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KCI등재
      • KCI등재후보

        대학생 초보운전자의 심리적 요인과 안전운전행동간의 관계

        이유나 대한보조공학기술학회 2016 대한보조공학기술학회지 Vol.8 No.1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 초보운전자의 심리적 요인과 안전운전행동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함이다. 연구방법 : K대에 재학중인 대학생 초보운전자 30명의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 행동억제 및 행동활성화 체계, 정적정서 및 부적정서, 불안, 우울 그리고 분노를 측정하고 안전운전행동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운전수 행자와 비운전자 집단간 비교를 위해서는 맨휘트니 검정을 실시하였다. 결과 : 심리적 요인과 안전운전행동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자아존중감과 자기효능감 그리고 정적정서와 안전운전행동은 정적상관관계가 있고 행동억제체계와 불안과는 부적상관관계가 있었다. 또한 운전수행자와 비운전자의 심리적 요인 중 자기효능감과 정적정서, 우울에서 집단간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해 초보운전자의 심리적 요인이 안전운전행동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초보운전자의 심리적 요인에 보다 주목할 필요성을 시사하고 있다 Objective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 between psychological factors and safety driving behavior for beginning drivers. Methods : We studied the relation between safety driving behavior and psychological factors for 30 beginning drivers. To survey the psychological factors, we used the self-esteem and self efficacy, BIS/BAS, positive and negative affect, anxiety, depression, anger. By using the evaluation, the psychological factors is to be learned with the difference between those who do drive and those who do not drive. Results :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safety driving behavior and self-esteem, self efficacy, positive affect. Also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safety driving behavior and BIS, anxiety.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lf efficacy and positive affect, depression between those who do drive and those who do not drive. Conclusion : As a result of study, psychological factors of the beginning drivers had a relationship with safety driving behavior. Therefore we need to consider the relationship of psychological factors and safety driving behavior in evaluation for beginning drivers.

      • KCI등재

        셀룰로오스 에탄올 생산공정에서 리그닌의 제거특성

        이유나,이재동,이승범 한국공업화학회 2011 공업화학 Vol.22 No.1

        본 연구에서는 볏짚, 톱밥, 밤껍질, 땅콩껍질 등 목질계 바이오매스를 이용하여 전처리과정으로 산처리과정을 진행한후 리그닌 함량변화를 측정하고, 이에 따른 셀룰로오스 에탄올로의 전환특성을 해석하였다. 목질계 바이오매스의 리그닌 함량을 측정한 결과 밤껍질 < 볏짚 < 톱밥 < 땅콩껍질 순으로 리그닌 함량이 높게 측정되었으며, 셀룰로오스에탄올로의 전환특성은 땅콩껍질 < 톱밥 < 볏짚 < 밤껍질 순으로 우수한 것으로 나타나 산처리과정으로 리그닌의제거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산처리과정에서 황산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리그닌 함량이 감소하여 셀룰로오스 에탄올의 수율은 증가하였으며, 최적 황산의 농도는 20 wt%로 선정하였다.

      • KCI등재

        가상현실 기반의 다면케이브 시스템을 활용한 수업 사례 - G 대학교의 인테리어코디네이션 수업을 중심으로-

        이유나,최돈출,최길동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23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41 No.5

        With the recent development of the 4th industrial era and IT technology, interest in providing metaverse services that combine virtual reality and augmented reality-based technologies is increasing according to the importance of digital transformation.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design classes in the architecture and interior design fields by utilizing the technology of a virtual reality-based Multi-Faceted Cave System in the interior coordination class of G University in the first semester of 2023. As a detailed class goal and hypothesis, it aims to improve the user's understanding of the space and to feel synesthesia on a 1:1 scale. It also aims to improve the design process by checking the spatial design results in three dimensions in real time, shortening the work elements required repeatedly, and increasing the efficiency of the communication process. The method of the study is as follows. First, we explain the outline and application method of the virtual reality-based Multi-Faceted Cave System used for this study. Second, it explains the outline of the interior coordination class, the number of participants, and the progress. Third, I would like to discuss implications by synthesizing the results of interior coordination classes and Virtual Reality-based Multi-Faceted Cave System and the results of class satisfaction of students participating in the class. This study covers the progress of G University's interior coordination class and the final design results. The period from March 2 to June 15, 2023, to Thursday from 2 p.m. to 6 p.m., and 15 weeks is the time range. G University's interior material engineering department, lecture room, VR content design laboratory, metaverse online exhibition space, portal and application that are spatialized and linked with Sketch Up programs are spatial scope. A Multi-Faceted Cave System based on Virtual Reality was used for 17 students participating in the class for this study. Twelve participants participated in the 5-point Likert scale questionnaire for quantitative evaluation of participating students, nine for qualitative evaluation of descriptive answers, and eight for qualitative evaluation in the form of 1:1 or small group discussions. This study achieved the goal of the study set through this verification process. As a result, first, using a Multi-Faceted Cave System based on Virtual Reality, it was possible to check the design results in three dimensions by giving feedback on a 1:1 scale and in real time. Second, it improved the efficiency of the communication process and design process by sharing it online and offline using various convergent media. This is a discussion on the direction of education, practice, and research in the fields of architecture and interior design based on the use of science and technology, Interdisciplinary, and Convergence according to the 4th industrial era in the future. It is also the first attempt to use new technology in class, and it is meaningful to confirm the new challenges and directions for the future of the participating students. 최근 4차 산업 시대 및 IT 기술의 발달로 디지털전환의 중요성에 따라 가상현실과 증강현실 기반의기술을 접목한 메타버스 서비스 제공에 관심이 증가- 356 - 하고 있다. 이 연구의 목표는 가상현실 기반의 다면케이브 시스템의 기술을 2023학년도 1학기 G 대학교 인테리어코디네이션 수업에 활용하여 기존 수업의 2D 이미지 위주의 디자인 결과물 확인 및 피드백 방식에서 입체적인 3D 시뮬레이션 공간 디자인 결과물과 융복합적인 매개체의 활용으로 건축 및 실내디자인 분야의 디자인 수업의 효율성을 향상하는 데 있다. 세부적인 수업 목표이자 가설로는 1:1 스케일로 사용자의공간에 대한 이해 향상과 공감각적 체감을 목적으로한다. 또한 실시간으로 공간 디자인 결과물을 입체적으로 확인하고, 반복되어 소요되는 작업 요소를 단축, 의사소통 과정의 효율성을 높여 디자인 프로세스를개선하고자 한다. 연구의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를 위해 활용한 가상현실 기반의 다면케이브시스템에 대한 개요 및 활용 방식을 설명한다. 둘째, 인테리어코디네이션 수업의 개요, 참여 인원, 진행 상황에 관해 설명한다. 셋째, 인테리어코디네이션 수업및 가상현실 기반의 다면케이브 시스템의 결과, 수업참여 학생의 수업 만족도 결과를 종합하여 시사점을논의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G 대학교 인테리어코디네이션 수업의 진행 과정 및 최종 디자인 결과물을내용적 범위로 한다. 2023년 3월 2일~6월 15일, 목요일 오후 2시~6시(4시수), 15주 동안의 기간을 시간적범위로 한다. G 대학교 소재 인테리어재료공학과 강의실 및 VR 콘텐츠디자인연구실, 메타버스 온라인 전시 공간, Sketch Up 프로그램으로 공간화하여 연계한포털, 애플리케이션을 공간적 범위로 한다. 이 연구를위한 수업의 참여 학생 17명을 대상으로 가상현실 기반의 다면케이브 시스템을 활용하였다. 참여 학생의정량적 평가를 위한 5점 리커트 척도 설문에는 12명, 서술형 답변의 정성적 평가는 9명, 1:1 혹은 소그룹논의 형식의 정성적 평가는 8명이 참여하였다. 이 연구는 이와 같은 검증 과정을 통해 설정하였던 연구의목표를 달성하였다. 그 결과로 첫째, 가상현실 기반의다면케이브 시스템을 활용하여 1:1 스케일과 실시간으로 피드백하여 디자인 결과물을 입체적으로 확인할수 있었다. 둘째, 다양한 융복합적인 매개체를 활용하여 온-오프라인으로 공유하며 의사소통의 과정과 디자인 프로세스의 효율성을 향상하였다. 이는 추후 4차산업 시대에 따른 과학 기술의 활용, 다학제적, 융복합을 바탕으로 하는 건축 및 실내 디자인 분야의 교육, 실무, 연구의 방향성에 대한 논의이다. 또한 새로운 기술을 수업에 활용한 첫 시도이자, 함께한 참여학생들의 새로운 도전과 미래에 대한 방향성을 확인함에 그 의미가 있다.

      • KCI등재

        Feasibility study on high current ion beam extraction from anode spot plasma for large area ion implantation

        이유나,정경재,황용석 한국물리학회 2015 Current Applied Physics Vol.15 No.12

        In this paper, we have investigated the feasibility of the high current beam extraction from anode spot plasma as an ion source for large area ion implantation. Experiments have been carried out with the ambient plasma produced by inductive coupling with radio-frequency (RF) power of 200 W at the frequency of 13.56 MHz. Anode spot plasmas are generated near the extraction hole of 2 mm in diameter at the center of a bias electrode whose area exposed to the ambient plasma can be changed. It is found that the maximum ion beam current is extracted at the optimum operating pressure at which the area of bias electrode exposed to ambient plasma is fully covered with the anode spot plasma whose size is dominantly determined by the operating pressure for given gas species. It is also observed that the extracted ion beam current increases nonlinearly with the bias power due to the changes in size and shape of the anode spot plasma. With the well-established anode spot plasma operating at the optimum gas pressure, we have successfully extracted high current ion beam of 6.4 mA (204 mA/cm2) at the bias power of 22 W (~10% of RF power), which is 43 times larger than that extracted from the plasma without anode spot. Based on the experimental results, criteria for electrode design and operating pressure for ion beam extraction from larger extraction aperture are suggested. In addition, the stability of anode spot plasma in the presence of ion beam extraction through an extraction hole is discussed in terms of the particle balance model. In this paper, we have investigated the feasibility of the high current beam extraction from anode spot plasma as an ion source for large area ion implantation. Experiments have been carried out with the ambient plasma produced by inductive coupling with radio-frequency (RF) power of 200 W at the frequency of 13.56 MHz. Anode spot plasmas are generated near the extraction hole of 2 mm in diameter at the center of a bias electrode whose area exposed to the ambient plasma can be changed. It is found that the maximum ion beam current is extracted at the optimum operating pressure at which the area of bias electrode exposed to ambient plasma is fully covered with the anode spot plasma whose size is dominantly determined by the operating pressure for given gas species. It is also observed that the extracted ion beam current increases nonlinearly with the bias power due to the changes in size and shape of the anode spot plasma. With the well-established anode spot plasma operating at the optimum gas pressure, we have successfully extracted high current ion beam of 6.4 mA (204 mA/cm2) at the bias power of 22 W (~10% of RF power), which is 43 times larger than that extracted from the plasma without anode spot. Based on the experimental results, criteria for electrode design and operating pressure for ion beam extraction from larger extraction aperture are suggested. In addition, the stability of anode spot plasma in the presence of ion beam extraction through an extraction hole is discussed in terms of the particle balance mode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