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時調를 통한 松伊와 黃眞伊의 同異性 비교 고찰

        이화형(Lee, Hwa-Hyung) 한국시조학회 2011 시조학논총 Vol.35 No.-

        기생들의 문학은 사대부들의 문학과 더불어 우리 문화사에 소중한 발자취로 남아 있다. 기생들이 읊은 시조 역시 사대부들의 것과 함께 우리 시가사에서 커다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그리고 지금까지 심도 있는 연구의 결과 기생들의 문화사적 역할과 성과에 따른 상당한 평가가 내려지고 있다. 특히 기생 松伊는 가장 많은 작품을 남기고 일찍이 名妓로 평가받은 바 있으며, 역시 명기로 예술적 재능을 인정받은 黃眞伊도 6수나 되는 시조를 남기면서 현재 고교 문학교과서 수록 1위에 오를 만큼 모두가 보물처럼 귀하게 다루어지고 있다. 기생으로서 전문적 문인의 위상을 보이며 어느 누구보다 자존심이 강했던 조선중기의 이 두 여성이 공통점과 더불어 사뭇 성향을 달리함에도 불구하고 비교 논의되지 않았던 점은 아쉬움으로 인식되고 있었다. 詩妓들은 물론 여성이자 기생으로서의 삶과 의식에 있어 한계도 드러낼 수밖에 없었지만 재능과 교양을 갖춘 인간으로서 근원적 자존심을 숨길 수 없었다. 다만 그들은 신분적 갈등을 느끼면서도 사회적 규범을 벗어나기에는 역부족이었고 자연히 그들의 시적 대상은 정치적 현실과 거리를 둔 근원적 인간 내면의 문제로 기울어졌을 것이다. 다시 말해 詩妓들은 주로 애정관계를 시적 모티브로 삼아 인간의 총체적인 삶의 지향성에 대해 고민했다고 볼 수 있다. 송이와 황진이의 시세계도 존재론적인 본질에서 벗어나지 않았다. 무엇보다 두 시인이 자존심을 바탕으로 순수와 진실을 추구함에 있어서는 동질적이라 할 만하며, 신분적 한계로서의 정념에 시달렸던 것도 마찬가지로 동일시할 수 있었다. 그러나 황진이는 늘 자신감에 차 있고 주체적 입장에서 의지적으로 인간과 세상을 보고자 했다면, 송이는 자신감과 달리 비교적 감성적이며 소극적인 성격의 자조적인 모습을 보였다고 하겠다. 자신들의 고유한 체험이 보다 진솔하게 구현된 시조작품을 통해 조선중기에 활동했던 대표적인 두 기생을 비교해 봄으로써 기생들 작품세계의 전반적 특성과 아울러 다채로움을 이해하는 단초가 될 수 있었다고 본다. The literature of kisaeng is so important in Korean literature. The kisaeng's sijos are given a great deal of weight on the history of poetry. They are set a high value on kisaeng's art abilities and literary works by the lots of studies. Especially, Songi was evaluated as an outstanding gisaeng and poet. And the most famous woman artist, Hwangjini handed down 6 sijos also. But they are not compared though they are the representative kisaeng artists in Choseon dynasty. It is so inconvenient not to study on two women and their works. They had some limits as women and kisaeng in life and thinking. But they had some kind of prides as talented human beings. It was hard to escape from social rules though they had conflicts in status. It was right to have concern on the nature and write about ultimate matters on human beings. They are concerned about the ultimate purpose of life and they made poetic motive as love affair. The poetic directivity of Songi and Hwangjini stood on essentiality of ontology. They had similarity in the point of that they pursued purity and fidelity on pride and suffered by the limits on status. Hwangjini had confidence in herself and tried to see the human and the world as strong subject. But Songi showed sentimental, passive and self ridicule inclination. It is so important to compare two representative women poets and their poetry in Choseon dynasty in this study. Because it makes possible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and the diversity of kisaeng's literature.

      • KCI등재

        小訥 盧相稷 漢詩 硏究-<辛亥記行>을 中心으로-

        이희목 우리한문학회 2007 漢文學報 Vol.17 No.-

        Sojae Noh Sangjik(1855~1931), a confucian intelligentsia, who upheld a scholastic legacy of Toegye and a tradition of Sirhak (Practical learning) from Southerners (Namin) in near-capital area, lived in a period of historical upheaval that Korea lost her sovereignty to a forceful foreign nation, Japan. Among his collection of approximate three hundred works of poems in classical Chinese, Sinhae gihaeng (Travel poems in 1922) deserves to be notable. It is a kind of on-the-road work of sixty-nine poems in the form of seven-character-four line depicting the way to West Manchuria in the year 1911, the very next year of lost national sovereignty to Japan. The title of each poem was named after station names of the railroad lines that had newly constructed from Seoul to Busan and Seoul to Euiju. Whenever passing each station, he adopted various events and stories related to the station and made his poetic works meaningful reflecting realities. The significant mood in Sinhae gihaeng consists of like these: cynical thinking of an exile leaving his native land, retrospective feeling of a scholar considering historical events of facts at passing spots, and patriotic emotion raised from national difficulties and situation. New scenes from development and modernization merely brought him a temporal interest. A streak of budding hope, however, is undercurrent there so that we can glimpse that poet's mind was not full of absolute despair. It seems to me that a tint of hope conceived in a poem such as like a tree was likely to be energy for poet's lifelong activities of teaching and publishing. 小訥 盧相稷(1855~1931)은 退溪의 학통을 잇고 近畿 南人 實學의 전통을 계승한 유가 지식인으로 외세에 나라를 빼앗기는 민족사의 격변기를 살았다. 300수에 가까운 그의 한시에서 辛亥記行이 주목된다. 경술년의 국치를 당한 이듬해 서간도로 망명하는 여정을 69수의 칠언절구 형식으로 형상하였다. 각수의 소제목으로 사용된 것은 거의 경부선과 경의선 철도의 역 이름이다. 거쳐가는 역에서 그곳과 관련된 여러 가지 소재를 사용하여 흥미로운 작품을 남겼다. 신해기행에 나타나는 情調는 대체로 자신의 삶의 터전을 떠나야하는 망명객으로서의 조금은 자조적인 소회, 지나는 곳의 역사적 사건 혹은 사실과 관계되는 회고적 감회, 국가의 현실과 자신의 처지가 맞물려서 일어날 수밖에 없었던 우국적 심회가 주류를 형성하고 있다. 새로운 광경에 대한 관심은 일시적인 것일 뿐이다. 한편 일부의 한시에서 일말의 희망을 조심스럽게 피력하고 있는 것을 보면 소눌의 마음이 비관 일색은 아니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若木’에서 보이는 희망이 소눌이 평생 견지했던 왕성한 講學과 出版事業의 원동력이었다고 하면 과언일까?

      • KCI등재

        지역사회개발 절충적 접근법의 이론 및 적용방안- 국제개발협력 지역사회개발분야에 지니는 함의를 중심으로

        남수연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18 인문사회과학연구 Vol.19 No.1

        This study aims 1) to draw a mid-point approach between the self-help approach and the technical assistance approach in community development, and 2) to provide implications for applying the mid-point approach in community development projects conducted under the Korean international development endeavors. The Korean international development literature has little examined theoretical approaches to rural development. In general, the technical assistance approach focuses on structural and infrastructure development whereas the self-help approach focuses on enhancing social relations among community members, as a basis for a long-term community development. These approaches have had operational problems, particularly in effectiveness of development interventions. The technical assistance approach has been criticized for ignoring capacity building of communities, including the establishment of democratic processes of development, thereby impeding community sustainable development. On the other hand, the self-help approach in general requires considerable time and resources to demonstrate its effectiveness, because of its focus on capacity building rather than physical environment improvement. Considering the sharp contrast between the two approaches in terms of initiatives, scholars of community development have recently called for identifying a mid-point approach to community development. This study suggests a type of the mid-point approach by examining theories of community development. Then, it proposes the ways to apply the approach to the community development projects conducted under the Korean international development endeavors. 본 논문은 지역사회개발에 대한 이론적 유형 고찰을 통해 지역사회개발에 대한 절충적 접근법을 도출한 후, 국제개발협력 지역개발분야에의 적용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지역사회개발은 기술지원적 접근법과 자조적 접근법으로 구분할 수 있다. 기술지원적 접근법은 전반적으로 지역사회의 사회 구조적 측면과 기반시설 확충에 중점을 두는 반면, 자조적 접근법은 지역사회 공동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집합적인 행동을 취하는 데 기반이 되는 사회적 관계 및 역량 강화를 강조한다. 그러나 이 두 가지 접근법은 개발도상국과 같은 낙후지역에 그대로 실행되기에는 실효성에 대한 문제가 제기되어왔다. 기술지원적 접근의 경우 민주적 절차성과 지역사회개발역량 강화라는 근본적인 지역사회개발의 목적을 달성하지 못한다. 자조적 접근의 경우 지역의 낙후된 물리적 환경에 대한 개선이 선행되지 않은 역량강화는 효과성을 가지기 어렵다. 이에 따라 본고는 순차적 적용과 연속성이라는 두 가지 개념을 활용하여 두 가지 접근법 간 절충적 접근법을 도출한 후, 국제개발협력의 지역개발 프로그램을 실행함에 있어 수원주체와 공여주체가 동시에 프로그램 진행 상태를 평가한 결과를 기반으로 절충적 접근법을 적용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한다. 이를 통해 본고는 지역사회개발학에서 절충적이고 보완적인 접근법 도출이라는 논의주제를 심화시키는 이론적 기여를 제공한다. 동시에 우리나라 국제개발협력 지역사회개발분야의 평가틀 정교화를 통한 실효성 제고에도 기여한다. 결론부분에서는 갈등기반적 접근을 포함한 연구의 한계점 및 후속연구 제안을 논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후보

        협동조합기본법 제정 및 시행의 시사점과 농촌 정책의 과제

        김정섭(Jeong Seop Kim),김미복(Mee Bok Kim),마상진(Sang Jin Ma) 한국농촌지도학회 2013 농촌지도와 개발 Vol.20 No.1

        The Cooperatives Act was enacted. This enabled people to establish easily cooperatives at various fields. A cooperative is an important vehicle for rural community development. Therefore, the enactment of the Cooperatives Act can be a significant chance for rural policy. The Cooperatives Act have made three significant changes. First, cooperatives can start businesses at all the fields except for financial and insurance business. Second, requisites for people to establish cooperatives have been alleviated exceptionaly. Third, the Cooperatives Act introduced a new cooperative organization, social cooperative which aims to serve the socially excluded class. The self-help approach places rural community members at the core of a development process with two goals: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within the community and to facilitate the community`s capacity building. Community cooperatives contribute to accomplish those goals. One of the roles for cooperatives is to provide products and services at competitive prices. Providing a good or service at a competitive price bcomes increasingly important in some rural communities declines. Cooperative development processes have bic impacts on the ablility of community members to increase human asset and social capital. We conducted a survey targeting rural community businesses to grasp inclinations toward establishing cooperatives. The Cooperatives Act has gained low level of recognition. But so many community businesses wanted to establish cooperatives. This means there is a possibility for many community businesses to establish cooperatives without sufficient understanding. We suggested some policy issues for coping with this situation, as followings. First, the governments should provides rural community residents with opportunities to learn about cooperatives. Second, the current legal systems and regulations about business and social service should be reviewed to do away with the possible discrimination between the new cooperatives and the other forms of incoporation. Third, the cooperation of cooperatives should be encouraged and facilitated in rural communities. 2012년 12월 1일부로 시행된 협동조합기본법은 ``협동조합의 사업 분야 전면적 개방``, ``협동조합 설립 요건 완화``, ``사회적 협동조합 제도 도입`` 등의 특징을 갖고 있다. 협동조합은 농촌 지역사회의 경제적 지속가능성과 자조적 발전 역량 강화에 기여할 잠재력을 갖고 있다. 현재 농촌의 커뮤니티 비즈니스 조직 경영자 가운데 협동조합기본법을 인지하고 있는 이의 비율은 36.5%에 불과함에 비해 협동조합 설립 의향을 밝힌 이의 비율은 53.8%에 달했다. 협동조합기본법 시행에 상응한 농촌 정책 과제들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농촌 주민들이 협동조합을 학습할 기회를 확대해야 한다. 둘째, 여타의 법인에 비해 차별적인 처우를 받지 않도록 법규와 정책 사업 지침을 검토하고 개정해야 한다. 셋째, 농촌 지역의 사회 서비스 정책 추진체계에 사회적 협동조합이 자연스럽게 편입될 수 있게 법제와 정책을 정비해야 한다. 넷째, 장기적으로는 협동조합들의 협동이 촉진되도록 협동조합연합회 관련 법규를 개방적으로 바꾸어야 한다.

      • KCI등재

        미국 남장로교 한국선교회의 전도부인 양성과 교육 정책 연구 (1902-1925)

        임희모 한국선교신학회 2023 선교신학 Vol.71 No.-

        본 글은 미국남장로교 한국선교회가 선교 초기(1902-1925)에 행한 한국인 전도부인 양성과 교육 정책을 연구한다. 한국선교회는 학생들의 다양한 사회적, 경제적 상황을 감안하여 4가지 형태 즉 4일 시골교회 사경회, 10일 선교부 성경반, 1달 성경학원, 2개월 선교회 성경학교를 운영하였다. 변화하는 1920년대 상황은 2년제 선교회성경 학교의 예비과정으로 2년제 초급여자성경학교를 1923년에 세우게 하였다. 한국선교회는 이 2개 학교의 학생들을 위하여 자조적 산업부를 만들어 학생들의 학업을 도왔고 재정적으로 지원하였다. 본 글은 이 연구를 위하여 주로 제1차 자료인 한국선교회의 연례회의록과 선교사 들의 선교보고를 분석하였다. This article studies the policy of fostering and education for Korean Jeondo-Puin conducted by the Southern Presbyterian Mission in Korea in 1902-1925. The Mission operated four types: 4-days rural church Bible class, 10 days Station Bible class, 1 month Bible institute, and 2 month Mission Bible school. The changing situation in the 1920s led the Mission to establish a two-year junior women’s Bible school as a preliminary course for the two-year Mission Bible School in 1923. The Mission supported these two schools to keep a self-help industry department for students which resulted to aid them financially. This article mainly analyzed the first data including the annual meeting minutes of the Mission and the reports of missionaries for this study.

      • KCI등재

        농촌 지역사회의 자율성과 협동조합: 홍동면 사례 연구

        김정섭(Jeong Seop Kim) 한국농촌사회학회 2013 農村社會 Vol.23 No.2

        협동조합을 ‘농촌 지역사회 발전에 활용할 수 있는 수단’으로 보는 도구주의적 관점이 아니라 ‘주민들의 생활세계에서 이루어지는 상호작용의 일종’으로 이해하려는 해석학적 관점에서, 충남 홍성군 홍동면의 협동조합운동을 고찰하였다. 시장 실패와 정부 실패로부터 연원하는 사회적 배제에 대한 농촌 주민들의 자율적 대응이자 ‘체계가 생활세계를 식민지화’하는 자본주의 사회에서 농촌 지역사회의 생활세계를 회복하려는 운동으로, 지역사회 발전을 위한 자조적 활동으로 홍동면의 협동조합 및 유사한 협동조직 운동을 독해할 수 있다. 그 과정을 주민 스스로의 ‘문제제기-학습-조직화’라는 3단계로 구성하고 개념화할 수 있다. 홍동면 지역사회의 협동 운동 배경에는 ‘이상촌’ 또는 ‘지역사회’라는 언표들로 대표되는 주민들의 담론이 있다. 이 담론은 지역사회의 밀도 높은 사회 연결망에 배태된 공식적·비공식적 비판적 학습의 계기들 속에서 재생산되고 전승된다. 지역사회의 인적 자원과 사회 자본은 협동조합운동의 결과이자 그 지속에 영향을 주는 요인이다. In this study, I reviewed the cooperative movement that have continued during the last 10 years at Hong-dong Myeon in rural South Korea, with not an instrumentalistic but a hermeneutical perspective. With an instrumentalisic perspective, we can see coopertives as the means to mobilize for rural community development. However, in the point of hermeneutical view, cooperatives are social interactions in rural residents` lifeworld. The cooperative movement in Hong-dong Myeon can be interpreted as an autonomous action to fight against social exclusions, which were originated from the market failure and the government failure. I tried to conceptualize the sequence of many events related to cooperative organization as three-staged process; problem-posing, critical learning, and establishing organization. There always has been the discourse about ‘ideal village’ or ‘cooperative community’, in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the cooperative movement in this rural community. Residents’ critical learning activities, which were embedded in formal and informal social networks in the community, have gave residents impetus to regenerate and to inherit the discourse of ‘cooperative community’. The human resources and social capital in Hong-Dong community are not only the results of cooperative movement but also the important factors influencing its regeneration.

      • KCI등재

        최인훈의 『회색인』 재고 - “갇힌 세대”의 서사를 중심으로 -

        마희정 ( Ma Hee-jeong )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021 한국문예비평연구 Vol.- No.72

        본고는『회색인』의 서사와 수사를 재고하고자 한다. 작품 속 인물들은 서사가 진행되면서 공간을 이동하며 서술어 ‘가다’를 반복하고 있다. 과거 속에서 주인공은 자아 비판의 시련을 벗어나기 위해 W시와 책 속으로 들어가고, 죽음을 피해 방공호와 그 방공호의 여인을 향해 간다. 현재의 여정은 한편으로는 군대, 하숙집, 매부 집으로 들어가는 것으로 그려지고, 다른 한편으로는 의사(疑似) 고향인 P면을 찾아가는 것과 방공호 속의 여인을 대신하여 이유정의 방으로 들어가는 것으로 그려진다. 표층 구조에서 인물들은 공간의 이동과 ‘가다’라는 행위를 통해 무언가를 좇으려는 모습을 보이지만 인물들의 변주만 있을 뿐 똑같은 논리를 반복하여 펼칠 뿐이다. 방랑자, 망명자, 떠돌이인 주인공은 고향, 집, 여인을 간절하게 찾아가고 싶으나 현실에서는 결코 찾아갈 수 없다. 특히 P면을 찾아가는 것과 이유정의 방으로 들어가는 것은 자아의 근원적인 것을 향한 욕망의 표출이며, 고향 찾기 모티프와 여인 찾기 모티프의 원형에 해당한다. 탐색의 불가능성은 현실 속에서 대상의 자리를 바꾸면서 대체되는 전치(轉置)의 서사 전략으로 이어진다. 작가를 대변하고 있는 주인공은 일부러 진짜 원하는 것이 아닌 대체되는 것을 선택한다. 그것들은 다른 대상으로 어긋나거나 대체될 뿐만 아니라, 스스로 정체성을 찾아가는 과정 중에서 자신에 대한 자조적 냉소로 귀결된다. 출구를 찾지 못하고 갇힌 수인(囚人)은 자신의 글쓰기와 책 읽기의 상상 속에서 전도된 나르시시즘의 수사법을 펼쳐 보인다. 나르시시즘 면모 외에 진짜와 가짜, 천사와 악마, 선과 악의 경계를 흐리는 수사적 기법은 모든 대립적 관념을 깨뜨리고자 하는 주인공의 시도이다. 이항 대립을 벗어나고 자리를 바꾸어 보는 것은『회색인』의 제목이 그러하듯이 중도적 자리에서 주인공이 정체성을 찾아가는 과정 중의 치열한 모색이다. 이러한 모색은 이후 최인훈 문학에서 반복적으로 형상화되고 있으므로,『회색인』은 최인훈 문학의 원형에 해당한다. This paper tries to reconsider the narrative and rhetoric of 『Hoisaekin』. The characters in 『Hoisaekin』 move through space as a narrative develops, repeating the word ‘go’. In the past, the main character went to W city and read books to escape the ordeal of self-criticism, and entered an air-raid shelter and went towards a woman in the shelter to avoid death. In the present, he goes to the army, a boarding house, and a house of ex-boyfriend of his sister, visits P-town, a pseudo-hometown, and enters Lee, Yujeong's room in place of the woman in the shelter. In the surface structure, the characters try to pursue something with the move through space and the act of ‘going’, but they repeatedly show the same logic. The main character, a refugee, desperately wants to return to his hometown, home, and woman, but in reality he can't find them. In particular, searching for P town and entering Lee, Yujeong's room, which express his desire for the source of ego, are the prototype of the motif of finding a hometown and a woman. The impossibility of exploration leads to a narrative strategy of displacement, which replaces and changes the place of an object. The main character, who represents the author, deliberately chooses replacements rather than what he really wants. What he really wants is misplaced or replaced by other objects, and it leads to self-cynicism in the process of finding his identity. The main character, as a prisoner who is imprisoned without finding an exit, uses the rhetoric of inverted narcissism in his imagination of writing and reading books. In addition to the narcissistic rhetoric, another rhetorical technique that blurs the boundaries between the real and the false, angels and demons, good and evil is the attempt to break all opposing ideas. Getting out of binary oppositions and changing positions are intense search to find solution in the process of finding his identity in a midway position, as the title 『Hoisaekin』 implies. Since this search has been repeatedly embodied in Choi, Inhoon's later works, 『Hoisaekin』 is the prototype of Choi, Inhoon's literature.

      • KCI등재

        DMZ내 북한도발 및 남북무력충돌 분석 : 6·25전쟁∼1970년대를 중심으로

        김강녕(Kim Kang-nyeong) 한국정치사회연구소 2021 한국과 국제사회 Vol.5 No.6

        DMZ가 생성된 이래 북한의 도발 및 남북무력충돌이 발생해 남북간 군사적 긴장이 가장 높았던 시기가 바로 1960∼70년대였다. 정전협정 체결 후 1960∼70년대 북한 무력도발은 ①남조선혁명의 일환으로 획책, ②체제결속의 강화 차원에서 지속, ③남북분단 고통의 심화·확대의 초래 등의 특징을 갖고 있다. 북한의 대남전략 및 무력도발이 주는 시사점은 ①북한의 위장평화공세에 대한 철저한 대비, ②북한의 어떤 무력적화도발에 대해서도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안보능력 강화, ③통일지상주의 및 근거 없는 낙관론의 지양, ④북한의 변화를 위한 점진적·단계론적 접근의 추진 등으로 요약해 볼 수 있다. 우리의 국방은 항상 최악의 상황까지도 대비할 수 있어야 한다. 우리는 언제라도 북한의 무력도발을 억제하고 유사시 안정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자조적·공조적 국방안보능력 강화에 최선의 노력을 다해야 할 것이다. Since the creation of the DMZ, the highest level of military tension between the two Koreas was in the 1960s and 1970s due to North Korean provocations and the occurrence of inter-Korean military clashes. After the signing of the Korean War Armistice Agreement, North Korea s military provocations in the 1960s and 1970s are characterized by ①planning as part of the South Korean Revolution, ②continuing to strengthen system solidarity, ③deepening and expanding inter-Korean division pain. The implications of North Korea s strategy and armed provocation against South Korea can be summarized as ①thorough preparation for North Korea s disguised peace offensive, ②strengthening security capabilities to flexibly respond to any armed provocation, ③avoiding groundless unification groundism and optimism, ④promoting a gradual and step-by-step approach to North Korea s change. Our defense should always be able to prepare for the worst. We should do our best to strengthen our self-help and cooperative defense security capabilities to suppress North Korea s armed provocations at any time and cope stably in case of an emergenc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