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Evaluation of the Meteorological Preprocessor SKYME

        Mi-SugKim ( 김미숙 ) 한국환경기술학회 2017 한국환경기술학회지 Vol.18 No.4

        A simple meteorological diagnostic processor, SKYME, for development has been supported by Ministry of Environment in Korea. This study aims at evaluating SKYME to improve an accuracy of a meteorological model and reduce cumulative errors, which occur in the earlier steps and continue to affect other parameters of the model. SKYME uses input data observed at the surface layer only when observation data in the upper atmosphere are insufficient. SKYME can estimate primary parameters, variations in radiation, energy flux, and the Bowen ratio, which are used to calculate secondary parameters such as sensible heat flux, Monin-Obukhov length, friction velocity, and mixing height. A SKYME validation has been performed as comparing with PCRAMMET for ISCST3 and with observations from a rice canopy at the Icheon site in South Korea. SKYME validation results have showed good performance for no cloud days and it may be a useful tool as a preprocessor for the Gaussian dispersion model. 간단한 기상 진단 전처리 과정인 SKYME 개발은 환경부 지원으로 이루어졌다. 본 연구의 목적은 기상모델의 정확성을 개선하고 전 단계에서 발생되거나 모델의 다른 파라미터에 지속적으로 영향을 미칠 축적된 오류를 감소시키기 위해 개발된 SKYME를 평가하는 것이다. SKYME는 상층 대기의 관측 자료가 불충분할 경우에 오직 지표 관측 자료만을 입력 자료로 사용하여 복사변수, 에너지 플럭스, Bowen 비와 같은 1차 매개 변수를 추산하여 Monin-Obukhov 길이, 마찰속도, 혼합고도 등의 2차 매개변수들을 산출한다. SKYME의 타당성 연구는 기존 ISCST3의 기상 전처리과정인 PCRAMMET의 결과 및 인천의 논 지역에서 관측된 결과와 비교하여 수행하였다. 수행한 SKYME의 타당성 시뮬레이션 결과에서는 구름의 영향이 없는 경우 SKYME의 성능이 좋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우시안 확산모델의 전처리 과정의 유용한 도구로서 적절한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지열지대 VSP 자료를 이용한 파쇄대 영상화 연구

        이상민 ( Sang Min Lee ),변중무 ( Joong Moo Byun ),송호철 ( Ho Cheol Song ),박권규 ( Kwon Gyu Park ),이태종 ( Tae Jong Lee ) 한국지구물리·물리탐사학회 2011 지구물리와 물리탐사 Vol.14 No.3

        지열은 외부 연료 공급요건에 영향을 받지 않고 연중 가동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기 때문에 최근 해외에서 주목받고 있는 대체 에너지원이다. 그리고 국내의 온천 및 지열이상대는 화강암 지역의 심부 파쇄대를 통한 지열수의 순환에 의한 것이 대부분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국내에서의 지열탐사는 지하유체의 주요 통로인 심부 파쇄대의 분포상황을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석모도에서 취득한 수직 탄성파탐사(Vertical Seismic Profiling, VSP) 자료의 전처리와 심부 파쇄대의 영상화를 수행하기 위하여 급경사 파쇄대 지역과 퇴적층 구조를 모사한 속도모델로부터 합성탄성파 자료를 생성하고, 이 자료에 일반적인 VSP 자료처리기법과 급경사 파쇄대를 고려한 VSP 자료처리기 법을 각각 적용한 결과를 비교·분석하였다. 그 결과 파쇄대에 의한 반사 이벤트의 손실을 없애기 위해서는 단순히 모든 하향파를 제거하는 일반적인 전처리 과정이 아닌 파쇄대를 고려한 전처리 과정이 필요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파쇄대를 고려한 전처리 과정이 수행된 석모도 거꿀 수직 탄성파탐사(Reversed VSP, RVSP) 현장자료에 3차원 겹쌓기전 위상막 참 반사보정을 적용하여 석모도 탐사현장의 지하구조를 영상화하였다. 참 반사보정 결과 파쇄대로 추정되는 구조가 확인되었으며, 이는 시추공 자료에서 추정되는 균열대의 심도와 일치하였다. Attention has been focused on geothermal energy as an alternative energy because it is continuously operable without external supply. Most of geothermal anomalies in Korea are related to deep circulation of groundwater through a fracture system in granite area. Therefore it is very important to understand the distribution of the fracture system which is the main channel of ground water. In this research, we constructed the velocity models with a fracture system and the layered sediments, respectively, and generated synthetic data sets with them to verify the presented vertical seismic profiling (VSP) preprocessing scheme. We compared the results from conventional VSP preprocessing flow to those from VSP preprocessing flow considering fracture system. We noticed that the preprocessing flow considering fracture system retains more sufficient signal including down-going wave than conventional preprocessing. In addition, we applied 3D VSP prestack phase screen migration to the preprocessed reversed VSP (RVSP) data from Seokmo Island so that we were able to image fracture structure of the geothermal site in Seokmo Island.

      • KCI우수등재

        참고문헌의 유무가 LDA를 사용한 토픽 모델링 결과에 미치는 영향

        백주해 ( Juhae Baeck ),권형일 ( Hyungil Kwon ),최미화 ( Mihwa Choi ),( Yi-hsiu Lin ) 한국체육학회 2019 한국체육학회지 Vol.58 No.6

        본 연구는 논문을 사용한 토픽 모델링에서 연구자가 고려해야 할 요소 중 하나인 참고문헌 제거 여부에 대한 필요성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참고문헌 내용만을 텍스트에서 정확하게 제거하는 명령어나 기술이 제공되고 있지 않아, 참고문헌을 제외한 텍스트로 토픽 모델링을 수행하고자 하였을 때에는 연구자가 모든 텍스트에서 일일이 참고문헌을 제거하는 과정을 거쳐야만 한다. 이렇게 많은 노동력과 시간이 소요되는 참고문헌 제거 과정이 연구자에게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으므로, 참고문헌의 존재가 토픽 모델링 결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 토픽 모델링에 더욱 적합한 텍스트 형태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스포츠산업경영 분야의 국제 저널 SMQ, ESMQ와 JSM에서 최근 10년간 출간된 논문을 대상으로 토픽 모델링을 수행하고, 참고문헌이 포함된 텍스트와 참고문헌이 제거된 텍스트의 토픽 모델링 결과를 비교하였다. 스포츠산업경영 및 마케팅에 대한 전반적인 지식을 가지고 세 가지 저널의 특성에 대해 충분히 이해하고 있는 전문가 5인의 평가로 결과 비교가 이루어졌다. 비교 결과, 참고문헌을 포함한 전문을 사용하였을 때 더욱 해석이 용이한 토픽 모델링 결과가 도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텍스트에 참고문헌이 포함되었을 때에 토픽을 산출하는 데 할당되는 논문 간의 연관성이 높았으며, 연관성이 높은 논문들로부터 산출된 토픽의 해석가능성 또한 높아지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처럼 참고문헌의 존재가 토픽 모델링 결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본 연구결과에 따르면, 논문을 사용한 토픽 모델링에서 참고문헌을 제거하는 추가적인 절차를 거치지 않아도 됨을 뜻한다. 이에 따라, 논문을 사용한 토픽 모델링을 수행하고자 하는 추후 연구에서는 참고문헌의 존재가 미칠 수 있는 토픽 모델링 결과에 대한 부정적인 영향력에 대한 고민을 덜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tried to investigate the necessity of the reference removal procedure during the text pre-processing in topic modeling by comparing the topic modeling results using the text with reference and the text without reference. The use of full-text article for the topic modeling may cause extra work on removing the subsidiary part that is not directly related to the content of the article, because it is not able to selectively extract the certain part of the text that researcher wants to include in the analysis has not yet been developed. Therefore, manual work by the researcher is required to remove the subsidiary information and it takes a great amount of labor and time to perform the text pre-processing rather than the actual topic modeling analysis process. Thus, this study compared the topic modeling result of the text containing reference and of the text without reference. The research articles has been published from three major sports management and marketing journals from 2009 to 2018 were collected. JSM, ESMQ, and SMQ have been selected based on their reputation and status in the academic field. Five sport management/marketing experts were hired to evaluate the quality of the topic modeling result. The result indicated that the text containing reference produced a better topic modeling result than the text without reference. The relevance between the articles which were used to generate certain topic was higher when the text containing reference.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quality of the topics is also high when the relevance of the articles is high. Based on this result, reference removal procedure is not necessary for the topic modeling using research articles. It can reduce a considerable amount of time and labor that the researcher needs to spend on pre-processing.

      • KCI등재

        Watershed 변환을 이용한 효율적인 문자 영상 향상 및 영역 분할

        최영규,이상범,Choi, Young-Kyoo,Rhee, Sang-Burm 한국정보처리학회 2002 정보처리학회논문지B Vol.9 No.4

        오프라인 필기체 문자 인식은 동적인 정보를 가지고 있지 않고, 다양한 필기와 자음과 모음의 겹침이 심하며, 획 사이의 잡영을 많이 가지고 있어 불완전한 전처리를 수행하여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오프라인 필기체 문자 인식은 다양한 방법의 전처리 즉 이진화 및 세선화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오프라인 필기체 한글 문자 인식의 전처리로서 워터쉐드 알고리즘의 수행 시간과 결과 영상의 품질을 고려해 그레이 레벨 문자 영상에서의 문자 영역과 배경 영역의 분할을 위한 효과적인 워터쉐드 알고리즘의 적용 방법과 추출된 워터쉐드 영상을 이진화하는 분할 함수를 제안한다. 또한 수행 시간과 골격선의 품질을 고려한 조건 검사 마스크를 통해서 효과적으로 골격선을 추출하는 세선화 방법을 제안하고 기존의 방법과 본 논문 방법을 수행 시간과 품질로써 성능을 평가한다. 실험 결과 기존의 방법은 평균 2.16초, 본 논문 방법은 평균 1.72초의 수행 시간이 걸렸다. 또한 결과 영상의 품질은 본 논문 방법이 문자 획 사이의 잡영을 효과적으로 처리함을 알 수 있었다. Off-line handwritten character recognition is in difficulty of incomplete preprocessing because it has not dynamic information has various handwriting, extreme overlap of the consonant and vowel and many error image of stroke. Consequently off-line handwritten character recognition needs to study about preprocessing of various methods such as binarization and thinning. This paper considers running time of watershed algorithm and the quality of resulting image as preprocessing for off-line handwritten Korean character recognition. So it proposes application of effective watershed algorithm for segmentation of character region and background region in gray level character image and segmentation function for binarization by extracted watershed image. Besides it proposes thinning methods that effectively extracts skeleton through conditional test mask considering routing time and quality of skeleton, estimates efficiency of existing methods and this paper's methods as running time and quality. Average execution time on the previous method was 2.16 second and on this paper method was 1.72 second. We prove that this paper's method removed noise effectively with overlap stroke as compared with the previous method.

      • KCI등재

        강우-유출 예측모형 개발을 위한 자기조직화 이론의 적용

        박성천(Park Sung Chun),진영훈(Jin Young Hoon),김용구(Kim Yong Gu) 대한토목학회 2006 대한토목학회논문집 B Vol.26 No.4B

        본 연구에서는 강우의 시ㆍ공간적 분포의 불규칙한 변동성을 고려한 강우-유출예측모형을 위해 인공신경망(Artificial Neural Networks: ANNs)의 기법의 일종인 자기조직화(Self Organizing Map: SOM) 이론과 역전파 학습 알고리즘(Back Propagation Algorithm: BPA을 복합적으로 이용하였다. 기존의 인공신경망 연구에서 야기된 저ㆍ갈수기의 유출량에 대한 과대평가, 홍수기의 유출량에 대한 과소평가, 예측값이 연속적으로 선행 유출량을 나타내는 Persistence 현상을 해결하기 위하여 패턴분류 성능을 지닌 SOM 이론을 예측모형의 전처리 과정으로 이용하였다. 먼저, 본 연구에서 제안한 방법은 SOM에 의해 강우-유출 관계를 분류하고, SOM에 의한 분류에 따라 각각의 모형을 구성한다. 개별적으로 구축된 모형은 유출량의 예측을 위해 각각의 양상에 따라 분류된 자료를 이용한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에서 제안한 방법은 과거의 인공신경망의 일반적인 적용에 의한 결과보다 더 나은 예측능력을 보여주었으며, 더불어 유출량의 과소 및 과대추정과 Persistence 현상과 같은 문제점이 나타나지 않았다. The present study compositely applied the self-organizing map (SOM), which is a kind of artificial neural networks (ANNs), and the back propagation algorithm (BPA) for the rainfall-runoff prediction model taking account of the irregular variation of the spatiotemporal distribution of rainfall. To solve the problems from the previous studies on ANNs, such as the overestimation of low flow during the dry season, the underestimation of runoff during the flood season and the persistence phenomenon, in which the predicted values continuously represent the preceding runoffs, we introduced SOM theory for the preprocessing in the prediction model. The theory is known that it has the pattern classification ability. The method proposed in the present research initially includes the classification of the rainfall-runoff relationship using SOM and the construction of the respective models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by SOM. The individually constructed models used the data corresponding to the respectively classified patterns for the runoff prediction. Consequently, the method proposed in the present study resulted in the better prediction ability of runoff than that of the past research using the usual application of ANNs and, in addition, there were no such problems of the under/over-estimation of runoff and the persistence.

      • 전처리-전착 도장 공정 중 발생하는 자동차 후드의 변형 방지를 위한 수치해석적 연구

        박성훈(Sunghoon Park),허남건(Nahmkeon Hur),김낙수(Naksoo Kim),오창석(Chang Seok Oh) 대한기계학회 2012 대한기계학회 춘추학술대회 Vol.2012 No.11

        Coat of painting on an automobile has many merits such as protecting it from corrosion and set off the appearance. In such an automobile painting process include spraying and electro-deposition process. Of these, electro-deposition process has a good performance compared to spraying process. But, during the process, automobile frame is deformed by fluid pressure such as paint and air. This study has an aim of analyze the position of deformation by numerical analyzing the pressure on the hood of an automobile during the electro-deposition process. To achieve the purpose, the two-phase interfacial flow in the painting tank was using the VOF method and used the ASI(arbitrary sliding interface) for automobile moving. The simulation results showed the pressure distribution on the hood of an automobile frame. The relationship between active pressure and deformation position of the hood was obtained from the numerical analysis results. Also, effects of automobile UPH were considered by CFD simulation. Through this, the present results can provide the guideline for optimization that reduce the pressure on the automobile during the dipping process.

      • KCI등재

        차체충돌해석을 위한 자동화시스템개발에 관한 연구

        김동균,김종윤 한국기계기술학회 2014 한국기계기술학회지 Vol.16 No.6

        Vehicle crash analysis a lot of time and manpower in preprocessing for analysis rather than analysis in analytical studies of the situation that is being committed. In this studies involving conflict with an existing automation system of the body is mainly optimized for a particular field, and researchers think that is an inconvenience that can be used in stone until a comprehensive analysis of the bodywork of each study. Therefore, it is very important to development of automotive system for vehicle crash analysis, the research related studies were carried out. In this study, vehicle crash analysis is performed against that can be used for multiple and effectively utilized by system based meshing in an aim to reduce the time and resource that by developing an automotive system. The results of the study, it was possible to construct an automated system the more time consuming mesh generation for vehicle crash analysis.

      • KCI등재

        연안준설 사업에 따른 해양 수질 및 퇴적물 영향평가 개선 방안

        김영태,김귀영,전경암,이대인,유준,김희정,김인철,엄기혁,Kim, Yeong-Tae,Kim, Gui-Young,Jeon, Kyeong-Am,Lee, Dae-In,Yu, Jun,Kim, Hee-Jung,Kim, In-Chul,Eom, Ki-Hyuk 해양환경안전학회 2013 해양환경안전학회지 Vol.19 No.2

        2000년대 초반부터 연안준설 사업의 수요가 크게 증가하였고, 기타 연안개발 사업과도 중첩되어 준설토의 발생량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로 인해 주변해역에 대한 환경 영향이 심화될 수밖에 없는 상황에서, 2011년 제출된 해역이용협의서 중 준설이 포함된 사업의 해수 및 해저 퇴적물에 대한 해양환경영향평가 현황을 파악하였다. 해양환경영향평가 항목 중 일반 항목들의 조사 비율은 대체로 높은 반면, 중금속 등 유해 물질의 경우에는 세부항목들 간 조사 비율 편차가 크게 나타났다. 한편 중금속 분석 시 협의서 작성 지침에 따른 전처리 과정(완전 분해)과 분석 방법이 제대로 수행되지 않았다. 또한 작성 지침에 명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결과값에 대해 신뢰도 확보를 위한 검증(회수율 및 검출한계 산정) 수행 현황도 매우 미흡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로 인해 연안 준설 및 개발에 따른 주변 해양환경영향평가가 부실하게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해양 수질 및 퇴적물 환경에 대해 보다 엄정한 평가와 진단을 위해서는 협의서 작성에 관한 세부 지침의 보완이 요구되며, 해역이용협의 제도의 개선을 통해 정확한 해양환경영향평가가 수행되도록 협의서 작성지침의 준수 의무를 강화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Since the early 2000s, demand for coastal dredging projects have been significantly increased, and the dredged sediments have showed the continuing marked increases through the multiple projects with other coastal development and constructions. As significant or potential degradation of marine environment has been mounting, we checked the current situation of marine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through marine water and sediment qualities in relation with dredging projects of the sea area utilization consultation statements submitted in 2011. While analysis percentages of the general items were usually higher, harmful components such as metals revealed wide variation of analysis percentages. In the event of analysis of metals, the pre-treatment process (full digestion) and analysis method were not properly implemented in accordance with the guidelines for preparation of consultation statements. Although not specified in the guidelines, verification procedures (tests of recovery efficiency and detection limit) to secure the reliability were almost ignored. As a result, most of developers did conduct poor marine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on coastal dredging and related projects. We suggested that the responsible government authority should establish new detailed guidelines on the sea area utilization consultation for more strict evaluation and diagnosis of marine environment and distinctly request the developer to obey the guidelines by complementing the system of the sea area utilization consult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