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의 관광 연구자는 누구인가? - 국내 관광 연구자의 학문적 궤적 탐색 -

        조광익(Cho, Kwang-Eik) 한양대학교 관광연구소 2023 觀光硏究論叢 Vol.35 No.1

        국내외 관광 교육 및 연구 역사가 60여년에 달함에도 불구하고, 관광학의 학문적 발전과 정체성에 대한 논란이 여전하고 특히 관광학 연구 분야의 편향성에 대한 비판이 지속되고 있다. 이 연구는 이러한 편향성을 야기한 행위자로써 관광 연구자들의 학문적 궤적을 탐색하여, 관광 연구의 편향성을 이해하는 새로운 관점을 제공하려고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 4년제 대학에 재직중인 관광 분야 교원들(n=708)을 대상으로 하여, 이들의 인구통계학적 특징과, 전공분야, 임용시기 및 학문적 배경 등 학문적 궤적을 분석하였다. 또한 임용시기별로 이들의 특징을 비교 분석하여 국내 관광 연구의 전개 상황과 관광 연구자들의 학문적 배경과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국내 관광 분야 교원들은 남성 교원(65.1%)이 여성 교원(34.9%)보다 많았으며, 평균 연령은 53.5세로 장년층 연구자가 많았고, 수도권보다는 지방에, 그리고 국공립대보다는 사립대에 소속된 교원들이 더 많았다. 학사학위 과정에서 관광 관련 학과를 졸업한 교원은 ⅓에 미치지 못하며, 학사과정보다는 석사과정, 석사과정 보다는 박사과정에서 관광학을 전공한 교원의 비중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국내 관광교원의 전공 학문은, 관광학을 제외하면, 경영학의 비중이 10% 수준으로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고, 관광학을 전공한 교원의 세부 전공분야는 관광경영/경제(62.9%)와 관광사업/레저사업(8.6%)로 경영학과 연관성이 매우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결과는 국내 관광 연구논문들이 경영학적 기반에 경도되어 있는 현상을 일부 설명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관광학 연구와 교육을 위한 시사점과 연구의 한계점을 제시하였다. With more than 60 years of history of tourism education and research, there have been ongoing controversies around the identity issues of tourism studies and the concentration phenomenon of research topics among tourism academics.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trajectory of the tourism researchers who had caused the concentration phenomenon of research topics, and thereby to provide a different perspective to understand this phenomenon. For this study, information on the tourism researchers working at four-year universities in Korea were collected using data from database of Korean Researcher Information (KRI). From the data,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academic background information of the tourism researchers including the major study fields, appointment period to the affiliated universities and specialized research areas were analyzed. In addition, while comparing the researchers’ characteristics by their appointment periods, it examined the relatedness of the tourism researchers’ background to the concentration phenomenon. Among the total 708 tourism researchers, male (65.1%) researchers outnumbered female (34.9%) researchers, and the senior researchers (50s∼60s) were more than juniors (30s∼40s) with the mean age of 53.5. While the researchers with tourism related degrees in their universities were less than ⅓, more researchers majored tourism areas in their master degrees than undergraduate degrees, and further much more in their doctoral degrees. Interestingly, focusing on the researchers’ doctoral degrees, the business management-related degrees (over 10%) were the biggest except for the tourism-related degrees. Based on these results, it can be partly explained why the tourism research papers in Korea tends to be written from the business management perspectives. Lastl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are presented based on the research findings.

      • KCI등재

        환경다큐멘터리 관람 전후의 대학생 환경의식과 고래관광 선호 차이

        김지선(Ji Sun Kim),최영희(Young Hee Choi) 한양대학교 관광연구소 2013 觀光硏究論叢 Vol.25 No.3

        본 연구는 고래관광에 대한 잠재관광객들의 탐색적 연구로, 최근 고래와 고래 관광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으나 잠재관광객의 구체적인 정보가 부족하다는 문제의 식에서 시작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환경다큐멘터리 관람 전후 대학생의 환경의식과 행동의도, 선호하는 관광형태의 차이를 기술통계와 대응표본 t-검정을 사용 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응답자가 고래를 자연적 환경에서 관찰하고 싶다는 의 식이 나타나 응답자들에게 주요 개체로서 고래에 대한 이해를 확대시켰고 고래관광의 잠재관광객인 젊은 세대들은 인공적 형태의 고래 관광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가지고 있어 이를 주요 관광자원으로 활용하는데 한계를 나타냈다. 또한 고래역사문화 탐방(암각화) 등에 대하여 응답자가 사후에 일부 긍정적으로 판단하고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어, 고래 잡이와 고래관찰을 벗어나 새로운 형태의 관광이 가능하다는 사실을 제시하고 있다. Whale watching and whaling have been increasingly interest in Korea, but the specific information on the tourist potential awareness of the issues has not been provided, so far.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university college students and they were asked about environmental consciousness, behavior intention and prefer type of tourism before and after watching a documentary film. To reach the purpose,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and paired sample t-test were used. The results showed that respondents wanted to observe whales under the natural environment and also expressed an interest related to culture tourism like the history of whales (petroglyph). The understanding on the tourists`s preference of the whale watching will be expanded through this study. The respondents`ve shown a strong environmental responsibility and consciousness, behavior intention on how to preserve endangered whale.

      • KCI등재

        방한 중국관광객의 관광행태 변화추이 분석

        김지선(Ji Sun Kim),임소영(So Young Im),한을경(Eul Kyung Han) 한양대학교 관광연구소 2011 觀光硏究論叢 Vol.23 No.3

        본 연구에서는 한국관광공사와 문화체육부에서 발간하는 외래관광객실태조사 2차 자료를 이용하여 2000년부터 2010년까지 11년간의 방한 중국관광객들의 관광행동 변화추이를 분석하였다. 정보탐색에 있어서는 과거에 비해 다양한 입수경로를 통해 적극적인 정보탐색을 하고 있으며, ``인터넷``과 ``여행사``, ``친지동료``가 핵심적인 입수경로로 나타났다. 여행형태는 개별관광객과 단체관광객이 6:4를 이루고 있으나 FIT의 비중이 줄어들고 패키지를 이용한 관광객은 늘고 있는 추세이다. 관광활동에서 주요 방문지는 쇼핑과 관련된 장소가 강세이며, 소비 형태에서 화장품과 의류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지출경비도 큰 폭으로 증가하고 있다. 한국관광에서 가장 인상 깊은 점으로 ``쇼핑하기에 좋다``이며, 관광 시 가장 불편한 점으로 ``언어소통``을 꼽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도출된 정책적 시사점은 향후 중국관광객을 유치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In this study, we analyzed trends in tourism behavior of Chinese tourists using secondary data on International visitor survey from 2000 to 2010. Chinese tourists use various acquisition methods of travel information than in the past and the key methods are ``Internet``, ``travel agent`` and ``relatives and colleagues``. The proportion of individual tour and full package tour is 6:4. The proportion of individual travelers has been reduced, but on the other hand, the proportion of full package travelers has been increased. Main places visited in Korea are mainly associated with shopping. In addition to, the consumptions of cosmetics and clothes have been growing and the expenditures have also increased significantly. The most positive impression of Korea is ``good for shopping`` and ``language barrier`` is the most inconvenient point encountered in Korea.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will help to attract Chinese tourists.

      • KCI등재후보

        국내 관광 참여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분석

        최승묵(Seung Mook Choi),박정숙(Jung Suk Park) 한양대학교 관광연구소 2012 觀光硏究論叢 Vol.24 No.2

        관광활동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선행연구들은 관광활동 외에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들을 통제하지 않아 관광활동이 삶의 질에 미치는 순수한 영향을 분석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또한 대부분 관광경험이 있는 계층만을 대상으로 연구가 이루어져 관광활동에 참여하지 않는 사람들의 삶의 질과 관광활동에 참여한 사람들의 삶의 질을 비교·분석할 수 없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관광활동에 참여한 사람과참여하지 않은 사람을 모두 포함하고, 관광활동 외에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을 통제하여 국내 관광여행 참여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인구통계학적 변수들을 통제하고 공분산분석을 실시한 결과 모형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T-test 결과 국내 관광여행 참여 집단과 미참여 집단의 삶의 질 조정평균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국내관광여행 참여가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 다음으로 국내 관광여행 참여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서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독립변수로 인구통계학적 변수만을 투입한 분석(모델 1)과 국내 관광여행 참여 변수를 추가 투입한 분석(모델 2)을 실시한 결과 국내 관광여행 참여 변수를 추가한 모델 2의 설명력이 인구통계학적 변수만을 투입한 모델 1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모델 2에서 국내 관광여행 참여 횟수가 삶의 질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력이 가장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quality of life by domestic travel participation and derive implications to improve the domestic tourism by using 2010 Korea National Tourism Survey data(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As the result of hierarchial regression analysis on the observations 6,145, the number of domestic travel participation exerted the most positive influence upon the quality of life. And the quality of life increases with high income, married person, less aged person. Hence, the findings suggested that tourism policies need to more strategically focus on increase the number of domestic tourism participation in order to increase the quality of life.

      • KCI등재

        관광전공 대학생의 지속가능관광에 대한 태도 증진 방안 연구

        민창기,신철 한양대학교 관광연구소 2019 觀光硏究論叢 Vol.31 No.4

        Sustainable tourism and sustainable development discussed the same ‘sustainable’ issues, but they are regarded as different in terms of their scopes and contents. This study examined tourism major students’ attitudes toward sustainable tourism and sustainable development, and compared them to draw out implications for sustainability education in tourism filed. to schieve this purpose, a survey was implemented with tourism majors who responded to the two scales measuring attitudes toward sustainable tourism(ST) and sustainable development(SD). The study result revealed that the students showed more positive attitudes toward socio-economic issues over the environmental ones when measured by the ST scale. However, the respondents showed the strongest positive attitudes toward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when measured by the SD scale. In addition, the respondents showed much lower positive attitudes toward the socio-economic issues in the SD scale(e.g. poverty alleviation, citizenship, governance, fair trade and gender equity), when compared with socio-economic issues in the sustainable tourism scale(e.g. social costs and economic benefit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ttitudes by year of study was found, and a regression analysis also showed positive effects of the sustainability related courses in tourism curricula on both the attitudes. Based on these findings, the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ESD) in environmental themes as well as socio-economic themes was highly recommended. 지속가능관광에 대한 태도는 관광지의 지속가능성 달성을 위해 중요한 요소로 간주되고 있으며 주로 관광지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본 연구는 관광을 전공하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지속가능관광에 대한 태도를 분석함으로써 향후 관광이 지속가능발전의 목표에 기여하기 위해서는 관광전공자들이 어떤 태도를 더 함양할 필요가 있는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관광전공 학생을 대상으로 지속가능관광과 지속가능발전에 대한 태도를 측정한 후 각 태도의 특성과 두 태도 간의 관계를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학생들은 지속가능관광의 관점에서는 사회, 경제적 요소를 중시하고 환경을 상대적으로 덜 중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지속가능발전의 관점에서는 환경을 가장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어 지속가능발전의 관점에서 환경교육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속가능발전에서 강조하는 빈곤퇴치, 시민성, 거버넌스, 성평등, 공정거래 등 사회, 경제적 주제에 대해 낮은 긍정적 태도를 보여 이들 주제에 대한 태도 증진이 요구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지속가능발전 및 지속가능관광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을 살펴본 결과 1학년 보다 2, 3, 4학년의 태도가 긍정적이고, 회귀분석을 통해 지속가능 수업의 긍정적 효과도 검증되었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통해 지속가능관광교육에서 지속가능발전에서 중요시하는 환경교육을 확대하고 사회경제 관련 주제의 교육을 강화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관광 빅데이터 분석의 주요 쟁점

        심원섭(Shim, Won-Seop),최승묵(Choi, Seung-Mook),심창섭(Shim, Chang-Sup) 한양대학교 관광연구소 2018 觀光硏究論叢 Vol.30 No.3

        관광 분야 전 영역에서 ICT의 역할이 확대되면서 빅데이터를 관광 분야에서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지에 대한 논의가 활발해지고 있다. 그러나 관광 분야 빅데이터 분석에 대한 학술연구는 대부분 SNS 및 포털 등 소셜데이터 분석에 한정되어 있어 이동통신, 신용카드 등 다른 유형의 빅데이터에 대한 논의는 진행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빅데이터의 관광 분야 활용을 위한 탐색적 연구로서 관광 분야에서 이동통신 및 신용카드 빅데이터를 활용하고자 할 때 고려해야할 주요 쟁점을 도출하고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빅데이터, 관광 빅데이터, 이동통신 및 신용카드 빅데이터의 개념 및 특징에 대한 국내 · 외 선행연구를 검토하였고 관광 분야에서 빅데이터가 실제로 활용된 국내 · 외 사례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이동통신 및 신용카드 빅데이터는 기존 방식으로 수집된 관광통계가 지닌 취약점을 보완하여 시의성 있고 효과적인 관광전략 및 관광정책의 수립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되는 반면 이들 빅데이터가 태생적으로 지닌 한계 및 관광 분야 적용시 발생할 수 있는 쟁점에 대해서는 충분한 학술적 논의를 통해 보완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이 향후 빅데이터 관광분석의 발전을 위한 네 가지 시사점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빅데이터와 다른 유형의 자료와의 연계를 통한 상호보완이 요구된다. 둘째, 관광분야 빅데이터 활용의 범위가 현재보다 확장될 필요가 있다. 셋째, 빅데이터가 관광 분야에서 체계적으로 활용되기 위한 산관학 협력이 필요하다. 넷째, 개인정보이자 공공자산으로서 관광 빅데이터의 공익적 활용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Big data analysis has increasingly been discussed in tourism studies, as the rapid development of ICT leads to radical changes in the tourism industry. However, tourism researchers have largely focused on social data analysis, such as data obtained from SNS or portal sites, while other types of big data, such as mobile or credit card data has not been discussed in tourism studie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identify core issues related to tourism big data analysis using mobile and credit card data by literature review and case studies. The result shows that mobile and credit card data can be a potential tool, which can make up limitations of existing tourism statics and contribute to make timely and effective tourism policies. This study provides four implications for the tourism industry and tourism studies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use tourism big data to complement other types of tourism data. Second, the application of tourism big data should be farther extended to all aspects of tourism field. Third, an industry-government-academia cooperation is essential to achieve a systematic development of tourism big data. Fourth, tourism big data, which is personal information and pubic assets, should be aligned with the pubic interest.

      • KCI등재

        저탄소 녹색관광의 개념 및 의의

        장유현(Jang, You-Hyun) 한양대학교 관광연구소 2018 觀光硏究論叢 Vol.30 No.2

        기후변화 및 광범위한 환경영향과 그로인한 사회적 파장에 대비한 세계 관광부문의 지식과 적응능력은 아직 충분치 않다. 또한 이와 관련되어 학계에서 그동안 생태 관광 등 지속가능한 관광의 한 축으로 저탄소 녹색관광이라는 정책적인 용어를 여과없이 받아들이는 결과를 초래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저탄소 녹색관광의 개념과 의의에 대해 학문적인 정의와 개념정립에 앞서, 현장에서 직접 해당 사업을 실행하고 있는 사업자의 관점에서 녹색관광의 개념과 그 의의에 대해 정립하고자 하였다. 근거이론적 접근법을 이용해 녹색관광 사업현장에서의 실무자의 경험에서 우러나오는 즉, 실체적 영역에 근거한 이론을 생성하고자 하였다. 녹색관광 사업 환경과 조건하에 놓인 인간에 투영된 사회심리 및 경험을 바탕으로 상징적 상호주의에 근거하여 녹색관광의 제 현상에 대한 그들의 해석과 수용현상 그리고 이런 현상에서 도출되는 개념을 표집, 범주화하는 접근방법을 통해 저탄소 녹색관광 사업의 현장적인 관점에서의 정의와 의의를 찾아보고자 하였다. This Study intended to set up the concept of the Low Carbon Green Tourism and its meaning from the standpoint of the practitioners who were working on the site. For the tourism division, it is not enough to cope with the widespread effect of climate and environmental change. Scholars have used the term ‘Low Carbon Green Tourism’ as a similar terminology of ecological tourism or sustainable tourism without scholarly doubt and consideration. Accordingly, this study tried to find the concept and meaning by the usage of the Grounded Theory methodology which is accepted as a useful approach to search out for the substantial concept in the real world. To attain this purpose, this study has interviewed 12 practioners who were working at Korea Tourism Organization. This study focused on the phenomenon which were expressed through the indepth interview with these practioners. Under the circumstance of the policy practition of the Green Tourism, they all have had similar experience and understanding of Green Tourism as a new political business and its meaning for the tourism industry. Although this study was not so complete as a scholarly paper, it was worthwhile to try to approach and seminal try to fine the concept and meaning of comparably new tourism.

      • KCI등재

        관광 발전은 비정규 고용을 늘리는가? - 국가 간 패널자료 분석 -

        정상준,황두현 한양대학교 관광연구소 2022 觀光硏究論叢 Vol.34 No.3

        관광산업은 다른 산업에 비해 파트타임 임시직의 고용 비중이 높고 이직이 잦으며 자영업 종사자의 비중 역시 상당하다. 그러나 관광산업의 비정규 고용에 대한 연구는 국내외로 드물뿐더러 그나마 일부 개별 업종 또는 작업장의 노동환경이나 종사자들의 인식 조사 위주로 사용자의 협소한 인적자원 관리나 이윤 확보의 시각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그래서 이 연구는 특정 시점, 특정 나라 관광산업의 단순한 고용 실태 조사를 넘어 관광 발전이 오히려 전 세계적으로 비정규 고용을 선호하고 양산하는 것은 아닌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각국 관광산업 자체의 종사자 고용 형태를 종합하여 관찰할 수 있는 UNWTO(국제관광기구)의 관광통계를 직접 2008-18년, 21개국의 패널자료로 구축하여 관광 발전과 비정규 고용의 관계를 추적하였다. 각국 관광산업의 현황과 관련된 주요 변수들을 직접 이용하거나 이들로부터 ‘관광 발전’을 주성분 요소로 추출하여 고정효과 모형을 비롯한 패널계량으로 분석한 결과, 관광 발전은 관광산업에 종사하는 자영업 노동자의 비율을 유의미하게 늘리며 임시직 및 시간제 노동의 비중에도 양(+)의 영향을 미친다. 특히 인바운드 관광의 발전은 분석 방법이나 변수들을 조금씩 달리 하더라도 강건하게 비정규 고용의 증가에 기여하였다. 이 같은 결과는 데이터의 한계로 인한 신중한 해석의 필요와 별개로, 이른바 지속가능한 관광을 비롯한 향후 대안 관광의 모색이 관광산업 일자리의 질과 관광 종사자의 불안정노동 문제의 해결에 적극 나서야 함을 시사한다.

      • KCI등재

        관광 특성화 전통시장 지원사업 성과 측정을 위한 탐색 - 문화관광형 시장을 중심으로 -

        조광익,김현정,이진희 한양대학교 관광연구소 2021 觀光硏究論叢 Vol.33 No.2

        This study is a preliminary and exploratory research which evaluates the assistance program for Korean traditional markets specialized on culture and tourism. The focus of this study is on the culture and tourism-based markets in connection with local culture and tourism resources. So far, the Ministry of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and Startups (MSS) has carried out a project to foster traditional markets as culture and tourism-based markets. In the performance measurement of assistance program on traditional markets, many studies have used quantitative indicators such as the number of visitors and sales growth. To measure the supporting effect on culture and tourism-based markets, qualitative indicators such as publicity effect of market, tourist destination effect of the market should be included as well as quantitative measures. Based on this recognition and after reviewing literatures on traditional markets and tourism, this study draws performance measurement indicators for culture and tourism-based markets.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be used for the future empirical studies. 이 연구는 특성화 전통시장인 문화관광형 시장 지원사업의 성과평가를 위한 사전적·예비적 연구로서, 문화관광형 시장의 지원 성과 측정 지표 개발을 위한 탐색적 연구이다. 정부의 전통시장 지원사업에 대한 성과평가는 주로 매출액이나 방문자 수와 같은 정량적인 지표가 이용되고 있으나, 정량지표만으로는 관광 특성화 전통시장의 지원 성과가 제대로 측정되기 어렵다. 문화관광형 시장의 지원 성과 측정을 위해서는 관광이 갖는 계량적·비계량적 효과, 즉 관광자 수, 관광자 지출액, 전통시장 홍보, 이미지 개선, 지역관광 활성화 등과 같은 관광을 통한 전통시장 활성화 효과가 측정되어야 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이 연구는문화관광형 시장의 지원사업에 대한 성과 측정 지표 개발을 위한 예비적 작업으로서 전통시장에 대한 성과평가 연구 및 관광 부문의 성과평가 연구에 대한 문헌고찰을 통해 문화관광형시장 지원사업 성과 측정 지표와 시사점을 도출한다. 이러한 작업은 향후의 실증적 연구를 위한 토대이자 기초작업으로서의 의미가 있다.

      • KCI등재후보

        슬로관광 목적지로서의 슬로시티(slow city)의 정체성과 장소마케팅의 가능성

        김옥희(Ok Hee Kim),민웅기(Woong Ki Min) 한양대학교 관광연구소 2013 觀光硏究論叢 Vol.25 No.3

        슬로시티는 생태지향적 가치와 사회변혁적 운동으로서의 정체성을 지니며, 최 근 급부상하고 있는 슬로관광과도 다음과 같은 관련성이 있다. 첫째, 슬로시티는 특정 공 간의 관광활동에 참여하는 방문객과 지역주민들의 상반되는 가치를 공존이라는 하나의 공유된 가치로 연계시켜준다. 둘째, 슬로시티는 슬로관광과 같은 대안관광을 가능하게 하 여 이를 통해 지역주민의 경제적 편익을 창출하는 지속가능 한 성장모델로서의 관광 매니 지먼트를 가능케 한다. 셋째, 슬로시티는 관광 분야에서 지속적으로 경계하고 있는 환경 오염과 관련한 사회문제에 대해 사회적 책임을 이행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넷째, 슬로 시 티에서의 관광활동 시 소비산업이라는 정체성을 넘어 광의의 복지관광으로서 기능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해준다. 다섯째, 슬로시티는 슬로관광 과정에서 사회적 자본의 확충을 통한 거버넌스(Governance) 구조의 창출을 가능하게 한다. 이를 통해 관광활동을 둘러싼 생산적 의사결정의 협업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슬로시티는 슬로관광과 관련하여 기존의 사회공간이 지니지 못한 관광목적지로서의 다양한 정체성이 내재해있으며, 장소 마케팅의 수단이자 동시에 목적으로서의 입지를 갖는다. The identity of ‘slow city’ is valued for being ecologically oriented and a movement to reform the society, and the slow city is closely related with slow tourism in perspective of an alternative tourism attraction. First, the different values of residents who live in a slow city and visitors who participate in tourism activities there are converged into a shared value, co-existence through slow tourism. Second, a slow city creates an opportunity for residents to generate economic benefits through community-based slow tourism. Third, a slow city is committed to social responsibility through responding to social issues such as environmental pollution that is one of problems in tourism industry. Forth, slow tourism in a slow city is beyond just consumption activity, and lays a foundation for welfare tourism. Finally, slow tourism in a slow city contributes to promoting social capital expansion supported by local governance, offering the construct of cooperation in decision-making process of tourism industry. As a slow city as a slow tourism destination has various identities different from other society spaces, it can be considered to be a means to create postmodern social valu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