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 KCI우수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재난의 재현’이 ‘재현의 재난’이 될 때: 재현불가능성의 문화정치학

        최종철 미술사학연구회 2014 美術史學報 Vol.- No.42

        This paper explores the notion of ‘the unrepresentability’ that had once outlined the ethical role of art in the previous century, and how this unrepresentation has influenced our understanding of contemporary art dealing with disasters of our own time. As Theodor W. Adorno aptly summarizes in his literary account, “to write a poem after Auschwitz is barbaric and (…) impossible,” the unrepresentation means a renouncement of the representational image or its radical reduction in art as an ethical gesture. It comes into practice when disasters in question appear too monstrous to be comprehended, spoken of, or represented – the sublime events that cannot be understood through any languages or any images. But to an extent, it also creates a dilemma in visual art, given that the unrepresentation complicates the nature of visual art itself anchored in visual communication, the communication through visual means. A great deal of art, intellectual thought, and cultural phenomenon revolve around this notion of unrepresentation: Claude Lanzmann’s Shoah (1985) - a nine hour long Holocaust documentary that contains no visual spectacle of Jewish victims, Susan Sontag’s moral claim on prohibiting images of others in pain, and the American public’s anxiety of recounting the visual spectacles of 9/11 in media and art are some examples illustrating the double-edged nature of the unrepresentation. As these examples suggest, the proponents of unrepresentation find the visual images of catastrophes and human suffering irresponsible or even abominable, and thus, they are sometimes obsessed with this taboo of the unrepresentation that could eventually bring a decline into contemporary visual culture. This paper first reviews the theoretical grounds of the unrepresentation, then analyzes the notion with some recent case studies that show the negative sides of this moral request, and finally deconstructs it through the logical questions articulated in recent ethical thoughts on art and culture. 본 논문은 지난 세기 예술의 윤리학을 규정해 왔던 ‘재현불가능성(unrepresentability)’이라는 개념의 이론적 배경을 돌아보고, 이 개념이 9/11과 같은 동시대의 재난에 적용되어질 때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문화정치적 문제들을 살펴본다. ‘재현불가능성’이란 유태인 학살과 같이 인간의 상상력을 능가하는 재난의 도래 앞에 재현의 주체가 선택하는 윤리적 태도로서의 재현의 포기, 혹은 그것의 환원을 의미하는 데, 이것은 ‘아우슈비츠 이후 시의 불가능성’을 한탄한 아도르노의 경구 등을 통해 요약되어질 수 있다. 이 재현불가능성은, 예를 들어, 클로드 랑즈만이 장편 다큐멘터리 <쇼아 Shoah>(1985)에서 보여준 비재현의 전략, 수잔 손탁이 사진에 대한 그녀의 유명한 고찰에서 타인의 고통에 대한 사진적 재현을 “양심의 사각(a dead zone of conscience)”에서 자행된 윤리적 범죄라 지칭한 점, 혹은 9/11 사태 이후 자국의 재난스러운 정치적 현실과 그 희생자들에 대한 시각적 재현을 반대하는 미국의 문화적 태도들 속에서 다시금 확인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이제 유태인 학살이나 9/11사태와 같이 상상력과 이성의 임계치를 넘어서는 재난의 도래 앞에서 시각예술의 감각성과 형식성은 금기(taboo)의 조건이 되며, 따라서 윤리라는 보다 상위의 개념 아래 귀속되고 관리되어야 한다는 것이 오늘날 시각예술의 윤리학을 규정하는 하나의 커다란 강박이 된 것이다. 본 논문은 이러한 문화적 강박을 야기하는 재현불가능성의 이론적, 철학적 근거를 되짚어 보고, 이러한 강박이 동시대의 문화, 정치적 영역에 끼친 부정적 영향의 구체적 사례들을 분석해 보며, 이를 통해 재현불가능성에 대한 논리적 반론을 모색하고자 한다.

      • KCI등재

        주한미군의 전략적 유연성과 한국의 전략적 대응 구상

        최종철 세종연구소 2006 국가전략 Vol.12 No.1

        In the process of the Defense Transformation and Global Defense Posture Review of the Bush Administration, the USFK's strategic flexibility has become a critical issue between the ROK and the US, the significance of which was recognized in the Joint Communiques of the Security Consultative Meetings in 2003 and 2004. The US has sought to transfer the main mission of the USFK from away a deterrent of the North Korea's attack to the South Korea toward a rapid response forces to manage and resolve a various forms of transnational conflicts and complex contingencies including terrorism. In responding to the expanding flexibility of the USFK, the study advises the Ssouth Korean government to choose a "interdependent engagement strategy" to the US, through which it will be able to have a good chance to improve the unequal relationship between the ROK and the US as well as to increase its self-reliant defense capabilities. 부시 행정부의 국방변환과 해외미군재배치계획의 일환으로 촉발된 주한미군 전략적 유연성 확대 문제는 2003년과 2004년 연속으로 한미 양국의 SCM 공동 성명에서 그 ‘중요성을 재인식‘한 바에 따라 한미군사관계의 최대 쟁점이 되었다. 미국은 주한미군을 북한을 억지하는 목적에 한정하는 군대로는 유지할 없으며 탈냉전 시대의 테러 등과 같은 초국가적 위협과 전 세계의 불특정 긴급사태에 대비한 신속 기동군으로 전환하고자 한다. 한국은 이러한 미국의 주한미군 유연성 확대 계획을 계기로 미국과 “상호 의존적 접촉유지 전략”을 구사하면서 한미 군사동맹관계를 보다 대응한 관계로 발전시키고 자주국방능력을 제고하는 계기로 삼아야 한다. 또한 한국은 미래 지향적 한미군사관계, 다른 주변국들과의 새로운 군사협력관계 형성, 제고된 국제적 지위와 역할에 걸맞고 한반도 평화적 통일 등에 부응하는 장기적이고 포괄적인 전략 하에 주한미군의 전략적 유연성 확대 문제에 대처해 나가야 할 것이다.

      • 케빈 카터를 위한 변명: 재난의 사진과 관객의 윤리

        최종철 한국예술종합학교 미술원 조형연구소 2014 Visual Vol.11 No.-

        재현 불가능성에 기반한 지난 세기 사진 윤리학의 모순을 가장 극적으로 예시한다. 다큐멘터리 사진가들은 세계의 진실을 알린다는 사명감과, 그 진실의 불편한 시각성에 대한 윤리적 책임감 사이에서 갈등한다. 카터의 비극적인 최후는 진실과 윤리 사이의 좁힐 수 없는 거리가 재난 속의 타인뿐 아니라, 그것을 보도하고 기록하는 사진가들에게도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역설하는 사건이다. 칠레 출신의 미디어 작가 알프레도 자는 2006년 <침묵의 소리>라는 멀티미디어 설치 작업을 통해 카터의 죽음을 재조명한다. <침묵의 소리>는 카터의 일대기와 문제의 사진이 투사되는 어두운 밀실이다. 자는 관객을 이 밀실 안으로 초대하고 그들 스스로 이 비극의 진정한 원인에 대해 묻도록 함으로써, 사진가에 대한 윤리적 비난 속에 가려진 관객의 원죄와 무책임을 드러낸다. 본 논문은 자의 작업을 통해 가시화된 보기의 윤리적 문제, 사진 경험에 있어서 관객의 책임과 역할, 타인의 고통을 시각화하는 행위의 한계와 가능성 등의 문제를 최근의 다양한 비평적 담론들 속에서 되짚어 본다. 이를 통해 보기와 보여주기라는 사진의 매체적 가능성을 양보하지 않는 가운데, 그것의 참된 윤리적 의미를 되새길 수 있는 방법들을 가늠해 본다. 특히 본 논문에서는 ‘타인의 고통은 재현될 수 없다’라고 한 과거의 주장들에 대한 반복을 ‘매너리즘’적인 것으로 비판하는 데이 173 비드 레비 스트로스, 그리고 사진을 정치적 재난 앞에 노출된 타자들의 시각적 권리를 보장해주는 사회적 계약으로 보는 아리엘라 아쥴레이 등의 이론을 통해, 새로운 세기의 사진 윤리학을 위한 전환적 사유들을 탐구한다 This essay explores the ethics of photography through a reflection on the tragic event of Kevin Carter, a promising South African photographer and the 1994 Pulitzer Prize winner who killed himself in the shame of being called “a man vulture” for his infamous New York Times photograph of a young Sudanese girl crawling on the ground with a vulture behind. As this essay would argue, this event shows the dilemma of documentary photography revolving around the confusion between photographers’ desire to represent reality and their ethical responsibility for the unrepresentable pain of the reality. Chilean media artist Alfredo Jaar later in 2006 (also recently in 2014) brought this tragedy back to our attention in his provocative installation, <the Sound of Silence>, in which Carter’s life and tragedy was reenacted and reconsidered. In this installation, visitors realize that they are all guilty of seeing the other’s pain, whether as a spectator or a photographer, and learned that Carter’s death proved a disturbing risk of photographic gaze that turned every spectator into a collaborator of this social murder. In this essay, I will discuss various (un)ethical aspects of Carter’s photo reframed in Jaar’s installation. This discussion 175will be elaborated through the recent articulations, made by David Levi Strauss and Ariella Azoulay who challenge the idea that ‘showing the other’s pain is an abominable cultural crime.’ In that, I will call for photography’s new ethics that goes without scarifying what the medium is destined to do – to see, to show, and to be seen.

      • KCI등재

        비중격 만곡 환자 연골에서 외상 유무 및 시기에 따른 조직학적 변화

        최종철,김종엽,박병건,인승민,김범경 대한이비인후과학회 2006 대한이비인후과학회지 두경부외과학 Vol.49 No.6

        Background and Objectives:The histologic difference of the traumatic nasal septal cartilage from that of non-traumatic has not been extensively studied.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histologic difference in the nasal septal cartilage between traumatic and non-traumatic nasal septal deviation and to find its implication for surgical intervention. Subjects and Method: Nasal septal cartilage was obtained from 23 patients who had undergone septoplasty or septorhinoplasty for the nasal septal deviation. The septal cartilage without trauma (7 patients, Group I) and with the history of the trauma at the age under 10-15 years old (8 patients, Group II), and over 25 years old (8 patients, Group III) between May 2003 to February 2005 were included in this study. An approximately 11 cm sized piece of the septal cartilage was harvested from the site deviated the most. The histologic difference of the septal cartilage by hematoxylineosin staining under a light microscope was performed. Results:The chondrocyte densitie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convex side than in the concave side of the septal cartilage in Group I, II, III. Especially, the increased chondrocyte ratio (convex/concave) were more evident in the septal cartilage traumatized at the age of 10 to 15 years, and the cartilage plate was thicker than the other groups (p<0.001). Also, dystrophic changes of the chondrocytes as representing the chondrocyte differentiation and chondroblast ratio (convex/concave)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group II than in the other groups (p<0.005). Conclusion:This study demonstrated that age dependent changes in septal cartilage with nasal trauma showed distinctive histologic characteristics. We suggest that these observations will help determine surgicaltreatment modality for cases of nasal septal deviations with and without trauma. (Korean J Otolaryngol 2006;49:629-35)

      • KCI등재

        ‘나는 살 수 없다 그러나 우리는 다시 살 수 있다’: 만년의 양식, 포스트 세월호 시대의 예술

        최종철 미술사학연구회 2020 美術史學報 Vol.- No.54

        Oe Kenzaburo(大江 健三郎, 1935- )’s ‘last novel’ In Late Style(晚年様式集)(2013) explores the apocalyptic vision, existential crisis, and catastrophic style of art(and artists) rapidly growing in the aftermath of 3·11 Tohoku disaster. The ‘Late Style’ in the accounts of Oe and his predecessors, Edward W. Said and Theodor W. Adorno, poses “deliberately unproductive productiveness” and “a self-imposed exile from what is acceptable” in which art takes absence and silence, irony and rupture, as a prime expression for its formal bankruptcy in the face of its historical finis. Such catastrophic modes in art have been detected among the Korean artists who saw their recent disaster(the Sewol Ferry disaster in 2014) as an epitome of the collapsing local modernity; the Voiceless(2014) by Jang Min-Seung(1979- ) speaks of the disaster’s unspeakable despair through the silence of Haiku and sign language; The Children’s Room(2015) by a band of post-Sewol photographers(2015- ) illuminates the rooms filled with the absence of the children who never returned from the sunken boat; Reading for Our Children(2016) by Ahn Kyuchul(1955- ) emphasizes on the failure of mourning as its reading towards the deceased dissipates in vain. Their arts put forward dark melancholy completely devoid of creative vibe and passion, and it is because they knew that they were getting at the edge of an era where they could only indulge a rupture of their own time in that very catastrophic ‘Late Style.’ This paper delves into this ‘Late Style’ pervasive in post-Sewol Korean art with regard that this catastrophic styles may alleviate the pain of our era. 소설가 오에 겐자부로(大江 健三郎, 1935- )는 자신의 ‘마지막 소설’ 『만년양식집(晩年樣式集)』(2013)에서 3·11 대지진 이후 감지된 종말적 시대성과 예술가의 실존적 위기, 그리고 그로부터 파생된 예술의 파국적 양식을 탐구한다. 오에의 『만년양식론』에 영감을 준 사이드(Edward W. Side)와 아도르노(Theodor W. Adorno)에 따르면 예술의 ‘만년성’이란 만년에 이른 예술가에게 나타나는 “의도적인 비생산성” 혹은 “관습으로부터의 자발적인 자기추방”으로서 이러한 부정적 태도 속에서 작품은 절제와 침묵, 모순과 갈등을 전면화하는 ‘파국적 형식’을 이루게 된다. 예술의 파국적 만년성은 세월호 참사 이후 표현의 소진과 쇠락을 경험한 국내의 예술가들에게서도 목격된다. 세월호 참사의 말 못할 고통을 하이쿠와 수화라는 침묵의 형식으로 드러낸 장민승(1979- )의 《보이스리스(Voiceless)》(2014), 상실과 부재만을 기록함으로써 사진의 실패와 좌절을 현시하고 만 ‘세월호를 생각하는 사진가들(2015- )’의 《아이들의 방》(2015), 낭독의 전례 속에서 읽기의 불가능성과 들을 수 없음을 전면화하는 안규철(1955- )의 <우리 아이들을 위한 읽기>(2016) 등이 그러한 예들이다. 이들은 결코 예술로서 표현될 수 없는 세월호의 상처와 고통을 예술적 관습에 대한 자발적인 포기와 생략을 통해 표현해냈다. 그들의 작업에서 창조적 생기와 열정 대신 어둡고 무거운 우울의 정감이 두드러지는 것은 바로 그들이 한 시대의 가장자리에서, 시대가 그들에게 부여한 미의식의 단념과 망각을 통해, 그 파국적인 만년의 양식 속에서, 자신들의 예술을 개진하고 있기 때문이다. 본 논문은 세월호 이후 표현의 붕괴를 전면화하는 한국 미술의 파국적 양식을 오에와 사이드, 그리고 아도르노의 ‘만년양식론’을 바탕으로 분석하고 이러한 예술들이 어떻게 시대의 고통을 아우르고 내면화하는지 살펴볼 것이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