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재판기록을 통해 본 전통시대 한중사회 ― 명대(明代) 공안소설(公案小說)과 《흠흠신서(欽欽新書)》<상형추의(祥刑追議)>를 중심으로

        고숙희 한국중문학회 2021 中國文學硏究 Vol.- No.84

        고금을 막론하고 범죄가 발생하면 소송과 심리를 중심으로 재판이 진행되며, 사건 완료 후에는 재판기록이 남는다. 전통시대 한중사회에는 평범한 일상에서 발생한 범죄와 그 재판기록이 있어서 당시 사회상과 개개인의 삶을 엿볼 수 있다. 중국에는 소송과 재판을 소재로 한 소설 장르가 있는데, 바로 公案小說이다. 明代에 이르러 ‘공안’이라는 서명을 내건 공안소설 작품집이 대거 등장하여 한 시대를 풍미하게 된다. 명대 공안소설은 문학성 측면에서 일부 논란의 여지는 있으나 사회범죄와 재판기록을 소재로 당시 사회를 반영하고 소설 장르의 다양화를 촉진했다는 점에서는 그 가치를 높이 평가할 만하다. 조선에도 사회범죄와 그 재판기록을 정리한 책이 등장했으니, 바로 정약용의 《欽欽新書》이다. 특히 《흠흠신서》<祥刑追議>에는 전통시대의 사회범죄와 재판 과정 및 재판기록이 일목요연하다. 본 연구의 출발은 명대 공안소설과 《흠흠신서》의 공통분모를 ‘재판기록’이라는 측면에서 발견하여 시작되었다. 본고에서는 사건 분류가 명확한 명대 공안소설과 《흠흠신서》<상형추의>의 재판기록을 통해 전통시대 한중사회를 들여다보고, 아울러 사회범죄에 대한 국가적 대응방식 및 재판 실무자들의 휴머니즘적 시선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명대 공안소설은 전반적으로 인명 경시 풍조, 경제적 욕망이나 왜곡된 이해관계로 야기되는 폭력적인 일상, 남성 위주 사회에서 성적으로 억압받는 여성의 일상, 가족 내 분규 등 하나의 사회시스템 속에서 발생할 수 있는 모든 경우의 수를 중심으로 당시 중국의 일상과 사회상을 조명하고 있다. <상형추의> 역시 인명 경시 풍조, 평범치 않은 폭력적인 일상, 개인의 이익과 욕망으로 점철된 인간관계, 종법 사회의 엄격한 질서 내에서 억압받는 여성의 삶 등을 중심으로 당시 조선의 일상과 사회상을 조명하고 있다. 이처럼 두 재판기록은 당시 사회의 왜곡된 양상을 반영하고 동시에 사회 구성원의 일상과 일상의 범죄화를 통해 한 사회의 은밀한 내면을 극명하게 표출한다. 또한 명대 공안소설과 <상형추이>의 재판기록에는 사건 수사나 심리 등을 중심으로 재판에 개입하는 실무자들이 등장하며, 이들은 사건 수사 과정이나 방식 및 공정하고 정의로운 심리를 통해 휴머니즘, 즉 인도주의적 면모를 드러낸다. 명대 공안소설의 청관 및 판관을 위시한 재판 실무자들은 ‘無寃’의 원칙에 입각하여 공명정대하게 재판을 종결하려는 의지를 표출한다. <상형추의> 역시 死罪三覆의 심리과정을 거쳐 한 치의 오차도 없이 사건을 해결하려는 재판 실무자들의 고뇌와 정의에 대한 의지를 보여주고 있다. 이를 통해 두 재판기록에 나타난 당시 재판 실무자의 ‘無寃’과 ‘애민주의’에 기반을 둔 휴머니즘 양상 및 국가적 대응방식을 엿볼 수 있다. 결론적으로, 두 재판기록은 시공간의 차이는 있으나 당시 발생했던 각양각색의 사회범죄를 통해 전통시대 한중사회의 평범치 않은 일상과 사회 구성원의 은밀한 욕망 및 그로 인한 파국적 결말을 제공하며, 당시 중국과 조선의 일상 및 사회상을 적나라하게 조명하고 있다. This paper is the study on Korea-China Society in the Traditional Age through the Trial Records. Generally, when a crime occurs, a trial is conducted mainly in litigation and hearing, and trial records remain after the completion of the case. Korea-China Society in the traditional era has crimes in ordinary life and their trial records, so we can look at social aspects at the time. There is a novel genre based on litigation and trial in China, which is Gong’an Novel. Gong’an Novel in the Ming Dynasty is controversial in terms of literaryness, but it is valuable in that it recorded social crime and trial records to reflect society at the time and promote the diversification of novel genres. Chosun Dynasty also has a book that summarizes social crime and trial records, Jung Yak-Yong’s 《Humhumshinseo》. Especially, 《Humhumshinseo》 < Sanghyeongchuei > has a social crime, trial process and trial records of traditional times. In this paper, examined the Korea-China Society in the traditional era through the trial records of the case classification clearly Gong’an Novel in the Ming Dynasty and 《Humshinseo》< Sanghyeongchuei >. Also, the study attempted to analyze the national response method to social crime and the perspective of humanism of trial practitioners. Gong’an Novel in the Ming Dynasty illuminates the daily life and social aspects of China at that time through the trend to make light of human life, violent daily life caused by economic desire and sharp interests, the daily life of women who are sexually suppressed in male-dominated society and family disputes. < Sanghyeongchuei > also illuminates the daily life and social aspects of Joseon at that time, focusing on the trend to make light of human life, violent daily life, distorted human relations, and the lives of socially oppressed women. These two trial records reflect the distorted aspects of society at the time, and at the same time, they express the daily life of members of society and the secret inner side of a society. In addition, the trial records of Gong’an Novel in the Ming Dynasty and < Sanghyeongchueui > include practitioners who intervene in the trial focusing on case investigations and hearings. They reveal humanism through the process, method, and fair and just hearing of the case. In conclusion, the two records show distorted daily life of Korea-China society in the traditional era through various social crimes, secret desires and catastrophes of social members, and illuminate the daily life and social aspects of China and Joseon at that time.

      • KCI등재

        송사형 우화소설에 형상화된 재판의 사실성과 연구사적 전망 − <서오전(鼠鼯傳)>에 나타난 재판의 양상 −

        장예준 동양고전학회 2021 東洋古典硏究 Vol.- No.82

        본 논문에서는 <서오전(鼠鼯傳)>을 대상으로 송사형 우화소설 작품에서 조선 후기 송사 및 재판 실상의 반영 양상을 살펴보고, 연구의 시사점을 정리해 보았다. <서오전>은 재판 과정과 판결이 서사의 중심축을 이루는데, 송사로 가기 전 당사자들 간의 조정 과정, 소송의 성립 과정과 심리 양상 등에서 당시 송사 및 재판 양상을 구체적으로 반영하여 그려내었다. 그리고 재판의 성격 또한 당대 보편적인 재판 양상인 형사⋅민사일체형 재판으로서 성격을 띠었다. 수령(守令)의 판결은 일차적으로 뇌물 수수에 의한 부당한 판결이지만, 심리 과정에서 당대 심리 원칙을 제대로 지키지 않았고 수령으로서 주어진 형벌권을 넘어서는 형벌과 처결을 내리는 모습도 살필 수 있었는데, 이 또한 당대 관행적으로 수령의 형벌권이 남용되던 실상을 그대로 반영한 것이다. 아울러 이 작품에는 오결(誤決) 관리에 대한 임금의 처분도 형상화되었는데, 이 역시 당대 오결 관리 처벌 규정에 따라 처분하고 있었다. 이렇게 이 작품은 당대 송사 및 재판 양상을 가장 사실적이고 구체적으로 그려낸 작품이라는 점에서 가치가 크다. 이 작품은 송사형 우화소설 연구와 관련하여 시사하는 바가 있다. 먼저 이 작품은 당대 재판 전반에 걸친 문제점을 구체적으로 그려냄으로써 주제를 드러내었다. 이는 다른 작품 역시 당대 재판 반영 양상을 면밀히 검토하여 주제를 좀 더 구체화할 필요가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이 작품의 작자는 당대 송사 및 재판의 실상을 아주 잘 알고 있었으며, 송사 관련 문서 작성 능력, 문학적 창작 능력도 상당히 갖춘 것으로 보인다. 곧 송사형 우화소설 작자층에 대한 논의에서 문학적 창작 능력을 갖추고 있음은 물론, 송사와 재판의 절차, 양상을 잘 알고, 송사 관련 문서 작성 능력을 상당히 갖추고 있음도 더 적극적으로 고려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concretely investigated the aspects of the reflection of the realities of lawsuits and trials during the late Joseon Dynasty period in a lawsuit-type fable novel with Seooh-Jeon and sorted out the implications of the studies of lawsuit-type fable novels. In Seooh-Jeon, trial process and judgment constitute the central axis of the narrative, and it illustrated the aspects of lawsuits and trials of the times, e.g. the coordination process between the parties concerned before proceeding to a lawsuit, the process of establishing a lawsuit, and the aspect of hearing by concrete reflection. Also, the nature of the trial was that of a trial with criminal and civil procedures combined, which was the universal trial aspect at the time. Obviously, Suryong’s judgment is an unjust judgment by bribery primarily. And yet, in the process of trial, the principles of the trial were not observed properly, and Suryong sometimes inflicted a penalty and disposal beyond the given right to punish, which also reflected the reality of the overuse of the right to punish conventionally at the time as it was. Along with this, in this work, the king’s disposal of an official of a mistrial was also embodied, which was also disposed of according to the regulations on the punishment of the official of the mistrial at the time. Like this, this work has a great value in that it most realistically and specifically illustrated the aspects of lawsuits and trials at the time among all the remaining lawsuit-type fable novels. From the results of a discussion, this work has a few suggestions concerning studies of lawsuit-type fable novels. First, this work implemented the theme by concretely drawing the problems of the trials at the time as well as unjust judgments through bribery. This shows that it is necessary to further concretize the theme, closely examining the aspects of the reflection of the trials of the times. In addition, it seems that the author of this work knew the realities of the lawsuits and trials of the times very well and had considerable lawsuit-related documentation skills as well. This shows that in the discussion on the class of authors of lawsuit-type fable novels, it is necessary to more actively consider the possibility that they are a group of people who know the procedures and aspects of lawsuits and trials well and have considerable lawsuit-related documentation skills.

      • KCI등재

        국문 장편소설 <하씨선행후대록>에 나타난 송사(訟事) 모티프의 양상과 그 의미

        구선정 이화어문학회 2023 이화어문논집 Vol.59 No.-

        국문 장편소설 <하씨선행후대록>(33권33책)은 하씨 가문의 4대손을 중 심으로 혼사 갈등·부부 갈등 등 가정 안팎에서 벌어지는 다양한 사건을 다룬 작품이다. 특히 전생에 원한 관계였던 고이랑(여)과 장대랑(남)이 황 월혜(여)와 곽씨(여)로 환생하여 대립 관계를 형성하며 다양한 사건을 만 들어내는데 이 갈등의 시작점이 송사에서 비롯된다는 점이 독특하다. 첫 번째 송사는 ‘호혁 살인 사건’으로 재판 과정을 통해 법의 판결과 피 해자 신원(伸冤) 한계의 문제를 제기한다. 장대랑이 호혁의 아내인 고이랑 을 흠모하여 시종을 시켜 호혁을 죽이고 고이랑이 이를 알아 관아에 고소 하면서 지상과 천상을 넘나드는 재판이 시작된다. 지상에서 이루어진 재 판은 죄인의 실상을 낱낱이 밝혀내고 고이랑의 열절(烈節) 행위를 인정하 는 기능을 하지만 형량에 따른 입장 차이로 피해자 고이랑이 사적 복수를 하게 만든다. 그리고 명부에서 이루어진 재판은 고이랑에게 ‘천정인연’이 라는 보상과 ‘고난’이라는 업보를 부여하면서 열 윤리와 인명 범죄 사이에 서 이를 모두 충족할 수 있는 판결을 제시한다. 두 번째 송사는 도사가 대 한의 누이를 겁탈하려고 시도한 강간 사건과 진대랑의 아내와 친구 석만 재가 간통한 사건인데, 강간과 간통을 중형으로 엄격하게 다루면서 현명 한 법관을 통해 강상(綱常)이 단속되는 기능을 가진다. <하씨선행후대록>에 나타난 송사 모티프의 기능과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작품을 통해 조선 후기 소송과 관련된 법문화를 재구성한다. 본 작품은 수령-관찰사-국왕으로 이어지는 형사 재판 절차를 사실적으로 보 여주며, 조선 후기 ‘십악의 죄’를 가장 엄정하게 처벌하고 살인보다 열절 (烈節)의 가치를 더 숭상하던 법 개념을 반영한다. 그러나 이상적인 법관 을 제시하거나 환상에 의한 재판을 설정하면서 당대 법이 해결해주지 못 하는 문제까지 아우르고 있다. 두 번째는 판결에 대한 법감정(法感情)의 상이(相異)한 시각을 다채롭게 보여주고 있다는 것이다. 사적 복수에 관한 법의 질서(천상 재판)와 유교 윤리(지상 재판)의 관점 속에서 서술자는 전 자의 입장을 취하며 복수 욕망 해소에 급급하여 살인을 감행한 고이랑의 행위를 지적한다. <하씨선행후대록>의 송사 모티프는 재판과 판결의 과정이 기술되고 살인·폭행·성범죄·간통 등 소송의 다양한 사례가 제시되어 조선 후기 소송 과 법문화를 조망해볼 수 있다는 점과 현실과 환상을 넘나드는 재판을 통 해 조선 후기 사회의 법과 윤리에 대하여 다채로운 관점을 살펴볼 수 있 다는 점에서 매우 유의미한 작품이라 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송사 모티 프를 단편에서 장편으로 옮겨오면서 국문 장편소설의 다양성을 보여주었 다는 점에서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 The Korean full-length novel Hassi Seonhaeng Hudae Rok (33 volumes, 33 books) deals with various events that take place inside and outside the family, such as marriage conflicts and domestic conflicts, with a focus on the 4th generation descendants of the Ha family. In particular, Go Rang (female) and Jang Dae-rang (male), who had a grudge against each other in their previous lives, are reincarnated as Hwang Wol-hye (female) and Kwak (female), forming a confrontational relationship and creating various incidents. The meaning of the lawsuit motif in Hassi Seonhaeng Hudae Rok is as follows. First, it is possible to view the landscape of legal culture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is work realistically shows the criminal trial process leading from the chieftain - the governor - the king, and reflects the attitude of the law that punishes the ‘ten evil sins’ most severely and respects the value of ‘zealousness’ more than murder. Second is that it reflects the people’s expectations and wishes for the trial. It shows the corrupt judge Wang Se-seung and the wise judges Ha Gyeong-yeon and Jang Moon-gwang in confrontation, and contains the public’s expectations for a judge who can make a wise decision through a fair trial. On the other hand, it also shows through trials that the standards of ‘justice’ pursued by society and individuals are different. The end of the lawsuit is when the plaintiff’s resentment ends, but in the end, Go Rang could not accept the verdict and killed Jang Dae-rang himself, which means that the trial did not resolve Go Rang’s resentment. It can be seen that the people wanted a judgment based on humaneness, not a judgment based on Confucian ideology. The litigation motif of Hassi Seonhaeng Hudae Rok describes the trial process and presents various cases of lawsuits such as murder, assault, sex crimes, and adultery, allowing us to look into the legal culture of the late Joseon Dynasty, and the confrontation between wise judges and corrupt judges. It is very meaningful in that we can read the readers’ desire for an ideal judge through the process, and we can get a glimpse of the gap between justice and individual justice in the late Joseon society through trials that cross reality and fantasy based on the judgment results. In particular, it is significant in that it showed the diversity of Korean full-length novels by moving these litigation motifs from short stories to full-length novels.

      • KCI등재

        오오카 쇼헤이(大岡昇平)의 『사건(事件)』론 ― 고마쓰가와 사건과 1960-70년대 소년범죄를 중심으로 ―

        남상현 한국일본학회 2020 日本學報 Vol.0 No.123

        Since Shōhei Ōoka's Jiken was published in 1961, it is obvious that Jiken was influenced by the Komatsugawa incident. The fact that Jiken described boy’s murder as an ordinary juveniles crime story instead of the Komatsugawa incident is an evidence of anti-reaction to the social awareness interpreting Komatsugawa incident only as a national matter. In the current thesis, I tried to analyze the perception of juvenile crime in 1960s and the trial described in Jiken for examining the problems that Ōoka wanted to point out. Furthermore, by examining the process of acceptance of Jiken in 1970s, I endeavored to figure out the issue of juvenile crimes and executions that were formed in Japanese society in the 1960s and 1970s. To comment, Ōoka sought a real and ideal solution through Jiken by describing a juvenile crime without considering any political and ideological issues. He urged understanding of the juvenile delinquency at that time, and pointed out inconsistencies in the outcome of the trial in reality. He also tried to explain the juvenile trial realistically and critically through mystery-suspense plots to excite the reader's interest. After reading Jiken with these points of view, Jiken can be regarded as a novel dealing with juvenile crimes as well as Komatsugawa incident unlike the previous studies which dealt with trial matters only. Thus, Jiken can be considered as Ōoka’s social accusations and comments on wrong rulings, such as juvenile executions, and as a work that revealed the problem of a boy in death row in Japan in the 1960s and 1970s. 오오카 쇼헤이(大岡昇平)의 『사건(事件)』은 집필 시기가 1961년이라는 점에서 고마쓰가와 사건(小松川事件)의 영향을 받은 것을 알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소년의 살인을 누구에게나 있을 법한 평범한 이야기로 풀어낸 점은 고마쓰가와 사건을 민족적 틀에서만 해석하려는 사회적 분위기에 대한 반발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본다. 이에 따라 본고는 『사건』에서 묘사한 소년범죄와 재판과정 및 결과를 분석하여 오오카가 소설을 통하여 지적하고자 한 현실의 문제점과 그에 관한 인식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더 나아가 1977년 단행본으로 출판된 이후의 수용 양상을 살펴봄으로써 1960년대와 1970년대 일본사회에 형성된 소년범죄와 사형에 대한 문제의식까지 검토할 수 있을 것이라고 판단하였다. 그 결과, 오오카는 『사건』에서 정치적, 사상적의 문제 보다는 소년범죄에 초점을 두고 당시 횡행하고 있는 소년범죄에 대한 이해를 촉구하고, 현실의 재판 결과에 대한 모순을 지적하여 오오카가 추구한 이상적 결말을 제시하며 문학을 통한 진정한 해결을 도모하였다. 또한, 소년의 살인을 다루는 재판에 대하여 현실적으로 설명하면서도 추리적 요소를 통해 재판의 문제점을 비판하는 양상을 갖추며 독자의 흥미를 불러 일으켰다. 『사건』을 이와 같은 오오카의 시도로 다시 읽을 때 재판소설로 읽던 기존의 관점에서 나아가 소년범죄 문제와 고마쓰가와 사건의 소년사형과 같은 잘못된 판결에 대한 오오카의 사회 고발과 지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동시에 1960-70년대 일본의 소년 사형수의 사건에 대한 문제의식까지 함께 볼 수 있는 작품이라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 KCI등재

        법을 넘어서는 증언(들): 일제 조선인 군속 수기와 수기의 소설화 연구

        허도경(許途耿) ( Heo Do-kyung )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24 어문연구(語文硏究) Vol.52 No.1

        이 연구는 일제 조선인 군속 수기와 수기를 바탕으로 한 실화 소설의 문학법리학적 성격을 고찰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문학법리학은 법과 문학의 관련성을 전제로 문학 텍스트를 공공의 상상력이라는 맥락에서 다시 읽고 해석하는 연구를 일컫는다. 문학법리학은 법이 절대적인 규범이 아니라는 전망 속에서 법과 길항하는 문학적 서사의 힘에 주목한다. 이 연구는 홍종묵의 수기 「나는 戰犯 아닌 전범」과 수기를 문학적으로 재구성한 정동주의 실화 소설 『콰이강의 다리』를 다룬다. 수기는 구체적 판결 사례와 진술을 통해 당대 법적 정의에 대한 문제를 제기하며 인권을 보장 받고 인간다운 삶을 영위하기 위한 법적 이야기를 구성한다. 수기는 일제의 기만적 정책과 연합국의 졸속적인 전후 재판 처리 과정, 국가의 보호를 받지 못하는 상황을 제시하여 여전히 개선되지 않은 법체계에 대한 반성과 응답을 요청하는 증언의 기록이다. 『콰이강의 다리』는 홍종묵의 수기를 모티브로 한 전기 양식이되 문학적 재구성 및 허구적 설정을 통해 수기와의 서사적 대화를 도모한다. 『콰이강의 다리』는 과거와 현재의 시·공간적 배경을 교차시키는 장 구성으로 앞 장의 전범 재판에서 고려되지 않은 역사적 진실을 이어지는 장에서 해명하는 효과를 가진다. 또 실존 인물과 가상 인물을 포함하는 등장 인물에게 이름을 부여하고 다양한 인물을 초점화 대상으로 삼는다. 모든 인물에게는 자기만의 삶과 이야기가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소설은 다층적 서사를 통해 모든 인간은 법과 폭력에 의해 재단될 수 없는 존엄성을 가진다는 점을 증언한다. This study examines the literary jurisprudence of a true-life novel based on the memoirs and diaries of Korean Civilians in Military in Japan. Literary jurisprudence refers to the study of rereading and interpreting literary texts in the context of the public imagination under the premise of the mutual relevance of law and literature. Literary jurisprudence draws attention to the power of literary narratives to contest the law in accordance with the view that law is not an absolute norm. This study examines Hong Jong-mook’s memoirs I, a War Criminal Who Is Not a War Criminal and the true-life novel The Bridge on the Kwai River, which is a literary reconstruction of the memoir. By examining the narrative structure and narrative features of the memoirs and the novel, this study explores the ways in which the memoirs resists the war criminal judgement and the novel seeks to restore the dignity of the ‘Korean Civilians in Military.’ Hong Jong-mook’s memoirs raise questions about the legal justice of the time through specific case judgements and statements, constructing a legal narrative to ensure human rights and a dignified life. The memoirs are a record of testimonies that call for reflection upon and response to a legal system that has yet to be improved by presenting the deceptive policies of the Japanese regime, the slow post-war trial process of the Allies, and the lack of state protection. The Bridge on the Kwai River takes the form of a biography based on Hong Jong-mook’s memoirs, but uses literary rewriting and novelization to create a narrative dialogue with the memoirs. The Bridge on the Kwai River is structured in chapters that intersect the temporal and spatial backgrounds of the past and present, with the effect that historical truths not considered in the war crimes trial in the previous chapter, are elucidated in subsequent chapters. It also gives names to most of the characters, both real and fictional, and focuses on a variety of people. Showing that every character has his or her own life and story, the novel’s multi-layered narrative testifies that all human beings have a dignity that cannot be truncated by law and violence.

      • KCI등재

        『鹿洲公案』을 통해 본 송사 형상 고찰 - 청대 사법 문화 속 관부와 송사의 갈등 양상을 중심으로-

        김규태 중국인문학회 2021 中國人文科學 Vol.- No.77

        중국의 역대 왕조는 爭訟에 대해 부정적으로 바라보았다. 더불어 이를 보조하는 역할을 담당한 訟師는 쟁송을 부추기는 사회악으로 인식하기도 했다. 그래서 제도를 통한 송사 탄압이 발생하였고, 이는 청대에 더욱 구체화되고 심화되었다. 청대의 역대 황제들이 勅諭를 통해 송사의 문제점을 지적한 것은 이를 뒷받침한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청대 지방관리인 藍鼎元이 쓴 『鹿洲公案』은 국가의 인식과 맥을 같이한다고 볼 수 있다. 『鹿洲公案』은 남정원의 실제 재판한 사건을 기록한 재판기록이면서도 글의 구성과 서술방식 등은 소설이라 보아도 무방하다. 물론 『鹿洲公案』 24편 전체에서 송사가 등장하는 예는 5편에 불과하다. 하지만 실제 지방관아의 지방관이 직접 남긴 기록이라는 점과 일관되게 송사에 대해 부정적으로 묘사하고 있는 점은 청대의 관부에서 송사를 바라보는 인식이 충분히 드러난다고 보아서 『鹿洲公案』을 연구의 저본으로 삼은 것이다. 『鹿洲公案』 속 송사들은 모두 기본적으로 뛰어난 말솜씨와 대범한 성격을 지닌 것으로 그려진다. 소송을 교사하여 자신의 이익을 추구하고, 지방의 무뢰배나 관의 서리와 결탁하여 무고한 이들의 재산을 취하려 하기도 했다. 특히 林炯璧이나 陳興泰와 같은 송사들은 죄상을 다 밝혔음에도 처벌을 받지 않고 빠져나오는 등 藍鼎元보다 한 수 위의 능력을 보이기도 했다. 남정원은 송사와 관련된 재판기록을 통해 송사가 지방사회에 끼치는 악영향과 지방 관부에 미치는 파장 등에 대해 토로하였고, 이는 청대의 사법 문화 속에서 관부, 특히 지방의 관리들이 갖고 있던 송사에 대한 인식을 재삼 파악할 수 있게 하였다.

      • KCI등재

        ‘소설(小說)’의 사실, 법률과 재판 : 『와사옥안』과 이해조의 『구마검』, 『구의산』을 중심으로

        조형래 ( Cho Hyung-rae ) 민족문학사학회·민족문학사연구소 2018 민족문학사연구 Vol.66 No.-

        이 글의 목적은 서구와 동아시아의 법률 개념 및 제도 간 차이와 유사성이 병존한다는 전제하에 특히 후자에 기초하여 이해조 신소설에 나타난 ‘밝은 세상의 법률’에 관한 다양한 문화적 표현들이 일부 전시대의 그것을 계승한 측면이 있다는 것을 규명하는 데 있다. 서구와 동아시아의 형사 제도에는 역사적으로 법문의 관철을 통해 사실을 문자적으로 복원하고 판결하는 불편부당성에 대한 신뢰가 존재했다. 조선에서 『와사옥안』의 검험관에 의해 주도되는 사실 복원의 문체는 리얼리즘의 선행형태로서 작용한 측면이 있다. 서구 법제의 도입을 표방한 이해조 신소설의 ‘밝은 세상의 법률’의 실질적인 작동은 그러나 조선후기에 광범위하게 작동한 형정 제도의 유산이 일부 예기치 않게 회귀한 측면도 있다. 그것은 과거 공권력과 일치된 적이 있었던 서술자의 지위가 신소설에 있어서도 모든 현상을 보고 들으며 경험하고 해석하여 논평하는 중심으로서의 권위를 갖는 모습으로 관철되었다. 또한 검사를 연상시키는 서술자의 위치에 몰입하거나 스스로를 일치시킬 수 있었던 독자는 국권상실을 전후한 시기에 미디어를 통해 중개되고 있었던 세간의 지옥도로부터 거리를 두고 있다거나 안전한 위치에 머물고 있다는 안도감을 확보할 수 있었다. 그것이 신소설이라는 허구적 서사물의 형식에 대한 몰입을 통해서만 가능했다는 것은 역설적이었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the similarities or differ-ences between legal concepts and institutions in the West and East Asia coexist, and in particular, various cultural expressions related to the “Law of the Enlightenment World” And that there is. In the Western and East Asian criminal systems, there was a trust in the unfairness of restoring and judging the facts literally through the passage of the law. The style of the fact restoration, which is led by the coroner in Wa-Sa-Ok-An serves as a preliminary form of realism. The actual operation of the “Law of the Enlightenment World” of Yi Hae-Jo’s Sin-so-seol, by the introduction of the Western legal system, how-ever, has also unexpectedly returned to the legacy of the system of criminal law, which operated extensively in the late Joseon Dynasty. It is understood that the status of the narrator who had been in agreement with the past public power was carried on in the Sin-so-seol as a center of authority to see, hear, experience, interpret and comment on all phenomena. In addition, readers who were able to immerse themselves in the position of the narrator who reminded prosecutor, or to coincide themselves with each other would be relieved that they were away from the harsh environment that had been mediated through the media in the Japanese annexation of Korea or that they were staying in a safe position. It was only possible through the immersion of the fictional form of the Sin-so-seol.

      • KCI등재

        우화소설의 지식 담론 활용과 그 후대적 변용

        정충권 ( Jeong Choong-kwon )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021 고전문학과 교육 Vol.47 No.-

        이 글은 우화소설에 나타난, 지식 담론 활용 양상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 글이다. 먼저 조선 후기의 우화소설들을 대상으로 하여 그 속에서 활용된 지식의 성격을 살폈다. 그 결과 이론적, 교양적 지식이 주로 활용되면서도 민속적, 실용적 지식도 섞여 있음을 알 수 있었는데, 이는 조선 후기 지식계의 동향과 관련되리라 보았다. 이에 이어 <두껍전>, <토끼전>, <장끼전>, <서동지전> 등을 대상으로 하여 그 속 지식의 담론적 활용 양상을 살펴 보았다. 그 결과는 이러했다. 우선 중국의 역사, 고사, 한시문 등에서 작중 상황에 어울리는 지식을 끌어옴으로써 설득력을 높이는 한편, 그 권위에 기대어 작자 또는 발화자의 품격을 높이려는 활용 방식을 발견할 수 있었다. 또한 화자가 자기 과시를 위해 지식을 활용하는가 하면, 통상적인 것과 다른 해석 맥락을 통해 지식을 상대화하기도 하고 자신에게 유리하도록 왜곡하여 이용하는 양상 역시 발견할 수 있었다. 이야기 형식의 지식을 통해 독자로부터 흥미를 자아내려는 모습도 볼 수 있었다. 이러한 활용 양상들을 통해, 현실 대응력이 약화됨으써 기왕의 절대적 전범으로서의 위상이 허물어져 가던 전통적 지식을 수 용하거나 혹은 상대화함으로써 담론적 권력을 확보하려는 의도를 느낄 수 있었다. 그 다음 작업은 근대로 접어들 무렵 창작된 우화소설들 곧 <금수회의록>과 <금수재판>에서는 앞서 살핀 지식 담론 활용의 양상이 어떻게 나타나는가를 살피는 것이었다. 그 결과 이 두 작품에서도 앞서 살핀 것과 유사한 활용 양상이 발견되었다. 그 점은 이 두 작품의 서술 방식이 조선 후기 우화소설의 연속선상에 놓여 있음을 뜻하는 것이었다. 하지만 서구의 지식, 예컨대 성경 내용이나 동물의 생태 관련 과학 지식 등의 새로운 지식들을 수용하고 있다는 점, 연설 혹은 논쟁을 벌이게 된 상황이나 그 주제의 심각성만큼이나 담론 활용시의 발화자나 서술자의 태도가 진지하다는 점, 발화자의 자기 과시적 지식 활용이나 재미를 지향하는 활용 양상은 별로 보이지 않고 있는 점 등의 차이점이 발견되었다. 두 작품은 우화소설의 지식 담론 활용의 수사적 전통이 근대초기 지식층의 계몽적 의식과 다소 어색하게 결합되어 결과적으로 경직된 활용 양상을 띠게 된 경우들이라 판단하였다. This article intends to discuss the use of knowledge discourse in fable novels. It considers fable novels in the late Joseon era as the subjects, and examines the nature of the knowledge in them. As a result, it finds that while theoretical and cultural knowledge were mainly utilized, folk and practical knowledge were also mixed, which may be related to the trend of the knowledge at that time. Subsequently, this study examines the aspects of discourse utilization of knowledge contained in Dukkeopjeon, Tokkijeon, Jangkkijeon, and Seodongjije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pects of utilization increased persuasion by bringing the knowledge appropriate to the situation in the historical events, ancient events, and Sino-Korean poetry in China, and by relying on its authority, to find a way to raise the dignity of the author or speaker. Moreover, the speaker would utilize knowledge to show off, and by presenting an interpretation context that differs from conventional interpretations, it is found that they would find a way to relate the "typical model" and to distort and use knowledge to their advantage. It is also shown that the utilization aspect of story-telling is of interest to readers. Through these aspects of utilization, with the double consciousness of traditional knowledge, which has been undermined as a bygone absolute "typical example" by the weakening of the reality response, there is a feeling that the atmosphere reserves new discourse power by reconstructing existing knowledge. Then, this article examines how fable novels created around the time of modernization - namely, the aspects of utilization of knowledge discourse which were examined earlier - appear in the Geumsuhoeeuirok and the Geumsujaepan. It detects, in these two works, an aspect of utilization similar to the previous ones, which means that their narrative lies in the continuous line of fable novels in the late Joseon era. However, this study finds some differences, such as that it accepts Western knowledge, has knowledge of the Bible and ecology of animals, the attitude of the speaker or delineator in utilizing discourses is as serious as the situation in which the speech or controversy occurs or the severity of the subject matter, and that the speaker's self-exaggerated knowledge utilization and fun-oriented aspects are often not visible. Thus, both works show that the rhetorical tradition of utilizing the knowledge discourse of fable novels is combined with the enlightening consciousness of early modern knowledge.

      • KCI등재

        근대계몽기 지식인 독자의 ‘읽기’와 ‘쓰기’

        전은경(Jun, Eun-kyung) 국어국문학회 2013 국어국문학 Vol.- No.165

        This thesis studied on a Intellectual"s "Reading" and ‘Writing’ in the age of modern enlightenment. Namely, It studied on 〈the readers" column; 諷林〉 and novels of discussion form in the Newspaper 〈Daehanminbo(大韓民報)〉 such as Byungingansinhuyrok (『病人懇親會錄』), Jeolyoungsinhua (『絶纓神話』) and eumsujaepan (『禽獸裁判』). The goal of this paper is to inspect a process that readers who had studied Confucianism written by Hanmun(漢文) had changed to read novels written by Hangul(Korean letter). It is also to fi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aders in early modern era and the modern media.There were various culumns in the newspaper, 〈Daehaminbo(大韓民報)〉. The readers" column, Punglim(諷林) was the unusual space among other readers" columns in the age of modern enlightenment. A intellectual reader who had studied Hanhak(漢學) for a long time could put an record in Punglim (諷林). It was the sphere for intellectual readers, not the lower readers such as female readers. At the first place, Punglim(諷林) had demanded that the writing should have a satire and a metaphor like an allegory and narrative. It has related with novels written by Hangul. Specially, Punglim(諷林) is very similar to novels of discussion form in the Newspaper 〈Daehanminbo(大韓民報)〉. Therefore intellectual readers had written Punglim(諷林) and at the same time had read novels of discussion form.

      • KCI등재

        재미있는 고소설 교육을 위한 실천적 수업활동의 실제

        이민희 ( Lee Min-heui ) 한국문학교육학회 2016 문학교육학 Vol.0 No.52

        고소설 작품을 대상으로 한 수업 시간에 학습자들은 여전히 어려움을 토로 하는 경우가 적지 않다. 본 연구는 현 고등학생 73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얻은 결과를 토대로고소설 수업 시 어렵다고 느끼는 요인을 분석했다. 그리고 문제 해결의 일환으로 학습자들이 재미있는 고소설 수업이 라 여기는 활동들을 제안 받아 이를 실제 수업 현장에서 실천할 수 있는 구체 적인 활동들을 제시해 보고자 했다. 고소설 수업 시 문학의 수용과 생산, 그리 고 적용이란 측면을 고려해 고소설 어휘 교육과 인물 교육, 그리고 사건 교육 관련 여러 수업활동들을 설계해 보았다. 문학의 수용 단계에서는 고소설 작품 이해의 근간이 되는 어휘 이해와 내용 이해 중심 활동이 중요하다. 한자어 교육 및 벼슬명 교육, 그리고 인물관계도 와 사건기차를 통한 내용 파악 활동, 인물평을 담은 신문기사 작성 활동, 고소 설 속 인물이 되어 SNS에 글 써 보기 같은 활동, 고소설 작품을 소재로 한 웹 툰 작품과의 비교 활동 등이 작품의 내용 이해를 돕는 활동으로 유용하다. 특히 복잡한 서사구조와 갈등을 지닌 작품의 경우, ‘사건 기차’ 활동지를 활용한 활동이 효과적이다. 둘째, 문학의 생산 단계에서는 고소설 작품 이해 후 학습 자의 표현 및 창작 능력을 키우는 활동이 요구된다. 본문을 시나리오 대본 또 는 만화로 바꿔보는 창작 활동에서도 새로운 학습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마 지막으로 문학의 적용 단계에서는 고소설 작품 이해와 창작 활동을 토대로 현 실생활 속에서 적용 가능한 활동들, 이를테면. 선인과 악인에 대한 상장 수여 활동, 고소설 속 인물의 현상수배지 만들기, 작품 주제를 소재로 한 문학재판 활동, 또는 인물에 관한 문학 토론 활동 등을 활용해 흥미로운 수업을 설계할 수 있다고 보았다. 현 고등학생들이 기대하는 흥미로운 수업 활동은 단순히 수업 초기에 흥미 유발을 목적으로 한 준비활동이 아닌, 본격적인 수업 속에서의 활동을 의미한 다. 수업 전반에 걸쳐 재미를 느끼며 행할 수 있는 활동들, 곧 본문 작품 이해를 달성하고 폭넓은 체험 활동과 통합교육을 지향하는 실천적 활동들이 고소 설 수업 시간에 요구된다. 이런 점에서 여기서 제안한 수업활동 중 일부는 교 과서 본문 내용이해를 위한 학습활동으로도 충분히 활용 가능하다. 재미있는 고소설 수업의 설계와 실천적 활동은 재미가 교육 수단뿐만이 아닌 교육적 목 표가 될 때 더욱 그 의미가 커질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how to practice specific and fun activities for the classic novel work in the classroom on the basis of the results obtained by conducting a survey of the current 73 high school students. It is important for students to learn chinese vocabulary, main characters and events in the lesson of classic novel. It is required for students to feel fun about classic novel work, and to do many practical activities for more in-depth understanding. Students think that the strange Chinese vocabulary and a frequent title(position name) changes used on the classic novel text in textbook make themselves not to understand the work easily. The translated text using easy vocabulary in textbooks will need for students to feel interested. Therefore, here this paper suggest the fun activities that teach the classic novel work in class. These are so good activities in relation to character study that to create a character relationships map, to write on SNS in a view of figures in classic novel work, to make a certificate of merit for giving to the good and the wicked, to make a leaflet seek for character wanted in connection with a crime in classic novel work, and to write newspaper articles to introduce a good or bad person in classic novel work and etc. And when you want to analyze the classic novels with a complex narrative structure and conflict, you can take advantage of the fun activities in connection with event in classic novel work like following ; To identify and understand the contents of the classic novels can use the ``train incident`` activity. And an activity of changing original text in classic novel work into the scenario script or cartoon is also effective. A classic novels trial or literary discuss with content of classic novel work may also attempt to use activities. Providing interesting lessons design and practical activities are necessary in order to dispel the negative perception that lesson for classic novel is difficult and tedious. The classic novel class a fun-borne navigation is possible in the hope that it can also be educational means as well as educational goa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