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64 절편 MDCT를 이용한 심장CT에서 측정된 좌심실 구혈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강영한(Yeong-Han Kang),김경욱(Kyung-Wook Kim),조광호(Kwang-Ho Cho) 한국콘텐츠학회 2010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0 No.2

        64 절편 MDCT를 이용하여 측정된 좌심실 구혈률에 성별과 연령, 체질량지수, 혈압, 심박동수 등의 요인이 영향을 미치는지 비교 분석하였다. 164명(남자 84명, 여자 80명)을 대상으로 혈압, 체질량지수, 심박동수를 측정하였고, 심장 CT 검사를 실시하여 좌심실 구혈률을 구하였다. 체질량지수 25㎏/㎡ 미만 군에서 좌심실 구혈률은 52.00±18.95%, 25 ㎏/㎡이상 군에서 59.50±16.05%였다(p<0.05). 정상 혈압군에서 좌심실 구혈률이 57.26±17.84%, 고혈압군에서는 49.95±17.63%로 고혈압군에서 유의하게 낮았다(p<0.05). 분당 심박동수 60회 미만 군에서는 60.76±17.26%, 60-70회군에서 54.14±16.56%, 70회 이상 군에서 50.83±20.56%였다(p<0.05). 좌심실 구혈률과 연령(r=-0.283), 심박동수(r=-0.231)는 각각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체질량지수(r=0.228)와는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좌심실 구혈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연령, 체질량지수, 수축기혈압, 심박동수 등이었다. 결론적으로 연령, 체질량지수와 혈압, 심박동수에 따라서 구혈률이 차이가 나므로 이를 확인하여 평가하여야 한다. This study was to analysis what factors could affect left ventricle ejection fraction(LVEF) using 64-slice multidetector CT. 164 patients(84 men, 80 women) had a cardiac CT in this study, and their blood pressure, body mass index(BMI), heart rate(HR) measured. LVEF was 52.00±18.95% in below 25㎏/㎡, 59.50±16.05% in above 25㎏/㎡ of BMI. LVEF was 57.26±17.84% in normal blood pressure group(NBPG), 49.95±17.63 in hypertension group(HG). LVEF was 60.76±17.26 in below 60 beats/min, 54.14±16.56 in 60-70 beats/min, 50.83±20.56 in above 70 beats/min of HR. LVEF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age, HR(r=-0.283 p<0.05, r=-0.231 p<0.05. respectively). And LVEF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BMI(r=0.228 p<0.05). A measurement of LVEF at cardiac CT by using MDCT may be considered to age, blood pressure, heart rate and BMI.

      • KCI등재

        이중 에너지 X선 흡수 계측법을 이용한 BMD 검사 시 발생할 수 있는 기술적인 오류 분석

        강영한(Yeong-Han Kang),조광호(Gwang-Ho Jo) 대한방사선과학회(구 대한방사선기술학회) 2006 방사선기술과학 Vol.29 No.4

          연구목적: 이중 에너지 X선 흡수 계측법(DEXA, dual-energy X-ray absorptiometry)을 이용한 골다공증 진단 시 발생할 수 있는 기술적인 오류의 유형을 분석하고, 골밀도(BMD, bone mineral density) 값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BR>  연구대상 및 방법: 환자 정보(연령, 체중, 신장, 폐경연령) 입력 오류와 관심영역(ROI, region of interest) 설정에 대한 오류로 나누어 연구하였다. 환자정보 입력 오류는 연령과 폐경연령을 5살, 10살 많게 또는 적게 입력하고, 신장과 체중도 동일한 조건으로 증감하며 입력하여 척추팬텀으로 각각 10회씩 스캔하였다. ROI 설정 오류는 폐경기 여성 10명을 대상으로 스캔을 실시하여 요추부, 고관절부, 전완으로 나누어 ROI를 변화시키며 BMD(g/㎠), T-score 값을 얻었고, 각각의 결과 값으로 정밀도 1%를 적용하여 평균에 대한 차이 분석을 실시하였다.<BR>  결과: 연령과 신장, 체중 폐경연령에 대한 환자 정보 입력 오류는 정밀도 1%에서 유의하지 않게 나타났다. ROI 설정 오류는 요추부 ROI 설정 시 ROI 기준선을 좌우 1㎝, 2㎝ 좁혔을 때 평균 0.006g/㎠, 0.1 그리고 0.021g/㎠, 0.15 감소하였다. 제 12흉추를 포함하였을 때 BMD(g/㎠)와 T-score는 평균 0.063g/㎠, 0.3 감소하였고, 제 5번 요추를 포함하였을 때 각각 0.077g/㎠, 0.5 증가하였다. 고관절 관심영역을 대퇴골두 위쪽 또는 좌측으로 0.5㎝ 이동하였을 때의 결과 값은 평균에 대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하지만 소전자 아래쪽 0.5㎝, 1㎝ 이동하였을 때의 BMD(g/㎠)와 T-score는 0.031g/㎠, 0.3 그리고 0.094g/㎠, 0.65로 증가하였다. 전완의 관심영역을 수근부 아래쪽, 위쪽으로 1㎝으로 이동하였을 때 BMD(g/㎠)와 T-score는 0.042g/㎠, 0.9 감소 또는 0.096g/㎠, 0.40 증가하였다. 좌우 기준선이 1㎝, 2㎝ 넓어질 때 BMD(g/㎠), T-Score는 평균 0.008g/㎠, 0.1 증가 또는 0.021g/㎠, 0.3으로 증가하였다.<BR>  결론: 골밀도 측정 시 발생할 수 있는 기술적인 오류는 다양하며, 오류에 따라 정상 BMD 값과 T-score에 변동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환자정보 입력과정에 발생할 수 있는 연령과 체중, 신장, 폐경 연령에 따른 입력오류는 BMD와 T-score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일반적 골밀도 검사 시에는 중요한 요소이다. ROI 지정 오류 시에는 BMD 값과 T-score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정확한 골밀도 검사를 위해서는 환자 정보에 대해서도 자세한 파악이 있어야 하겠지만 검사자의 기술적 지식이 결과 값에 영향을 미치게 됨을 충분히 인지하고 검사에 임하여야 하겠다.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earch for the type of technical error in DEXA(dual-energy X-ray absorptiometry) and the effect of error to measurement of BMD.<BR>  Materials and Methods: The changes of BMD(g/㎠, T-score) by patients information(Age, Weight, Height, Manopause age) input error and Confirming ROI error were investigated. Using spine phantom, we canned 10 times by age(5, 10), weight(10, 20kg), height(5, 10㎝), manopause age(5, 10) increase & decrease respectively. Scanning region(L-spine, femur, Forearm) of 10 patients was calculated by changing ROI respectively. Analysis of difference for mean(precision 1%) were carried out.<BR>  Results: The error of patient information(Age, Weight, Height, Manopause age) was not changed differently.<BR>  In confirming ROI, the BMD and T-score of L-spine involving T-12 was decreased to 0.063g/㎠, 0.3 and involving L-5 increased to 0.077g/㎠, 0.5. In narrowing 1㎝ of vertical line of ROI, the BMD and T-score decreased to 0.006g/㎠, 0.1 and in 2㎝, 0.021g/㎠, 0.15, each.<BR>  In hip ROI, Upper and left shift(0.5 ㎝) of line was not influenced BMD and T-score. In 0.5 ㎝ lower shift(lesser trochanter below), the BMD and T-score increased 0.031g/㎠, 0.3 and in 1 ㎝ 0.094g/㎠, 0.65, each.<BR>  In forearm ROI, the BMD and T-score decreased 0.042g/㎠, 0.9 involving 1 ㎝ lower wrist. And expanding 1㎝ of vertical line, the BMD and T-score decreased 0.008g/㎠, 0.1 and in 2㎝, 0.021g/㎠, 0.3, each. The L-spine, hip, forearm ROI error was changed differently.<BR>  Conclusion: There are so many kinds of technical error in BMD processing. Errors according to age, weight, height, manopause age did not influent to BMD(g/㎠) and T-score. There are mean differences BMD and T-score in confirming ROI.<BR>  For the precision exam, in L-spine processing, L1-4 have to confirmed without shift of ROI vertical line. In hip processing, the ROI have to included greater trochanter, femur head and lesser trochanter. In forearm processing, the ROI have to included wrist, radius and ulnar.

      • KCI등재후보

        건강검진 수진자들에서 골밀도와 대사증후군의 연관성

        강영한(Yeong-Han Kang),감신(Shin Kam) 대한방사선과학회(구 대한방사선기술학회) 2008 방사선기술과학 Vol.31 No.3

          연구목적 : 성인 남, 여를 대상으로 골밀도의 감소에 따른 대사증후군과의 관련성을 알아보고, 골다공증과 대사증후군의 관계에서 생활습관과 식습관 등의 대사증후군 위험요인들을 통제한 상태에서도 독립적으로 작용하는 지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BR>  연구방법 : 건강검진 수진자 총 1204명(남자 364명, 여자 840)을 대상으로 단면연구를 시행하였다. 이중에너지 X선흡수계측법을 이용하여 골밀도를 측정하였고, 골감소증과 골다공증을 골량감소군으로 분류하여 정상군과 비교하였다. 골밀도와 대사증후군과의 연관성은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이용하였고, 연령과 체중, 음주, 흡연, 규칙적인 운동, 규칙적인 식사, 폐경여부 등을 조사하여 통제변수로 이용하였다. 골밀도가 감소함에 따라 대사증후군 유병률에 대한 교차비를 남녀 성별로 구분하여 계산하였다.<BR>  연구결과 : 정상군과 골량감소군에서 대사증후군의 유병률은 남자의 경우 전체 364명 중 100명(27.5%)이 대사증후군의 기준을 만족하였고, 정상군과 골량감소군의 유병률은 각각 36.2%, 16.2%였으며, 여자의 경우 전체 840명 중 137명(16.3%)이 대사증후군에 해당하였고, 정상군과 골량감소군의 유병률은 각각 15.5%, 17.2%였다. 잠재적인 통제변수를 보정한 후의 대사증후군 유병률은 남자에서 골밀도 감소와 유의한 관련이 있었다(p < 0.001). 남자 골밀도가 정상인 군의 교차비를 1.00으로 볼 때 골량감소군의 교차비는 3.07(95% CI =1.83-5.16)로 골량감소군에서 대사증후군이 3.07배 증가하였다. 대사증후군의 5가지 기준들의 유병률과 골량감소와의 관련성을 살펴볼 때, 남자의 경우 높은 체질량지수와 낮은 HDL은 골량감소군에서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고, 여자에서는 높은 체질량지수에서만 골량감소군이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p < 0.05). 또한 대사증후군 구성요소의 수가 증가할수록 골밀도의 평균은 남녀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BR>  결론 : 남자는 골밀도 감소군에서 대사증후군에 대한 교차비가 증가하였고, 여자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즉, 골밀도가 연령에 비해 경미하게 감소하더라도 대사증후군과 동반될 위험이 있고, 예방적 차원에서 골다공증과 대사증후군을 함께 고려하여 생활습관 및 식생활 개선이 요구된다. 향후 다양한 인구집단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와 골밀도의 감소요인과 대사증후군을 비롯한 인슐린 저항성, 심혈관계 질환 등의 질병과의 관련성을 파악하고자 하는 연구도 추가적으로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bone mineral density (BMD) and the metabolic syndrome.<BR>  Method : We conducted a cross-sectional study of 1204 adults(males: 364 females: 840) in a general hospital health promotion center. They were grouped into the normal and lower BMD group according to bone loss(osteopenia, osteoporosis), as determined by duel energy X-ray absorptiometery(DEXA). We analyzed the association between BMD and metabolic syndrome by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fter adjustment for age, weight, alcohol intake, smoking, regular exercise, regular intake of meals, and menopausal status, odds ratios for the prevalence of the metabolic syndrome by gender were calculated for lower BMD.<BR>  Results : After adjustment for the effect of potential covariates, the prevalence of metabolic syndrome was associated with bone loss in men(p<0.001). If the odds ratio of normal group is 1.00, then that of the lower BMD group is 3.07(95% CI = 1.83-5.16). The prevalence of metabolic alterations fitting the criteria of metabolic syndrome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High BMI, Low HDL in men and in High BMI in women(p<0.05).<BR>  Conclusions : This study shows that BMD was associated with metabolic syndrome. Further studies needed to obtain evidence concerning the association between BMD and metabolic syndrome.

      • KCI등재

        64-절편 다행검출 CT 검사에서의 환자선량과 암 발생의 Lifetime Attributable Risk(LAR) 평가

        강영한(Yeong-Han Kang),박종삼(Jong-Sam Park) 한국콘텐츠학회 2011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1 No.4

        본 연구는 임상에서 시행되고 있는 64 절편 다행검출 CT(MDCT)의 방사선량에 대해 알아보고 이 선량으로 인한 암 발생의 잠재적 위험(LAR)을 정량화하고자 하였다. CT 검사의 선량길이곱과 유효선량을 측정하였고, 이로 인한 암 발생 귀속위험은 미국 전리방사선의 생물학적효과 위원회 7차보고서를 이용하였다. 결과에서 두부 CT의 유효선량은 l.48mSv, 흉부 CT(조영제 포함)의 유효선량은 7.66mSv였으며, 복부 역동적 CT는 24.52mSv였다. 두부 CT의 LAR은 남성 7463명 중 1명, 여성 4926명 중 1명이었고, 흉부 CT (조영제포함)의 LAR은 남성 1449명 중 1명, 여성 952명 중 1명이었으며, 복부 역동적 CT는 남성 453명 중 1명, 여성 298명 중 1명이었다. 따라서 64 절편 MDCT 검사는 암발생위험과 무시할 수 없는 관련성이 있었고, 선량을 줄이기 위해 프로토콜 등을 조정하는 등의 세심한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This study was to estimate the radiation dose associated with 64-slice multidetector CT(MDCT) in clinical practice and quantify the potential cancer risk associated with these examinations. Lifetime attributable risks(LAR) were estimated with models developed in the national Academies' Biological Effects of Ionizing Radiation Ⅶ report. Mean effective dose were 1.48mSv in Brain axial scan, 7.66mSv in chest routine contrast, 12.l7mSv in coronary angiogram, 24.52mSv in Dynamic abdomen scan. LAR estimates for brain routine varied from 1 in 7463 for man to 1 in 4926 for women. In chest routine with contrast, LAR varied from 1 in 1449 for men to 1 in 952. LAR of Abdomen dynamic CT varied from 1 in 453 for men to 1 in 298 for women. So, 64-slice MDCT scan is associated with non-negligible LAR of cancer. Doses can be reduced by careful attention to scanning protocol.

      • KCI등재

        임상실습을 경험한 보건계열 학생들의 임파워먼트 향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강영한(Yeong-Han Kang),박종삼(Jong-Sam Park) 한국콘텐츠학회 2012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2 No.7

        임상실습을 경험한 보건계열 학생들의 임파워먼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실습교육요인과 실습기관요인으로 구분하여 분석함으로써, 학교 실습교육에 대한 올바른 방향을 제시하고, 임상실습기관에서 효율적으로 실습이 이루어지도록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이를 평가하기 위한 임파워먼트 척도는 자아존중감, 자기통제, 대인통제, 전공진로통제, 전공에 대한 사기, 지식 및 기술적 성장으로 구성되었으며, 척도의 신뢰도 Cronbachs α=.944로 높았다. 보건계열 학생들의 임파워먼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성별(β=-.029), 학과 선택 만족여부(β=.194), 슈퍼비전 만족도(β=.196), 학교실습수업만족도(β=.204) 이었다. 즉 보건계열학과의 학생들의 임파워먼트를 높이기 위해서 학생은 본인의 학과에 만족하며 실습수업에 충실히 임하여야 하고, 슈퍼바이저는 체계적인 실습교육이 될 수 있도록 임상지침서를 충분히 활용하며, 학생들과 지지적인 관계를 형성하여야 한다. 학교에서는 사전에 실습과목이 수강될 수 있도록 하고, 학생들이 원하는 실습기관과 실습기간을 정할 필요가 있고, 실습 전에 충분한 실습 오리엔테이션을 하는 것이 도움이 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suggest proper alternatives of college practice and to do a effective practice in institute of clinical training, through analyze empowerment factors of health-related college students who experienced clinical practice. The scale of empowerment was consisted of self-esteem, self-control, personal control, major?career control, morale for major, growth of knowledge and technique. Reliability of scale(Cronbach α value) was .944. Factors of health-related college students empowerment was related to gender(β=-.029), satisfaction to major department(β=.194), satisfaction to supervision(β=.196), and satisfaction practice class(β=.204). As results, to increase empowerment, students have to be content with major and class, supervisor have to make full use of the clinical manual for student and supportive relation with student to be a systematic practice. In college, students have to take an clinical class and sufficient orientations before practice, and assign clinical institution and practical duration that they want.

      •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방사선사의 직무만족도 분석 -정규직과 비정규직 중심으로-

        강영한,Kang Yeong-Han 대한방사선사협회 2004 대한방사선사협회지 Vol.30 No.1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job satisfaction between regular radiologists and non-regular radiologists in general hospital and to research the factors of affecting job satisfaction. Materials and Methods : The subject is 120 radi

      • KCI등재후보

        조영제 부작용에 대한 주의의무와 제조물책임

        강영한(Yeong-Han Kang) 대한방사선과학회(구 대한방사선기술학회) 2007 방사선기술과학 Vol.30 No.4

        조영제는 영상검사를 위해 유용한 의약품이며 점차 그 사용량이 늘어나고 있지만, 불가항력적인 부작용이 발생한다. 부작용에 대비해서 작성하게 되는 조영제 사용 동의서는 의료기관에게는 유리하고 피검자에는 불리한 내용이 담겨져 있어, 동의서에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는 것에 동의하였다고 하여 그에 대한 손해배상책임까지 면제된다고 볼 수는 없다. 또한 조영제를 사용하는 검사 시 검사자와 조영제제조자는 선량한 관리자의 주의의무, 예견의무, 결과회피의무를 다하여야 하며, 의무를 소홀히 하게 되면 민사상의 책임이 있다. 조영제는 생산, 제조, 유통과정에 결함이 생길 수 있기 때문에 조영제제조자는 의약품 결함으로 인해 손해가 발생된다면 제조물책임을 지게 된다. 결함은 제조물의 제조·설계 또는 표시 상의 결함이나 기타 통상적으로 기대할 수 있는 안전성이 결여되어 있는 것으로 정의하고 있다. 제조물책임이란 제조물의 결함으로 말미암아 그 제조물의 이용자 또는 제 3자가 생명·신체 또는 재산상 손해를 입었을 때 그 제조물의 제조자나 판매자에게 그 결함제조물로 인하여 입은 손해를 배상하도록 책임을 묻는 것을 말한다. 조영제 사용의 증가 추세에 따른 부작용 발생빈도가 높아질 개연성과 함께 피검자들의 건강권에 대한 권리의식이 점차 강조되고 있는 현실을 감안한다면 이제는 그에 대한 법적 책임이 정리되어야 하고, 조영제제조자는 조영제 사고에 대비하여 자구적인 대처방안을 수립하거나, 조영제 제조단체 공동으로 제조물책임보험을 들도록 하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의료기관과 조영제 회사 간의 거래 계약 체결 시 조영제 부작용에 대한 내용을 포함함으로써 의료기관이나 검사 당사자의 조영제 부작용 법적 책임을 경감할 수 있을 것이다. Contrast medium is a useful drug for radiological examinations and usability of it gradually increases while it has some inevitable adverse reaction and it is difficult to predict the occurrence and the degree of adverse reactions. Although the patient consented permission for the use of contrast media, the hospital could not be exempted from the responsibility for the adverse contrast media reaction. During radiological contrast media examination, the radiologist and the contrast media producer have the duty of precaution, prediction and avoid adverse results. In addition, they have reliability of patient remedy for neglecting the duty. Since contrast medium are manufactured or processed as movable properties, the manufacturers are bound to the product liability if damages occur due to the defects in pharmaceuticals.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product liability, it is necessary to demand high degree of duty of care and diligence from producer or to reduce patient"s burden of proof in a product liability lawsuit. For securing compensation ability and liability implementation, products compensation liability insurance is required for contrast medium manufacturers. In conclusion, contrast medium producer has legal liability for adverse reactions and the contract concluded with producer and hospital including legal liability will reduce liability of hospital and radiologist, patient.

      • KCI등재후보

        성별과 나이에 따른 골반 형태 변화와 골반 변위

        강영한(Yeong-Han Kang),김선칠(Seon-Chil kim) 대한방사선과학회(구 대한방사선기술학회) 2011 방사선기술과학 Vol.34 No.2

        정상인의 골반 정면 영상을 계측하여 성별과 나이에 따라 골반의 형태적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 나이에 따라 골반의 변위가 발생하는지 남녀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정상인 총 382명(남성 194명, 여성 188명)을 대상으로 골반정면 단순촬영을 시행하여 PACS 영상에서 최대골반너비(MPB), 엉덩뼈너비(SB), 위골반공가로지름(TD), 넙다리뼈머리사이거리(DFH)를 측정하여 골반계측을 시행하였다. 성별에 따른 골반 계측 차이는 평균비교분석, 나이와 계측치의 관계는 상관분석을 하였다. 골반의 변위는 ANOVA test를 시행하였다. 최대골반너비는 성별에 따른 차이는 없었으나, 남성 엉덩뼈너비의 평균은 97.76 ㎜이었고, 여성은 102.00 ㎜으로 여성에서 엉덩뼈너비가 유의하게 큰 것으로 나타났다. 위골반공가로지름의 평균은 남성 138.00 ㎜, 여성 149.79 ㎜이었고, 넙다리뼈머리사이거리는 남성 141.94 d㎜, 여성 150.39 ㎜로 나타났고, 위골반공가로지름과 넙다리뼈머리사이거리는 여성에서 유의하게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나이와 골반계측에서는 넙다리뼈머리 사이거리가 남성(r = -0.280)과 여성(r = -0.207)에서 각각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나이에 따른 골반 변위는 남성 50대에서 변위가 크게 나타났고, 여성은 60대, 70대에서 변위가 크게 나타났다. 엉덩뼈너비와 위골반공가로지름, 넙다리뼈머리사이거리는 남성보다 여성에서 더 크게 나타났고, 골반의 크기가 큰 사람은 최대골반너비와 엉덩뼈너비, 위골반공가로지름, 넙다리뼈머리사이거리도 컸다. 나이가 많을수록 변위가 크게 나타났고, 이는 노화의 과정이라고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hange of morphologic pelvis according to age and gender. Pelvis AP(anterior-posterior) projection were taken from 382 individuals (men: 194, women: 188) at the age of twenty and older. We measured four values of pelvis using CR (computed radiological system) including maximum pelvic breadth (MPB), sacral breadth (SB), transverse diameter of pelvic inlet (TD), and distance between femoral heads (DFH). Average (t-test, ANOVA) and Pearson correlation were calculated for comparison. Whil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gender in case of MPB,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SB (men 97.76 ㎜, women 102.00 ㎜), TD (men 138.0 ㎜, women 149.79 ㎜), and DFH (men 141.94 ㎜, women 150.39 ㎜). The DFH values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age (men r=-0.280, women r=-0.207). The morphological changes of pelvis were measured high in the men of 50’s and in the women of 60’s and 70’s. The SB, TD and DFH were greater in the women than in the man. As the ages get higher, the deviation of pelvis were gradually increased, which indicates that the morphological changes of pelvis with respect to the age reflects an aging process.

      • KCI등재

        흉부 단순 촬영에서 관찰되는 대동맥 궁 석회화와 폐쇄성 관상동맥 질환과의 관련성

        강영한(Yeong-Han Kang) · 장정호(Jeong-Ho Chang) · 박종삼(Jong-Sam Park) 대한방사선과학회(구 대한방사선기술학회) 2009 방사선기술과학 Vol.32 No.1

        연구목적 : 흉부 단순촬영 상에서 발견되는 대동맥 궁 석회화가 폐쇄성 관상동맥질환과 관련성이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관상동맥 조영술을 시행한 사람을 대상으로 흉부 단순촬영 영상을 확인하는 후향적 연구이다. 흉부 단순촬영상은 영상의학과 전문의와 방사선사에 의해 대동맥 궁 석회화 유무를 확인하였고, 관상동맥 조영술 결과와 비교하였다. 또한 대동맥 궁 석회화의 크기를 10 mm 미만군과 이상군으로 나누어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 총 846명의 대상자 중 폐쇄성 관상동맥 질환을 가진 사람은 남자 417명(88.3%)이었고, 여자 312명(83.4%)으로 남자가 많았다. 대동맥 궁 석회화가 있는 사람 중 폐쇄성 관상동맥 질환을 가질 확률을 나타내는 양성예측도는 91.4%이었고, 대동맥 궁 석회화를 가지고 있는 군이 석회화가 없는 군에 비해 폐쇄성 관상동맥 질환을 가질 위험을 나타내는 상대위험도는 1.10배였다. 대동맥 궁 석회화의 크기가 10 mm 이상인 사람 중 폐쇄성 관상동맥 질환을 가질 확률을 나타내는 양성예측도는 91.9%이었고, 대동맥 궁 석회화의 크기가 10 mm 이상인 군이 10 mm 미만인 군에 비해 폐쇄성 관상질환을 가질 위험을 나타내는 상대위험도는 1.04배였다. 결 론 : 흉부 단순촬영에서 발견되는 대동맥 궁 석회화와 관상동맥 조영술의 결과 폐쇄성 관상동맥 질환이 서로 밀접한 관련성이 있음을 확인하였고, 대동맥 궁 석회화가 있는 사람이 없는 사람보다 폐쇄성관상동맥 질환을 가질 위험이 더 높고, 대동맥 궁 석회화의 크기가 클수록 상대위험도는 높았다. 따라서 흉부 단순촬영 시 대동맥 궁 석회화가 발견되면 폐쇄성 관상동맥 질환의 발생 가능성이 높음을 인지하여 반드시 전문의와 상담을 하여야 한다. Objective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an association between aortic calcification viewed on plain chest radiography and obstructive coronary artery disease. Method : Retrospective review of all chest radiography obtained from consecutive patients undergoing coronary angiography. Chest PA images were reviewed by technical radiologist and radiologist. Considering the presence of aortic arch calcification, images were compared with the results of coronary angiography. In addition, the size of aortic arch calcification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 the smaller and the larger than 10 mm. Results : Among the total 846 patients, the number of the patients with obstructive coronary artery disease is total 417 (88.3%) in males and 312 (83.4%) in females. Considering the presence of aortic arch calcification, the positive predictive value of relation between aortic arch calcification and obstructive coronary artery disease was 91.4% and the relative risk of the group with aortic arch calcification to the opposite group was 1.10. According to the size of aortic arch calcification and obstructive coronary artery disease, the positive predictive value was 91.9% and the relative risk between two groups was 1.04. Conclusions : This study shows that aortic calcification was closely associated with obstructive coronary artery disease. If the aortic calcification is notified on plain chest radiography, we strongly recommend to consult with doctor.

      • KCI등재

        견관절 운동 분율의 측정

        강영한(Yeong-Han Kang) 대한방사선과학회(구 대한방사선기술학회) 2006 방사선기술과학 Vol.29 No.2

          연구 목적 : 견관절 운동분율과 운동비의 측정과정을 이해하고, 견갑 흉곽관절과 관절와 상완관절의 운동비의 기준을 제시하고자 함이다.<BR>  연구대상 및 방법 : 100명의 건강한 대상자를 연령대별(20, 30, 40, 50, 60대)로 20명씩 나누어 각각의 견관절 촬영과 분율을 계산하였다. 견갑극에 수직이고 관절와 면에 평행인 상을 재현하기 위하여 상완이 자연지위  일 때 머리 방향 15°, 90도 거상 시 19°, 최대 거상 시 22°로 입사각을 적용하였고, 몸의 회전 각도는 40°, 36°, 22°로 시상면에서 외전시키며 촬영하였다. 관절운동 방향에 따른 운동 범위를 확인하기 위해, 측각도계(goniometer)를 이용하여 양측 견관절의 운동범위를 측정하였다. 전운동의 팔의 각도와 방사선 영상의 팔의 각도를 측정하여 상완관절 운동 각도와 견갑 흉곽관절의 운동 각도를 계산하였다.<BR>  결과 : 오른팔의 운동 분율은 90°에서 남자 1.22, 여자 1.70이었고, 최대 거상 시 1.63, 1.84였다. 왼팔은 90°에서 1.31, 1.54, 최대 거상 시 각각 1.57, 1.32였다.<BR>  오른 우세팔은 90°에서 1.58, 최대 거상 시 1.43이었고, 왼쪽 우세팔 각각 1.82, 1.94였다. 20대에서는 90° 거상 시 1.56, 최대 거상 시 1.52였고, 30대는 1.82, 1.43, 40대는 1.23, 1.16, 50대는 1.80, 1.28, 60대는 1.24, 1.75로 나타났다. 견관절의 운동 특성상 남녀에 따른 운동비, 우세팔과 비우세팔, 연령대에 따른 운동비를 측정하여 비교해 본 결과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BR>  결론 : 견관절 운동 분율의 기준은 견관절의 운동장애를 확인하고 견관절 질환의 치료 후 정상적인 견관절 기능회복 여부를 확인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견관절 운동비 측정을 위한 운동 각도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고, 실제 운동비를 계산할 수 있으면 방사선학적 자세와 입사각 설정에도 유용할 것이다.   Purpose :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about the measurement of shoulder motion fraction and motion ratio. We proposed the radiological criterior of glenohumeral and scapulothoracic movement ratio.<BR>  Materials and Methods : We measured the motion fraction of the glenohumeral and scapulothoracic movement using CR(computed radiological system) of arm elevation at neutral, 90 degree, full elevation. Central ray was 15°, 19°, 22° to the cephald for the parallel scapular spine, and the tilting of torso was external oblique 40°, 36°, 22° for perpendicular to glenohumeral surface. Healthful donor of 100 was divided 5 groups by age(20, 30, 40, 50, 60).<BR>  The angle of glenohumeral motion and scapulothoracic motion could be taken from gross arm angle and radiological arm angle. We acquired 3 images at neutral, 90°and full elevation position and measured radiographic angle of glenoheumeral, scapulothoracic movement respectively.<BR>  Results : While the arm elevation was 90°, the shoulder motion fraction was 1.22(M), 1.70(W) in right arm and 1.31, 1.54 in left. In full elevation, Right arm fraction was 1.63, 1.84, and left was 1.57, 1.32.<BR> In right dominant arm(78%), 90° and Full motion fraction was 1.58, 1.43, in left(22%) 1.82, 1.94. In generation 20, 90° and Full motion fraction was 1.56, 1.52, 30" was 1.82, 1.43, 40" was 1.23, 1.16, 50" was 1.80, 1.28, 60" was 1.24, 1.75. There was not significantly by gender, dominant arm and age.<BR>  Conclusion : The criterior of motion fraction was useful reference for clinical dignosis the shoulder instabi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