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딥러닝 모델 구조에 따른 모르타르의 단위수량 평가에 대한 비교 실험 연구

        조양제 ( Cho¸ Yang-je ),유승환 ( Yu¸ Seung-hwan ),양현민 ( Yang¸ Hyun-min ),윤종완 ( Yoon¸ Jong-wan ),박태준 ( Park¸ Tae-joon ),이한승 ( Lee¸ Han-seung ) 한국건축시공학회 2021 한국건축시공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1 No.2

        The unit-water content of concrete is one of the important factors in determining the quality of concrete and is directly related to the durability of the construction structure, and the current method of measuring the unit-water content of concrete is applied by the Air Meta Act and the Electrostatic Capacity Act. However, there are complex and time-consuming problems with measurement methods. Therefore, high frequency moisture sensor was used for quick and high measurement, and unit-water content of mortar was evaluated through machine running and deep running based on measurement big data. The multi-input deep learning model is as accurate as 24.25% higher than the OLS linear regression model, which shows that deep learning can more effectively identify the nonlinear relationship between high-frequency moisture sensor data and unit quantity than linear regression.

      • KCI등재후보

        지적장애인의 성(性)에 대한 대학생의 인식

        김정현,박현옥 한국발달장애학회 2016 발달장애연구 Vol.20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distance for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sexual meaning, attitude of sex, and attitude of sexual issues for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For this purpose, 248 undergraduate students in Gwangju and Chungnam participated in this study. Data were collected through questionnaire method from 4 kinds of questionnaire were used. The research questions were as follows: First,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of social distance for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sexual meaning, attitude of sex, and attitude of sexual issues for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Second,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of social distance for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sexual meaning, attitude of sex, and attitude of sexual issues for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ccording to undergraduate student's gender, age, major? Third, what is the relationship like between social distance for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sexual meaning, attitude of sex, and attitude of sexual issues for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 subjects agreed on sexual development of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but they had negative attitudes toward exhibition of their marriage, childbirth, and sexual behavior. Second, social distance were negatively correlated to their attitude of sexual issues for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ird, social distance for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could be predicted their attitude of sexual issues for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이 연구는 지적장애인의 성(性)에 대한 대학생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으며,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지적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 성 의미에 대한 인식, 일반적인 성적 태도, 지적장애인의 성에 대한 인식 특성은 어떠한가? 둘째, 대학생의 성별, 연령, 전공에 따라 사회적 거리감, 성 의미에 대한 인식, 일반적인 성적 태도, 지적장애인의 성에 대한 인식에 차이가 있는가? 셋째, 대학생의 사회적 거리감, 성 의미에 대한 인식, 일반적인 성적 태도에 의해 지적장애인의 성에 대한 인식을 예언할 수 있는가? 연구 대상은 광주광역시와 충청남도에 소재한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대학생 248명이며, 연구 대상 학생들이 사회적 거리감 척도, 성 의미 척도, 성 태도 척도, 지적장애인의 성에 대한 인식 질문지에 응답한 내용을 토대로 연구 문제별로 통계적인 경향성 및 특징을 분석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도출된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적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은 신체적인 거리감이 대인적인 거리감보다 크며, 성 의미에 대한 이해는 평가-친밀감-중요성 순으로 높다. 성에 대한 일반적인 태도는 허용적인 태도가 보수적 태도보다 우세하며, 지적장애인의 일반적인 성 문제보다는 임신, 출산, 성적 욕구에 대해 더 엄격하다. 둘째, 사회적 거리감, 성 의미, 성 태도, 지적장애인의 성에 대한 인식은 성별, 전공별로 차이가 있었지만, 연령별 차이는 없다. 셋째, 지적장애인의 성에 대한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사회적 거리감이며, 사회적 거리감 요인에 의해 지적장애인의 성에 대항 인식을 예언할 수 있다.

      • KCI등재

        지적장애인 실종실태에 관한 탐색적 연구

        남성희,유정아,정익중,김지현,이승진 한국장애인복지학회 2022 한국장애인복지학 Vol.55 No.55

        In this study, three analyses were conducted. First, the overall status of the missing people with an intellectual disabilities was confirmed by analyzing profiling data of the National Police Agency. Second, this study examined the experience of parents of children with the intellectual disability, who reported missing of their children through the FGI. Third, through interviews with police officers who are in charge of missing person, we tried to understand the current status and problems of missing person with an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 main result was that the rate of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not found after missing was higher than that of children under the age of 18 with non-disabilities. In addition, the number of reports of missing of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as relatively high. As a result of the interview of the parents of the missing disabled, 15 sub-theme, 6 mid-theme, and 3 major-theme were derived. Discussions were made on the lack of support for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efforts of police and families to find missing person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preventive education, and the use of devices etc. In an interview with a police officer, the difficulties in the process of finding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and things to do at home were discussed. Based on these results, practical suggestions were made, such as leaving a mark wherever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go, enhancing the sensitivity to the charactieristics of disabilities in the situation of missing. and utilizing scientific technology to prevent and find missing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etc. The results and suggestion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revising the law and developing policies and programs related to the missing people with an intellectual disability. 본 연구에서는 지적장애인 실종에 관한 다각적 이해를 위하여 세 가지 분석을 실시하였다. 첫째, 경찰청 실종아동등 프로파일링 데이터를 분석하여 지적장애인 실종에 대한 전반적인 실태를 확인하였다. 둘째, 가족의 실종을 경험한 지적장애인 보호자들과의 초점집단면접(FGI) 통해 지적장애인 가족들의 실종에 대한 경험과 욕구를 조사해 보고자 한다. 셋째, 지적장애인 실종 예방과 찾기 등 실종업무를 수행하는 경찰들의 면접을 통해 현재 경찰들이 경험하는 지적장애인 실종 업무 현황과 문제점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분석에 따르면 지적장애인은 실종 후 미발견되는 비율이 비장애 18세미만아동보다 높았으며, 성인 지적장애인의 실종신고건수가 많았다. 실종장애인 보호자의 면접결과 15개의 소주제, 6개의 중주제, 3개의 대주제가 도출되었다. 지적장애인의 상황과 지원의 부족, 경찰과 가정에서의 찾기 노력, 예방교육, 기기의 활용 등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졌다. 실종수사경찰관과의 면접에서는 지적장애인 찾기과정의 어려움 및 가정에 대한 요구사항들에 대해 이야기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지적장애인의 실종예방과 찾기과정을 위해 일상생활에서 흔적 남기기, 실종전담기관의 지적장애인 민감성 증진, 과학기술의 활용 등 제언이 이루어졌다. 본 연구의 다각적 분석의 결과와 제언은 지적장애인의 실종 관련하여 법을 개정하고 정책과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 KCI등재

        마르크 샤갈 작품 감상이 지적장애 성인의 조형 표현에 미친 영향 연구

        이민영(Min Young Lee)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1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7 No.4

        본 연구는 2010년 서울시립미술관에서 열린 장애인 미술교실에 참가한 20여명의 지적장애인 성인의 조형활동을 토대로 이뤄진다. 열린 장애인 미술교실에서 진행된 프로그램 가운데 서울시립미술관에서 열린 마르크 샤갈의 작품전 감상 후 조형 활동 프로그램을 통해 나타난 지적장애인이 작품 감상 후 조형 활동을 통해 색채와 형태 등의 조형표현으로 언어나 어려운 글, 행동은 아니지만 지적장애 성인들은 조형 활동을 통해 작품을 감상하고 샤갈의 작품이 말하는 근본적인 예술적 외침을 함께 공감하고 있다는 것을 설명하여 지적장애인과 소통하고 그들의 표현에 있어서 조형 활동이 얼마나 유용한가를 확인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범위는 2010년 서울시립미술관 장애인 미술교실에 참가한 20여명의 지적장애인 성인의 조형 활동이다. 총 4회기에 걸쳐 진행된 프로그램이나 본 연구에서는 마르크 샤갈전 감상과 작품 감상 후 진행된 지적장애인들이 작업 한 종이 꼴라쥬작품을 연구의 구성범위와 연구자료 수집 방법으로 선택한다. 지적장애인들이 마르크 샤갈의 작품 감상 후 그 여운 이 남아있는 상태를 유지하고자, 작품전 관람 후 바로 종이꼴라쥬 작업을 시행하였으며, 작품 활동 전 샤갈의 작품들에 대한 느낌이나 기억을 표현해보기를 공지하였다. 연구의 대상이 지적장애성인임을 감안하여 측정도구로는 작품을 완성하고 발표시간을 통한 자신의 느낌과 기억에 남는 이미지에 대한 자유로운 토론을 유도하는 방법과 작품 관찰법을 사용한다. 샤갈의 작품에 표현된 무의식적인 요소인 꿈, 환상, 억압 등이 지적장애 성인들의 작품에 어떠한 미적 표현으로 해석되어 보여 지는 가를 주목하는 방법으로 연구된 본 연구를 통하여 샤갈이 색채에 부여한 상징과 십자가, 여인, 동물 등을 통해 상징화 한 내면의 억압적인 요소들의 표현이 지적장애 성인들의 작품에도 그대로 전달되었음을 알 수 있는 결과를 얻었다. 또한 일반인에 비하여 의식하거나 학습되지 않은 정서적 여백이 많은 지적장애인이 만난 샤갈의 무의식의 원형과 상징들은 어떻게 해석되어지는가에 주목한 까닭은 본 연구를 통해 언어나 어려운 글, 행동은 아니지만 지적장애 성인들은 조형 활동을 통해 작품을 감상하고 샤갈의 작품이 말하는 근본적인 예술적 외침을 함께 공감하고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 지적장애인과 소통하고 그들의 표현에 있어서 조형 활동이 얼마나 유용한가를 확인하여보고자 하는 본 연구의 목적에 부응하는 결과이다. This research is based on formative activity of 20 intellectually disabled adults who participated in art class for the disabled in Seoul Museum of Art in 2010. Enjoying art exhibition of Marc Chagall at Seoul Museum of Art, intellectually disabled expressed themselves through formative activity by colors and shapes. This research explained that intellectually disabled appreciated fundamental artistic cry of Chagall`s work, and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confirm how formative activity can be useful for communicating with the intellectually disabled and for expressing their thoughts and emotions. The research was on formative activity of 20 intellectually disabled adults who attended art class for the disabled in Seoul Museum of Art in 2010. Although it was a program of 4 sessions, the range of this research includes viewing Marc Chagall`s exhibition and formative activity of paper collage by intellectually disabled adults after the exhibition. And their paper collage was selected as a method of collecting research data. Paper collage activity was conducted right after watching the exhibition of Marc Chagall in order to maintain the condition of lingering imagery, and the subjects were told to express feelings and memories about Chagall`s work before working on formative activity. Considering the subject of research is the intellectually disabled adults, a method of inducing free discussion on impressive images and their feelings and a method of observation were used as a measuring instrument. Focusing on how unconscious elements in Chagall`s work-dream, fantasy and suppression, etc-can be interpreted as an artistic expression on the work by the intellectually disabled, this research found out that oppressive elements that Chagall symbolized through symbol, cross, woman and animal on his work are forwarded to the work by the intellectually disabled as they are. Moreover, focus on how Chagall`s original form and symbols of unconsciousness that the intellectually disabled met, who have lots of unlearned emotional space compared to people without disability, satisfie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of confirming how formative activity can be useful for communicating with the intellectually disabled and for expressing their thoughts and emotions.

      • 지적장애인의 결혼생활 실태와 평생교육적 지원방안 탐색

        조창빈(Cho Chang-Been) 한국장애인평생교육복지학회 2018 장애인평생교육복지연구 Vol.4 No.1

        이 연구는 지적장애인의 결혼생활 실태 변화 추이를 파악하고 안정적인 결혼생활 유지를 위한 평생교육적 지원방안을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장애유형을 구분하여 결혼생활 실태를 조사한 2008, 2011, 2014년 장애인실태조사의 결과 중 지적장애인과 관련된 내용을 정리하여 지적장애인 결혼생활 실태 변화 추이를 파악하였다. 또한 기혼 지적장애인 1명, 지적장애인 부모 1명, 장애인 성교육 전문가 1명, 특수교사 1명, 사회복지사 1명 등을 포함한 5명의 연구 참여자를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실시하여 결혼생활 변화 추이의 세부적 내용을 파악하였으며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최근 10여 년간 지적장애인의 미혼 비율은 70%이상이었고, 장애가 있는 배우자와 결혼하는 비율은 감소, 같은 지적장애인과 결혼하는 비율은 늘어나고 있었다. 이에 대해 연구 참여자들은 재정적 지원 부족, 보호자의 장애자녀 결혼에 대한 부정적 인식 등을 원인으로 주장하였다. 둘째, 최근 10여 년간 지적장애인의 유자녀 비율은 다른 장애유형에 비해 낮게 유지되고 있었고, 장애자녀의 비율과 지적장애자녀의 비율이 점차 늘어나고 있었다. 이에 대해 연구 참여자들은 지적장애인의 임신과 양육에 대한 교육 부족을 주된 원인으로 꼽았다. 셋째, 최근 10여 년간 본인의 장애로 인한 자녀의 성장발달 지장여부에 대해 지장을 매우 많이 받았다고 느끼는 경우가 가장 많고 점차 늘어나고 있었다. 또한 자녀 양육 시 주로 자녀와의 의사소통과 교육비에 어려움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해 연구 참여자들은 지적장애인의 자녀양육 기술에 대한 교육 부족, 장애부모에 대한 비장애자녀의 부정적 태도를 주된 원인으로 지목했다. 넷째,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도출한 평생교육적 지원방안은 지적장애 자녀를 둔 부모를 대상으로 하는 프로그램 개발, 지적장애인의 결혼생활 기술, 자녀 양육기술 등을 주제로 한 프로그램 개발 등이 탐색 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지적장애인의 안정적인 결혼생활을 위한 평생 교육적 지원방안에 대해 몇 가지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understand the trends of the changes of the actual conditions of the married lives of the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to explore the plans for the life-long education support for the maintenance of the stable, married lives. For this, among the results of the investigations of the actual conditions of the handicapped in 2008, 2011, and 2014, which investigated the actual conditions of the married lives by classifying the types of the handicaps, the details related to the intellectual disabilities were organized and the trends of the changes of the actual conditions of the married lives of the intellectual disabilities were understood. Also, the details of the trends of the changes of the married lives were understood by carrying out the focus group interview with the 5 research participants, including 1 married intellectual disabilities, 1 parent of an intellectual disabilities, 1 expert on the sex education for the handicapped, 1 special teacher, and 1 social worker. And the main results are the following. Firstly, the ratio of the unmarried among the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the over 10 years of the recent was over 70%. And the ratio of marrying a spouse with a handicap had been decreasing and the ratio of marrying an intellectual disabilities had been increasing. Regarding this, the participants in the research argued that the causes were the insufficiency of the financial support, the negative awareness of the marriage of a handicapped child of a guardian, etc. Secondly, the ratio of having the children among the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the over 10 years of the recent had been maintained low compared to the other kinds of handicaps. And the ratio of the handicapped children and the ratio of the intellectual disabilities children had been increasing gradually. Regarding this, the research participants pointed out the insufficiency of the education on the pregnancy and the rearing for the intellectual disabilities as the main causes. Thirdly, the cases in which one felt that very much hindrance was received with regard to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a child due to one s own handicap in the over 10 of the recent was the most and had been increasing gradually. And it appeared that, when rearing a child, there were the difficulties mainly with the communication with, and the education expenses for, the child. Fourth, as the methods of supporting the life-long education through the analysis of the prior studies, the development of program targeting the parents having intellectually disabled child, and the development of the programs on the topics such as technique for the marriage for the intellectually disabled persons and the technique for growing child have been studied. In addition,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studies, several discussions and suggestions have been proposed.

      • KCI등재

        성인지적장애인과 비지적장애인의 용언 활용 비교 연구

        정선희 ( Jeong Seon Hee ),정경희 ( Jung Kyung Hee )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7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8 No.2

        본 연구는 성인지적장애인과 언어연령일치 비지적장애인을 대상으로 용언의 형태적 측면을 중심으로 용언 활용의 정확도를 살펴보았다. 연구대상은 지적장애 2-3급의 성인지적장애인 10명과 이들과 언어연령을 일치시킨 비지적장애인 10명으로 총 20명이었다. 용언 활용 정확도 검사는 10개 용언, 5개의 어미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 용언과 어미 결합을 정확히 활용 하는가를 측정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첫째, 용언활용 정확도 총점에서 두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용언의 규칙성 여부에 따른 용언 활용 정확도에서는 두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규칙과 불규칙에 따른 차이도 유의미했다. 집단과 규칙성 여부 간 상호작용 효과 또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데, 규칙 용언 활용 정확도보다 불규칙 활용 정확도에서 상대적으로 집단 간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셋째, 용언 활용 정확도를 어미별로 살펴 본 결과 연결 어미에서는 `니까`와, `면`에서 성인지적장애 집단과 언어연령일치 비지적장애인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넷째, 오류 유형별 빈도와 오류율의 순서에는 두 집단 간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 결과 성인지적장애인이 언어연령일치 비지적장애인에 비해서 용언활용의 정확한 사용에 어려움이 있으며, 특히 불규칙 용언 활용에서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언어적으로 어려움이 있는 지적장애인들이 용언 활용에서 규칙적인 것은 어느 정도 습득도 되고, 정확하게 사용할 수도 있지만 불규칙 용언의 활용에서는 성인기가 되어서도 여전히 어렵고 실수를 하므로 언어중재 시 불규칙 용언 활용의 측면에 대한 지속적 주의관찰이 필요함을 시사해주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ccuracy of conjugation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ordinary language age matched children with a focus on morphological aspect. The subjects of this study was 20 persons including 10 adults with second to third degree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10 ordinary age matched children. For the research task, we performed test of accuracy in the production of predicates. The test of conjugation accuracy consisted of 10 predicates and 5 endings. The test measured the accuracy of combination between those predicates and ending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n total scores for accuracy of conjugation. Second,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between adult group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language age matched children group in total scores for accuracy conjugation based on regularity of predicates. Moreover, a difference was found to exist between the two groups in regularity. Furthermor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the two groups in terms of the effect of interaction based on group and regularity. A relatively large difference was found to exist between the two groups in accuracy of irregular conjugation, compared to regular conjugation. Third, when we examined the accuracy conjugation by ending, a significant difference in connection ending such as `nikka (so)` and `myeon (if)`was observed between the two groups. Fourth, no difference was found to exist between adult group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language age matched children group in terms of frequency by error type and order of error rates. In conclusion, the above-mentioned results imply that guidance should be offered to cli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ho have linguistic difficulty during intervention constantly with interest in relation to the irregular conjugation, considering that they still make mistakes in irregular conjugation even when they become adults, although they can learn the way to regular conjugation to some degree and can utilize regular conjugation accurately.

      • KCI등재

        정신장애인과 지적장애인에 대한 대학생의 사회적 거리감 및 태도

        김정현 ( Jung-hyun Kim ),박현옥 ( Hyeon-ok Park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2016 지적장애연구 Vol.18 No.4

        이 연구는 대학생의 정신장애인과 지적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과 정신장애인과 지적장애인에 대한 태도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으며,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지적장애인과 정신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 및 태도는 차이가 있는가? 둘째, 대학생의 일반적인 특성에 따라 지적장애인 및 정신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 및 태도에 차이가 있는가? 셋째, 지적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과 태도, 정신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과 태도의 관계는 어떠한가? 넷째, 사회적 거리감에 의해 지적장애인과 정신장애인에 대한 태도를 예언할 수 있는가? 연구 대상은 충청남도와 광주광역시 소재 2개 대학의 학생 165명이며, 이들에게 사회적 거리감 및 태도 검사를 실시하여 연구 문제에 따라 통계적 차이를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지적장애인과 정신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 및 태도에는 차이가 없다. 둘째, 대학생의 성별·종교·학년·봉사활동 경험·봉사활동 내용에 따라 지적장애인과 정신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과 태도에 차이가 없으며, 전공·연수 경험에 따라 지적장애인과 정신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과 태도에 차이가 있다. 셋째, 사회적 거리감을 통해 지적장애인 및 정신장애인에 대한 태도를 예측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distance and attitudes of undergraduate students toward people with mental disorder and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The participants were 165 of undergraduate students in B University and N University. Data were collected through questionnaire method from 2 kinds of questionnaire and analyzed using SPSS/WIN 12.0 program for frequency, percentage, Independent t-test, Paried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i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ocial distance and attitudes of undergraduate students toward people with mental disorder and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Second, social distance and attitudes of people with mental disorder and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mak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y gender, religion, grade, volunteering experience, characteristic of volunteering, but mak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y major and experience of training. Third, authoritarianism and social restrictiveness were negatively correlated to their social distance for people with mental disorder and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Fourth, the attitudes of people with mental disorder and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could be predicted by the social distance.

      • 지적장애인 및 자폐성장애인의 1차 산업분야 일자리 창출방안 : 농업분야 고용사례 및 시범사업을 중심으로

        현정훈,진홍섭,홍자영,안수향,최종철,이효성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 고용개발원 2007 연구개발 Vol.- No.23

        I.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전체장애인의 평균 취업률은 76.94%인 반면 지적장애인 및 자폐성장애인의 평균 취업률은 27.32%로 매우 낮게 나타나고 있다. 지적장애인 및 자폐성장애인의 고용있어서 문제점은 단순히 실업률이 높다는 것에 그치지 않고 자신의 흥미나 적성과 무관한 단순제조업 분야로 고용이 편중되고 있다는 것이다. 즉 지적장애인 및 자폐성장애인 근로자의 70%이상이 단순제조업 분야에 종사하고 있다. 국내 제조업체들은 1990중반 이후 구조조정을 통해 중국 등 동아시아로 생산기지를 이전 하거나 자동화기계를 도입함에 따라 제조업의 고용비중과 고용창출력이 해마다 가파르게 떨어지고 있다. 또한 제조업분야 비정규직 근로자의 수가 증가하고 근로조건이 악화되는 등 지적장애인 및 자폐성장애인의 고용에 부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지적장애인 및 자폐성장애인의 제조업분야 고용편중 현상을 전환할 수 있는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즉 지적장애인 및 자폐성장애인의 고용이 2차 제조업 중심으로 치우치지 않고 1차와 3차 산업관련 직종에까지 종사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1차 산업분야는 그 특성상 물주기, 비료주기, 가지치기, 작물의 수거 등 누구나 비교적 쉽게 할 수 있는 단순한 직무가 많기 때문에 지적장애인 및 자폐성장애인에게 적합한 직업분야가 될 수 있다. 더욱이 최신농법의 출현과 농촌인구 노령화에 따른 노동인력 부족현상은 장애인 고용창출이 가능하도록 기반을 제공하고 있기 때문에 농업분야 고용 전망은 밝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지적장애인 및 자폐성장애인의 고용실태는 어떠하며 구체적으로 어떤 문제점이 있는지, 그리고 그 대안으로서 농업분야가 갖는 장점과 전망 및 농업분야 일자리 확대를 위한 방안은 무엇인지 논의하는데 있다. II. 연구문제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위한 연구과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적장애인 및 자폐성장애인에게 농업분야 일자리는 적합한가? 둘째, 지적장애인 및 자폐성장애인의 농업분야 일자리 창출 제약 요인은 무엇인가? 셋째, 지적장애인 및 자폐성장애인의 농업분야 일자리 확대를 위한 지원방안은 무엇인가? III. 연구방법 본 연구는 참여자들의 풍부하고 주관적인 경험을 이끌어내기 위한 질적연구 방법으로 시범사업과 사례조사를 실시하였다. 시범사업은 지적장애인 및 자폐성장애인의 농업분야 일자리 적합성을 살펴보고자 장애인 7명을 모집·선발하여 토마토와 팬지를 직접재배 하고 그 성과를 살펴보는 일련의 직업재활과정을 직접 수행하였다. 농업분야 일자리 적합성은 선행연구 분석에 근거하여 '농업분야 직무와 장애특성간의 일치성'과 '농업분야 직무가 장애인의 직업적 능력향상 미치는 효과성'으로 살펴보았다. 사례조사는 지적장애인 및 자폐성장애인의 농업분야 고용실태 및 일자리 창출 제약요인을 밝히고자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 내부전산망 자료, 장애인 직업재활시설 자료, 연계고용대상 사업체자료 등 장애인 고용과 관련된 대부분의 사업체자료를 수집·분석하여 농업분야 14개 사업체를 선정하였다. 14개 사업체중 지적장애인 및 자폐성 장애인이 근로하고 있는 농업분야 사업체이면서, 최저임금이상을 지급하고 있는 사업체 6곳을 재선정하고 반 구조화된 면담을 실시하였다. IV. 연구결과 본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지적장애인 및 자폐성장애인의 농업분야 일자리 적합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시범사업 수행결과 토마토와 팬지재배에 필요한 직무는 초등수준의 학력을 요구하였으며, 3개~4개 단위의 단순한 직무로 이루어져 지적장애인 및 자폐성장애인의 장애특성에 적합하였다. 참여장애인의 직업태도(WPP), 심리측정(EPS), 운동성측정(MAND) 결과 직업태도가 향상되고, 심리적 안정을 보였으며, 운동성이 향상되었다. 이러한 시범사업 성과를 통해 볼때, 농업분야는 지적장애인 및 자폐성장애인에게 적합한 일자리로 나타났다. 둘째, 농업분야 일자리 창출 제약요인을 도출하였다. 농업분야 일자리 창출 제약요인을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인 일자리 창출을 위한 제도적 기반 미비로 인해 자영농 또는 가족농 형태로 근로하고 있는 대부분의 장애인은 어떠한 제도적 지원도 받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농업분야 일반사업체는「장애인고용촉진 및 직업재활법」을 통한 다양한 지원제도를 활용하는데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복지법인 산하 사업체는 법인체라는 이유만으로 농업용 전기사용, 면세유사용, 기타 비료구입 시 일반적으로 주어지는 세재혜택조차 받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농업분야는 직무가 단순하지만 작업수행을 위한 활동 반경이 넓고, 생물을 다루며, 계절과 기후에 따라 직무가 변화한다. 이로 인해 전체적인 재배과정에 대한 직업교육과 직업훈련을 위해 오랜 기간이 필요하다. 하지만 농업분야 근로장애인에게 적합한 교육매뉴얼이나 능력향상을 위한 직업훈련서비스를 받을 수 없었다. 다섯째, 농업분야 근로장애인의 생산성 향상이나 안정적인 직업생활을 위해 다양한 보조공학기기들이 필요하였지만 보조공학기기의 활용이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대다수의 사업체들은 고소득 재배작물 선정의 어려움, 경쟁력 강화를 지원할 시스템 미비, 판매 및 마케팅을 지원할 지원시스템의 미비로 이윤창출 및 장애인 일자리 창출에 한계를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농업분야 일자리 창출 지원방안을 제시하였다. 농업분야 일자리 창출 지원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농업분야 사업체의 정의를 새롭게 해야 한다. 또한 농업분야 특성을 반영할 수 있는 근로환경이나 근로조건 등에 대한 기준마련이 필요하고 관련법상 취업확정에 대한 개념 재정립이 필요하다. 이와 같은 제도적지원을 통해 '가족농 형태로 고용되어 있는 장애인', '자영농 형태로 농업에 종사하고 있는 장애인', '지역작목반 등에 참여하고 있는 장애인' 등에 대한 다양한 지원을 할 수 있도록 근거를 마련하여야 한다. 둘째, 현실적인 제도 보안이 필요하다. 현행법상 직무지도원 활용, 무상임대, 무상지원 제도들은 농업분야 장애인 고용사업체가 활용하기에 농업분야 현실에 맞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농업분야 사업체들은 국유지 등 토지임대 지원, 농업기술지원, 친환경인증지원, 경영합리화지원, 판로지원 등에 대한 제도적 지원을 필요로 하고 있다. 특히 직무지도원의 경우 현행법상 자격기준 및 활용방법 등이 농업분야의 요구를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무상임대, 무상지원 등 다양한 지원제도가 국유지임대, 친환경인증비용지원 등 농업분야 사업체가 실제로 필요로 하는 지원을 담보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셋째, 장애인 근로자 지원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장애인근로자에게 요구되는 과제증가분, 작업 및 환경요건, 수행방법과 기술 등에 대한 체계적인 직무분석을 실시하고 참여장애인에 대한 직업평가를 실시하여 어떤 장애인에게 어떤 품목에 종사하게 하고, 어떤 역할을 어떤 식으로 할당할 때 가장 생산성을 발휘할 수 있는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관리 및 훈련매뉴얼이 개발과 직업훈련 등이 필요하다. 또한 보조공학기기는 장애인의 노동생산성향상과 고용안정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지만 농업분야 장애인 보조공학기기개발과 실용화 사례가 전무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농업분야 보조공학기기 개발·보급이 활성화되어야 한다. 넷째, 사업주 지원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특히, 농업분야 장애인 고용사업주 지원방안은 크게 농업분야 사업체 경영컨설팅 실시, 생산품 특화를 통한 기업농 육성 지원, 경영활성화를 위한 지원제도 마련, 공동판매, 공동마케팅 등을 통한 판매지원, 연계고용 등을 활용·육성하는 지원책, 사회적기업으로 전환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방안 마련 등이 필요하다. V. 연구의의 본 연구는 지적장애인 및 자폐성장애인의 장애특성에 적합한 농업분야의 일자리 가능성과 고용 활성화 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농업분야가 지적장애인 및 자폐성장애인의 장애특성에 적합한 일자리로서 가능성과 전망을 갖기 위해 제도적 기반마련과 농업분야 장애인 지원방안 그리고 사업주 지원방안을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제조업 분야로 지나치게 편중되어 있는 장애인고용의 문제와 양질의 노동인력 감소에 따른 국내농업분야 경쟁력 상실이라는 두 가지의 국가적 과제를 동시에 해결 할 수 있는 대안제시 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장애관련전문가 5가지 집단과 일반인 집단의 지적장애인에 대한 다차원적 태도 분석

        김유경,박승희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019 장애와 고용 Vol.29 No.4

        Purpose: This study aims to analyze how professionals and lay people perceive person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ID) using the Korean version of the Attitudes Toward Intellectual Disability Questionnaire(K-ATTID). K-ATTID provides the scores of multidimensional attitude and cognitive, affective, and behavioral attitudes. Method: Paired t-test ware conducted to compare the attitudes toward persons with mild and severe intellectual disabilities. Independent t-test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attitudes toward ID of professionals and lay people. One-way ANOVA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attitudes toward intellectual disabilities of five different professional groups; special education teachers, general education teachers, social workers, therapists, medical doctors. Results: The results showed more negative attitudes towards people with lower functioning ID. More positive attitudes were revealed from professionals than lay people. Among five professional groups, the attitudes of social workers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were more positive than doctors and general teachers and the attitudes of therapists towards persons with ID were more positive than general school teachers. Conclusion: This study is the first study in Korea that examines the differences among five different professionals’attitud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disability-related professionals’and general public’s attitudes toward person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one study. Significance of this study’s results and some suggestions were further discussed.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특수교사, 일반교사, 의사, 치료사 및 사회복지사의 5가지 장애관련전문가와 일반인 집단의 지적장애인에 대한 다차원적 태도와 3가지(인지적, 정의적, 행동적) 하위태도를 비교 점검하여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한국판 지적장애인에 대한 다차원적 태도 척도’(K- ATTID)를 사용하여 전체 연구 참여자의 경도 및 중도 지적장애인에 대한 태도 비교를 위해 대응표본 t 검정을, 장애관련전문가와 일반인 간 태도 비교를 위해 독립표본 t 검정을, 5가지 장애관련전문가 집단 간 태도 비교를 위해 일원분산분석 및 Scheffé 사후검정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전체 연구 참여자 집단의 지적장애인에 대한 다차원적 태도 평균은 5점 라이커트 척도에서 3.49(3점:보통)으로 중간 수준이었다. 전체 참여자의 중도 지적장애인에 대한 태도보다 경도 지적장애인에 대한 태도가 더 긍정적이었다. 장애관련전문가의 다차원적 태도는 일반인보다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복지사와 특수교사의 태도는 의사와 일반교사보다 긍정적이며, 치료사의 태도는 일반교사보다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및 시사점: 본 연구는 5가지 장애관련전문가와 일반인 집단의 지적장애인에 대한 다차원적 태도와 3가지 하위태도 결과를 국내에선 처음으로 한 연구에서 제시하는 의의가 있다. 장애관련전문가들의 지적장애인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의 함양과 전문가 간 유사한 긍정적 태도의 유지는 지적장애인을 위한 협응된 질 높은 서비스 창출과 제공에 결정적으로 중요함을 다시 한번 강조하였으며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 및 연구의 제한점을 지적하였다.

      • 경기도 거주 성인 지적장애인의 평생교육 참여 실태 분석

        조창빈(Cho Chang-Been) 한국장애인평생교육복지학회 2018 장애인평생교육복지연구 Vol.4 No.2

        이 연구는 성인 지적장애인의 평생교육 프로그램 참여 현황을 파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경기도에 위치한 장애인복지관, 장애인보호작업장, 장애인 주간보호시설 등 장애인관련 기관에서 운영한 평생교육 프로그램 참여 경험이 있는 성인 지적장애인 24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성인 지적장애인의 평생교육 프로그램 영역별 참여 현황을 살펴보면, 성인 지적장애인이 가장 많이 참여한 프로그램 영역은 `문화예술교육(1.57개) 인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성인 지적장애인의 평생교육 프로그램 참여 목적에 대해 조사한 결과를 살펴보면, 성인 지적장애인의 평생교육 프로그램 참여목적을 다중응답으로 조사한 결과 `심리적 만족감(26.2%) 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성인 지적장애인의 평생교육 프로그램 참여기관을 다중응답으로 조사한 결과 `장애인복지관(38.8%) 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성인 지적장애인의 평생교육 프로그램 참여시간을 분석한 결과 성인 지적장애인의 평생교육 프로그램 참여시간을 조사한 결과 `평일 낮(92.9%) 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성인 지적장애인의 평생교육 프로그램 관련 정보 수집 방법에 대해 다중응답으로 조사한 결과 `교육훈련기관(37.8%) 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성인 지적장애인의 평생교육 프로그램 참여를 위한 주 교통수단을 조사한 결과`대중교통(38.2%) 이라고 응답한 경우가 가장 많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음으로는 `시설의 제공차량(25.3%) 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이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지적장애인의 평생교육 프로그램 발전 방향에 대하여 몇 가지 논의・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current state of intellectual-disabled adults participation in life-long programs. For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241 intellectual-disabled adults having experienced in life-long education programs which have been operated in disabled people relevant institutions including rehabilitation centers, sheltered work places, and day care centers for the disabled. The results of survey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t looking into current state of intellectual-disabled adults participation in life-long educational programs by field, it was found that the program field that the response of `culture, art & education (1.57) was the highest. Next, at asking the purposes of intellectual-disabled adults participation in life-long educational programs, it was identified that the response of `psychological satisfaction (26.2%) was the highest in the format of multi responses. And, at asking the life-long program institutions that intellectual-disabled adults participated in, it was found that the response of rehabilitation center (38.8%) was the highest in the format of multi responses. As the result analyzing the intellectual-disabled adults participation time in life-long educational programs, it was shown that the response of `daytime in weekdays (92.9%) was the highest, and at investigating their ways collecting the information about life-long educational programs in the format of multi responses, it was appeared that the response of `education & training institution (37.8%) was the highest. Finally, as the result investigating the main transportation type who intellectual-disabled adults commonly used to participate in life-long educational programs, it was identified that the response of public transportation (38.2%) was the highest. Based on the above findings, this study discussed and provided some suggestions about the development direction for life-long educational programs for intellectual-disabled people to go towar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