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심장전산화단층촬영을 이용한 관상동맥 죽상경화반의 분류

        최재성(Jae-Sung Choi),한재복(Jae-Bok Han),최남길(Nam-kil Choi) 한국콘텐츠학회 2012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2 No.10

        관상동맥 죽상경화반(atheromatous plaque)의 진단에 있어 혈관내초음파(Intravascular Ultrasound: IVUS)와 비교하여 심장전산화단층촬영(Cardiac Computed Tomographic Angiography: CCTA)의 진단 정확도를 알아보고, IVUS에서 발견된 죽상경화반의 성상을 CCTA에서 전산화단층촬영 수치(Hounsfield Unit: HU)로 구하고자 하였다. 2006년 4월부터 2008년 8월까지 관상동맥질환(Coronary Artery Disease: CAD)으로 확진 되었거나 CAD가 의심스러운 환자들 중 CCTA를 시행하여 죽상경화반을 발견하고 추후 IVUS를 시행한 20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CCTA후 IVUS를 시행한 200명의 환자에서 476개의 죽상경화반이 발견되었으며, CCTA에서는 460개의 죽상경화반이 발견되었다. IVUS의 결과는 soft plaque(n; 84), fibrous plaque(n; 63), mixed plaque(n; 97), calcific plaque(n; 232)이었다. 이 결과에 따라 IVUS에서 분류된 죽상경화반의 HU는 soft plaque : 53.8±10.5, fibrous plaque : 108.1±20.0, mixed plaque : 371.2±113.1, 그리고 calcific plaque : 731.0±160.4 이었으며, CCTA에서 민감도와 신뢰구간은 97%, 95.0-98.3이었다. CCTA를 이용한 관상동맥 죽상경화반의 진단을 위한 이번 연구에서 IVUS와 비교하여 높은 민감도와 신뢰구간을 확인할 수 있었고, IVUS 결과를 기준으로 CCTA에서 분석한 HU를 통해 죽상경화반의 성상을 구분할 수 있어 CAD 환자의 치료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In the diagnosis of coronary artery atheromatous plaque, Cardiac computed tomography (Cardiac Computed Tomographic Angiography: CCTA) compared with IVUS(Intravascular Ultrasound: IVUS) investigate the diagnostic accuracy, Interested in CCTA atheromatous plaque in computed tomography values (Hounsfield Unit: HU) try to find out. From April 2006 to August 2008 among coronary artery disease(Coronary Artery Disease: CAD) patients with confirmed or suspicious of CAD by CCTA performed atherosclerotic plaques and found 200 patients who underwent IVUS were enrolled. 200 patients who underwent CCTA and IVUS results from the 476 plaque was found, IVUS results of the soft plaque(n; 84), fibrous plaque(n; 63), mixed plaque (n; 97), calcific plaque(n; 232). The results a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IVUS plaque in HU in the soft plaque : 53.8 ± 10.5, fibrous plaque : 108.1 ± 20.0, mixed plaque : 371.2 ± 113.1, and calcific plaque : 731.0 ± 160.4. CCTA had sensitivity of 97% and confidence interval of 95.0-98.3. This study that is the diagnosis of coronary atheromatous plaque for using CCTA, we confirm the high sensitivity and the confidence interval Based on IVUS results CCTA atheromatous plaque with HU in the analysis could be classified to characterize in the treatment of patients with CAD is expected to help.

      • KCI등재후보

        Analysis of Hematological Factor to Predict Plaque of the Carotid Artery in Ultrasound Images

        양성희(Sung Hee Yang),강세식(Se Sik Kang),이진수(Jin soo Lee) 한국방사선학회 2016 한국방사선학회 논문지 Vol.10 No.3

        본 연구는 건강검진을 목적으로 내원하여 경동맥초음파를 실시한 140명을 대상으로 경동맥의 내중막 두께(IMT; intima media thickness)변화 및 죽상경화반(Plaque)의 유무와 혈액학적 검사와의 상호연관성을 알아보고자 시행되었다. 경동맥초음파상 IMT두께가 1 mm 이상을 비정상으로 간주하고 죽상경화반의 유무를 평가하였으며, 혈청검사를 통하여 지질학적 수치 및 공복혈당수치를 분류하여 상관관계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 공복혈당수치가 죽상경화반을 일으키는 유일한 독립적인 예측인자로 분석되었고(p=0.033), ROC 곡선 분석에서 cut off value는 126 mg/dL(민감도 56.25%, 특이도 68.33%)로 결정되었다. 또한 로지스틱 회귀분석에서 위험율(Odds ratio)은 1.01배로 나타났다. 따라서 향후 다수의 대상자로 장기적인 전향적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되며, 혈액검사수치를 고려하여 심뇌혈관질환의 효과적인 일차예방 역할과 혈관의 추적관찰을 위한 경동맥초음파가 적극적으로 권고 된다. In this study, we performed the carotid artery ultrasound targeting 140 subjects who have conducted to evaluate the changes in intima-media thickness(IMT) and plaque correlated with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hematological test of the carotid artery. Considering that the IMT thickness more than 1mm is abnormal based on the carotid artery ultrasound to assess the presence or absence of plaque, and examined the correlation by classifying the blood lipid value and the fasting blood glucose level through the serum test. Consequently, the fasting blood glucose level is being analyzed as independent predictors of causing dental plaque(p=0.033), cut off value was determined as 126 mg/dL(sensitivity 56.25%, specificity 68.38%) in ROC curve analysis. Furthermore, the odds ratio appeared 1.01 times the value in the Logistic regression. Therefore, it seemed that the necessity to prospective studies in a number of subjects are considered, and also taking into account a number of blood test values along with the sonography of the carotid artery as a valuable part for effective primary prevention and follow-up observation of the cardiac and brain vascular disease is highly recommended.

      • SCIESCOPUSKCI등재
      • KCI등재후보

        경동맥초음파에서 죽상경화반을 예측하는 혈액학적 수치의 분석

        양성희,강세식,이진수 한국방사선학회 2016 한국방사선학회 논문지 Vol.10 No.3

        본 연구는 건강검진을 목적으로 내원하여 경동맥초음파를 실시한 140명을 대상으로 경동맥의 내중막 두께(IMT; intima media thickness)변화 및 죽상경화반(Plaque)의 유무와 혈액학적 검사와의 상호연관성을 알 아보고자 시행되었다. 경동맥초음파상 IMT두께가 1 mm 이상을 비정상으로 간주하고 죽상경화반의 유무를 평가하였으며, 혈청검사를 통하여 지질학적 수치 및 공복혈당수치를 분류하여 상관관계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 공복혈당수치가 죽상경화반을 일으키는 유일한 독립적인 예측인자로 분석되었고(p=0.033), ROC 곡선 분석에서 cut off value는 126 mg/dL(민감도 56.25%, 특이도 68.33%)로 결정되었다. 또한 로지스틱 회귀분석 에서 위험율(Odds ratio)은 1.01배로 나타났다. 따라서 향후 다수의 대상자로 장기적인 전향적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되며, 혈액검사수치를 고려하여 심뇌혈관질환의 효과적인 일차예방 역할과 혈관의 추적관찰을 위한 경동맥초음파가 적극적으로 권고 된다. In this study, we performed the carotid artery ultrasound targeting 140 subjects who have conducted to evaluate the changes in intima-media thickness(IMT) and plaque correlated with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hematological test of the carotid artery. Considering that the IMT thickness more than 1mm is abnormal based on the carotid artery ultrasound to assess the presence or absence of plaque, and examined the correlation by classifying the blood lipid value and the fasting blood glucose level through the serum test. Consequently, the fasting blood glucose level is being analyzed as independent predictors of causing dental plaque(p=0.033), cut off value was determined as 126 mg/dL(sensitivity 56.25%, specificity 68.38%) in ROC curve analysis. Furthermore, the odds ratio appeared 1.01 times the value in the Logistic regression. Therefore, it seemed that the necessity to prospective studies in a number of subjects are considered, and also taking into account a number of blood test values along with the sonography of the carotid artery as a valuable part for effective primary prevention and follow-up observation of the cardiac and brain vascular disease is highly recommended.

      • KCI등재

        경동맥 초음파로 진단된 죽상동맥경화증과위험인자의 관련성 분석

        박지연,양성희 한국방사선학회 2023 한국방사선학회 논문지 Vol.17 No.3

        In predicting vascular disease, this study attempted to identify changes in the carotid intima-media thickness in patients who underwent carotid artery ultrasonography and hematological tests and to find out the effect of risk factors on the expression of atherosclerotic plaque. A retrospective analysis was conducted on 469 healthy adults who visited the hospital for the purpose of medical examination and performed carotid artery ultrasonography. As a result, carotid intima-media thickness, age, body mass index, waist circumference, systolic blood pressure, total cholesterol, high-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low-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and glucose were analyzed as significant predictors of atherosclerotic plaque (p<0.001). The risk ratio was calculated based on the cut off value of the risk factors of the atherosclerotic plaque determined through ROC curve analysis, followed by 8.06 times the carotid intima-media thickness, 7.53 times the age, 3.97 times the waist circumference and 2.02 times the glucose. Therefore, in this study it was possible to prepare a Korean standard for clinical risk factors that affect the presence of absence of atherosclerotic plaque and observation of carotid artery ultrasonography is thought to help diagnose or predict cardiovascular disease early. 본 연구는 혈관질환을 예측하는 데 있어서 일차 선별검사로서 경동맥 초음파 검사와 혈액학적 검사를 실시한 환자를 대상으로 경동맥 내중막 두께의 변화를 확인하고 죽상경화반의 발현에 위험인자들이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일개 병원에서 건강검진을 목적으로 내원하여 경동맥 초음파 검사를 실시한 건강한 성인 469명을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경동맥 내중막 두께, 연령, 체질량지수, 허리둘레, 수축기 혈압, 총콜레스테롤, 고비중지단백 콜레스테롤, 저비중지단백 콜레스테롤, 공복혈당이 죽상경화반의 유의한 예측인자로 분석되었다(p<0.001). ROC curve 분석을 통해 결정된 죽상경화반 위험인자들의 Cut off value를 기준으로 위험비를 산출하였으며 경동맥 내중막 두께는 8.06배, 연령은 7.53배, 허리둘레는 3.97배, 공복혈당은 2.02배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죽상경화반의 유무에 영향을 주는 임상학적 위험요인들의 한국인 기준치를 마련할 수 있었으며, 초음파를 이용한 경동맥의 관찰은 심뇌혈관 질환을 조기에 진단하거나 예측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경동맥질환에서 초음파의 활용 및 치료

        김승민,김연정,김건우,김범준 대한의사협회 2020 대한의사협회지 Vol.63 No.6

        Carotid stenosis is an important etiology of ischemic stroke. Most of the strokes associated with carotid stenosis are caused by artery-to-artery embolism. The risk of embolism highly depends on the stenosis degree and the vulnerability of the carotid plaque. Carotid ultrasonography is useful for evaluating the characteristics of carotid plaque. This review aims to provide information on performing and interpreting the result of carotid ultrasonography and the treatment of carotid artery disease based on the current guidelines. The degree of stenosis can be measured by the diameter reduction and flow velocity criteria. The risk of embolism is highest when the stenosis degree is around 70% to 80%. A heterogeneous echolucent plaque with an irregular surface or an ulcer shows a high risk of embolism. Appropriate treatment is important for the patients with carotid stenosis. In symptomatic patients, a potent antiplatelet treatment, especially during the acute stage, is beneficial. Patients with asymptomatic stenosis over 50% can also be considered for antiplatelet treatments. The associated risk factors should be managed according to the targets. Medically intractable cases or patients with high risk of embolism may receive carotid endarterectomy or carotid artery stenting depending on the concomitant disease and the degree of carotid stenosis. Considering the safety of ultrasound imaging, treatment may be followed-up by carotid ultrasonography.

      • KCI등재후보

        뇌경색 환자에서 초음파로 측정한 경동맥 내막-중막두께와 죽상경화반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

        이미화(Mi-Hwa Lee),권덕문(Duk-Mun Kwon),강영한(Yeong-Han Kang) 대한방사선과학회(구 대한방사선기술학회) 2009 방사선기술과학 Vol.32 No.2

        초음파에 의한 경동맥 내막-중막 두께의 측정은 동맥경화의 조기발견, 뇌혈관질환, 죽상동맥경화증의 지표로서 사용되지만, 죽상경화증이 내막에 국한되어 발생하는 현상임에도 불구하고 경동맥 내막-중막 두께의 측정은 혈관 벽의 전반적인 두께를 측정하며 일차적으로 중막의 변화를 측정한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에 반해 죽상경화반의 경우는 혈관벽을 따라 넓게 분포한 것이 아니라 일부분의 위치에 국한되어 나타나는 현상으로 죽상경화증을 더 반영한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뇌경색환자에 대해 경동맥 초음파 검사를 실시하여 경동맥 내막-중막 두께와 죽상경화반의 관계를 파악하고 뇌경색 예측인자인 죽상경화반의 선별검사로 경동맥 초음파 검사가 유용한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2008년 1월에서 3월까지 뇌졸중 전문병원 신경과에 입원한 환자를 대상으로 B-mode 초음파를 이용한 경동맥 내막-중막 두께와 죽상경화반을 검사하였다. 뇌경색환자는 자기공명촬영을 통해 확인하고 나이, 성별과 두개강외 혈관 협착의 위험 인자들을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연령이 높은 군에서 경동맥 내막-중막 두께가 이상이 있는 사람의 분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p = 0.004), 경동맥 분지에서의 죽상경화반은 연령이 높은 군에서 그 분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 = 0.006). 경동맥 내막-중막 두께가 정상인 사람 총 131명 중 죽상경화반이 발견된 경우는 90명(69%)이었고, 경동맥 내막-중막 두께가 이상인 사람 총 91명 중 죽상경화반이 발견된 경우는 84명(92%)이어서 경동맥 내막-중막 두께가 이상적으로 두꺼운 사람에서 죽상경화반이 발견된 경우가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 < 0.05). 따라서, 경동맥 내막-중막 두께와 죽상경화반은 밀접한 관련성이 있고, 뇌혈관 질환발생 여부 미치는 영향을 보기위해 정상인을 대상으로 한 전향적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The carotid intima-media thickness (IMT) is an early structural marker of the atherosclerotic process and is the only non-invasive test that is currently recommended by the American Heart Association for evaluation of the risk. However, use of this parameter has a limitation because it assumes uniform thickness throughout the blood vessel, whereas atherosclerosis is a focal phenomenon that is confined to intima. In fact, plaque can be found along the atherosclerotic blood vessels even though its value is unknown.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arotid plaque and IMT in the stroke patients. We investigated the patients with ischemic stroke, who were admitted to the department of neurology at the Stroke Special Hospital from January to March 2008. After the carotid IMT and plaque were assessed by B-mode ultrasonography, IMT and carotid plaque to risk variables (age, sex) were analyzed. The distribution of CCA IMT was significantly different in terms of age (p = 0.004). Likewise, the distribution of carotid plaque was also significantly different in terms of age (p = 0.006). Carotid plaque was 69 and 92% in normal and abnormal CCA IMTs respectively. The results showed that the CCA IMT was closely associated with carotid plaque.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