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호텔 종업원의 직무자율성이 서비스품질에 미치는 영향

        조원섭 ( Won Seb Cho ) 한국관광산업학회 2015 Tourism Research Vol.40 No.2

        호텔은 일반기업보다 높은 서비스품질이 요구되는 환경에서 고객만족의 제고를 위한 직무자율성에 관한 연구는 유의미한 연구라 여겨진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직무자율성이 서비스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하여 호텔종업원 274명으로부터 설문을 획득하여 직무자율성과 서비스품질의 영향관계를 규명하였다. 연구의 구성하는 각 개념의 하위 차원은 목표자율성, 방법자율성, 일정자율성과 신뢰성, 응답성이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목표자율성은 신회성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 넷째, 몰표자율성은 응답성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는 호텔경영에 있어서 직무자율성의 중요성을 시사하는 것이다. 따라서 호텔 경영자는 종업원의 직무자율성에 관심을 자지고 적절한 직무자율성의 부여에 관한 타당한 프로그램에 개발하여야 할 것이다. With the radical change of business environment, all hotel employees are asked to provide customers with high service quality every day. This study aimed at examining the effect of job autonomy on service quality of employees by conducting a survey of 274 hotel employees in Korea. The obtained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arget autonomy had positively significant effect on reliability of service quality. Second, method autonomy had positively significant effect on reliability of service quality. Third, schedule autonomy had positively significant effect on reliability of service quality. Fourth, target autonomy had positively significant effect on responsiveness of service quality. Fifth, method autonomy had positively significant effect on responsiveness of service quality. Sixth, schedule autonomy had positively significant effect on responsiveness of service quality. The results imply that job autonomy is an important factor of hotel business; therefore, the management should pay more attention to job autonomy. Moreover, to improve outcomes, hotels need to develop programs for increasing job autonomy.

      • KCI등재후보

        ‌인문교양교육의 관점에서 고찰한 자율성의 개념

        김우영,이병승 한국교양교육학회 2014 교양교육연구 Vol.8 No.4

        Studies on autonomy, intrinsic goal of education, have focused on the meaning and nature of the concept. However, this study tries to reinterpret the concept from the viewpoint of humanities liberal education, and to extend the meaning of autonomy. First of all, we suggest the humanities liberal education aims at three goals: initiate into the tradition of civilization; build up reflective attitude; integrated life. And it can get at its essential nature by aiming at the integrated life. Secondly we survey the viewpoints on autonomy: rationalism, postmodernism, and strong/weak autonomy. And we argue that it is persuasive to classify strong/weak autonomy. Finally, on the ground of our argument, we conclude that humanities liberal education and autonomy are closed related and that it is the source and principle for autonomy education. In addition, transfer from weak autonomy to strong autonomy is suggested to cope with the paradox that heteronomy is needed to boost autonomy. After all, autonomy is one of the various goals of humanities liberal education, and eventually it is one element for integrated life. 최근까지 교육의 내재적 목적인 자율성에 대한 연구는 주로 자율성 개념 자체의 성격을 규명하거나 그것의 교육적 의미를 파악하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반면에 이 연구는 자율성을 인문교양교육의 관점에서 재해석함으로써 그 의미를 보다 확장해 보려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먼저, 인문교양교육이 지향해온 바를 크게 세 가지, 즉 문명적 전통에로의 입문, 반성적 태도의 육성, 통합적 삶의 추구로 정리하고, 인문교양교육은 인간의 삶을 통합해 가는 방향으로 나아갈 때 그 본래성을 회복할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다음으로, 지금까지 학계에서 논의된 자율성의 개념을 크게 합리적 관점, 포스트모더니즘적 관점, 강한 자율성과 약한 자율성으로 구분한 후 마지막 입장, 즉 강한 자율성과 약한 자율성으로 구분한 논의가 보다 설득력이 있다는 점을 밝히고자 하였다. 끝으로, 앞의 논의들을 통해 인문교양교육과 자율성은 밀접한 관계를 가지지만 자율성이 인문교양교육의 유일한 목적이라기보다는 오히려 인문교양교육이 자율성 신장의 주요 원천이요 원리라는 점을 제시하였다. 또한 자율성이란 타율성을 통해 길러진다는 기존의 관점이 가진 논리적 모순을 극복할 수 있는 한 가지 방안으로서 약한 자율성으로부터 강한 자율성에로 변화가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이러한 관점에서 자율성 함양은 인문교양교육이 실현하고자 하는 다양한 목적들 중의 하나이며, 궁극적으로는 통합적인 삶을 영위해 가기 위한 한 요소로 이해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자율성 역량 모델의 법철학적 함의

        송윤진 한국법철학회 2017 법철학연구 Vol.20 No.2

        Today, with the expansion of individualistic liberalism, the discourse of autonomy and rights to self-determination tends to be understood as the narrow privacy rights, which is largely centered on individual autonomy. In other words, the respect for autonomy or self-determination is understood as ensuring an independent self-determination by the subject with sufficient decision-making ability. That is, under any circumstances, the subject has an independent authority to decide on his own business without being disturbed. However, such a tendency to understand rights to self-determination as narrow privacy rights does not have a practical alternative to how it can be realized other than to declare that everyone has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by returning the nature of self-determination to the passive right of the individual. Therefore, the recognition of the concept of autonomy, which is concentrated on the self-determination ability, should be newly transformed, and the justification of autonomy should be shifted from the procedural level to the substantive level. This article proposes the autonomy capability model in order to overcome the narrowness of autonomy and self-determination and discuss the applicability of this model. Based on these research goals, this paper has the following structure. First, the autonomy capability model is based on conceptual and methodological basis of Martha Nussbaum's capability approach, so this approach is introduced within the necessary range. Then, after explaining the basic concepts and core issues of the autonomy capability model, the significance of this model is examined in terms of substantive justification of rights to self-determination. In addition, the adult guardianship system can be justified from the standpoint of autonomy capability model, and the legal philosophical search for active management of the adult guardianship system is attempted. Finally, the legal philosophical implications of this model are mentioned. 오늘날 개인적 자유주의의 확대와 함께 자율성 및 자기결정권 담론은 대체로 개인적 자율성을 핵심으로 하는 협의의 프라이버시권으로 이해되는 경향을 보인다. 즉 자율성 내지 자기결정권의 존중이란 ‘충분한 의사결정능력을 가진 주체가 내리는 독립적인 자기결정’을 보장하는 것으로서, 어떠한 상황에서든 주체는 방해받지 않고 자신에 관한 일을 결정할 독립된 권한을 가진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자기결정권의 사사화(私事化) 경향은 자기결정권의 성격을 개인의 소극적인 자유권으로 환원시키며, 누구나 자기결정권을 보유한다는 것을 선언하는 것 이외에 어떻게 실현할 수 있는가에 대해 별다른 실천적 대안을 가지지 못한다. 따라서 협의의 자기결정능력으로 집중되고 있는 자율성 개념에 대한 인식이 새롭게 전환되어야 하며, 자율성의 정당화는 절차적 차원에서 실질적 차원으로 이동되어야 한다. 이러한 문제제기를 통해 필자는 자율성 역량 모델(Autonomy Capability Model)을 제안하여 자율성 및 자기결정권 논의의 협소함을 극복하고 보다 실질적인 자율성 담론 방식임을 논증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 목표에 따라 본고는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다. 우선 자율성 역량 모델은 마사 누스바움(Martha Nussbaum)의 역량 이론(capability approach)에 개념적, 방법론적으로 기초하고 있으므로 우선 필요한 범위 내에서 누스바움의 역량 이론을 소개한다. 이후 자율성 역량 모델의 기본 개념과 핵심 논제를 설명한 후, 자기결정권의 실질적 정당화라는 관점에서 자율성 역량 모델의 의의를 살펴본다. 아울러 개정민법상 성년후견제도를 자율성 역량 모델의 관점에서 정당화함으로써 성년후견제도의 적극적 운용을 위한 법철학적 탐색을 시도한 후 최종적으로 자율성 역량 모델의 법철학적 함의를 밝힌다.

      • KCI등재

        의료행위와 환자의 자율성

        홍소연 ( So Yeon Hong ) 한국윤리교육학회 2003 윤리교육연구 Vol.0 No.4

        이 논문은 생명의료윤리학에서 주요한 자율성 개념을 비판하고자 한다. 동시에 새로운 자율성 개념의 필요성에 대해 논의할 것이다. 논자는 자율성의 철학적 근원, 즉 Kant와 Mill의 자율성과 최근 생명의료윤리학에서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는 Beauchamp와 Childress의 자율성에 대해 먼저 논의할 것이다. 자율성은 의료행위에서 상당한 가치를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들의 자율성 개념은 의료행위에서 나타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없다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논자는 이러한 자율성 개념의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해서 손상과 질병을 경험하는 사람들의 자율성 경험에 대한 논의가 반드시 전제되어야 한다고 본다. 보다 포괄적인 자율성 개념을 정립하기 위해서는 손상이나 질병에 대한 경험적 연구가 반드시 필요하기 때문이다. 손상과 질병을 경험하는 사람들의 자아와 자아통제에 대한 논의는 이들의 자아가 ``상황``과 매우 밀접히 연관되어 있음을 나타낼 것이다. 이는 곧 Beauchamp와 Childress를 비롯한 자유주의 자율성 개념이 의료행위에 적용되기에 부적합함을 의미한다. 이들의 자율성 개념은 합리성과 독립에 지나치게 치중하는 매우 협소한 개념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논자는 주요한 자율성 개념이 가지고 있는 한계점을 극복하고 포괄적인 자율성 이해를 위해 손상과 질병이 자율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논의할 것이다. 손상과 질병은 우리 삶의 일부분이고, 이로 인한 의존은 자율성과 반드시 대립되는 개념이 아니라, 상호 보완적이고 병행할 수 있는 개념이기 때문이다. I criticize the dominant conception of autonomy in biomedical ethics. And I discuss the need for a vision of patient autonomy. First, I analyze the conception of autonomy put forth by Kant and Mill, and Tom Beauchamp, James Childress. Theirs` conception is based on liberal rationalism that dominates biomedical ethics and health care. Though their conception has influential value, I show significant limitations in theirs` concept. That is, because theirs` conception is emphasized on ``independence`` and ``rationality,`` the scope of autonomy is significantly narrow. I argue that it is not appropriate to appeal to theirs` conception toward assessing which patients we ought to respect as autonomous. So, this conception is not practical relevance in medical practice. For the purpose of overcoming this limitations, I explore the experience of autonomy for people with chronic impairment and illness. I think that any acceptable conception of autonomy will account for relational features of self and self-governance. Therefore, for autonomy`s having the practical relevance in biomedical ethics, comprehensive conception is needed. That is, impairment and illness is one aspect in our life and dependence on different peoples is also indispensible in our life. I don`t deny Beauchamp and Childress`s autonomy. Rather, the comprehensive autonomy has to retain the value of Beauchamp and Childress`s conception of autonomy and to avoid their major problem. Also, this alternative autonomy is better suitable to the practical activities of medicine.

      • KCI등재

        관계적 자율성 개념의 일고찰

        임미원 한양대학교 법학연구소 2023 법학논총 Vol.40 No.3

        관념론 철학자 칸트는 주관적 도덕성, 즉 주체의 자율적인 의지결정을 도덕의 본질로 파악했다는 점에서 규범적 근대성을 상징한다. 이렇게 보편적 실천이성이 주도하는 ‘도덕적 자율성’으로부터 의미 전화된 것이 개체적 자아가 중심이 되는 ‘자유주의적 자율성’인바, 이것은 주어진 상황-조건 속에서 최대한 합리적으로 선택-결정할 가능성 또는 불간섭-비지배적으로 자기결정할 가능성(능력)으로서의 자율성 차원이다. 바로 이런 자유주의적 자율성의 한계를 의식하며 새롭게 제시된 관념이 관계적 자율성이다. 이 관념은 자유주의적 개인주의를 비판하는 차원에서, 자아의 정체성은 (고립적으로가 아니라) ‘관계적’으로 형성되며, 개인의 자율성 능력은 ‘사회적 관계’에 의해 영향받는다고 설명한다. 결국 핵심은 인간의 자아 및 자율성에 대한 ‘사회적 구성성’이다. 이런 관계적 자율성의 원리는 정의 원리 및 민주주의 원리에도 밀접히 연결된다. 즉, 자율성 원리에 합치되는 삶을 사는 인격체는 동시에 사회적 정의의 원리 및 민주주의적 절차에 충실한 공동체의 구성원일 수 있다. 다양한 자율성의 난제를 해결하려는 관계적 자율성 관념의 지형도를 그려본다면, 절차주의적 관점과 실체주의적 관점 또는 인과적 관점과 구성적 관점 등으로 구별해볼 수 있다. 이 중 상당한 공감을 얻은 것이 자율성에 관한 절차주의적 관점이다. 이 이론은 자율성의 조건으로서 자기동기화나 선호 형성 등에 관한 반성 및 교정이라는 내적인 지적 과정을 핵심으로 여기며, 내용에는 중립적이다. 그러나 억압의 내재화가 행위자에게 미치는 영향을 제대로 평가하지 않는다는 문제가 있다. 그에 비해 실체주의적 이론은 자율성을 가치관련적으로 해석하여, 행위자의 선택 및 선호의 내용이 일정한 규범성에 합치할 때에만 자율적인 것으로 인정한다. 이 이론은 객관적, 규범적으로 자율성의 조건에 반하는 상태를 교정하려는 후견주의의 문제에 직면하게 된다. 관점들의 다양성 및 서로 간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관계적 자율성 이론에 공통된 자율성의 실현 계기는 사회관계 및 사회적 성찰이다. 즉, 아무런 사회적 경험적 전제나 맥락도 작동하지 않는 상태에서 비로소 자율적일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사회적 관계 맥락 하에서만 자율적일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런 점에서 자율성에 관한 관계적 구상의 실천적 의미는 ‘관계로부터 자유로워지기’가 아니라 ‘억압으로부터 자유로워지기’라고 할 수 있다. Freedom and autonomy are topics of timeless interest on both a cognitive and normative level. As for the concept of autonomy, feminism has recently reconceptualized it from a relational perspective. ‘Relational autonomy’ is the conception of a free, self-governing agent who is socially constituted and who defines her basic value commitments in terms of interpersonal relations. Critiquing methodological individualism and libertarian individual conception of autonomy, the theories of relational autonomy emphasize the social components of our self-concepts and the role of the social dynamics in the development of autonomy. The various theories view persons as relational and socially constituted in fundamental ways and regard interpersonal and social factors as conceptually necessary for the autonomy of a person. The most advanced accounts of relational autonomy have been provided by the proceduralist views and substantive views. The former argues that autonomy is achieved when the agent undergoes an internal intellectual process of reflecting on her motivations, beliefs, and values. The latter, on the other hand, maintains that the contents of the preferences or values that agents can form or act on autonomously are subject to direct normative constraints. A preference to be enslaved or to be subservient cannot be autonomous. Despite the methodological differences, the overriding concern common to the various theories of relational autonomy is not breaking away from relation, but breaking away from oppression.

      • KCI등재

        부모 자율성 지지, 진로결정자율성 및 진로적응성 간의 관계: 정당한 세상에 대한 믿음 수준에 따른 다집단 분석

        정은교,안도희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8 교육문화연구 Vol.24 No.2

        본 연구에서는 부모 자율성 지지, 자녀의 진로결정자율성 및 진로적응성 간의 관계를 확인하고, 이 변인들 간의관계가 자녀의 정당한 세상에 대한 믿음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서울 소재 대학교재학생 총 182명의 설문 자료를 토대로 분석한 결과, 부모가 자녀의 자율성을 지지할수록 자녀의 진로결정자율성및 진로적응성이 증진되며, 진로결정자율성이 부모 자율성 지지와 자녀의 진로적응성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나타났다. 한편 정당한 세상에 대한 믿음에 따른 차이에 대한 분석 결과, 정당한 세상에 대한 믿음 수준이 강한집단의 부모 자율성 지지, 진로결정 내재동기 및 진로적응성이 약한 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정당한 세상에 대한 믿음 수준이 강한 집단에서는 부모 자율성 지지가 진로결정자율성을 완전 매개하여 자녀의진로적응성을 촉진시키는 반면, 정당한 세상에 대한 믿음 수준이 약한 집단에서는 진로결정자율성의 매개 효과가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생 자녀의 진로 발달을 이해하는 데에 본 연구가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parental autonomy support, career decision-making autonomy and career adaptability of university students along with the differences by belief in a just world. One hundred and eighty-two university students in Seoul, Korea,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results showed that parental autonomy support enhanced career decision making autonomy and career adaptability of university students. Moreover, the effect of parental autonomy support on career adaptability was mediated by career decision making autonomy. In addition, the results indicated that belief in a just world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parental autonomy, career decision intrinsic motivation, and career adaptability. In particular, for students who had strong belief in a just world, the influence of parental autonomy support on career adaptability was fully mediated by career decision making autonomy. On the other hand, for students who had weak belief in a just world, the mediation effect of career decision making autonomy in the links between parental autonomy and career adaptability was not significant. These results could be useful to understand career development of university students and the importance of belief in a just world.

      • KCI등재

        인공지능과 자율성의 역학관계

        박도현 홍익대학교 법학연구소 2019 홍익법학 Vol.20 No.3

        Today, as we are into the era of the so-called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rtificial Intelligence(AI) is transforming not only the physical dimension but also the cognitive dimension which has been regarded as a human-inherent domain, as an object of automation. Furthermore, it is suggested that some kind of 'autonomy' is given to AI when minimizing human control. The 'AI and autonomy' issue is divided into two aspects: legal evaluation of AI with certain autonomy and legal evaluation of the effect of AI on human autonomy. The former position is to understand the concept of 'autonomy' as functional level 'phenomenal autonomy' instead of traditionally accepted 'moral autonomy'. And it gives some kind of moral and legal status of AI that shows a certain level of this kind of autonomy. But this paper clarifies that 'human autonomy' is indeed important in AI and autonomy discussions, and that it is not necessary to provide legal personhood to AI both practically and theoretically. What is really needed for (phenomenally) autonomous AI and human autonomy to coexist is to seek the concept of AI 'Governance' that controls the risk of AI at an appropriate level and doesn't suppress private autonomy. 오늘날 소위 제4차 산업혁명 시대에 돌입하면서, 인공지능은 물리적 차원을 넘어 인간의 전유물로 여겨져 온 인지적 차원까지도 자동화(automation)의 대상으로 탈바꿈시키고 있다. 나아가 인간의 통제를 최소화한 인공지능에 대해 모종의 자율성(autonomy)을 인정하자는 견해까지도 제기되고는 한다. ‘인공지능과 자율성’ 이슈는 일정한 자율성을 갖춘 인공지능에 대한 법적 평가와, 이와 별개로 인공지능이 인간의 자율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법적 평가라는 두 가지 측면으로 대별된다. 이때 전자는 자율성 개념을 전통적으로 이해되어온 도덕적 차원의 자율성(moral autonomy)을 대신하여 기능적 차원의 현상적 자율성으로 이해하면서, 일정 수준 이상의 현상적 자율성을 보이는 인공지능에 대해 도덕적, 법적 지위를 인정할 수 있는가 하는 문제이다. 본고는 인공지능과 자율성 논의에서 진정 중요한 것은 ‘인간의 자율성’임을 분명히 하고, 현상적 자율성을 가진 인공지능에 대한 법인격 부여는 그와 같은 목적을 달성함에 있어 현실적으로도, 이론적으로도 필수적 요소가 아님을 보인다. 자율적 인공지능과 인간의 자율성이 공존하기 위해 진정으로 요구되는 것은 인공지능의 위험성을 적절한 수준에서 통제하는 동시에 인간의 사적자치를 과다하게 억제하지 않도록 조화하는 거버넌스(governance) 구조를 모색하는 일이다.

      • KCI등재

        체육 교사의 다차원적 자율성지지 행동 척도의 타당화 검증

        유병인,황재훈,천승현,송용관 한국코칭능력개발원 2024 코칭능력개발지 Vol.26 No.2

        이 연구는 교수학습 상황에서 교수자의 자율성지지 행동을 다차원적으로 진단 및 측정할 수 있도록 Tilga, Hein과 Koka(2017)가 개발한 교사의 다차원적 자율성지지 행동 척도가 국내 체육교육 상황에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는지를 검증하였다. 교사의 다차원적 자율성지지 행동 척도는 인지적 자율성지지 행동(5문항), 절차적 자율성지지 행동(5문항), 조직적 자율성지지 행동(5문항) 세 요인 15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수도권과 부산 지역에 재학하고 있는 고등학생 981명을 대상으로 학생들이 인식하고 있는 교사의 다차원적 자율성지지 행동을 조사하였다. 척도의 타당성 검증은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진행되었다. 부가적으로 심리적 욕구 만족을 준거 변수로 설정하여 상관분석 및 회귀분석을 통해 준거 타당도와 예측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척도의 타당성 검증 결과, 탐색적 요인분석에서 삭제되는 문항 없이 세 요인 15문항에 대한 타당도가 검증되었다. 확인적 요인분석에서도 세 요인 모델에 대한 적합도 지수가 모두 타당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준거 타당도 검증에서도 교사의 다차원적 자율성지지 행동은 심리적 욕구 만족과 정적 상관을 보였다. 예측 타당도 검사에서도 교사의 다차원적 자율성지지 행동은 심리적 욕구 만족을 유의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결과는 국내 교수학습 상황에서도 교사의 다차원적 자율성지지 행동 척도가 보편성을 지니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향후 이척도는 학습자가 인식하는 교사의 다차원적 자율성지지 행동을 구체적으로 파악하는 데 도움을 주고, 교수학습 상황에서 교사들이 자율성지지를 보다 효과적으로 적용하여, 교사 학생의 관계 향상뿐 아니라 교수학습 효과를 높이는 데 유용한 도구가 될 것이다.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est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Korean version derived from a multi-dimensional perceived autonomy support scale for physical education, which was developed specifically by Tilga, Hein, & Koka (2017). Multi-dimensional perceived autonomy support scale consisted of three factors with 15 items—namely, cognitive autonomy support (5 items), procedural autonomy support (5 items), organizational autonomy support (5 items). Nine hundred eighty-one students (high school)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completed the questionnaire in order to validate 15-item three-factor Korean version of multi-dimensional perceived autonomy support scale for physical education. To test the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multi-dimensional perceived autonomy support scale, the factorial structure of the scale was tested using exploratory factor analysis (EFA)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FA). The Korean version of multi-dimensional perceived autonomy support scale demonstrated good internal validity, and then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ere used to test the measurement model of Korean version of multi-dimensional perceived autonomy support scale as well as factorial and predictive validity. As results, in the EFA and CFA model fit of Korean version of multi-dimensional perceived autonomy support scale was excellent by structuring three dimensions—that is, cognitive autonomy support, procedural autonomy support, organizational autonomy support. Overall, the Korean version of multi-dimensional perceived autonomy support scale demonstrated good internal, factorial, and validity, as well as internal consistency. The conceptualization on the multi-dimensional teachers’ autonomy support behavior was discussed, and recommend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y and directions were made concerning the usage of the Korean version of multi-dimensional perceived autonomy support scale in physical education.

      • KCI등재

        어머니와 교사의 자율성지지가 3, 4, 5세 유아의 실행기능에 미치는 영향

        황윤세(Yoon-Se Hwang) 한국교원대학교 유아교육연구소 2023 한국유아교육연구 Vol.25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어머니와 교사의 자율성지지가 유아의 실행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했다. 연구대상은 경기지역 유치원에 재원 중인 만 3, 4, 5세 유아의 어머니 235명, 교사 69명이 연구에 참여했다. 연구를 위한 자료수집을 위해 어머니와 교사의 자율성지지에 대한 측정도구를 배부하고 회수하였으며, 유아의 실행기능에 관한 자료는 교사의 측정에 의해 수집되었다. 자료 분석 결과, 어머니와 교사의 자율성지지는 유아의 실행기능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3세와 4세 유아의 실행기능에는 어머니의 자율성지지 그리고 교사의 자율성지지, 5세 유아의 실행기능에는 교사의 자율성지지 그리고 어머니의 자율성 지지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성별에 따른 유아 실행기능에서는 남아에는 어머니의 자율성지지가 여아에게는 교사의 자율성지지가 더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 전체에는 교사의 자율성지지 그리고 어머니의 자율성지지 순으로 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유아의 실행기능 발달에서 어머니와 교사의 자율성지지가 모두 중요한 변인이나, 그 연령의 증가에 따라 교사의 자율성지지가 강조될 필요성을 시사한다.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maternal and teacher’s autonomy support on young children’s executive function. The questionnaire survey method was conducted to target 235 mothers and 69 early childhood teachers working at kindergarten for children between age 3-5 in Gyeonggi Province. The questionnaires on maternal and teacher’s autonomy support were distributed and collected among the mothers and teachers. And data on executive function were measured using BRIEF-P by teachers completing the questionnaires. There was significant interrelationship between young children’s executive function, and maternal and teacher’s autonomy support. And maternal and teacher’s autonomy support were positive factors in predicting young children’s executive function. In addition, on the child's execution function according to gender: the mother's autonomy support had greater influence on the boys, whereas the teacher's autonomy support held a bigger impact on the girls. Furthermore, the entire group of children had an increased effect in the order of teacher's autonomy support, and mother’s autonomy support.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suggest that both mother and teacher’s autonomy support are important variables in the development of children's executive function, but it is necessary to emphasize teacher’s autonomy support as the age of children increases.

      • KCI등재

        유치원교사의 자율성에 대한 인식과 실천현황

        이은지(Eun-Ji Lee),배지현(Jee-Hyun Bae) 한국콘텐츠학회 2021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1 No.11

        본 연구는 2019 개정 누리과정에서 유치원교사에게 강조된 자율성에 대한 인식과 실천현황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교사 자율성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인식과 실천의 양상을 파악하여 교사 자율성이 반영되는 교육과정 운영에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121명의 공・사립 유치원교사를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고 빈도분석과 경력에 따른 차이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유치원교사의 ‘자율성 인식’에서는 ‘자율성의 개념에 대해 관심이 많고, 실천하고자 시도해보았다’, 자율성을 기대하는 분야로는 ‘교육계획 수립 및 운영의 자율성’이 가장 높았다. 고경력 교사들은 자율성이 대체로 잘 부여된다고 인식하는 반면, 저경력 교사들은 부여되지 않거나 보통이라고 인식하였다. 교사 자율성이 현장에서 부여되지 못한 이유로는 ‘기관에서의 자율적 의사결정 제한’이 가장 많았다. 둘째, 유치원교사의 ‘자율성 실천현황’은 기관운영 자율성 중 ‘교육계획 및 수립’, 운영에서는 ‘일과 운영’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부모 및 지역사회의 교류에서는 ‘홈페이지 운영’이, 교사 전문성 개발에서는 ‘교사연수 참여’, 교육활동 자율성에서는 ‘유아와의 상호작용’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유아관찰 및 평가에서는 ‘활동 결과, 작품 등의 평가 유형, 방법 계획’과 ‘평가 결과에 기초한 상담 및 유아지도’에서 자율성 확보가 가장 높았다. 향후 연구에서는 자율성 실천의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 장기적 사례 연구 등이 수반되어야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and current implementation toward autonomy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related research. The survey was conducted with 121 public and private kindergarten teachers.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 for teachers’ perception of autonomy, the majority of the survey respondents answered that “I am very interested in the concept of autonomy and have tried to practice it.” In terms of areas for which they expect to be given autonomy, “autonomy in developing and operating education plans” was most answered. Second, as for teachers’ practice of autonomy, teacher autonomy was answered most for “work and operation” in th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education plans among “institutional autonomy.” In terms of communication between parents and the local community, “operation of the kindergarten website” and “operation of teachers’ personal e-mail” were most answered. In addition, “participation in teacher training” was most answered for the development of teachers’ expertise, and “interaction with infants” for “autonomy in educational activity.” Lastly, it is expected for follow-up research to perform case studies to understand the context of the implementation of teacher autonom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