으로써 현명한 어머니의 삶을 사는 것과는 달리, 『폐경전야』에서는 임신한 제자의 모습을 보고 자신도 아기를 갖고 싶다는 생각을 하다가 그것이 불가능하다는 것을 알고 잉태하는 생명을 사랑하는 한정적 모성에서 벗어나 생명을 가진 모든 것들을 사랑하는 확대된 모성애를 가지게 된다. 두 작품이 이러한 차이를 보이는 것은 남성 작가에 의해 쓰여 진 『언니의 폐경』은 여성에 대한 가부장제 사회에서의 기존 질서를 그대로 따르고 있기 때문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두 작품이 이러한 차이를 보이는 것은 작가가 의도하지는 않았지만 기존의 사회적 관념들을 따르고 유지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두 작품에서 드러나는 차이는 작가 개인의 문제라기보다는 사회 전체의 문제로 볼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중년여성의 폐경에 대한 태도 및 폐경기 증상

        최혜원,김현우,백기청,이경규,박진완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98 신경정신의학 Vol.37 No.6

        연구목적 : 폐경에 대한 태도는 시대와 문화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서 폐경을 경험하는 개인에게 영향을 준다. 폐경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이냐 부정적이냐는 이 시기를 경험하는 개인에게 중요한 영향을 줄 수 있다. 이에 본 논문은 폐경에 대한 태도를 알아보고 이러한 태도가 폐경과 관련된 중상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 연구방법 : ' 40세에서 59세의 산부인과. 정신과를 찾은 환자 66명과 대조군 42명을 대상으로 치료에 따른 상기 각 3군과 폐경상태에 따라 폐경전기, 폐경주위 기, 폐경후기의 3군으로 나누어 폐경에 대한 태도와 폐경과 관련된 증상에 대해 비교분석하였으며 , 각각에 대해 영향을 미치는 사회인구학적 요인을 비교 분석하였고, 폐경에 대한 태도와 증상과의 관계에 대해 상관관계를 알아보았다. ' 연구결과 : 연구결과는 다음과 갈다. 1) 폐경에 대한 태도는 전체적으로 중립적이었다. 치료를 받는 군에 따른 비교에서 긍정적인 태도에서는 정상대조군이 산부인과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은 결과를 보였고, 부정적인 태도와 중립적인 태도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월경상태에 따른 폐경전기, 폐경주위 기. 폐경후기간의 비교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2) 폐경기에 대한 태도와 사회인구학적 변인과의 상관관계에서는 임신횟수와 부정적인 태도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3) 폐경기의 증상은 전반적으로 산부인과군과 정신과군에서 정상대조군보다 증상의 호소가 많았다. 모든 증상이 정신과군에서 정상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불안증상, 우을증상, 성적인 증상, 수면중상은 정신과군에서 산부인과군보다 유의하게 많았다. 산부인과군에서 정상대조군보다 혈관운동성 증상이 유의하게 많았다. 월경상태에 따라서는 성적인 증상에서만 폐경후기가 폐경전기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4) 폐경기 증상과 사회인구학적 변인과의 상관관계에서 교육정도와 신체중상. 불안중상 및 수면중상간에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고. 교육정도와 우울중상. 혈관운동성 증상 및 심리증상간에는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자가건강평가와 모든 중상간에는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5) 폐경기의 부정적인 태도와 신체증상, 불안증상, 우울증상 및 혈관운동성 증상간에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폐경기에 있는 우리나라 여성들은 폐경에 대해 중립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으며. 폐경에 대해 부정적인태도를 가질수록 신체중상뿐만이 아니라 불안증상과 우울증상 등의 심리중상을 호소함을 알 수 있었다. 치료적 접근뿐만이 아니라 교육, 홍보 등을 통하여 이러한 폐경에 대한 부정적인 태도를 바꿀 수 있도록하여 폐경기를 경험하고 극복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0bjectives : Menopause is a life period that involves various somatic and psychological symptoms. Attitudes toward menopause have been influenced by both time and culture, and play a crucial role in experiencing this perio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Korean middleaged women's attitudes toward menopause and to investigate correlations between attitudes toward menopause and menopausal symptoms. Methods : Thirty-one gynecological patients,35 psychiatric patients, and 42 normal controls who were middle aged women(40-59 years old) were selected. The attitudes toward menopause was examined. According to menstrual status, premenopause, peiimenopause and postmenopause groups were separated and examined. Then, correlations between sociode-mographic factors and attitudes toward menopause, correlations between attitudes toward menopause and 34 menopausal symptoms, and correlations between sociodemoeaphic factors and menopausal symptoms were examined. Resu1ts: . 1) Overall attitudes toward menopause was neutral. According to treatment group, normal controls showed more positive attitude than gynecological group and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negative and neutral attitudes. According to menstrual flatus,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cross premenopause, perimenopause, and postmenopause groups. 2) There was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pregnancy number and negative attitude. 3) Both gynecological and psychatric groups showed more menopausal symptoms than nominal controls. Psychiatric group showed significantly more symptoms than normal control in all menopausal symptoms. Psychatric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core than gynecological group in anxiety, depressive, sleep, and sexual symptoms. Gynecological group revealed significantly more vaomotor symptoms than notmal controls. According to menstrual status, postnenopausal group showed signacantly more sexual symptom than premenopause group. 4) Education level had negative correlations with somatic symptoms, anxiety , and sleep problems, and showed positive correlations with depression, vasomotor, and pfrchological symptoms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elf-assessment of health status and all of menopausal symptoms. 5) Negative attitudes toward menopause had positive correlations with somatic, anxiety depressive,and vasomotor symptoms. Conclusions: These finings suggest that the method to correct women's negative atitudes towed menopause will be helpful to overcome menopause and to improve menopausal symptoms.

      • KCI등재

        한국 폐경여성의 폐경에 대한 인식도 조사

        최훈 ( Hoon Choi ),이홍균 ( Hong Kyoon Lee ),박형무 ( Hyoung Moo Park ) 대한폐경학회 2003 대한폐경학회지 Vol.9 No.1

        연구목적: 본 역학조사는 제 3차 KEDA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한국 폐경여성의 폐경에 대한 태도와 인식을 알기 위해 실시된 연구이다. 연구방식: 본 연구는 대한 폐경학회와 한국 와이어스 공동주관하에 전국의 50-59세 여성중 무작위로 추출된 1201명을 대상으로 한국 갤럽 연구소를 통한 직접적인 대상군의 면담을 통해 이루어 졌다. 결과: 대상군의 평균 폐경연령은 49.7세였다. 대상군의 57%인 680명이 폐경의 원인을 알고 있다고 답하였으며, 73%는 폐경은 자연 노화현상으로 기인한다고 응답하였고 21%는 에스트로젠의 결핍이 그 원인이라고 답하였다. 92%는 폐경후 골다공증의 위험이, 72%는 심혈관 질환의 위험이 높아진다고 답하였다. 폐경후 느끼는 감정에 대해 140명이 응답하였는데, 64.2%는 부정적인 태도를 보였다. 자연 폐경을 경험한 797명의 여성중 89%는 폐경증상중 적어도 하나를 경험하였다고 하였으며, 경험한 증상중 안면홍조(61%)가 가장 많았다. 대부분의 폐경여성(79.8%)은 증상의 완화가 필요하다고 하였으나, 반수이상의 여성(54.8%)이 의료계 종사자에게 상담을 받은 적이 없다고 하였다. 42%의 여성은 폐경으로 성욕이 변하지 않았다고 하였으나, 57%는 감소하였다고 하였고 1%만이 증가하였다고 답하였다. 41.5%의 여성이 폐경후 경험한 질환으로는 고협압, 하지골절, 손목골절, 척추골절이었다. 전체 대상군중 33.9%는 규칙적인 운동을 하고 있다고 하였다. 384명(32%)이 칼슘을 복용하고 있다고 하였으며, 277명(23.1%)은 대체의학 또는 건강식품을 복용한 적이 있다고 하였다. 결론: 우리나라 폐경여성이 폐경에 대한 인식을 보면 일부는 치료가 필요하다고 한 반면, 다른 한편으로는 자연적인 방법에 의해 조절되는 자연현상으로 생각하고 있다. 폐경여성에게 체계적인 접근을 통하여 폐경에 대한 정확하고 최신정보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고 사료된다. This epidemiologic study was designed to assess Korean menopausal women`s attitudes and awareness on menopause as a part of 3rd Korean Estrogen Deficiency Awareness(KEDA) anniversary program. Design : This study was conducted by Korea Gallup under the auspices of Korea Society of Menopause and Wyeth Korea through the face to face interviews with 1201 women aged between 50 and 59 years, who were randomly recruited from all areas in Korea, by using 53 questionnaires about menopause and HRT. Results : The mean age of menopause of the subjects is 49.7 years. 680 women comprising 57% knew the cause of menopause ,most of them mentioned menopause was the natural again process (73%) or resulted from estrogen deficiency (21%). Most women believed the risk of osteoporosis (92%) and cardiovascular disease (72%) were in creased after menopause. Among 140 menopause women who responded the attitude toward menopause, 64.2% of respondents expressed negative feeling. Among 797 women who experienced natural menopause, 89% of women said they had experienced one of menopausal symptoms and hot flush (61%)was the most common symptom. Most of the (79.8) believed the relief of symptoms was necessary, while more than half of women (54.*) had never been advised of their menopausal symptoms by medical personnel. 42% of women said their sexual desire had remained the same as before menopause, 57% reported their sexual desire had decreased, while 1% said their sexual desire had increased. During menopausal period, 41.5% of women had suffered from hypertension, leg fracture, wrist fracture, or vertebral fracture. Of total cohort, slight more than one third (33.9%) had regular exercise. 384 women (32%) and 277 women (23.1%) had taken calcium supplementation and alternative medicine, respectively. Conclusion : Menopausal women are divided in their view of menopause, some seeing it as a medical condition requiring treatment, whereas others see it as a natural transition to be managed by natural means. Providing menopausal women with accurate, up-to-date information by a systematic approach is required.

      • KCI등재

        폐경기 여성들의 혈중 납 농도 수준과 이에 영향을 주는 관련요인 분석

        원성윤 ( Seong Youn Won ),김남수 ( Nam Soo Kim ),이병국 ( Byung Kook Lee ),선우재근 ( Jae Gun Sunwoo ) 대한산부인과학회 2012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5 No.4

        목적 폐경과 이와 관련된 유관변수들이 여성들의 혈중 납 농도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를 규명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연구방법 83명의 폐경 중이거나 폐경을 경험한 여성과 52명의 폐경 전 여성을 연구대상자로 선정하였다. 혈중 납량은 원자흡광광도계로 분석하였다. 난포자극호르몬(follicle-stimulating hormone, FSH)과 성선자극호르몬(lutenizing hormone, LH)을 측정하였으며, 이외에 혈색소, 혈구용적치, 체질량지수를 연구변수로 측정하였다. 또한 음주와 흡연에 관한 정보도 확보하였다. 결과 폐경기의 여성들의 혈중 납량은 평균(95% 신뢰구간)은 2.27 μg/dL (2.12-2.41 μg/dL)로서 폐경 전 여성들의 평균 1.89 μg/dL (1.76-2.02μg/dL)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그러나 폐경기 여성들을 다시 구분한 폐경 중과 폐경 후의 평균은 양자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연령, 체질량지수, 혈색소 및 흡연과 음주여부를 통제한 다중회귀분석에서 폐경 여부만이 대수 변환한 혈중 납량을 증가시키는 유일한 독립변수이었으며, FSH과 LH는 유의한 영향을 주지 못했다. 결론 본 연구결과 폐경기 한국여성들의 혈중 납량은 폐경 전 여성들보다 유의하게 높은 것이 확인되었다. Objective This study assessed blood lead in women in relation to menopause and its association with other related relevant factors to evaluate the impact of menopausal status on blood lead levels in women. Methods Eighty three menopausal women and 52 premenopausal women without known occupational lead exposure were included. Blood lead was measured by atomic absorption spectrophotometry. Follicle-stimulating hormone (FSH) and Lutenizing hormone (LH) were measured in addition to hemoglobin, hematocrit and body mass index as an study variables. Information on smoking and drinking status were also obtained. Results The mean (95% confidence intervals) level of blood lead in menopausal women was 2.27 μg/dL (2.12-2.41 μg/dL) which was signifi cantly higher than premenopausal women (1.89 μg/dL, 1.76-2.02 μg/dL), but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of mean blood levels between perimenopausal and postmenopausal women. In a multivariate regression analysis after adjusting for age, body mass index hemoglobin, drinking and smoking status, only menopausal status was a signifi cant predictor of increases in log transformed blood lead without any signifi cant contribution of FSH and LH. Conclusion These results confi rmed that menopausal status was associated with signifi cant increase of blood lead levels in Korean women who were not occupationally exposed to lead.

      • KCI등재

        중년여성의 폐경 증상, 폐경증상에 대한 주관적 인식, 폐경태도 및 폐경관리와의 관계

        김성주,김영란,이옥숙,최소영 한국융합학회 2021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12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중년여성의 폐경증상, 폐경증상에 대한 주관적 인식, 폐경태도 및 폐경관리 정도를 확인한 후 변수 간의 관계와 폐경증상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고자 함이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3개 도시에 거주하는 만 40세 ~60세 중년여성 중 연구의 목적을 이해하고 연구 참여에 동의한 242명이었으며 자료수집 기간은 2019년 4월 10일부터 2019년 5월 30일까지 이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5.0을 이용하여 t-test, ANOVA, Pearson’s 상관 계수 및 단계적 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 중년여성의 폐경증상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폐경증상에 대한 주관적 인식(β=. 51, p <.001), 월경상태(β=. 23, p <.001), 지각된 건강상태(β=. 19, p =. 002), 삶의 만족(β=. 14, p =. 019) 및 종교 유무(β=. 10, p = .045) 이었으며 그 중 가장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페경증상에 대한 주관적 인식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중년여성의 폐경증상을 완화하기 위해서는 폐경증상에 대한 주관적 인식을 긍정적으로 변화시키기 위한 간호중재 전략이 필요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menopausal symptoms, perceived awareness of menopausal symptom, menopausal attitude and of menopausal management in middle aged women and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menopausal symptoms. The subjects of study were 242 middle aged women who are living in G, J, K city and understood the research items and agreed to participate in the research. Data were collected from April 10 to May 30, 2019. Data were analyzed using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with SPSS/WIN 25.0. In this study, it was founded that perceived awareness of menopausal symptom(β=. 51, p <.001), menstruation status(β=. 23, p <.001), perceived health status(β=. 19, p =. 002), satisfaction of life(β=. 14, p =. 019) and religion(β=. 10, p =. 045) were found to be influential factors affecting menopausal symptoms in middle aged women. The most influential factor was perceived awareness of menopausal symptom. A nursing intervention program is needed to change positively the awareness of menopausal symptom.

      • 우울, 불안장애 환자에서 폐경에 대한 태도 및 인식과 폐경기 증상

        최인광,이문수,함병주,이화영,고영훈,조숙행,Choi, In Kwang,Lee, Moon-Soo,Ham, Byung-Joo,Lee, Hwa-Young,Ko, Young-Hoon,Joe, Sook-Haeng 한국정신신체의학회 2010 정신신체의학 Vol.18 No.2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정신과 중년여성 외래환자를 폐경기 상태에 따라 폐경전기, 폐경주위기, 폐경후기의 3집단으로 세분화하여 폐경기 증상을 비교하고, 폐경에 대한 태도 및 인식과 폐경기 증상 간의 연관성을 조사하며, 우울증상 및 특성불안의 심각도에 따른 폐경기 증상의 심각도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방 법 2009년 8월 17일부터 2009년 11월 28일까지 고려대학교 구로병원 신경정신과 외래를 방문하여 우울장애와 불안장애로 진단받은 40~64세의 여성 환자 152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하였다. 폐경기 증상의 심각도를 평가하기 위해 폐경평가척도(Menopause Rating Scale, MRS)를 이용하였고, 폐경기에 대한 태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11항목으로 구성된 자기보고식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또한 대상자의 우울, 불안증상을 평가하기 위해 Beck 우울 척도(Beck Depression Inventory, BDI), 상태특성 불안 척도(State-Trait Anxiety Inventory, STAI)가 사용되었다. 폐경기 상태에 따른 각 그룹에서의 폐경기 증상의 차이가 있는지 비교하였고, 폐경에 대한 태도 및 인식과 폐경기 증상 간의 연관성을 조사하였다. 우울증상, 특성불안의 심각도와 폐경기 증상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결 과 폐경기 상태에 따른 폐경기 증상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폐경기는 노화의 증후; 배우자들은 폐경기 여성을 매력이 없다고 느낌'의 항목에 동의할수록, '임신을 하지 않아 홀가분함'의 항목에 동의하지 않을수록 일부 폐경기 증상을 심하게 호소하여, 부정적인 폐경에 대한 태도와 폐경기 증상의 심각도 간에 유의한 연관성을 보여주었다. 그리고 우울증상과 특성불안의 수준이 높은 경우 폐경기 증상이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 론 본 연구에서 폐경에 대한 부정적 태도 및 우울증상, 불안은 폐경기 증상의 심각도 간에 상호연관성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임상에서 폐경기 증상에 대해 평가하고 교육을 통하여 환자들로 하여금 폐경에 관한 긍정적 태도를 갖고 폐경기 증상에 적절히 대처하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향후 임상에서 많은 중년여성 정신과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정신과 치료를 지속하면서 우울증상, 불안의 호전 정도에 따라 폐경기 증상의 변화를 살펴보는 전향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attitude and belief about menopause and severity of menopausal symptoms according to menopausal status. This study conducted a cross-sectional assessment of the effects of depressive symptoms and the severity of trait anxiety on the severity of menopausal symptoms. Methods : Participants were all outpatients at the psychiatric outpatient clinic of Korea University Guro Hospital. All participants, aged 40 to 64, had depressive or anxiety disorders and were divided into the premenopause, perimenopause, premenopause, and postmenopause groups. Menopause Rating Scale(MRS) was used to measure the severity of menopausal symptoms. The attitude toward menopause was examined by a self-report questionnaire regarding menopause. Beck Depression Inventory(BDI) and State-Trait Anxiety Inventory(STAI) were used to assess depressive symptoms and anxiety. Results : The severity of menopausal symptoms was not different among the groups according to menopausal status.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a negative attitude toward menopause and the severity of menopausal symptoms. Patients with moderate to severe depressive symptoms and trait anxiety had more severe menopausal symptoms. Conclusion : Negative attitude toward menopause, depressive symptoms, and anxiety had a significantly negative impact on the severity of menopausal symptom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reatment to relieve depressive symptoms and anxiety and intervention to reduce negative attitude toward menopause are required. Further studies with larger sample size are needed to evaluate potentially effects of depressive symptoms and anxiety on severity of menopausal symptoms in middle-aged female psychiatric patients.

      • KCI등재후보

        폐경

        최희정,오한진 대한가정의학회 2020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Vol.10 No.3

        폐경이 되면 많은 여성이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폐경 증상을 경험하고 심혈관질환이나 골다공증과 같은 건강문제 위험이 증가한다. 폐경 여성의 건강 목표는 폐경에 동반되는 장단기 건강문제와노화와 관련하여 발생하는 주요 만성질환의 위험요인을 찾아 교정하고 치료하여 신체, 정신, 사회적으로 최적의 삶을 유지하는 것이다. 따라서 폐경이행기는 심혈관 대사 위험이나 골다공증 위험요인,흔한 암에 대한 선별검사를 포함하여 전반적인 건강 평가를 할 수있는 기회가 될 수 있다. 폐경 관련 학회에서는 60세 이하 또는 폐경후 10년 내의 폐경 초기라면 금기가 없는 한 증상이 있는 여성에게폐경호르몬치료를 하도록 권고하고 있으며, 폐경호르몬치료 처방을하지 않거나 조기에 중단하는 것은 심혈관질환이나 골다공증과 같은 만성질환의 유병률을 증가시키는 요인이 될 수 있다. 일차진료의는 증상이 있는 여성에게 폐경호르몬치료의 이득과 위험에 대해 올바른 정보를 전달하고 두려움 없이 치료를 선택할 수 있도록 권고할수 있어야 한다. Menopause can lead to poor quality of life and health problems and is associated with an increased risk of cardiovascular disease and osteoporosis. Thehealth goals of postmenopausal women are to maintain optimal physical, psychological, and social well-being by treating short-term and long-termhealth problems related to menopause and correcting risk factors for chronic diseases related to aging. The menopausal transition is an excellentopportunity for a general health assessment including assessment of chronic diseases and cancer screening. Recommendations from scientificsocieties clarify that initiation of menopausal hormone therapy (MHT) is appropriate for symptomatic women without contraindications when theyare in the early postmenopausal period (i.e., age <60 years or within 10 years of menopause onset). The decreasing rate of MHT use and/or itspremature discontinuation may lead to an increased prevalence of chronic conditions, such as cardiovascular disease and osteoporosis. Primary carephysicians should be able to provide symptomatic women with the right information about the benefits and risks of MHT and recommend MHTwithout any underlying fear.

      • 폐경후 여성에서 폐경기간에 따른 호르몬 보충요법이 혈중 지질 농도에 미치는 영향

        심재철,임문환,도은형,윤혜원,이민석,배철성 東國大學校醫學硏究所 1995 東國醫學 Vol.3 No.-

        폐경 증후군 여성 88명을 대상으로 호르몬 보충요법을 시행하여 다음의 결과를 얻었다. 1. 폐경 이후 5년 및 10년이 지난 여성에서 혈중 총 콜레스테롤 및 저밀도 지단백의 농도가 폐경전후의 여성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으나, 고밀도 지단백의 농도는 차이가 없었다. 2. 호르몬 보충요법 6 주기 후의 혈중 저밀도 지단백의 농도는 폐경 후 5년 및 10년이 지난 여성에서 유의하게 높았으나, 총 콜레스테롤 및 고밀도 지단백의 농도는 유사 하였다. 3. 호르몬 보충요법 12 주기 이후의 혈중 지질 농도는 폐경 이후의 시기와 관계없이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4. 혈중 총 콜레스테롤의 농도는 폐경 전후의 여성에서 호르몬 보충요법 12 주기 이후에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고, 폐경 이후 5년 및 10년이 지난 여성에서는 별로 변화가 없었다. 5. 혈중 고밀도 지단백의 농도는 폐경 전후의 여성에서는 호르몬 보충요법 6 주기 이후부터 유의한 증가를 보였으나, 폐경이 우래된 여성에서는 호르몬 보충요법 12주기 이후부터 유의한 상승을 나타내었다. 6. 혈중 저밀도 지단백의 농도는 폐경이후의 시기에 관계없이 12주기의 호르몬 보충요법 이후에는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볼때 폐경 이후 10년이 지난 여성에서도 12 주기 이상의 호르몬 보충요법 후에는 폐경 직후에 보충요법을 시행한 여성과 유사한 혈중 지질 농도의 양상을 보임으로써 폐경 이후 수년이 지난 여성에서도 적극적으로 호르몬 보충요법을 시행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고 생각된다. As the evaluation of the effect of HRT on blood lipid levels in 88 postmenopausal women, we obtained following results. 1. In women with 5-year & 10-year passed menopause, total cholesterol and LDL cholesterol level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women with just menopause(p<0.05), but HDL cholesterol levels had no significant differences. 2. After 6 cycles of HRT, LDL cholesterol levels were higher in women with 5 & 10-year passed menopause(p<0.05), but total and HDL cholesterol levels were not different. 3. After 12 cycles of HRT, lipid profiles showed similar levels in all 3 group. 4. After 12 cycles of HRT, total cholesterol levels were increased in women with just menopause(p<0.05), but no significat changes in women with 5 & 10-year passed menopause. 5. HDL cholesterol levels showed increased pattern since after 6 cycles of HRT in women with just menopause, but showed more slow pattern in the women with 5 & 10-year passed menopause. 6. LDL cholesterol level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after 12 cycles of HRT in all 3 group(p<0.05). On the basis of above results, lipid profiles of women with 10-year passed menopause were similar with women with just menopause after 12 cycles of HRT. Active recommendation of HRT are needed even in women with long passed menopaus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