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폐경기 여성들의 혈중 납 농도 수준과 이에 영향을 주는 관련요인 분석

        원성윤 ( Seong Youn Won ),김남수 ( Nam Soo Kim ),이병국 ( Byung Kook Lee ),선우재근 ( Jae Gun Sunwoo ) 대한산부인과학회 2012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5 No.4

        목적 폐경과 이와 관련된 유관변수들이 여성들의 혈중 납 농도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를 규명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연구방법 83명의 폐경 중이거나 폐경을 경험한 여성과 52명의 폐경 전 여성을 연구대상자로 선정하였다. 혈중 납량은 원자흡광광도계로 분석하였다. 난포자극호르몬(follicle-stimulating hormone, FSH)과 성선자극호르몬(lutenizing hormone, LH)을 측정하였으며, 이외에 혈색소, 혈구용적치, 체질량지수를 연구변수로 측정하였다. 또한 음주와 흡연에 관한 정보도 확보하였다. 결과 폐경기의 여성들의 혈중 납량은 평균(95% 신뢰구간)은 2.27 μg/dL (2.12-2.41 μg/dL)로서 폐경 전 여성들의 평균 1.89 μg/dL (1.76-2.02μg/dL)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그러나 폐경기 여성들을 다시 구분한 폐경 중과 폐경 후의 평균은 양자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연령, 체질량지수, 혈색소 및 흡연과 음주여부를 통제한 다중회귀분석에서 폐경 여부만이 대수 변환한 혈중 납량을 증가시키는 유일한 독립변수이었으며, FSH과 LH는 유의한 영향을 주지 못했다. 결론 본 연구결과 폐경기 한국여성들의 혈중 납량은 폐경 전 여성들보다 유의하게 높은 것이 확인되었다. Objective This study assessed blood lead in women in relation to menopause and its association with other related relevant factors to evaluate the impact of menopausal status on blood lead levels in women. Methods Eighty three menopausal women and 52 premenopausal women without known occupational lead exposure were included. Blood lead was measured by atomic absorption spectrophotometry. Follicle-stimulating hormone (FSH) and Lutenizing hormone (LH) were measured in addition to hemoglobin, hematocrit and body mass index as an study variables. Information on smoking and drinking status were also obtained. Results The mean (95% confidence intervals) level of blood lead in menopausal women was 2.27 μg/dL (2.12-2.41 μg/dL) which was signifi cantly higher than premenopausal women (1.89 μg/dL, 1.76-2.02 μg/dL), but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of mean blood levels between perimenopausal and postmenopausal women. In a multivariate regression analysis after adjusting for age, body mass index hemoglobin, drinking and smoking status, only menopausal status was a signifi cant predictor of increases in log transformed blood lead without any signifi cant contribution of FSH and LH. Conclusion These results confi rmed that menopausal status was associated with signifi cant increase of blood lead levels in Korean women who were not occupationally exposed to lea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