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9세기 국어에 대한 종합적 검토

        閔賢植(Min Hyun-Sik) 국어국문학회 2008 국어국문학 Vol.- No.149

        The 19th century Korean language shows special features of the latter modern times Korean language and shifted to the Enlightenment Period Korean language that covers from the latter period of the 19th century to the early days of the 20th century. The texts of former part of the 19th century language are not many, but the latter part shows a lot of texts. Phonological history has the issues of the disappearance of the spelling of under-a/ㆍ/ and the period of vowel simplification of /ㅚ, ㅟ/. In the orthography history, the 19th century Korean language shows the main development of morphophonemic spelling with phonemic spelling and overl apping spelling. Spelling of fortis tried to change over an initial s(ㅅ) to the same double consonant. There was competition of style among Chinese char acter style, Korean character(Hangeul) style, and Korean-Chinese mixed style that imitates Japanese-Chinese mixed style. In the grammatical history, an honorific was divided into the six level honorific system and the modern tense-aspect system was established, and the use of a quotation marker '-ko' was increased. Lexical history shows rapid increase of borro wing words especially Japanese-Chinese technical terms. Ronggawoll yeongga, Ryuneum and newspaper advertisements show a new style of communication which requires new research approach by textlinguistics and discourse analysis. That time was a special period in terms of awakening of Korean language and orthography.

      • KCI우수등재

        국어학에서의 융합의 개념과 유형

        한재영(Han, Jae young) 국어국문학회 2015 국어국문학 Vol.- No.170

        본고의 목적은 국어학에서의 학문적인 융합이 뜻하는 바를 생각하여 보고, 융합의 유형을 살펴 국어학 연구가 지향하여야 할 방향을 점검하여 보는 데에 있다. 융합을 정당하게 이해하기 위하여, 여기서는 국어학과 관련된 학문 분야와의 관계와 국어학을 구성하고 있는 세부 학문 분야 사이의 관계를 살피고 구체적인 작업내용들에도 관심을 가지기로 한다. 본고에서는 국어학과 국어학 외적인 학문과의 융합이라고 할 수 있는 국어학과 문학의 문체론(文體論, Stylistics), 국어학과 사전학의 국어사전학(國語辭典學, Korean Lexicography), 국어학과 전산학의 국어정보학(國語情報學, Korean Informatics) 그리고 국어학과 교육론의 국어교육론(國語敎育論, Korean Language Education)의 내용을 먼저 살폈다. 다음으로 국어학 내적 학문 영역 사이의 융합이라고 할 수 있는 형태통사, 형태음운, 통사의미 그리고 통사음운을 주제로 삼은 기존의 논의 목록을 살펴 국어학에서 융합을 다룬 양상을 보았다. 국어학에서의 융합의 필요성을 보다 잘 느끼기 위하여 국어의 문법 현상 중의 하나인 ‘피동’의 경우를 중심으로 살펴, 피동이 파생이라고 하는 형태론적인 측면에서 뿐만 아니라 통사론적으로나 의미론적으로도 아울러 살펴야 할 주제임을 확인하고, 나아가 음운론 특히 성조론과 방언학의 문제와도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음을 인식할 수 있었다. 그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국어학에서 융합적인 사고와 접근 태도가 가지는 가치를 알 수 있었으며, 융합이 가지는 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해서는 개별 학문에서의 성과가 전제가 된다는 점도 지적하였다. The objective of this manuscript is to consider the meaning of academic convergence in Korean linguistics and examine the direction to which a study of Korean linguistics should be oriented by exploring the type of convergence. In order to understand convergence legitimately, the manuscript examines the relationship among academic fields related to Korean linguistics, the relationship between sub-academic fields constituting Korean linguistics, and specific contents of work. This manuscript first explores Korean linguistics and stylistics in literature, Korean linguistics and Korean lexicography, Korean linguistics and Korean informatics in computer science, and Korean linguistics and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education theory, which can be considered as the convergence of Korean linguistics and the academic study of other linguistics-related fields. Next, it examines previous discussions on morphosyntax, morphophonology, syntactic semantics, and syntax-phonology, which can be described as the convergence of various academic fields of Korean linguistics, and the aspect of convergence in Korean linguistics. In order to better explore the need for convergence in Korean linguistics, it is confirmed that the grammatical phenomenon of passivity is a subject that needs to be considered, not only from a morphological perspective, which claims that passivity is derivation, but also from syntactic and semantic perspectives. Additionally, the manuscript confirms that phonology is closely related to issues of tonology and dialectology. Through this process, the manuscript examines the value of convergent thinking and approach in Korean linguistics and points out that the results of individual studies become the premise for increasing the effectiveness of convergence.

      • KCI우수등재

        광복 70년 국어교육의 응전과 통일 시대의 과제

        이삼형(Lee, Sam-hyung) 국어국문학회 2015 국어국문학 Vol.- No.173

        본고는 광복 70년의 국어교육의 여정과 통일 시대 국어교육의 과제에 대한 논의다. 건국기는 광복을 맞이하여 새로운 나라 건설에 국어교육의 역할이 강조되었다. 국어교과서 편찬에 당시 대표적인 학자가 총망라되었으며, 소위 좌익 계열 작가들의 작품도 포함됐다. 이승만 정부의 수립 후에는 반공이데올로기를 전면에 내세움에 따라 국어교육에 대한 도전이 시작된다. 개발독재기에는 반공 이데올로기와 경제 개발과 관련된 이데올로기가 결합된 국가적 이데올로기가 교과서에 많이 반영되었다. 민주화기에서는 국가적 이데올로기에서 벗어나 국어문화 창조라는 본연의 목표에 주력하게 된다. 이러한 여정은 크게 보면 국어교육에 대한 외적 도전과 그에 대한 응전이다. 다른 한편으로 70년 동안 국어교육 이론의 정련화, 비판적 문식성의 강조 등 국어교육이 체계화되는데 이는 내적 응전이라고 할 수 있다. 통일시대의 국어교육의 과제로 언어의 이질성 극복이 지금까지 많이 논의되었다. 본고는 이 문제보다 공산주의 교육체제에서 길들여진 교사와 학생들을 어떻게 하면 민주시민으로 변화시키느냐의 문제가 더 크다고 보았다. 이러한 문제에 대한 연구가 시급히 이루어져 통일에 대비하는 국어교육이 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iew Korean Education(KE) since 1945 and to anticipate the task of KE for the reunification of South and North. KE responds to challenge of external condition and internal problem in the past 70 years. The external challenge is divided three period. In the period of establishing a country(1945-1950), KE puts emphasis on inspiring the conscious of the national language. In the period of Korean war, there are many reading material about ideology of anti-communist and gratitude to America(U.N.). In the period of economic development, in order to unify people for economic development KE is influenced by national ideology. In the period of democratization, KE makes an effort to escape from the national ideology. The response of KE to internal challenge are to establish the identity of KE and to emphasize higher order thinking and to refine curriculum and textbook. Among the tasks of KE in the period of unification the difference of language between south and north is not very serious than expected. But teacher and student who is educated North korea’s Juche Idea are very serious. To make them of democratic citizens is going to come to challenge of KE.

      • KCI우수등재

        사회 현상으로서 한국어교육(학)의 정체성 재고와 전망

        강남욱(Kang, Nam-wook) 국어국문학회 2021 국어국문학 Vol.- No.196

        이 연구는 2000년대를 전후하여 본격적으로 성장해 온 한국어교육이 한국 사회에 어떠한 현상들을 일으켜 왔으며, 학문으로서 한국어교육학은 이 현상에 조응하여 어떠한 방향과 정체성을 형성해 왔는지를 거시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외국인들이 한국어를 배운다는 이미지는 민족주의와 결부되어 다소 편향성을 띤 채 한국 사회에 자리잡아 왔으며, 최근에는 유튜브와 같은 거대 플랫폼에서 ‘외국인 반응’과 같은 콘텐츠의 유형으로 진화하고 있다. 한국어교육 현상 속에서 보이는 편향성과 편견의 위태함은 동시에 한국어교육학의 정체성과도 밀접하게 연관되며, 한국어교육을 연구하고 교원을 양성하는 대학에도 다시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이에 대해 한국어교육학의 내적 정체성의 문제와 외적 운영의 문제로 나누어 학술사, 대학의 생태, 제도와 정책 면에서 그 난점을 살펴보았으며, 궁극적으로는 ‘국어-한국어’의 이분법적인 시각을 넘어 ‘자연어’로서 한국어의 의사소통을 살피고 그 역량에 기여하는 학문으로서, 또 한국 사회의 언어다양성에 대해 대응하고 바람직한 길을 모색할 수 있는 학문으로서 한국어교육학이 역할을 할 때 세계 어문학으로서 기여할 수 있음을 논의하였다. The present study sought to take a broad view and examine the social phenomena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which had grown around the 2000s, and the direction and identity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an academic discipline in response to this phenomena. The image of foreigners learning Korean has been somewhat biased in Korean society in conjunction with nationalism, and has recently evolved into a type of content such as “foreigners’ reaction” on mass contents platforms such as YouTube. The risk of bias and prejudice seen in the phenomena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s again closely related to the identity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it is also having a huge impact on universities that study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teacher training. In this study, I divided the internal identity of Korean education into external operations and the difficulties of diachronic academic field, university ecology, administrative system and policy. Ultimately,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a academic discipline have to play a significant role to find implications of communication, to overcome native-nonnative dichotomy, to exploring desirable prospects in language diversity community as a nature of language for Korean speakers.

      • KCI우수등재
      • KCI등재

        20세기 국어 문법의 통시적 변화

        홍종선(Hong Jong-Seon) 국어국문학회 2009 국어국문학 Vol.- No.152

        Contemporary Korean means the Korean language of the 20th century. The period of Contemporary Korean, which began at Kabogeongjang(1894) and covers throughout the 20th century to the present. could be divided into three terms. - The first term (l894-the end of 1910s): the formulating period of Contemporary Korean - The second term (the beginning of 1920s-1945): the establishing period of Contemporary Korean - The third term (1945-the present): the growing period of Contemporary Korean During the first term, the Korean language still maintained the properties of Modern Korean period even though several new grammatical elements were formulated. For example, the use of '-ki' nominalization increased and many derivative words were newly formed reflecting the rapid change in lifestyle. Tense became a stable grammatical category, and the syntactic formatives tended to be used more in the formation of passives, causatives and negation etc. Also, in written materials, conjoined sentences of some length are often found. In the second term, the Japanese language affected almost all aspect of Korean including morphological properties and phrasal structures etc. In addition to the use of stereotypical conjoined sentences formed with '-ni', the use of simple sentences started to increase during this period, and various types of complex sentences came to take shape. Even though Korea was unfortunately divided into two language areas in the beginning of the third term, the Korean language is under steady progress. In the formation of complex words, the number of words which are formed against existing formation rules are increasing and loan words from English and other languages are used more. Also, the syntactic expressions in passives, causatives, negation, nominalization and future tense etc. are found more often than their morphological counterparts.

      • KCI우수등재

        국어사의 발전과 과제

        한재영(Han, Jae-young) 국어국문학회 2018 국어국문학 Vol.0 No.184

        본고는 ‘국어사 대계’(가칭, 이후 ‘대계’로 약칭하기로 함)를 준비하는 과정의 일환으로 국어사 기술의 현황을 돌아보고, ‘대계(大系)’를 집필하게 될 경우에 생각하여 볼 내용들을 점검하기 위한 자리로 마련되었다. ‘대계’의 얼개를 제시하고, ‘대계’를 준비하면서 취하여야 할 태도와 스스로 유의하여야 할 점들에 관하여 ‘국어사’를 기술하기 위한 영역별․주제별 부분 작업들이 진행될 경우에 유의할 점들을 돌아본 것이다. ‘대계’의 집필을 위하여 먼저 진행한 작업은 다루고자 하는 영역과 주제를 정하는 일이었다. 방법론과 국어사의 여러 문제 그리고 국어사를 집필하기 위한 자료와 관련된 문제라는 점에서 문자와 표기 관련 주제를 ‘대계’의 하위 영역에 넣기로 하였다. 아울러 음운, 문법, 어휘 영역의 하위 분야도 기존 업적에 기대어 정리하여 보았다. 이어 집필 과정에서 염두에 두어야 할 점들을 영역별 사례를 들어 살펴보았다. 먼저 자료의 보완이라고 하는 점에서 고려시대의 이두와 석독구결 자료 목록을 확인하여 검토 과제로 제시하였다. 같은 이유로 그동안 충분한 검토의 대상이 되지 못하였던 근대국어 자료에 관한 관심도 필요한 상황임을 이야기하였다. 보다 구체적인 내용으로는 먼저 음운론과 관련하여 성조 문제를 생각하여 보았고, 문법론과 관련하여서는 격과 경어법 그리고 시상 문제를 들어서 예로 제시하였다. 변화를 이야기할 경우에는 변화의 시기 파악이 그리 간단한 것이 아님을 이야기 하였고, 체계 변화를 이야기하기 위해서는 제기될 수 있는 문제를 수용할 수 있는 체계 확립을 도모하고 그를 바탕으로 변화를 논의하는 것이 온당할 것이라는 견해를 제시하였다. 아울러 기존의 많은 논의에도 불구하고, 선입견이나 편견에서 벗어나야 사실에 가까이 갈 수 있음도 지적하였다. 집필이 마무리된 이후라고 하더라도, 의미있는 국어사의 시대구분 작업은 여전한 과제가 될 것임도 이야기하였다. 영역별․주제별 시대구분의 판단에 활용된 각각의 사건이 가지는 가치판단 작업과 그 과정에서 동의를 구하는 작업 자체가 그리 만만한 일이 아닐 것이기 때문이다. As a first step to prepare an outline with the Korean language history (hereafter, “Outline”), this paper reviews the current literature on the Korean language history and the tasks to be done for developing Outline. We propose the framework for Outline and suggest the attitude that scholars should have throughout the whole period of writing Outline. Firstly, we determine the areas and the topics to be addressed for writing Outline. Since Outline targets to develop a methodology, solve various problems of the Korean language history, and provide with the data to document the Korean language history, we locate the subjects related to the letters and notation the subcategories of Outline. In addition, we, building on prior works, include some part of related fields, such as phonology, grammar, and lexicon, in this paper. Secondly, we give some cautionary notes on authoring the Korean language history with the examples for each area. We begin with reviewing the list of documents of “Idu” and “Gugyeol” in the Goryeo Dynasty of Korea as supplementary material to be included. For the same reason, we ask for scholars’ attention towards data on the modern Korean language, which has not been examined sufficiently. More specifically, this paper examines tone in terms of phonology. It also discusses a case, honorific and tense in relation to the grammatical theories. When it comes to changes, we note that distinguishing the timing of the changes is not a simple but a complex task. We propose that scholars better establish the system which embraces the possible problems occurring from the task. Despite the existing discussions around this issue, we point out that new approach, by which scholars can get rid of their prejudices and preconceptions, can get us closer to the truth. Even after the Korean language history is written, a meaningful periodization of the Korean language history will be a task for future researchers to continue. This is because both judging the value of each event used for the periodization and making a consensus on the result are demanding.

      • KCI우수등재

        語尾 ‘-니’의 範疇

        南基卓(Nam, Ki-tak) 국어국문학회 2015 국어국문학 Vol.- No.172

        현대국어의 語尾 ‘-니’는 平敍形 終結語尾, 連結語尾, 疑問形 終結語尾로 기능하는 형태소이다. 평서형 종결어미와 연결어미로서의 ‘-니’는 중세 국어와 현대 국어사이에 큰 차이가 없이 사용되고 있다. 현대 국어의 어미 체계는 당연히 通時的 變化의 결과이지만 극히 제한된 문헌자료들의 특성에 따라 새로운 시각으로 待遇法 체계나 語尾의 分化 문제들을 점검하는 것이 주요 목적이 될 것이다. 중세국어의 어미 체계와 현대국어의 그것이 단순과 복잡의 특성으로 이해되는 것은 정당한 것인지, 아니면 중세국어의 제한된 情報와 현대국어의 다양한 情報 때문에 만들어진 결과인지 점검해보는 것도 충분히 가치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해체’ 終結語尾의 출현 시기도 19세기보다도 앞선 16세기 또는 新羅 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갈 수 있다는 점은 連結語尾의 終結語尾化라는 절차에 따른 형성을 부정하는 근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또 15,6세기, 17,8세기, 19세기 이후의 문헌이 지니는 특성을 고려할 때 현재의 通時的 語尾 體系에 대한 재검토가 요청된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어미 ‘-니’를 통해 어미 체계의 검토해보고자 한다. Modern Korean ending ‘- ni’ functions as declarative endings, connective endings, interrogative endings. ‘- Ni’ as declarative endings and connective endings has been used without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Modern Korean and Middle Korean. The emergence time of Korean sentence-terminating endings without honorific can be traced back to the 16th century or earlier Silla era and this premise could be a basis to deny the shift from connective endings to sentence-terminating endings. A review of the diachronic system of current endings can be requested having given the nature of the literature in 15,6 century, 17,8 century and the 19th century. In conclusion, interrogative endings ‘-ni’ will be able to assume that there is a possibility that pre-existing Middle Korean. Overall, it would consider the nature and quantity of old literature over the future of research in order to overcome the limitations that describe the hypothetical position to do this work to review the current endings system.

      • KCI우수등재
      • KCI우수등재

        인문학 위기 속의 국어정보학의 현황과 전망

        최정도 국어국문학회 2022 국어국문학 Vol.- No.201

        이 논의는 인문학의 위기라는 큰 주제 아래, 대학을 중심으로 국어정보학의 현 상황을 진단하고, 문제가 있다면 그 돌파구를 마련하는 것이 목적이다. 4차산업혁명과 인공지능 개발이라는 시대의 흐름에서 인문학 중에 4차산업혁명과 가장 유관한 국어정보학이 각광을 받을 것 같지만 현실적으로는 그렇지 못하다. 이는 각 대학에서 국어정보학 관련 강좌가 개설되지 않는다는 사실과 강좌를 이끌어갈 전문가의 부족, 국어정보학을 경험해 볼 수 있는 환경 조성의 미비 등의 탓으로 보았다. 이를 타개하기 위해 먼저 학부 교육 과정에 국어정보학 관련 강좌를 설치할 것을 주장하였다. 국어정보학 강좌 개설은 꼭 국어정보화 인력 양성에만 그치지 않고 인문학도들이 사회에 진출하여 활용할 수 있는 컴퓨터 능력을 함양할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다. 그리고 컴퓨터를 잘 다루지 못하는 인문학도의 수준에 맞게 난도를 조절할 것을 주장하였다. 마지막으로 국어정보학적 관점에서 연구용 언어 자료의 폭을 넓힐 것과 인공지능 개발용 평가 체계나 평가 세트 개발에 관심을 가질 것을 주장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