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도서관 특화에 대한 비특화도서관 사서와 이용자의 인식비교 연구

        노영희,신영지,곽우정 한국비블리아학회 2019 한국비블리아학회지 Vol.30 No.1

        In this study, development directions for smooth introduction of transferring non-specialized libraries to specialized libraries are suggested based on the analysis conducted on non-specialized library librarians and users to investigate and analyze the comparative requirements for specializing libraries, specialization topics, demand for spaces and programs for specialization and view of important factors of each area when operating specialized libraries in future. As a result, first, when introducing a specialized library, it is necessary to derive a specialized topic that can identify and provide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gion and the status of existing library. And a demand analysis. Based on this, the subject should be selected through the demand survey of the local residents. Second, from the stand point of targeted subjects of specialized service, it is necessary to provide tailored services by understanding the service range for each age group based on local population distribution and library user analysis. Third, experience-type, lecture-type and view-type can be suggested for specialized programs,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specialized subject field. It is ideal to operate combination of the three based on the subject filed details. Also,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 and the types of program should be considered for specialized spaces. Finally, in order to systematically operate and promote specialized libraries, allocating dedicated personnel, linking with other institutions and strategies of promotion and marketing should be considered. 본 연구에서는 비특화도서관 사서와 이용자를 대상으로 도서관 특화에 대한 요구사항 비교분석, 특화 주제, 특화 대상, 특화 관련 공간 및 프로그램 등에 대한 수요조사, 향후 특화도서관 운영 시 영역별 중요도 인식 등의 조사를 기반으로 비특화도서관이 향후 특화도서관으로 전환 시 원활한 도입을 위한 발전방향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첫째, 특화도서관 도입 시, 지역의 특성과 현 도서관의 현황을 파악하여 제공할 수 있는 특화 주제를 도출해야 하며, 이를 기반으로 지역주민의 수요조사를 통해 주제를 선정해야 한다. 둘째, 특화서비스 대상의 경우 지역 인구 분포와 도서관 이용자 분석을 기반으로 연령별 서비스 범위를 파악하여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 셋째, 특화 프로그램은 특화 주제 분야의 특징을 고려하여 체험형, 강의형, 관람형 등의 유형으로 제안할 수 있으며, 세부 주제분야별로 혼합적으로 운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특화 공간의 경우 주제의 특징과 프로그램 유형을 고려하여 구성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특화도서관 운영 시 체계적인 운영과 활성화를 위해 특화 전담 인력 배치, 타 기관과의 연계, 홍보 및 마케팅 방안을 고려해야 한다.

      • KCI등재

        도서관의 특성화 사례 분석을 기반으로 한 도서관 특화방향 모색에 관한 연구

        노영희,곽우정,신영지,Noh, Younghee,Kwak, Woojung,Shin, Youngji 한국비블리아학회 2018 한국비블리아학회지 Vol.29 No.3

        연구에서는 문체부 정책과 특화지향 사회적 분위기의 영향으로 증가하고 있는 특화도서관의 사례를 조사 분석하고 향후 특화도서관의 발전방향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특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도서관의 지역 분포, 장서, 시설, 전문 인력, 프로그램, 서비스 등에 대해서 조사 분석하였다. 총 55개의 도서관에 대해서 분석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한 시사점 및 정책방향 제안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도서관이 특화주제를 선정할 때는 지역자원, 지역정체성, 지역브랜드, 지역주민의 수요 등을 고려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둘째, 특화장서는 특화주제와 관련이 있어야 하며 특화장서의 비중은 1만권이 넘도록 하되 전체장서에서 특화장서가 차지하는 비중도 고려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셋째, 공간구성도 특화 주제를 고려해야 하며, 특화분야에 따라 요구되는 공간이나 유형은 다르다는 것도 고려해야 할 것이다. 넷째, 특화도서관에서는 특화분야의 전문인력을 배치하야 하며, 특화인력을 양성하기 위해서는 대학과 사서교육원의 역할이 매우 중요할 것으로 보인다. 다섯째, 특화도서관에서 운영되는 프로그램의 유형에는 관람형, 행사형, 강좌형, 참여형, 콘테스트형이 있었는데, 특화주제에 따라 적절한 유형을 선택해서 운영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nd analyze actual cases of specialized libraries which are increasing in number due to the influence of the local government policy and the specialization-oriented social atmosphere and to explore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specialized libraries in the future. In order to do that, the distributions, collections, facilities, professional manpower, programs, and services of the libraries providing specialized services were investigated and analyzed. A total of 55 libraries were analyzed and the implications and proposed policy directions based on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when selecting a specialized subject, the library should consider the local resources, local identity, local brands and demand of local residents. Second, specialized collections should be related to the specialized topic, and the number of specialized collections should be more than 10,000, but the proportion of specialized collections compared to the total collections should also be considered. Third, the design of space should consider the specialized subject, taking into account that required spaces and types are different depending on the type of specialized subject. Fourth, Specialized libraries should have specialists from the specialized area and the role of universities and librarian education institutes seem to be critical for cultivating specialized personnel. Fifth, the program type implemented by specialized libraries should be appropriately selected and operated from the program types of view-type, event-type, lecture-tepe, experience-type and contest-type, based on the specialized subject.

      • KCI등재

        특화 거리 보행로 디자인 특성에 관한 연구

        이서영,김지현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0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5 No.1

        (연구배경 및 목적) 보행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보행로는 디자인을 통해 보행자를 최우선으로 하며 기능적·심미적 만족감을 높이며 쾌적한 공간은 물론, 주변 환경과 조화를 이루며 도시의 개성적인 이미지를 구축시켜나가고 있다. 2009년 서울시의 “거리르네상스사업”을 계기로 보행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도시재생을 통한 상권 활성화를 목표로 추진되고 있는 지역 특화 거리의 보행로 개선사업들로 지속적으로 보행환경 개선을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또한 서울시뿐만 아니라 각 지역에서도 보행로 디자인을 활용하여 지역 정체성을 구축시키기 위한 ‘특화 거리’가 활발히 조성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취지를 바탕으로 보행로를 2차원적인 평면의 개념이 아닌 3차원적 공간의 개념으로 접근하고자 하며, 특화거리 보행로 디자인의 특성을 고찰하는 데 목적을 갖는다. 나아가 특화 거리 보행로의 전략적인 디자인을 위한 세부요소를 도출하고 특화거리 보행로 디자인 수립 시 조성 배경과 사업 목적에 맞는 특성을 가지고 접근이 가능하도록 한다. (연구방법) 이에 본 연구는 관련 선행연구를 통한 보행로 디자인의 역할과 기능을 도출하였고, 그에 대한 세부요소를 그룹화 하여 특성에 대한 정의를 제시하였다. 또한 이론 고찰을 통해 사례분석 틀을 설정하여 특화 거리 보행로를 대상으로 사례분석을 거쳐 디자인 특성을 고찰하였다. (결과) 그 결과 기능적 특성으로는 인지성, 연결성, 안정성, 심미적 특성으로는 조형성, 차별성, 조화성, 사회적 특성으로는 정책성, 상업성, 문화성, 환경적 특성으로는 친환경성, 재생성, 쾌적성으로 네 가지의 보행로 디자인 특성과 각 특성에 따른 세 가지의 세부요소를 도출하였다. 그 다음으로 특화거리 보행로 디자인의 특성을 도출하기 위한 사례 분석 결과, 보행로 디자인의 각 특성 중 인지성, 차별성, 상업성, 재생성이 특화거리 보행로 디자인에서 높은 특성으로 나타났다. 특히 특화거리 보행로 디자인에서 가장 높은 특성으로 나타난 차별성은 특화거리 보행로 디자인에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특화거리 보행로 디자인이 사람들의 보행을 유도할 수 있는 미학적 측면에서의 유희적인 디자인 요소를 제공하며 지역 정체성을 구축시킬 수 있는 하나의 문화라고 해석할 수 있다. (결론) 이러한 시도는 관광객이나 지역 주민들에게 다양한 체험의 제공과 지역의 상징적인 표현을 통해 결과적으로 낙후된 지역의 도시 재생과 주변 상권 활성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라 기대한다. 또한 특화 거리 조성 시 추구하는 사업 목표에 맞게 연구 결과의 보행로 디자인 특성을 기반으로 전략적인 계획을 수립할 수 있는 가이드라인으로 제시될 수 있으며, 특화 거리 보행로 설치 시 디자인 계획의 기초 자료가 될 수 있다는 데 의의가 있다. (Background and Purpose) As interest is more taken in pedestrian paths, the priority is placed on pedestrians through design. Pedestrian paths work to increase functional and aesthetic satisfaction, provide pleasant spaces, strike harmony with the surrounding environments, and build the characteristic images of the city. Since the "Street Renaissance Project" began in Seoul and stimulated people's interest in pedestrian paths in 2009, constant efforts have been made to improve the pedestrian environment through pedestrian path improvement projects along specialized local streets designed to vitalize business districts through urban regeneration. Each local government as well as the Seoul municipal government is active to create a "specialized street" for local identity based on pedestrian path designs. Reflecting this intent, this study set out to approach pedestrian paths as a concept of three-dimensional space and investigate the design characteristics of pedestrian paths along specialized streets. It also aimed to identify detailed elements for the strategic design of pedestrian paths along specialized streets and enable an approach to their design based on their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ir backgrounds and purposes. (Method) The study identified the roles and functions of pedestrian path design based on previous studies, divided their detailed elements into groups, and defined their characteristics. A framework was built through theoretical consideration for case analysis and used to analyze cases of pedestrian paths along specialized streets and examine their design characteristics. (Results) As a result, four groups of design characteristics of pedestrian paths were identified. Functional characteristics included recognition, connectivity, and stability; aesthetic ones did formativity, differentiation, and harmony; social ones did policy nature, commercial viability, and cultural character; and environmental ones did environment-friendliness, regeneration, and pleasantness. The study then analyzed cases to identified the design characteristics of pedestrian paths along specialized streets and found that recognition, differentiation, commercial viability, and regeneration recorded a high level in the designs of pedestrian paths along specialized streets. Differentiation, which recorded the highest level in their design, worked as an important factor in their design, as well.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the designs of pedestrian paths along specialized streets provide playful design elements in the aesthetic aspect to promote people's walking and form a culture to establish local identity. (Conclusions) Such attempts will provide tourists and local residents with various experiences and facilitate the symbolic expressions of the areas, thus having positive impacts on the urban regeneration of the deteriorated areas and the vitalization of business districts in the surroundings. The findings of the study will propose a set of guidelines to make a strategic plan based on the design characteristics of pedestrian paths according to the goals of specialized street projects and provide basic data for the design planning of pedestrian paths along specialized streets.

      • KCI등재

        특화도서관 운영 가이드라인 개발에 관한 연구

        노영희,정대근,김미연,이용미 한국도서관·정보학회 2018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49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lect a specialized topic that meets the needs of the local contents and the local people, based on this, the study develops practical guidelines for operating specialized libraries. For this purpose, forty-three libraries in domestic and foreign were selected to derive their implications by surveying the specialized libraries building process, regional characteristics, specialized books, budget, personnel, network, facilities, environment, programs, and publicity. Based on the suggestions reached, we proposed four stages of operation guidelines: the preparation stage for establishing a system to support specialized services and selecting regional specific topics, the stage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library environment in order to serve the selected specialized subjects, the operational stage of planning and providing information complex cultural services related to specialized subjects, and the diffusion stage that communicates with external institutions of the library for upgrading and expanding services. 본 연구의 목적은 공공도서관이 지역콘텐츠 및 지역민의 요구에 부합한 특화주제를 선정하고 이를 기반으로 특화도서관을 운영함에 있어 필요한 실질적 가이드라인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총 43개 국내‧외 도서관을 선정하여 특화도서관 설립과정, 지역적 특성, 특화장서, 특화예산, 특화인력, 특화네트워크, 특화시설 및 환경, 특화프로그램, 홍보 등을 조사하여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시사점을 기반으로 운영 가이드라인을 4단계로 제안하였는데, 특화서비스 지원체계를 확립하고 지역밀착형 특화주제를 선정하는 준비단계, 선정된 특화주제를 서비스하기 위하여 도서관 환경을 조성하는 조성단계, 특화주제 관련 정보복합문화서비스를 기획하고 제공하는 운영단계, 서비스 고도화 및 확장을 위하여 도서관 외부기관과 소통하는 확산단계 등이다.

      • KCI등재

        지역특화발전특구 현황과 전문기업 연계를 통한 지역산업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김대일,박성찬,염춘호 한국전문경영인학회 2021 專門經營人硏究 Vol.24 No.4

        최근 우리나라는 저출산·고령화로 인해 인구가 감소하는 지역이 늘어나고 있으며, 특히 지방도시에서는 생산인구의 급격한 감소로 인해 지역산업 쇠퇴 지역이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지역산업 쇠퇴를 방지하기 위해 전국에 획일적으로 적용되는 규제를 지역 특화사업에 대해 완화하거나, 규제권한 이양을 통해 침체되고 있는 지역경제를 활성 화 하고자 지역특화발전특구를 지정하여 추진하고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지역특화발전 특구에서 성과가 보통이거나 부진인 특구가 많으며 매출·고용과 같은 경제적 성과 창출, 규제특례 활용 실적 등에 상대적으로 미흡한 실적을 보이고 있어 이에 대한 대응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지역특화발전특구의 전문기업 연계 현황과 특징 을 분석하여 지역 쇠퇴방지 및 경제 활성화를 위한 지역산업 발전방안을 도출하는데 목적 이 있다. 이를 위해 우리나라 지역특화발전특구와 일본의 특구 제도를 검토하고, 전국 지역특화발전특구의 현황과 지역특화발전특구 내 소재 기업 현황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지역산업의 발전방안을 위한 시사점으로, 1)선택과 집중을 통한 지역특화발전특구 지정, 2)지역특화발전특구의 세분화, 3)지역 특성에 맞는 핀셋 규제특례 도입, 4)협력적 거버넌 스 구축의 필요성을 도출하였다. Recently, in Korea, the number of regions where the population is decreasing due to the low fertility and aging population is increasing. To prevent the decline of local industries, regulations that are uniformly applied across the country are eased for regional specialized projects, or a Regional Special Development Zones have been designated and promoted to revitalize the stagnant local economy through the transfer of regulatory authority. However, in most Regional Special Development Zones, There are many special economic zones with average or sluggish performance, showing relatively poor performance in terms of economic performance such as sales and employment, and the use of special regulations, so countermeasures are requir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implications for preventing regional decline and revitalizing the economy by analyzing the current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the Regional Special Development Zones in Korea. To this end, Korea's Regional Special Development Zones and Japan's special zones system were reviewed, and the status of Regional Special Development Zones and the status of Specialized Companies located in regional specialized development zones were analyzed. As a result,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plan of the Regional Industry include 1)Designation of special zones through selection and concentration, 2)Diversification of special zones, 3)The introduction of special regulations with tweezers suitable for regional characteristics, 4)The establishment of cooperative governance.

      • KCI등재

        특화도서관 사서의 인식조사 기반 활성화 방안 연구

        노영희,신영지,곽우정 한국비블리아학회 2018 한국비블리아학회지 Vol.29 No.4

        This study was carried out on specialized library librarians to investigate the status and overall satisfaction of specialized services and to compare the degree of importance and satisfaction of specialized subject data, specialized service places, specialization programs, specialized subject area facilities and environment based on ISA technique in order to derive problems and improvement measures for the operation of specialized libraries. As results, first, it was found that a specialized library subject should be selected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history, and resources of the library location as well as based on the demand survey of the local residents and users. Second, based on the appropriate program type of specialized subject and the results from users’ demand surveys, specialized libraries should develop different types of experience-type, lecture-type, view-type and the likes. Third, specialized library space types can be divided into integrated type, independent-in-integration type, and independent type. Even though it is most ideal to provide independently specialized space, the space must be constructed considering the circumstances and subject of specialization of each library. Fourth, specialized libraries should have at least one dedicated specialist in the corresponding subject. Dedicated specialists should provide lending and reference services related to the specialization such as tidying, browsing, reading and operating specialized programs. And a dedicated specialist must be an expert in the specialized subject and also a librarian who is responsible of the general library operation. 본 연구에서는 특화도서관 사서를 대상으로 특화서비스 현황, 특화서비스의 전반적인 만족도 등을 조사하고, ISA 기법을 기반으로 특화 주제 자료, 특화서비스 장소, 특화프로그램, 특화 주제 분야 시설 및 환경에 대한 중요도와 만족도를 비교하여, 특화도서관 운영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첫째, 특화도서관 주제 선정은 해당 도서관 지역의 특징, 역사, 자원 등을 반영하여 주제를 선정해야 하며, 뿐 만 아니라 지역 주민 및 이용자의 수요조사를 통해 선정해야 한다. 둘째, 특화도서관은 특화 주제 분야에 적합한 프로그램 유형과 이용자의 수요조사를 기반으로 체험형, 강의형, 관람형 등의 유형을 개발하여야 한다. 셋째, 특화도서관 공간은 일체형, 일체 속 분리형, 분리형으로 나누어 볼 수 있는데, 분리형으로 독립적인 특화 공간을 제공하는 것이 가장 좋지만, 각 도서관의 상황 및 특화 주제의 특징을 고려하여 공간을 구성해야 한다. 넷째, 특화도서관은 해당 주제 분야의 전문가를 최소한 1명 정도는 특화 전담인력으로 배치해야 한다. 전담 인력은 특화공간에서 해당 주제와 관련된 수서, 정리, 열람과 관련된 업무, 특화관련 프로그램 운영, 특화 관련 대출 및 참고서비스를 제공해야 하며, 특화주제분야의 전문가이면서도 도서관의 일반적인 기능을 수행하는 사서여야 한다.

      • KCI등재

        기업간 연구개발 및 마케팅 관계 형성이 기업의 성과 위험에 미치는 영향

        이종국,장영봉,오유진 韓國商品學會 2012 商品學硏究 Vol.30 No.5

        본 연구는 연구개발 및 마케팅 관계형성이 기업성과위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이론적 모형을 제시하고 기업 내부자원 투자의 연구개발특화 및 마케팅특화가 위의 관계를 어떻게 조절하는지를 실증분석을 통해 검증했다. 특히 기업 간 관계 중 제휴 관계에 초점을 맞추었으며 산업 역동성의 조절효과를 추가적으로 고려했다. 하이테크 산업군에 속한 기업들의 다양한 이 차자료(secondary data) 데이터 베이스를 바탕으로, 1985년부터 2005년까지의 기업 간 제휴 및 재무자료를 취합하여 5년 이동 창(moving window)를 사용하여 최종적으로 521개 기업에 대한 2673 개의 샘플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제휴의 마케팅특화는 기업성과 및 기업성과위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연구개발 특화는 기업성과위험을 유의하게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내부투자의 연구개발특화의 경우 제휴의 연구개발특화가 기업성과 위험에 미치는 영향을 부정적으로 조절한 반면 기업성과를 높였고, 제휴의 마케팅특화가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긍정적으로 조절했다. 반면 내부투자의 마케팅특화는 제휴의 연구개발특화가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부정적으로 조절했으나 제휴의 마케팅 특화가 기업성과 위험에 미치는 영향을 낮추었다. 또한 산업 역동성은 제휴의 마케팅 특화가 기업성과위험에 미치는 영향을 부정적으로 조절하였다. 기존 연구에서 연구개발 및 마케팅간의 균형을 강조함에 비해, 본 연구는 내부투자 및 제휴의 두 가지 측면에서 마케팅 특화와 연구개발 특화가 기업성과 및 관련 위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증명을 통해 이론적 기여를 하였으며 실무적 관점에서 기업의 성과위험을 줄이고 성과를 높이기 위한 전략을 제시한다. 마지막으로 연구의 한계점을 논의하였고 그에 따른 향후 과제를 제시하였다. In today's highly competitive and dynamic global market environment, firms are facing risks associated with their performance in the market. In response, forming various alliances is becoming increasingly common as a means to access various complementary resources and thus reduce firm performance risks. While the existing marketing literature emphasizes balancing value creation and value appropriation to reduce firm performance risks, this study attempts to extend this stream of research by investigating the implication of specializing in either one. Specifically,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s on firm performance risk of specializing alliances in R&D or marketing, whereby innovation reflects value creation activities and marketing reflects value appropriation activities, such as sales or promotion. We examine how a firm's internal investment specialization in either innovation or marketing moderates the effect of alliance specialization in either R&D or marketing on firm performance risk. We further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 of industry dynamism. To analyze the suggested hypotheses, we collected alliance and financial information of firms in the high-tech industries between 1985 and 2005 from various secondary data sources. Contrary to the previous emphasis on the superior benefits of balancing innovation and marketing, this study reveals boundary conditions under which specializing both internal investments and alliance formation in either innovation or marketing can generate a positive interaction for the firm profitability. We also find that alliance specialization in marketing helps companies control firm performance risk in dynamic industrial environment.throughout the NPD process. The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future studies based on the current study are discussed.

      • KCI등재

        패턴기반 영한 자동번역 시스템의 상용화를 위한 도메인 특화 방법

        최승권(Sung-Kwon Choi),이기영(Ki-Young Lee),노윤형(Yoon-Hyung Roh),권오욱(Oh-Woog Kwon),김영길(Young-Gil Kim) 한국정보과학회 2012 정보과학회논문지 : 소프트웨어 및 응용 Vol.39 No.4

        본 논문은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언어처리연구팀에서 2004년까지 개발하였던 웹문서 자동번역시스템을 2006년부터 매년 도메인별로 상용화에 성공한 사례를 기술한 것이다. 상용화가 가능하였던 주요 요인 중 하나인 도메인 특화 방법을 소개하며 이 도메인 특화 방법이 시기별로 개선되어 진화되는 모습을 기술한다. 즉 2004년의 웹문서 영한 자동번역기를 2006년에 특허문서 영한 자동번역기로 특화할 때 사용한 도메인 특화 방법이 '초기 도메인 특화 방법'이라 할 수 있는데, 이 초기의 도메인 특화 방법에 번역지식 및 번역엔진 모듈의 반자동 튜닝 방법과 자동화된 평가 방법을 추가하여 2007년에 '개선된 도메인 특화 방법'을 개발하였다. 이 '개선된 도메인 특화 방법'은 2007년에 특허문서 영한 자동번역기를 기술논문 영한 자동번역기로, 2008년에 기술논문 영한 자동번역기를 IT웹신문 영한 자동번역기로, 2009년에 IT 웹신문 영한 자동번역기를 전자우편 및 기업문서 영한 자동번역기로, 그리고 2010년에 전자우편 영한 자동번역기를 메신저 영한 자동번역기로 구현할 때 사용하였으며 그 효과는 신규 도메인용 영한 번역기를 개발하는 기간을 점차적으로 줄이게 하였으며 구현 프로세스에 일관성을 제공하였다. This paper is to describe the success case that NLP Research Team, ETRI could commercialize the domain-specific machine translation systems every year since 2006. One of the main factors to enable the commercialization was the customization method which adapts an existing system to new domain. The goal of this paper is to introduce the customization method in detail and show how the customization method has evolved according to domains. For this, we will first describe the pure customization method used to adapt an English-Korean Web MT system in 2004 to an English-Korean patent MT system in 2006. Then we will discuss the upgraded customization method that semi-automatic construction of translation knowledge, semi-automatic tuning of translation engine modules, and automatic evaluation were added to the pure customization method. This upgraded customization method could make the following commercialization possible: machine translation system for scientific paper translation in 2007, machine translation system for IT web news translation in 2008, machine translation system for business documents translation in 2009, and machine translation system for messenger translation in 2010.

      • KCI등재

        특화도서관 운영현황에 관한 연구

        심효정,노영희 한국도서관·정보학회 2022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53 No.3

        본 연구는 문화체육관광부와 지방자치단체에서 지원 및 추진 중인 특화도서관 사업과 관련해서 공공도서관 직원들 대상 설문조사를 통해 특화도서관 운영현황과 인식 정도를 파악하고 향후 특화도서관 활성화를 위한 정책방향을 모색했다. 분석 결과, 특화주제는 향토(지역)가 가장 많았으나 정책입안자 등의 관심에 따라 주제를 선정하는 곳도 적지 않았다. 전체 장서의 5% 미만을 특화자료로 구성하고, 전체 도서관 프로그램 중 20% 이상을 특화주제 관련 프로그램으로 운영하고 평균 3~4가지 프로그램을 제공하며, 대체로 전담사서를 배치하지 않고 있지만, 정규직 직원 수가 많은 경우 전담사서를 배치한 경우가 많았다. 특화주제가 지역특성에 부합 시, 단독건물이나 특화실이 별도로 있을 시, 전담사서가 2~3명, 특화 장서가 최소 15% 이상, 프로그램이 5~6가지 이상 있을 시 이용자의 인지도와 만족도가 더욱 높게 나타났다. 특화도서관 활성화를 위해 도서관 운영 및 연간사업계획 수립 시 특화도서관 서비스 관련 계획을 포함해 장서 추가 확보, 차별화된 프로그램 구성, 전담사서 배치, 한국도서관협회 및 지역대표도서관을 통한 주제 전문 교육 실시와 특화주제별, 대상별 서비스 제공 매뉴얼 개발․보급, 충분한 예산확보 등이 필요하다.

      • KCI등재

        도시재생사업에 의한 대학교 특화거리 조성의 실효성 연구 - 계명대학교와 영남대학교 특화거리 방문자의 인식을 중심으로

        김민정,김철영 한국도시설계학회 2023 도시설계 : 한국도시설계학회지 Vol.24 No.5

        본 연구는 대구ㆍ경북지역 내 도시재생사업에 의해 조성된 특화거리와 자생적으로 조성된 특화거리의 공간적 특성과 만족도를 비교하여 대학교 특화거리 조성의 실효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또한,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방문객들의 수요를 고려한 대학교 특화거리 조성방안을 제시해보고자 한다. 연구 범위는 계명대학교 특화거리와 영남대학교 특화거리로 선정하였다. 공간적 특성분석 결과, 계명대학교 특화거리가 영남대학교 특화거리에 비해 가로의 통일감 및 연속성이 더잘 돋보였으며, 비선호시설보다 선호시설이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다. 설문조사 분석 결과, 계명대학교 특화거리가 영남대학교 특화거리에 비해 방문자들에게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방문자의 수요를 고려한 대학교 특화거리의 개선사항은 첫째 선호시설 확충, 둘째 보행자통행공간 정비, 셋째 놀거리가 풍부한 장소 조성, 넷째 가로 청결 유지이다.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iveness of urban regeneration projects by comparing the spatial characteristics and satisfaction level of the specialized streets created by the urban reganeration projects and the specialized streets created spontaneously in Daegu and Gyeongbuk. Based on the survey, this study suggests a plan to create a university-specific street in consideration of the visitors’ needs. Keimyung University Specialized Street and Yeungnam University Specialized Street were selected as the targets of the investigation.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patial characteristics, the Keimyung’s Street showed a better sense of unity and continuity of the streets than the Yeungnam’s Street, and preferred facilities accounted for a greater proportion than non-preferred facilities. As a result of the survey analysis, the Keimyung’s Street showed a higher level of satisfaction among visitors than the Yeungnam’s Street. The suggested improvements of university-specialized streets considering the demand of visitors are: (1) increasing the proportion of preferred facilities; (2) improving pedestrian environment factors; (3) creating places with abundant entertainment; and (4) maintaining cleanliness of stree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