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역컨벤션산업정책에 있어서 정책PR이 정책효능성과 정책지지에 미치는 영향

        주현정(Joo, Hyun-Jung),이연택(Lee, Youn-Taek) 한양대학교 관광연구소 2015 觀光硏究論叢 Vol.27 No.4

        본 연구는 지역컨벤션산업정책에 있어 정책PR, 정책효능성, 정책지지 간의 관계구조를 설정하여 이를 실증적으로 확인하고, 이를 통해 정책대상집단의 지지 획득을 위한 효과적인 정책PR방안을 제시하고자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정책PR, 정책효능성, 정책지지에 관한 문헌검토와 이들 변수 간 관계에 관한 선행연구검토가 이루어졌다. 이를 토대로 연구모형과 가설을 구성하였으며, 컨벤션산업의 특성을 반영하여 요인과 측정항목을 구성하였다. 설문조사는 서울지역의 컨벤션산업 종사자를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구조방정식모형을 구성하여 연구가설을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지역컨벤션산업정책에서 정책PR은 정책대상집단이 인식하는 정책효능성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고, 정책대상집단이 인식하는 정책효능성은 정책지지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역컨벤션산업정책의 정책PR은 정책지지에 직접적인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책효능성이 수행하는 매개적 효과에 관한 가설검증결과, 정책효능성은 정책PR과 정책지지 간의 관계를 부분적으로 매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에 따라 지역컨벤션산업의 정책과정에서 정책대상집단의 지지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정책PR을 통해 정책대상집단의 정책효능성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연구결과에 근거한 실무적 시사점으로서 쌍방향적 의사소통에 기초한 적극적 정책PR방안과 이를 위한 제도적 장치마련 및 정책대상집단의 정책효능성 이해 증진방안 등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a structural relationship of policy PR, policy efficacy, and policy support in regional convention industry policy. The literature review covered the concepts of policy PR, policy efficacy and policy support. Previous researches related to these concepts were discussed. A research model was designed and hypotheses were established based on previous researches and the characteristics of convention industry policy. Survey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practitioners of convention industry in Seoul. The results indicated that policy PR had positive influences on policy efficacy and policy support, and that policy efficacy had positive influences on policy support. Especially, providing policy information and policy efficacy directly related on regional convention industry influenced on policy support. The study also found that policy efficacy mediate the relation of policy PR and policy support. Thus, it is important to make policy publics better understand policy efficacy to gain policy support. The study suggested policy PR strategies be based on balanced communication through policy efficacy to get policy support in regional convention industry policy.

      • KCI등재

        정책PR분석틀을 적용한 시간선택제 일자리 정책

        이창율,장지호 한국거버넌스학회 2015 한국거버넌스학회보 Vol.22 No.1

        This study analyzes so called ‘good quality part-time employment’ policy by applying policy PR framework. The framework is a useful tool when it is applied to analyze policy processes: problem definition, goal setting, implementation, evaluation, and feedback. The role of policy PR is not limited to notify the result of decision-making anymore. The framework makes policy makers consider the way to deliver policy contents to policy target groups and forecast the change of their attitude in initial stage of policy planning. As a result, policy PR becomes more significant in policy processes. It is through policy PR framework that government can enhance policy target groups’ understanding and secure their compliance to the public policy. As this study shows, if government can determine particular target groups like companies, it would be meaningful to design PR plans aimed to secure compliance of the groups when policy plans are devised. In addition, this framework enables policy makers to grasp strong and/or weak points of existing implemented PR programs and therefore helps them to establish new PR policies. 본 연구는 정책PR 분석틀을 적용하여 시간선택제 일자리 정책을 살펴보았다. 정책PR 분석틀은 정부정책의 정책문제 진단부터 정책목표 설정, 집행, 평가 및 환류에 이르기까지 정책과정 전반에 걸쳐 정책PR을 효과적으로 활용하는데 도움을 주는 실용적인 도구이다. 이러한 분석틀은 정책홍보의 역할을 단순히 결정된 정책을 알리는 것에 국한하지 않고, 정책의 기획단계에서부터 정책 내용이 구체적으로 어떻게 정책대상 집단에게 전달되는지를 고려하고 홍보를 통한 정책대상 집단의 태도변화까지 파악할 수 있게 하여 홍보의 중요성을 부각시킨다. 이를 통해 정부의 정책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정책에 대한 순응도 확보할 수 있다. 더욱이 본 연구에서 분석된 시간선택제 일자리 정책과 같이 홍보 대상을 기업과 같이 구체화할 수 있을 때, 정책에 대한 이들의 순응을 확보하기 위한 수단으로 홍보를 정책 수립 시기부터 계획하는 것은 의미가 있다. 아울러 정책PR 분석틀은 기존에 집행된 홍보의 강점과 약점을 보완한 새로운 홍보정책의 수립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국가안보 PR 활동이 정책 지지에 미치는 영향: 정책 리터러시의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강형미,이유나 한국PR학회 2018 PR연구 Vol.22 No.6

        <Objectives> This study explored relationships among policy PR activities of the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negative organization-public relationships, and policy support regarding the THAAD deployment on South Korean peninsula. In particular, this study adopted the multi-dimensional policy literacy concept not explored in previous public relations research to allow more effective communication strategy planning for government PR. <Methods> A survey was conducted on 300 adult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conducted to examine proposed research hypotheses and problems. <Results> Results showed that PR activities based on symmetrical communication indeed decreased levels of negative OPR such as dissatisfaction, distrust, and control dominance. In particular, ‘dissatisfaction’ toward the government had indirect effects as well as the most visible impact on levels of policy support. Moderating effects of policy litera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R activities of government and negative OPR were also verified. <Conclusions> This study extends theoretical and practical understanding of multi-dimensional policy literacy in government PR. Rather than using just a simple measurement to capture the level of understanding on policies, this study suggests looking into traditional, functional, and critical policy literacy levels will enable a more detailed communication design in government PR.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국가안보 정책 이슈인 한반도 사드 배치에 대한 국방부의 정책 PR 활동, 조직ᐨ공중 부정 관계성인식, 정책 지지 간의 연계를 살펴보았으며, 정책 리터러시 개념을 도입하여 보다 효과적인 정책 PR의 방향성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방법> 성인 남녀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연구가설과 문제들을 검증하기 위해 구조방정식모형분석을 진행하였다. <결과> 정책 리터러시는 정부의 쌍방향 커뮤니케이션 활동과 조직ᐨ공중 부정 관계성 사이의 연계에 대한 조절 효과를 발휘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쌍방향 커뮤니케이션 기반의 정책 PR 활동을 수행할 경우 공중의 조직에 대한 불만, 불신, 지배통제와 같은 부정적인 관계성 인식이 줄어드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특히 부정 관계성 요인 중 정부에 대한 ‘불만’이 정책 지지에 가장 큰 영향력을 발휘하였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다차원적인 정책 리터러시 개념을 적용하여 기존의 PR 연구 영역에서 단순한 정책 이해 정도만을살피던 것에서 진일보 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즉, 연구에서 확인된 ‘전통적 정책 리터러시’, ‘기능적 정책 리터러시’, ‘비판적 정책 리터러시’ 요소들의 분석을 통해 보다 효과적인 정책 PR 커뮤니케이션 전략 수립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 KCI우수등재

        지역축제정책의 정책PR이 정책리터러시와 정책지지에 미치는 영향 -정책관여의 조절효과 분석-

        이연택,김태형,오은비 한국관광학회 2019 관광학연구 Vol.43 No.6

        This study attempted to analyz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local festival policy PR, policy literacy, policy involvement, and policy support from the perspective of policy communication theory. The literature review covered the major concepts and related precedent studies. For the research design, a structural model was constructed and hypotheses were established including structural relations of policy PR, policy literacy, and policy support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policy involvement. Using the purposive sampling method, survey data were collected from local tourism businesses related with the Dasan Cultural Festival in Namyangju, Kyeonggi-do. A total of 202 effective questionnaires were utilized for the analysis, and analytic methods such a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and multi group analysis were u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e relations among local festival policy PR, policy literacy, and policy support were significant and that policy involvement had a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 between channel appropriateness of policy PR and policy literacy, and between policy literacy and policy support. Based on these findings, theoretical implications are discussed, and ways of enhancing policy literacy and differentiating policy PR for effective local festival policy communication are suggested. 본 연구는 정책커뮤니케이션 이론의 관점에서 지역축제정책의 정책PR, 정책리터러시, 정책관여, 정책지지의 관계를 구조적으로 분석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론적 고찰에서는 연구의 주요 개념들에 대한 고찰과 선행연구에 대한 검토가 이루어졌다. 연구모형은 정책PR-정책리터러시-정책지지를 기본구조로 하였으며 개념들 간의 인과관계와 정책관여의 조절효과에 대한 가설이 설정되었다. 연구방법으로는 설문조사법이 적용되었으며 남양주시 다산문화제를 사례로 지역관광사업자를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정책PR과 정책리터러시, 정책지지의 관계는 모두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책관여는 정책PR, 정책리터러시, 정책지지의 관계에서 부분적으로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지역축제정책의 정책PR과 정책지지와의 관계에서 정책리터러시와 정책관여의 영향력을 확인하였다. 연구의 시사점으로는 지역축제정책의 효과적인 정책PR을 위한 정책리터러시 수준의 향상과 정책관여수준에 따른 정책PR의 차별화 방안이 제시되었다.

      • KCI등재

        정책수용도 및 정책 기관 인식에 미치는 정책PR콘텐츠 효과 연구: 정책관여도와 공익성 인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정현주,유현중,김운한 한국소통학회 2023 한국소통학보 Vol.22 No.1

        The Current study aims to measure the effect of policy PR by examining how the evaluation on policy PR contents influence policy acceptance and political organization perception. Especially, this study attempts to investigate the moderating effect of policy involvement and public awareness based on the evluation and policy PR activities by KOREA Communications Commission. For this, the study showed PR contents conducted by KOREA Communications Commission on general public and conducted online survey centering policy understanding and acceptance. As results, it was shown that policy understanding and public organization perception has a partial mediating role between the evaluation on the policy PR activities and policy acceptance, and further evaluation on the policy PR contents has significant effect on the entire evaluation on the policy PR activities. Also, through the entire path analysis through AMOS Structural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evaluation on policy PR contents has indirect effects on other variables. In addition, policy involvement didn’t show any kind of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valuation on the policy PR contents and the evaluation on policy PR activities, but Public awareness has shown a moderating effect in a negative way. The finding is expected to be utilized as basic data for coming up with effective strategies, by suggesting what should be considered in the process of producing policy PR contents in the future. 본 연구는 정책PR콘텐츠에 대한 정책공중들의 평가가 정책수용도 및 정책기관에 대 한 인식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살펴봄으로써 정책PR의 효과를 측정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전체적인 효과 과정에서 정책관여도와 공익성 인지의 조절효과를 살펴보고자 했다는 점에서 차별성을 가진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전국에 거주하는 일반 국민들을 대상으로 방송통신위원회에서 전개되고 있는 홍보콘텐츠 등을 보여주고 홍보활동에 대한 평가와 아울러 정책이해도와 수용도 등을 중심으로 자기기 입식 온라인 조사를 진행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정책PR활동에 대한 평 가와 정책수용도 간 관계에서 정책이해도와 정책기관에 대한 인식이 부분적인 매개역 할을 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해 볼 수 있었으며, 정책PR콘텐츠에 대한 평가가 정책PR 활동에 대한 전반적인 평가에도 유의적인 영향을 주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또한 AMOS 구조방정식을 활용하여 전체 경로분석을 시행해 봄으로써 정책PR콘텐츠에 대 한 평가가 다른 변인에도 간접적인 영향을 주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정책관여 도는 정책PR콘텐츠에 대한 평가와 정책PR활동에 대한 평가 간 관계에서 유의적인 조 절효과를 보여주고 있지 않았으나, 공익성 인지는 부(-)적인 형태로 조절효과를 보여주고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정책PR콘텐츠를 제작하는 과정에서 고려해야 할 사항이 무엇인지 제안해 줌으로써, 보다 효과적인 전략수립을 위한 토대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정책PR 유형의 정권간 차이 분석

        남태우,박종민,이세영,조만혁 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 2021 政策分析評價學會報 Vol.31 No.4

        본 연구는 정책PR을 정책학의 중요한 경험적・실증적 연구의 대상으로 인식하면서, 정책의 유형론(typology)과 PR의 개념틀 간 긴밀한 연계를 추구한다. 이를 위해, 박근혜 정부와 문재인 정부의 중앙행정기관 정책홍보용역제안서를 정책의 유형론(typology)과 PR의 개념틀 측면에서 내용분석하였다. 정책학에서 보편적으로 활용되어온 정책의 유형(분배정책, 재분배정책, 규제정책, 구성정책), 정책수단의 분류(규제, 인센티브, 설득), 정책의제설정 주도집단의 특성(외부주도, 동원, 내부접근, 공고화)을 PR의 핵심적인 개념요소인 PR의 목적(정보의 제공, 태도의 변화, 행동의 유도), 기능(인식중심, 실체중심), 메시지전략(감성활용), 매체 유형(전통매체, 온라인 등), 물질적 지원 규모(PR예산의 절대적・상대적 규모)와 연계하여, 양자 간의 연관성에 있어서 정권별(박근혜 정부와 문재인 정부 간) 차이가 나타나는지를 분석하였는데, 교차분석의 결과 두 정권 간 변화가 뚜렷한 측면과 거의 없는 측면이 존재한다. 정책의 유형, 정책수단의 분류, 의제설정 모형의 측면에서는 두 정권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반면, 실체중심, 감성활용, 온라인 매체활용은 정책PR의 변화 추세를 보여주고 있다. This paper aims to connect between the typology of public policy and the conceptual framework of public relations (PR), considering policy PR as a target of empirical research in the study of public policies. To this end, the authors collected and analyzed an accumulation of “Request for Proposal” (RFP) related to policy PR in national government agencies during the recent two administrations (the Park administration and the Moon administration). The cross-tabulation matched policy categories (policy types such as distribution, redistribution, regulation, and composition, policy tools such as regulation, incentive, and persuasion, policy agenda building such as outside initiative, mobilization, and inside access) and PR characteristics (purpose such as information provision, attitudinal change, and action inducement, function such as concept and substance, message strategy such as sentiment, media type such as offline and online). This study finds the differences in policy categories and PR characteristics between the Park administration and the Moon administration. While policy types, policy tools, and agenda building a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two administrations, substance-centered PR, sentimental strategies, and online media dependency revealed the recent change in policy PR.

      • KCI등재후보

        정책홍보 수행과정 모델에 따른 정책홍보 수행 현황과 모델 충실도 연구

        신호창(Shin Ho-Chang),이두원(Lee Du-Won),김정선(Kim Jung-Sun) 한국정치정보학회 2006 정치정보연구 Vol.9 No.2

        국가정책에 대한 홍보는 국민의 의견을 수렴하여 정책을 결정하는 사전 홍보로부터 시작하여, 정책을 집행하기 전 문제관리 및 위기 예방차원의 홍보, 정책 집행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홍보 프로그램 수행, 그리고 효과 평가에 이르기까지 단계적으로 수행되어야 한다. 국가의 정책홍보 프로세스는 크게 정책 구상 단계, 정책 결정 단계, 정책 발표 및 집행 단계, 정책 홍보 효과 평가 단계인 4가지 단계로 분류된다. 이를 기본으로 각 단계별 세부 내용에 따라 국가정책의 홍보 활동을 제시하고 분석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정책홍보의 수행과정 모델에 따른 정책홍보 수행 현황과 모델 충실도를 파악해보고자 하였다. 따라서 과연 국가의 정책 수행 과정 속에서 실제 ‘정책홍보’는 어떻게 이루어 지고 있으며, 정책 홍보를 담당하는 부처 담당자들은 정책홍보의 수행 과정 절차를 충실하게 따라 이행하고 있는가에 연구의 초점을 맞추었다. 특히 정책홍보 담당자들이 단계별 정책홍보 수행 내용을 충실하게 이행하고 있는지, 만일 그렇지 않다면 어떤 이유가 주된 것인지, 그 문제를 파악하여 정책 홍보 담당자들에게 효율적인 업무 수행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또한 정부의 정책홍보 수행 과정에서 홍보팀과 비홍보팀간의 수행정도의 차이가 있는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Government policy PR activities range, longitudinally, from the conception step of a policy to the completion of the policy and include, latitudinally, such PR activities as media relations, community relations, issue and crisis management, MPR, advertising campaign, and public affairs. For the last several years Korean government has emphasized the Policy PR practices to acquire people's supports and agreements on her policies. However, regardless of Korean government's effort to promote the policy PR activities, many opinion leaders and the press have pointed out the lack of the government's rapport with people in policy PR communi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fulfillment of the performative model for the government policy PR practices." In this study “the performative model for the government policy PR practices" indicates "the model for the proper policy PR practices at the four different stages of carrying out a policy, i.e., the stages of policy designing, decision-making, carrying out, and evaluation. Accordingly, four research questions are explored surveying 160 government officials and the results of each question are briefly as follows: Firstly, at the stage of 'a policy designing' how substantially the PR research and proactive PR activities are carried out and is there substantial difference between the policy PR team and other task teams in the fulfillment of those policy PR activities? The study result shows that some substantial PR activities like planning, proactive communication, building media relation, etc. are being carried out. Secondly, at the stage of decision-making on the policy, how substantially the PR activities needed at this stage are carried out and is there substantial difference between the policy PR team and other task teams in the fulfillment of those policy PR activities? The study result indicates that some substantial PR activities like public analysis, issue analysis, PR program planning, building cooperative relationships are being carried out; yet, the limitation of PR budgets, personal resources, sincerity in proactive policy PR still needs to be improved. Thirdly, at the stage of 'carrying out a policy,' how substantially the PR activities needed at this stage are carried out and is there substantial difference between the policy PR team and other task teams in the fulfillment of those policy PR activities? The study result shows that at this stage such PR activities as internal communication, crisis management, PR agency consulting, publicity are often being practiced. Fourthly, at the stage of a 'policy evaluation,' how substantially the policy PR activities are evaluated and is there substantial difference between the policy PR team and other task teams in the fulfillment of the policy PR evaluation? The study result shows that a policy PR evaluation is mostly being focused on publicity on media and the evaluation result is sometimes used as the feedback for the next project. However, there appeared the lack of evaluation on those target audiences' attitude changes. And, at the four stages of carrying out a policy, there appeared respectively som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policy PR team and other task teams in the fulfillment of those policy PR activities required at each stage.

      • KCI등재

        아동친화정책 PR 효과 요인의 구조적 관계 연구: A시 지역주민의 인식을 중심으로

        이영안,이홍재 성균관대학교 국정전문대학원 2018 국정관리연구 Vol.13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policy PR and its effects on child-friendly policies of local governments. 508 research questionnaire were given to residents who were living in A city. As proposed by the hypothesi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olicy PR had positive effects on the policy understanding and the intention to participate in policy, but had not positive effect on the policy support. And the child-friendly policy understanding had a positive effect on policy support and then, the policy understanding and the policy support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intention of participation of policy resultantly.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suggested the theoretical and policy implications to improve the policy PR effect of the child-friendly policy. 본 연구는 지자체가 추진 중인 아동친화정책을 대상으로 정책PR과 그 효과 요인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특히 정책PR 효과를 정책에 대한 이해, 지지, 그리고 참여의도 등 정책대상의 행태적 요인으로 세분화하여 이들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을 시도하였다. 이를 위해 아동친화정책을 추진 중인 지자체 주민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가설을 검증하였다. 첫째, 아동친화정책 PR과 그 효과 요인 간의 관계에 관한 가설검증 결과, 아동친화정책 PR이 정책이해와 정책참여 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반면, 정책PR은 정책지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아동친화정책 PR 효과 요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에 관한 가설검증 결과, 아동친화정책의 이해는 정책지지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정책이해와 정책지지는 정책참여 의도에 각각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아동친화정책 PR 효과를 개선하기 위한 이론적・정책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 KCI등재

        해외안전여행정책에 대한 정책PR, 공중관계성, 정책리터러시, 정책지지의 관계구조 분석

        오은비(Oh, Eun-Bi),이경아(Lee, Kyung-A),이연택(Lee, Youn-Taek) 한양대학교 관광연구소 2016 觀光硏究論叢 Vol.28 No.3

        본 연구는 해외안전여행정책에 대한 정책PR, 공중관계성, 정책리터러시, 정책지지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론적 고찰에서 주요 개념들에 대한 정의가 제시되었으며, 관련변수들 간의 영향관계를 검증하는 연구가설이 설정되었다. 연구모형으로는 해외안전여행정책에 대한 정책PR-정책지지의 관계를 기본 축으로 하고 공중관계성과 정책리터러시를 중간변수로 구성하는 구조적 관계모형이 제시되었다. 연구방법으로는 설문조사법이 적용되었으며, 해외여행경험이 있는 내국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해외안전여행정책에 대한 정책PR은 공중관계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책리터러시에는 부분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중관계성은 정책리터러시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공중관계성과 정책리터러시는 정책지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해외안전여행정책에 대한 정책PR이 공중관계성과 정책리터러시를 통해 정책지지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연구의 시사점으로는 공중관계성 확보 차원에서 의견수렴활동을 위한 위기단계별 대책마련이 요구되었으며, 정책리터러시 차원에서 국민의 수용조건에 적합한 정보를 제공하는 수용자별 맞춤형 정보제공 방안의 필요성이 제시되었다. This study aimed at analyzing the structural relations among policy PR, organization-public relationships, policy literacy and policy support toward outbound travel safety policy. The literature review covered the concept of policy PR, organization-public relationships, policy literacy, policy support and accordingly research hypotheses were established for related variables based on the previous researches. The research model was designed based on the extended policy PR model covering the intermediate variable effects. Survey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residents in Seoul metropolitan area. The results indicated that policy PR had significant influence fully on organization-public relationships, but partially on policy literacy. In addition, organization-public relationships had significant influence on policy literacy. And both organization-public relationships and policy literacy had significant influence on policy support. In conclusion, this study confirmed that outbound travel safety policy PR has significant influence through organization-public relationships and policy literacy.

      • KCI등재

        정책PR이 정책지지, 정부신뢰에 미치는 영향 연구

        오경수(Kyung Soo Oh),천명재(Myung Jae Cheon),김희경(Hee Kyung Kim) 한국콘텐츠학회 2013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3 No.7

        정부가 정책PR을 수행하는 이유는 국민의 정책지지와 정부신뢰를 얻기 위한 것이다. 정책지지와 정부신뢰는 정부가 정책을 입안하고 수행하는데 원동력이 되기 때문이다. 이런 점에서 본 연구는 동반성장 정책을 중심으로 정책PR이 정책지지, 정부신뢰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동반성장 정책PR활동과 정책PR의 성과에 대해 긍정적인 인식을 가질수록 동반성장 정책과 동반성장 정책지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동반성장 정책에 대해 긍정적인 인식을 가질수록 동반성장 정책지지가 높아졌다. 셋째, 동반성장 정책지지가 높을수록 정부신뢰(전문성, 윤리성, 신뢰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결과는 정책PR이 정책지지, 정부신뢰를 이끌어내는 효과적 수단이라는 점을 보여준다. 나아가 정부신뢰제고를 위해서는 정책PR 뿐만 아니라 정책의 투명하고 공정한 집행이 뒷받침되어야 한다. Government has been doing policy PR to acquire policy support and government trust of people. Because it is believed that policy support and government trust of people can be a driving force of government activity. In this perspective,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s of government’s policy PR on the policy support and government trust of people focusing on the corporation partnership policy. According to the results, first people who have more positive attitude to the policy PR activity and its result, they have more positive attitude to the policy and its support. Second, people who have positive attitude to the corporation partnership policy, they have more positive attitude to the policy support. Third, people who have more positive attitude to policy support, they have more government trust(professionalism, ethicality, reliability). These results show that policy PR is effective method for inducing policy support and government trust of people. And for improving government trust. it is needed not only policy PR but also fair and transparent execution of polic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