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전문용어의 체계와 관계에 대한 탐색

        엄태경(Eom, Tae Kyoung) 우리말글학회 2021 우리말 글 Vol.91 No.-

        이 글은 전문용어의 개념에 대해 정의하고 그 범위와 범주에 대해 논의한다. 그리고 전문용어의 체계와 관계를 어휘론적 관점에서 살펴보고 그 공통점과 차이점을 탐색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전 연구들에서는 전문용어를 어휘의 범주에 포함하여 어휘의 팽창 혹은 어휘의 변이로 다루었다. 그러나 이 글에서는 전문용어가 어휘에 포함된다기보다 서로 구분되지만 교집합적 부분이 있는 것으로 파악한다. 2장에서 어휘와 전문용어는 일반 언어와 전문 언어의 구성 요소이며, 개별 단어와 개별 용어들의 집합으로 정의했다. 그리고 전문용어는 연구자들이 어느 부분에 중점을 두고 정의하느냐에 따라 유연하게 바뀔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3장에서는 어휘론의 연구 방법에 따라 전문용어를 분석하였다. 일반 어휘와 전문용어는 형태·통사적 결합 관계 중, 합성, 파생, 혼성에서 큰 차이점을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통사 구성 관계에서 전문용어는 일반 어휘의 관용구에 비해 의미적으로 투명한 차이점이 있다. 다음으로 어휘론의 의미적 계열 관계는 동의, 반의, 상하, 부분 관계로 나눌 수 있다. 전문용어 역시 이와 같은 관계로 나눌 수 있지만, 총칭 관계와 포함 관계로 나누어 살피는 것이 전문용어론의 방식이라는 것을 설명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fine the concept of terminology and discuss its boundaries and categories. An examination is provided of the system and relationship of terminology from a lexicological point of view, and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are explored. Previous studies considered terminology within the boundaries of lexicon and discussed lexicon expansion and lexicon variation. However, this study is based on the understanding that the meanings of the two different words terminology and vocabulary have intersection of sets, rather than on simply considering terminology from within the boundaries of lexicon. Chapter 2 defines terminology and lexicon as components of both general language and special language, and sees them as a pair of individual words and individual terms. It has been found that terminology can be flexibly used depending on a researcher’s own definition and focus. Chapter 3 analyzes terminology according to the research methods of lexicology. Among the syntagmatic relations of lexicon and terminology, compounding, derivation, and blending do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However, from a syntagmatic perspective, terminology has a seman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compared to idioms in general lexicon. Next, the semantic paradigmatic relations of lexicology can be divided into synonymous, antonymous, hypernymous/hyponymous, and meronymous relations. Terminology can be divided into the same categories, but this shows that the methodology of terminology is based on dividing into generic and partitive relations.

      • KCI등재

        외국인 유학생들의 적정 어휘학습량에 대한 일고

        김명광 ( Kim Myoung-kwang ) 국제어문학회 2016 국제어문 Vol.0 No.69

        이 글의 목적은 외국인 유학생들이 효율적으로 어휘를 학습하기 위하여 필요한 학습 어휘량에 대한 방법론을 모색하는 데 있다. 외국인 유학생들이 학습해야 할 어휘는 최소 40,000이어서 5년간이라는 짧은 기간에 이 어휘를 전부 학습하기는 불가능하다. 따라서 최소한의 노력으로 최대한의 효과를 얻을 수 있게끔 어휘량을 조절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취지에서 본고는 외국인 유학생들이 대학 수학 능력에 필요한 학습 어휘 선정의 방법에 대하여 살펴본다. 이를 위하여 적용 차원의 어휘군과 커버율의 개념을 도입한다. 또한 적용 차원의 어휘군은 고빈도 어휘, 학문 어휘, 전문 어휘로 나누어야 하며 이를 통하여 텍스트 내점유 커버율을 최대한 높일 수 있음을 증거한다. 유창성을 담보로 하는 읽기와 듣기 수준에 도달하기 위한 커버율은 약 98-99%이며 이러한 커버율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외국인 유학생들이 필요로 하는 어휘의 질적 수준이 고려되어야 한다. 따라서 외국인 학습자들이 대략 80%의 고빈도 어휘를 학습한 다음, 빈도순위에 따라 어휘를 학습하는 것이 아니라 약 10%의 커버율을 가지는 학문 어휘(일반 교양 차원 또는 계열 차원의 어휘)로 학습을 전환해야 하며, 다음에 대략 5%를 점유하는 전공 수업에 필요한 전문 어휘를, 그리고 4%의 특정 전공분야에만 자주 출현하는 고유 어휘를 학습해야 한다. 아울러 이 글에서는 이러한 학문 어휘와 전문 어휘를 선정하기 위한 절차를 제안하는 데, 학문 어휘의 경우 각 계열 수준의 개론서 중심 말뭉치를, 전문 어휘의 경우도 전공 별 말뭉치를 기반으로 어휘를 선정해야 한다. This study aims to suggest an effective methodology for selecting educational vocabularies for foreign students. It is impossible for foreign students to study all the L2 vocabularies in a short period of 5 years. This circumstance allows the following consideration to the quality of vocabularies: Using this approach, for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among all the L2 vocabularie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first discusses the coverage and classification of in the dimension of application. The lemas in the dimension of application are divided into three types, high-frequency, academic, and major vocabularies. Subsequently, this study discusses the coverage of the specified vocabularies. The rate of coverage with which students fluently understand the text or the discourse in reading and speaking differs for each scholar. However, the level of rate of coverage for foreign learners to reach fluency is approximately 98-99%. Therefore, foreign learners should learn high-frequency vocabularies to occupy 80% coverage; major ones to occupy 5%; and the last, proper vocabularies to cover 4%. The sum of all the above is 99%. In addition, this study suggests the procedure for selecting academic and major vocabularies adapted to the foreign learner. For academic ones, the corpus in a level of majority field should be extracted considering the coverage and frequency. On the other hand, for major vocabularies, the corpus should be accumulated by the specific vocabularies extracted from the text on which the foreign learners major in, considering the coverage and frequency similar to the academic ones.

      • KCI등재

        EAP 전문 코퍼스를 활용한 유아교육 전문 어휘 추출

        이제영(Je-Young Lee),안종기(Jongki Ahn),이지은(Jee Eun Lee) 한국콘텐츠학회 2017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7 No.1

        본 연구는 EAP 전문 코퍼스 구축과 분석을 통해 유아교육 전문 어휘 목록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유아교육 전문가 2인과의 협의를 통해 선정된 7권의 유아교육 관련 영어 전공 서적을 기초로 50만 단어 수준의 전문 코퍼스를 구축하였다. 유아교육 전문 코퍼스의 어휘적 분포를 분석한 결과 기본 어휘에 해당하는 GSL[1]은 81.86%, 학술어휘에 해당하는 AWL[2]은 9.78%로 타 분야의 학술적 텍스트와 유사한 분포를 나타냈다. 한편 어휘의 다양성을 살펴보기 위해 TTR을 산출한 결과 3.18로 타 코퍼스의 결과와 비교할 때 낮은 수치, 즉 동일한 어휘의 반복이 비교적 많다는 특징을 보여 주었다. 다음으로 빈도와 출현 범위 등을 기준으로 유아교육 분야의 전문 어휘를 추출한 결과 총 224개의 어휘가 선정되었다. 이 어휘 목록은 영어로 유아교육을 가르치기 위한 목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며, 특히 영어로 쓰인 유아교육 분야의 전공서적을 읽기 위한 기초 자료서로 유용성을 지닐 것으로 기대된다. The aim of this research is the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 technical vocabulary list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list was compiled from a corpus of 500,000 running words of written academic texts from 7 books about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distribution of GSL[1] and AWL[2] was 81.86% and 9.78% respectively, which meant that academic texts related to early childhood education is very similar with ones on other disciplines. The technical vocabulary list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TV4ECE), extracted in terms of frequency and range, contains 224 types. This word list can be used to teach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English, especially for the preparation of reading the English texts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 KCI등재

        환경분야의 독일어 어휘기술

        조자경 한국독일어교육학회 2014 외국어로서의 독일어 Vol.35 No.-

        Der Verfasser ist der Meinung, dass man den praktischen Deutschunterricht verstärken soll. Der Fachsprachenunterricht in den Bereichen, wo Deutschland führend ist, wäre den deutschlernenden Studenten sehr hilfreich. In dieser Hinsicht ist der Fachdeutschunterricht im Bereich der Umwelttechnik sinnvoll, weil Deutschland im diesem Bereich eine Pionierrolle spielt.Die Texte im Bereich der Umwelttechnik sind jedoch sowohl für die Lernenden als auch für die Lehrenden sehr schwer verständlich, weil vor allem komplizierte Fachwörter vorkommen. In der vorliegenden Arbeit werden sie zum Zweck des effizienten Deutschunterrichts analysiert und beschrieben. Zunächst wird über die Ermittlung des Grundwortschazes im Bereich der Umwelttechnik diskutiert. Danach werden die Fachwörter aufgrund ihrer Bildungsmöglichkeiten systematisch dargestellt. Sie werden unter anderem durch fachbezogene Verwendung gemeinsprachlicher Wörter, Verwendung von Wortelementen aus anderen Sprachen, Ableitung und Zusammensetzung gebildet. Bei der Verwendung gemeinsprachlicher Wörter werden vor allem Metapher und Metonymie in Betracht gezogen. Schließlich werden die im Bereich der Umwelttechnik häufig vorkommenden Grundwörter ausführlich beschrieben. Die komplizerten Fachwörter lassen sich mit Hilfe der Grundwörter leicht erklären. 환경분야의 전문독일어 수업의 효율적인 진행을 위해서 이 분야의 어휘들을 체계적으로 기술하는 것이 이 논문의 목표이다. 독일어 교육에서 환경분야의 독일어를 대상으로 한다는 것은 전통적인 독일어 교육의 관점에서 보면 이질적이고 새로운 분야이다. 과연 이러한 분야의 독일어 교육이 필요한 것일까? 필자는 전문독일어 교육을 강화하여 독문과의 교과과정을 보완하자는 입장이다. 독일어를 실제 사용할 수 있는 실용적인 분야가 있다면, 특히 이러한 분야에서 독일이 비교우위에 있다면, 이 분야의 독일어 능력을 배양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환경분야는 독일이 가장 앞서 있는 분야 중의 하나이다. 환경문제는 이제 지구에 살고 있는 전 인류의 공통의 문제가 되었다. 우리는 환경선진국인 독일이 오랜 기간 구축한 노하우 (Know- How)를 받아 들여야 한다. 환경보호와 관련된 기술을 기반으로 한 기업들을 육성해야 하며, 이러한 분야에서 전문적인 텍스트를 번역하고 통역할 수 있는 독일어 구사자의 양성이 필요하다. 본고는 다음의 내용으로 구성된다. 먼저 기본어휘 선정에 관한 논의가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전문어휘들의 생성과정을 기술했다. 전문어휘들의 대표적인 생성수단인 일상어휘의 전문적 사용, 외래어휘의 사용, 파생, 합성 등의 과정을 구체적인 예를 들어 기술했다. 다음으로 환경분야의 전문어휘들에 대해 기술했다. 우리의 대상텍스트가 환경오염 처리분야를 중점적으로 다루고 있기 때문에, 처리대상, 처리장소, 처리방법 분야에서의 핵심어휘의 이해에 주력했다.

      • KCI등재

        다의어 학술기본어휘의 전문의미 탐색과 교육적 고찰

        한윤정,이은희,한재민 연세대학교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2022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Vol.64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polysemous characteristics of academic vocabulary, examine its meaning, and derive relevant educational implications. To this end, 232 academic vocabularies were selected based on Hwang Sung-eun(2017), and the vocabulary list including the basic meanings and specialized meanings for each vocabulary was prepared.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academic vocabulary with one or more specialized meanings in addition to the basic meanings accounted for a majority: 88%. Since then, an expert investigation was conducted on 163 specialized meanings in seven academic fields with high frequency, and the meaning of 134 final academic vocabularies was analyzed. The analysis confirmed that having a specialized meaning in addition to the basic meaning can be managed with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academic purposes before entering the major. Specifically, the results suggested that if the distance between the basic meaning and the specialized meaning is close, they can be taught and learned simultaneously as per the academic field, if not, caution must be exercised when inferring the specialized meaning from the basic meaning.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has expanded the existing discussion related to academic vocabulary to incorporate a broader perspective. 본 연구의 목적은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에서 필수로 다루어지는 학술기본어휘의 다의적 특성을 포착하여 그 의미 양상을 살피고 교육적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하여 황성은(2017)의 어휘 목록을 기반으로 232개의 학술기본어휘를 선별하였고, 어학사전과 백과사전 등을 통해 각 어휘의 기본의미와 전문의미를 자료화하였다. 그 결과 기본의미 외에 전문의미를 하나 이상 갖는 다의어 학술기본어휘가 88%로 많은 수를 차지함을 확인하였다. 이후 빈도수가 높은 7개 학문 분야의 어휘 163개의 전문의미들을 대상으로 전문가 감수를 실시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최종 정리된 학술기본어휘 134개의 의미 양상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기본의미 외에 전문의미를 함께 가지는 경우 전공 진입 전 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에서 다룰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기본의미와 전문의미의 의미 간 거리가 가까운 경우 학문 분야에 따라 두 의미를 함께 교수·학습할 수 있으며, 거리가 먼 경우 기본의미로부터 전문의미를 유추하기 어려우므로 학문 분야별로 주의가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기존의 학술기본어휘 관련 논의를 더 넓은 관점으로 확장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 KCI등재후보

        패턴시쓰기를 활용한 어휘지도 방안

        박영민,유제분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09 교과교육학연구 Vol.13 No.2

        Pattern poetry writing can be a way to motivate vocational highschool students to be more involved in vocabulary learning. This study developed a vocabulary teaching-learning model using pattern poetry writing. Out of the twenty-five patterns suggested by Holmes and Moulton (2001), four patterns were modified and applied. In order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this model, the current experiment was conducted with samples from 112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in Busan.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writing pattern poems was effective in improving the students’ ability to understand the semantic relations of the words, the parts of speech, and improving productive vocabulary. Second, vocabulary learning strategies were frequently explored in pattern poem writing classes. Last, the students' attitude during and after the simple pattern poems classes was positively changed. Confirming previous research conducted on elementary students and university students, this study proved that teaching through pattern poems is applicable to all proficiency levels of students. 패턴시쓰기 활동은 전문계 고등학생들이 영어에 대한 흥미를 가지고 수업에 참여할 수 할 수 있게 하는 하나의 방안이 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패턴시쓰기 활동을 통해서 어휘를 학습할 수 있는 지도방안을 마련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Holmes & Moultons(2001)가 제안한 패턴시를 분석하여 교과서 수업에 적용할 수 있는 4가지 패턴을 선택하였다. 선택된 패턴을 영어숙달도가 낮은 전문계 고등학생들에게 적용하여 수업에 대한 흥미를 높여 참여도를 향상시키는 동시에 효과적인 어휘학습이 이루어지는 지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패턴시쓰기 활동이 학생들의 단어의미관계 파악 능력과 품사이해력향상, 생산적 어휘 증가를 도울 수 있도록 조직이 되어 어휘력 향상에 효과가 있었다. 2) 패턴시쓰기 활동을 하는 동안 학생들의 활발한 어휘학습전략 사용이 이루어졌다. 3) 짧지만 완성된 작품을 결과물로 갖게 됨으로써 학생들이 성취감을 느끼게 되면서 수업에의 참여도가 향상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제언할 수 있는 바는 다음과 같다. 1) 어휘력 향상을 위해 학생들이 직접 어휘를 조작할 수 있는 활동을 투입해야한다. 2) 교사는 뚜렷한 학습목표를 가지고 적절한 활동을 선택할 수 있는 안목을 길러야 한다. 3) 새로운 활동이 수업에 성급하게 적용되면 전통적인 방법에 익숙해져 있는 학생들에게 역효과를 일으킬 수 있으므로 익숙한 활동들과 적절히 안배되어야 한다.

      • KCI등재

        대학 수학 북한이탈주민을 위한 경제 분야 외래어 학술 전문어휘 선정에 관한 연구

        김주연 ( Kim Joo-youn ) 한민족어문학회 2018 韓民族語文學 Vol.0 No.80

        본고는 북한이탈주민을 대상으로 남한 대학에서 수학할 때 필수적으로 익혀야할 경제분야의 학술 전문어휘 가운데 외래어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학문 목적 북한이탈주민이 대학 수학 중 가장 어려워하는 영역 중의 하나인 전공 관련 학술 전문어휘 가운데 외래어에 초점을 두고 살펴보았다. 우선은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학문 목적 북한이탈주민을 대상으로 전공 분야의 학술전문어휘 학습 현황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그리고 경제 분야의 학술 전문어휘 가운데 주요 외래어 목록을 선정하여 선정된 어휘목록에 대한 북한 대응어와 뜻풀이를 살펴봄으로써 효율적인 어휘 교육에 활용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경제 분야의 학술 전문어휘 가운데 외래어 목록을 구성하고 고빈도 어휘목록을 선정하여 이에 대응하는 북한 대응어를 살펴보았다. 북한이탈주민의 대학 수학에 필요한 경제 분야 학술 전문어휘 가운데 외래어 목록과 북한 대응어 제공이 대학 수학 능력 향상에 일조하기를 기대한다. This article is intended to study loanwords used in the academic vocabulary of North Korean defectors who major in economic fields in South Korean universities. This study focuses on the academic loan words which North Korean defectors feel are the most difficult to understand in their fields of study. Through questionnaires, we considered the status of learning loan words that are used for academic purposes by North Korean defectors. This study defines words that are part of academic vocabularies and also constructs vocabulary lists that are relevant to the economic and academic fields in order to determine which words are used most frequently. We provide basic data that can be used for effective vocabulary education by examining both the North Korean vocabulary and the meaning of the words on the selected vocabulary list. The list includes important loan words used in academics, focusing on words used within academics, and particularly within the economic fields. The purpose of this study will help North Korean defectors settle in the Republic of Korea through providing a list of essential academic loan words.

      • KCI등재

        ‘언어생활과 한자’의 내용 체계와 성취기준

        강민구 한국한문교육학회 2023 한문교육논집 Vol.60 No.-

        This paper omitted the analysis of the content elements and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content system related to the ‘Chinese character vocabulary’ overlapping with the general selective subject ‘Classical Chinese’, and explained the main achievement standards of ‘Language Life and Chinese Characters’ which were not mentioned in the existing ‘Classical Chinese Curriculum’. [12 Eonhan 01-03] is set up to know the exact meaning of the word and its development process through the confirmation of the etymology,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the characteristic that ‘Many Chinese character words have a certain etymology’. [12 Eonhan 01-05] is set up to use for efficient language life and accurate literacy with identifying the synonym, antonym, hypernym, hyponym and homonym,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the characteristic that ‘Chinese character vocabulary can be classified by lexical relation’. [12 Eonhan 01-06] is set up to investigate and utilize the Chinese character vocabulary created in response to social and cultural phenomenon,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change and development of social and cultural is immediately reflected in language, one of which appears in the form of Chinese character abbreviations and hybrid words using Chinese characters’. [12 Eonhan 01-07] is set up to effectively use for subject learning with identifying the characteristics of words for learning included in specialized vocabulary,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the characteristics that ‘In Korean, the native language plays the role of basic vocabulary, and the Chinese character vocabulary plays the role of specialized vocabulary’. [12 Eonhan 01-08] is set up to use honorific terms in Chinese character vocabulary according to the situation,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the characteristics that ‘In Korean, Chinese character vocabularies are overwhelmingly used in formal situations, written language, and academic purposes, and thus that has a superior position to native language’. In addition, due to the negative nuance of existing vocabulary, it is set up to teach that learning that the vocabulary replaced with new words or the euphemisms indirectly expressing taboo words is a lexical aspect that appears as part of an effort to grace speech is also essential for the use of dignified vocabulary. [12 Eonhan 01-10] is set up to understand cultural diversity by learning vocabulary that shows morphological and semantic differences,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the characteristics that ‘Chinese character cultural area have considerable lexical similarities due to the use of Chinese characters and at the same time have lexical differences stemmed from historical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본고는 일반선택 ‘한문’과 중복된 ‘한자 어휘’ 관련 내용 체계의 내용 요소 및 성취기준에 대한 분석은 생략하고 ‘한문’과 교육과정에서 언급되지 않은 ‘언어생활과 한자’의 주요 성취기준에 대하여 해설한 것이다. [12언한01-03]은 ‘한자 단어의 상당수는 일정한 어원을 갖는다.’는 특성에 대한 이해를 토대로, 어원의 확인을 통해 단어의 정확한 의미와 그것의 발전 과정을 알 수 있도록 설정한 것이다. [12언한01-05]는 ‘한자 어휘는 어휘 관계에 의해 분류할 수 있다.’는 특성에 대한 이해를 토대로, 유의어와 반의어, 상ㆍ하위어 및 동음이의어를 파악하여 효율적인 언어생활과 정확한 문해에 활용할 수 있도록 설정한 것이다. [12언한01-06]은 ‘사회ㆍ문화의 변화 발전은 언어로 즉각 반영되는데, 그중 하나는 한자를 활용한 한자 줄임말과 혼종어의 형태로 나타난다.’는 특성의 이해를 토대로, 사회ㆍ문화적 현상에 대응하여 만들어진 한자 어휘를 조사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설정한 것이다. [12언한01-07]은 ‘우리말은 고유어가 기초어휘의 역할을 담당하고, 한자 어휘가 전문어휘의 역할을 담당한다.’는 특성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전문어휘에 포함되는 학습을 위한 단어의 특성을 파악하여 교과 학습에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설정한 것이다. [12언한01-08]은 ‘우리말에서 한자 어휘는 격식적 상황, 문어, 학문적 목적에서 압도적으로 많이 사용되며 그에 따라 고유어보다 우월적 지위를 지닌다.’는 특성에 대한 이해를 토대로, 한자 어휘로 된 경어를 상황에 맞게 활용할 수 있도록 설정한 것이다. 아울러 기존 어휘가 갖는 부정적 어감 때문에 새로운 말로 대체한 어휘나 금기어를 우회적으로 표현한 완곡어가 말을 우아하게 하려는 노력의 일환으로 나타나는 어휘적 양상이라는 점에 대한 학습도 품위 있는 어휘 활용에 필수적이라는 것을 교수하도록 설정한 것이다. [12언한01-10]은 ‘한자문화권 국가는 한자를 사용하기에, 상당한 어휘적 공통점을 지니는 동시에 역사적ㆍ문화적 특성에 기인한 어휘적 차이점을 갖는다’는 특성에 대한 이해를 토대로, 형태적ㆍ의미적 차이를 보이는 어휘를 학습함으로써 문화적 다양성을 이해할 수 있도록 설정한 것이다.

      • KCI등재후보

        지구과학Ⅰ 교과서 어휘 등급 분석 : 살아있는 지구 단원을 중심으로

        임영구,박혜진,이효녕,김태수,오희진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08 科學敎育硏究誌 Vol.32 No.2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analyze vocabularies used the section of ‘Living Earth’ in 11-grade Earth science textbooks with the Science Word Analysis (SWA) program and to investigate the vocabularies selected by the 11th grade students as difficult ones. For the purpose, we extracted the Earth science vocabularies from six textbooks, and classified into the scientific and non-scientific vocabularies with SWA program based on the standard Korean language dictionary. Also, we investigated the difficulty of each vocabulary by using questionnaire to three hundred sixty students. From the results analyzed with the program, it was found that the frequency of the scientific vocabularies out of the level was the largest any other level in all textbooks. And from the survey, most of the vocabularies selected by students as difficult to understand were classified into out of the level. From these results, it were suggested that the students’ cognitive level should be considered in developing science textbooks and difficult vocabularies should be replaced to easy ones within the limits of changeless in the meanings 이 연구의 목적은 11학년 지구과학 I 교과서의 ‘살아있는 지구’ 단원의 지구과학 어휘들을 SWA프로그램을 통해 분석하여 그 중 학생들이 어려워하는 어휘들을 알아보는데 있다. 연구 목적을 위해, 먼저 6종의 11학년 지구과학 I 교과서에서 지구과학 어휘들을 추출한 다음, 표준국어대사전을 기반으로 한 SWA 프로그램으로 과학 전문어와 비과학 전문어로 분류를 하였다. 분류된 과학 전문어와 비과학 전문어에 대해 360명의 11학년 학생들에게 이해하기 어려운 어휘를 선택하도록 하였다. 프로그램을 통해 어휘의 수를 분석한 결과, 교과서별로 다소 차이는 있지만, 등급 외의 과학 전문어 빈도가 모든 교과서에서 다른 등급에 비해 가장 높았다. 또한 학생들에게 설문한 결과, 어렵다고 하는 용어들의 대부분이 등급 외에 속해 있었다. 이 연구 결과를 통해, 교과서 집필 과정에서 학생들의 인지 수준을 고려해야 하며 어려운 용어는 과학적 의미의 변화가 없는 범위 내에서 쉬운 용어로 대체되어야 한다는 것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기능경기대회과제 의상디자인 분야 전문용어 어휘 분석 연구

        최순희,임규홍,김여숙 동남어문학회 2021 동남어문논집 Vol.1 No.52

        This study aims to analyze terminology used in the field of fashion design at the Korean Apprentices Competition and propose desirable terms. Apprentices competitions are held in provincial areas and nationwide as events to train professional engineers and produce high-quality technicians from public institutions called the Korea Industrial Manpower Corporation. Therefore, the research on technical terms will be meaningful in that the terms used in the competition must be unified, accurate, and must meet the conditions as official term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problems of the technical competition, the terms used at the national and local competitions were not unified every year, and they were not appropriate in meaning and usages. Therefore, in this work, we propose terminology that is not only semantically appropriate, but is as consistent with linguistic appropriateness and linguistic regulations as possible,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specialized areas of fashion design. 본 연구는 한국 기능경기대회 의상 디자인 분야 과제에 사용된 전문용어를 분석하고 바람직한 전문용어를 제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 기능경기대회는 산업인력공단이라는 공공 기관에서 전문 기술인의 양성과 수준 높은 기능인을 배출을 위한 행사로 지방과 전국 국제적으로 치러진다. 따라서 기능경기대회에 제출된 전문용어는 통일되어야 하고 정확해야 하며 공식적 전문용어로서의 조건을 반드시 갖추어야 한다는 점에서 전문용어에 대한 연구가 의의가 있을 것으로 본다. 기능경기대회 과제를 분석한 결과 전국기능경기대회와 지방기능경기대회에서 사용한 용어가 다르기도 하였으며 해마다 전문용어가 통일되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어문규정에 벗어난 용어, 의미상 적절하지 않은 용어들이 많이 사용된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의상 디자인의 전문영역의 특성을 반영하면서 의미상으로 적합할 뿐만 아니라 언어순화와 어문규정에 가능한 한 벗어나지 않은 전문용어를 제안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