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자기조절자원의 소진이 자기통제에 미치는 효과: 심적 계정의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김재휘,설하린 한국소비자·광고심리학회 2014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광고 Vol.15 No.1

        People who pursue long-term goal experience the depletion of self-regulatory resources. This study suggests how to control oneself in the state of depletion. When someone experiences ego depletion, self-control becomes difficult. However, standards-setting and self-monitoring can help self-control even after the ego-depletion, by allowing us to use self- regulatory resources efficiently. Especially, mental accounting can make standards and accordingly monitors oneself, so this study examines that the mental accounting is effective on self-control in an ego-depletion state. There are two levels of mental accounting; specific and general. We assume that in a state of no ego-depletion, specific mental accounting is effective on self-control, while in an ego-depletion state general mental accounting is effective, That is because general mental accounting triggers less anticipated self-control perception than specific mental accounting, which does not lead to too much pressure on self-control when the self-regulatory resources are already impaired(an ego-depletion state). Therefore, this study was designed as 2(ego depletion existence / or not) x 2 (mental accounting: general / specific) and measured self-control intention of each group. We verified our hypothesi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for those who experience ego depletion and need self-controlling it is more effective to use general mental accounting than specific mental accounting. 본 연구는 장기적 목표 추구 과정에서 소비자들이 경험할 수 있는 자기조절자원의 소진 상황에서도 꾸준히 자신을 통제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자기조절자원이 소진되었을 경우에는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자기 통제를 하기가 힘들다. 하지만 기준과 자기 감시가 자기 조절 자원의 소진 이후에도 효율적으로 자원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는 점에서, 자기조절자원 소진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자기 통제를 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음을 가정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기준을 설정하고, 이에 따라 자기 감시를 하도록 하는 심적 계정이 자기조절자원의 소진을 극복할 수 있는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심적 계정은 계정을 엄격하고 세분화하여 나눈 ‘구체적 심적 계정’과 계정을 유연하고 모호하게 설정한 ‘포괄적 심적 계정’으로 나누어질 수 있다. 이 때, 자기조절자원의 소진이 없을 경우에는 ‘구체적 심적 계정’이 효과적일 것으로 가정하였다. 반면 소진이 있을 경우에는 ‘포괄적 심적 계정’이 ‘구체적 심적 계정’에 비해 이후 자기 통제를 더 해야 한다는 예측된 자기 통제 지각이 낮게 나타날 수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자기조절자원의 소진 이후에는 포괄적 심적계정이 자기 통제에 더 긍정적일 것이라 가정하였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자기조절자원소진 여부(유/무) x 심적계정 수준(포괄적/구체적)의 연구 디자인을 설계하였으며, 각 처치 이후 자기통제 의도를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에 따르면, 자기조절자원의 소진이 있을 경우보다 없을 경우 자기통제 의도가 높게 나타났다. 또한, 자기조절자원의 소진이 없을 경우에는 ‘구체적 심적 계정’을, 자기조절자원의 소진이 있을 경우에는 ‘포괄적 심적 계정’을 활용하는 것이 자기통제에 효과적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장기적 목표 추구 과정에서 발생하는 자기조절자원의 소진을 극복하는 방법으로 심적 계정이 포함하는 기준과 자기 감시의 효과성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후보

        고등학생의 지각된 시간관이 자기조절학습에 미치는 영향: 자기통제력을 매개변인으로

        조한익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2011 미래청소년학회지 Vol.8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perceived time perspective on self-regulated learning in high school students. Also this study was done to verify the mediating role of self-control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time perspective and self-regulated learning. For data analysis,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calculated among perceived time perspective, self-control and self-regulated learn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were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 of perceived time perspective and self-control on self-regulated learning. Also, the mediating effect of self-control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time perspective and self-regulated learning was tested by the procedure of Baron and Kenny(1986). The questionnaires were administered to 385 high school stud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time perspective and self-regulated learning, 'present fatalistic' time perspective negatively affected self-regulated learning. But, 'future' time perspective positively affected self-regulated learning. Second, in term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time perspective and self-control, both 'past negative' and 'present fatalistic' time perspective negatively affected self-control. However, 'future' time perspective positively affected self-control. Third, The effect of 'present fatalistic' time perspective on self-regulated learning was completely mediated by self-control. It implied that 'present fatalistic' time perspective decreased self-control, therefore negatively contributing to self-regulated learning. The limitations and implications of this study for academic counseling for high school students were discussed.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지각된 시간관과 자기통제력이 자기조절학습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시간관이 자기조절학습에 미치는 영향을 자기통제력이 매개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지각된 시간관, 자기통제력, 자기조절학습간의 단순상관계수를 산출하였고, 지각된 시간관과 자기통제력이 자기조절학습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Baron과 Kenny(1986)가 제안한 절차에 따라 자기통제력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고등학생 38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첫째, 지각된 시간관과 자기조절학습과의 관계에서 현재숙명 시간관은 자기조절학습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반면에, 미래지향 시간관은 자기조절학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각된 시간관과 자기통제력과의 관계에서 과거부정 시간관과 현재숙명 시간관은 자기통제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나, 미래지향 시간관은 자기통제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지각된 시간관이 자기조절학습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자기통제력의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 현재숙명 시간관이 자기조절학습에 미치는 효과를 자기통제력이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현재숙명 시간관이 높아지면 자기통제력이 감소하게 되며, 결과적으로 자기조절학습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해석할 수 있다. 미래지향 시간관이 자기조절학습 및 학업성취에 미치는 직접적인 효과를 연구한 선행연구들과 달리 본 연구에서는 미래지향 시간관을 포함하여 과거부정이나 현재숙명 시간관의 효과를 검증하였고, 자기통제력을 매개변인으로 상정하여 검증한 것은 본 연구의 의의라고 하겠다. 본 연구의 결과는 자기조절학습의 향상을 위해서는 현재숙명 시간관을 버리고 미래지향적인 시간관과 자기통제력을 높이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시사하며, 이를 토대로 고등학생의 자기조절학습능력 향상을 위한 상담 및 심리치료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시하였다.

      • KCI등재

        중학생의 미술표현능력, 미술감상능력, 심리적 안녕감, 자기효능감이 정서조절에 미치는 영향

        박외영 ( Woe-young Park ),문승한 ( Sung-han Moon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7 인문사회 21 Vol.8 No.5

        본 연구는 중학생의 미술표현능력과 미술감상능력 심리적 안녕감 자기효능감이 정서조절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 차이를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경상남도에 소재한 중학교에 재학 중인 중학생 494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으며,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정서조절 전체에는 자기효능 중 자기조절 효능감이 가장 크고, 다음에 심리적 안녕감 중 대인관계의 영향력이 크다. 따라서 중학생의 정서조절 향상을 위해서는 자신의 자기조절 효능감의 증대와 대인관계의 개선에 중점을 두어야 한다. 둘째, 정서조절에 미치는 심리적 안녕감 및 자기효능감의 효과는 정서조절의 유형에 따라 차이가 있다. 따라서 능동적 정서조절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과제달성을 위해 자기 판단, 자기 관찰인 인지과정과 자기반응 동기과정을 잘 사용할 수 있는 효능기대감인 자기조절 효능감을 훈련하며, 과제난이도 선호에 적극적 태도를 길러 줄 필요가 있다. 셋째, 회피 정서조절에는 자기효능 중 자신감과 심리적 안녕감 중 삶의 목적이 그 영향력은 크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학생의 삶의 목적 설정에 대한 교육과 자신감 향상이 필요하다. 넷째, 지지추구적 정서조절에는 심리적 안녕감 중 대인관계와 자기효능 중 조절효능이 유의미하게 영향을 주고 있다. 따라서 지지추구적 정서조절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도 자기조절 효능감의 훈련이 필요하다. With a view to analyzing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art expressive ability, appreciation ability, psychological well-being, and self-efficacy of adolescents and their emotional control and relative differences in the effects of the foregoing factors on the emotional control, in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494 middle school students in middle schools located in Gyeongsangnam-do. The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and discus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elf control efficacy among the sub factors of self efficacy has the largest effect on the entire emotional control followed by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mong the sub factors of psychological well-being. Therefore, to improve the emotional control of middle school students, we should focus on improving self-control efficacy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Second, the effects of psychological well-being and self-efficacy on emotional control differ according to the type of emotional control. Therefore, to improve active emotional control, training on self-control efficacy, which is efficacy expectation that enables using cognitive processes that are self-judgment and self-observation and self-response motivational processes well is necessary for task accomplishment and attitudes active for preference for task difficulty levels should be fostered. Third, evasive-distributed emotional control is negatively affected by self-confidence and the purpose of life, educa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on the establishment of the purpose of life and improvement of self-confidence are necessary. Fourth, training on self-control efficacy training is necessary to improve support seeking emotional control and training to improv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is also necessary.

      • KCI등재

        자기조절 증진 프로그램이 초등 통합학급 학생들의 자기통제력, 또래지원 및 수업참여도에 미친 영향

        노혜영,박승희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2016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32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a self-regulation enhancement program on the students’ self-control, peer support, and class participation in elementary inclusive classrooms. The participants were 86 students in 4 inclusive classes, in which sixth grade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ere included. Among them, two classes were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others were the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the self-regulation enhancement program which was delivered by their classroom teachers, but the control group participated in the unity security education or the book reading program. The self-regulation enhancement program is consisted of six elements of self-regulation area: understanding of self-regulation, academic performance regulation, emotion and affect monitoring, social norm confirmation, social relationship regulation, consideration for others. The interventions were delivered through 16 sessions during a semester. To prove the effects of the program, independent sample t-test was used for the self-control and the ANCOVA for peer supports, the paired group t-test for the class participation, were u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no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s of self-control were observed between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Among the three sub elements of self-control, the experimental group display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in the mixed element of self-control and impulsivity,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The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the experimental group displayed higher scores in self-control and all three sub elements of self-control. Second, the experimental group display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in peer support than the control group. Specificall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upport for problem solving, support for participation in classroom activities, and community spirit. Third,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class participation scores between pretest and posttest. In sum,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a carefully designed and implemented self-regulation enhancement program can create positive effects on self-control, peer support, and class participation of elementary inclusive classroom students.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 통합학급 학생의 자기조절능력 증진을 위한 종합적인 중재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실행하고, 그 중재가 학생들의 자기통제력, 또래지원 및 수업참여도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는 것이다. 연구참여자는 서울 지역 3개 초등학교의 6학년 통합학급 중 지적장애 학생이 통합된 4개 학급 학생 총 86명이다. 2개 실험학급은 한 학기 동안 각 담임교사가 창의적 재량활동 시간에 실행하는 총 16회기의 자기조절 증진 프로그램에 참여하였다. 본 연구의 실험설계는 사전-사후검사 통제집단 설계이며, 자기통제력 변인은 두 독립표본 t검정, 또래지원 변인은 공분산분석(ANCOVA), 수업참여도 변인은 대응표본 t검정으로 분석되었다. 자기조절 증진 프로그램을 실시한 결과 학생들의 자기통제력 하위요인 중 복합요인에서, 또래지원의 총점과 세 가지 하위요인(문제해결지원, 교실활동 참여지원, 공동체 의식)에서 실험 및 통제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실험집단의 수업참여도 사전-사후 점수에서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본 연구는 실제 중학교에서 자기조절이 필요한 상황을 활용하여 초등 6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자기조절 증진 프로그램을 개발 및 실행하여 통합학급의 학생들의 자기주도적인 행동을 증진하고, 또래지원의 수준을 높이고, 수업참여도를 개선하는 긍정적인 성과를 산출한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자기조절 증진 프로그램이 통합학급의 장애학생과 비장애학생 모두에게 미친 긍정적 효과는 초등학교에서 통합교육의 질적 향상을 추구하는 현 시점에 통합교육의 내실화를 위한 보편적 프로그램으로 적극 활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며, 초등 6학년 학생들의 중학교 생활을 미리 준비하는 전환교육 프로그램의 하나로도 의의가 있다. 끝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제언이 제시된다.

      • KCI등재

        목표 갈등의 해결 과정으로서 자기통제

        신수경,민윤기 한국심리학회 2011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Vol.30 No.2

        지금까지 자기통제 영역의 연구들은 대부분 자기통제 발휘 여부를 간접적인 방식으로 측정해 왔다. 본 연구에서는 점화 과제라는 인지 과제로 자기통제 발휘 여부를 직접적으로 측정한 자기통제 이론들을 다중 목표 관계의 관점에서 개관하였다. 먼저 세 가지 자기 통제 이론들, 즉 자기 조절력 모형, 역작용적 통제 이론, 그리고 목표 갈등 이론들을 중심으로 자기통제의 정의와 의의, 자기통제 성공과 실패의 의미, 성공적 및 비성공적인 자기통제자의 특성, 자기통제의 과정, 자기통제 발휘 과정에서 중요한 요인들을 비교하였다. 이들 세 이론을 바탕으로, 본 개관에서는 자기통제를 목표 갈등(양가감정)을 해결하는 과정으로 정의하고, 자기통제 과정에서 중요한 요인인 유혹과 목표 갈등에 대해 논의하였다. 또한 자기통제 과정이 사람의 유전적 배경, 과거 경험과 학습, 환경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는 역동적 과정임을 강조하고, 자기통제를 발휘하는 개인차와 개인의 특성, 조절변인들이 자기통제의 성패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도 논의하였다. 끝으로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 Until now, most researches in self-control area have measured indirectly the exertion of self-control. From the perspective of the multiple goal-relation, we reviewed three self-control theories, such as self-regulatory strength model, counteractive control theory, goal conflict theory, that measured directly the exertion of self-control using the priming task among cognitive tasks. From three theories, we summarized core concepts and assumptions, including implications and definition of self-control, meaning of self-control success or failure, characteristics of successful or unsuccessful self-controls, process of self-control, and important determinants in the self-control exertion. Based on these three self-control theories, this review, defined the self-control as the process of goal conflict resolution, suggests that very important factors are temptation (lower order goal) and goal conflict (ambivalence) in self-control process. Also we emphasized the dynamic process that the self-control would be affected by individual's genetic background, past experience and learning, and environment or context. We also discussed about individual difference in self-control exertion and possibility that the important factors in self-control success and failure process may be related by various moderators, such as goal importance, goal expectancy, and self-efficacy. Finally, we proposed some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in this area.

      • 어머니의 양육 태도와 유아의 자기 조절력 간의 관계: 애착 매개 효과 중심으로

        정윤주 ( Joung Yoon Ju ),조혜민 ( Jo Hye Min ) 한국사회복지경영학회 2021 사회복지경영연구 Vol.8 No.1

        사회적 문제행동이 늘어나고 있는 오늘날 자신과 타인의 감정을 이해하고 상황에 맞게 조절하며 대응하는 자기 조절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애착의 매개 효과를 검증함으로써, 상담현장과 교육현장에서 사용할 수 있는 효과적이며, 대안적인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한 연구문제는 첫째, 어머니의 양육 태도가 유아의 자기 조절력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둘째, 어머니의 양육 태도가 애착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셋째, 애착이 유아의 자기조절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넷째, 어머니의 양육 태도, 유아의 자기 조절력 간 관계에서 애착의 매개 효과는 어떠한가?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양육 태도가 유아의 자기 조절력에 미치는 분석결과, 어머니의 양육 태도 중 애정적, 자율적 양육 태도는 정(+)적 영향을 미치며, 거부적 양육 태도는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의 양육 태도가 애착에 미치는 분석결과에서 애정적, 자율적 양육 태도는 정(+)적 영향을 미치며 거부적 양육 태도는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애착이 자기조절에 미치는 분석결과에서 의사소통과 신뢰감이 높을수록 유아의 자기 조절력은 높게 나타났고, 소외감이 높을수록 유아의 자기 조절력은 낮게 나타났다. 넷째, 어머니의 양육 태도, 유아의 자기 조절력 간 관계의 애착 매개 효과 검증결과 애착의 간접효과 유의성은 (p<.01수준에서) 매개 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완전매개인 것을 알 수 있다. 이상의 연구결과와 같이 부모의 긍정적인 양육 태도는 부모-자녀 간 안정 애착을 형성하게 하며, 이러한 애착은 유아의 자기 조절력에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애착이 유아의 자기 조절력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수임을 입증하였으며 발달 시기에 맞게 발달을 이루어야 하는 영유아의 발달특성을 고려하여 영아기 최초에 형성되어야 할 애착과 다음 단계에서 순차 적으로 이루어야 할 유아의 자기 조절력과 유아의 환경 외적 변인 중 가장 영향력이 많은 어머니의 양육 태도 간 상관관계에서 애착 매개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는 점이 이 연구의 의의라 할 수 있다. The goal is to develop effective and alternative parent education programs that can be used in counseling and education sites by analyzing the effects of self-regulation on self-control, adjusting and responding to situations, and verifying the intermediate effect of attachment. The research question for this is first, what is the effect of the mother's parenting attitude on the infant's self-control? Second, what is the effect of mother's parenting on attachment? Third, what is the effect of attachment on self-control in infants? Fourth, what is the mediating effect of attachme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other's parenting attitude and the infan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512 mothers of daycare centers in Suwon and Yongin, and the path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PSS 24.0 and AMOS 24.0 to determine the direct effect of mother's parenting attitude on the infant's self-control and the intermediate effect of attachment.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analysis of the mother's parenting attitude on the infant's self-control shows that the loving and autonomous parenting attitudes of the mother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the child's parenting attitude, and the negative parenting attitude has a negative impact. Second, the analysis of the mother's parenting attitude on attachment showed that affectionate and autonomous parenting attitudes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affection, and rejectionary parenting attitudes have a negative (-) influence on attachment. Third, the analysis results of attachment on self-control showed that the higher the communication and confidence, the higher the infant's self-control, and the higher the alienation, the lower the infant's self-control. Fourth, verification of the mother's parenting attitude and the attachment mediating effect of the infant's relationship between self-regulation shows that the indirect effect significance of attachment is significant (at the p<.01 level). As shown in the above studies, positive parenting attitudes of parents lead to stable attachments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which serve as a medium for infants' self-control. This demonstrates that attachment is a major variable affecting the infant's self-regulation, and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attachment in the correlation between infant self-regulation and infant's most influential maternal attitude in the next stage.

      • KCI등재

        아동의 연령과 성별에 따른 리더십과 자기조절력의 관계

        임은경 ( Eun Kyung Im ),유연옥 ( Youn Oak Yu ) 한국아동교육학회 2012 아동교육 Vol.21 No.1

        본 연구는 아동의 연령과 성별에 따른 리더십과 자기조절력의 차이와 이들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한다. D시에 위치한 어린이집과 초등학교에 다니는 만 6세 192영과 만 8세 216명을 대상으로 아동의 리더십 검사과 자기조절력 검사를 실시하였다. 자료분석은 2(연령: 6세, 8세)x2(성별: 남아, 여아) 이원변량분석과 Pearson의 적률 상관분석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의 연령과 성별에 따라 리더십과 자기조절력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8세가 6세보다 리더십과 자기조절력의 하위 요인에서 모두 높게 나타났다. 성차에 있어 여아가 남아보다 리더십 중 자기목표설정, 자기통제, 자기관리와 기회사고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여아는 6세에서 남아는 8세에서 자기연습, 자기기대와 건설적 사고에서 높게 나타났다. 자기조절력에 있어서는 여아가 남아보다 높게 나타났다. 셋째, 리더십과 자기조절력의 관계는 아동의 연령과 성별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나타났다. 8세가 6세보다 리더십과 자기조절력의 상관이 높게 나타났고 남아는 정서조절과 자기관리, 행동억제와 건설적 사고 영역에서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여아는 정서조절과 자기관리에서는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나 행동억제에서는 그러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아동의 발달단계에 적합한 리더십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differences of leadership and self-control and relation between leadership and self-control according to children`s age and gender. The subject of this study was 192 6-year-olds and 216 8-year-olds. Children`s leadership test and children`s self-control test were used as test to acquired the data. 2(age: 6, 8)x2(gender: male, female) two-way ANOVA and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ed: First, Leadership and self-control abilities differed from the child`s gender and age. 8-year-olds scored more than 6-year-olds on 3 different categories of leadership and self-control abilities. Female children had higher score than the male children in self control and higher scores in objecting, self control, management and opportunity thoughts, female children at 6-year-olds and male children at 8-year-olds were higher scored in self practice, self anticipation and constructive thoughts. Second, in cases of the children`s gender and age differed in leadership and self control. 8-year-olds had higher leadership then the 6-year-olds, male children had a meaningful correlation between emotional and behavior control, self management and constructive thoughts, female students had a meaningful correlation between emotional control and self management, but not in behavior control. From the results, it is expected to use as basic materials for consisting of the appropriate leadership program for children.

      • KCI등재

        대학생의 협력적 자기조절, 자기통제, 학업 낙관주의, Grit 간의 관계

        신민(SHIN, MIN),양정모(Yang, Joung M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23

        목적 본 연구에서는 프로젝트 기반 학습에 영향을 줄 것으로 보이는 학습자 개인 특성 중 협력적 자기조절, 자기통제, 학업 낙관주의의 구조적 관계를 살펴보고, 이러한 변인들이 성공을 예측하는 요인인 Grit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본 연구의 표집 대상은 지방 4년재 대학인 W 대학교와 U 대학교의 1학년 신입생 총 1,000명이었으며, 이들 중 회수된 947명(회수율 94.7%)을 최종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구체적인 분석 방법은 첫째, 대학생들의 협력적 자기조절, 자기통제, 학업 낙관주의와 성공을 예측하는 것으로 알려진 Girt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Pearson의 적률상관계수(r)를 분석하였다. 둘째, 협력적 자기조절, 자기통제, 학업 낙관주의 요인들과 Grit의 구조적 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먼저 AMOS를 활용해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변인 간의 타당도를 검증하였고, 다음으로 연구모형에 대한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협력적 자기조절, 자기통제, 학업 낙관주의 요인들이 Grit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기 위해 SPSS를 활용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Grit은 협력적 자기조절, 자기통제, 학업 낙관주의 모두와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나타냈다. 또한, 각 변인 간의 구조적 관계를 살펴본 결과, ‘협력적 자기조절’ 요인이 ‘자기통제’ 요인, ‘교수에 대한 믿음’ 요인, ‘학업적 자기효능감’ 요인, ‘Grit’ 요인에 긍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수에 대한 믿음’ 요인과 ‘학업적 자기효능감’ 요인은 ‘Grit’ 요인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반면, 자기통제는 Grit에 유의미하게 부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협력적 자기조절, 자기통제, 학업 낙관주의 요인들이 Grit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본 결과, 협력적 자기 조절력이 강하고, 자기통제에는 다소 서툴지만, 학업 낙관주의가 높은 학생일수록 Grit이 높다고 추론할 수 있다. 결론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대학생들의 프로젝트 기반 학습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고, 대학 교육에서 학생들의 학습 방법을 고안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Objectives In this study, we wanted to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of co-regulation, self-control and academic optimism among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learners that are likely to affect project-based learning, and how these variables affect Grit, a factors that predict success. Methods A total of 1,000 students from W University and U University in the provinces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and 947 students (recovery rate 94.7%) were collected among them for final analysis. First, we analyzed Pearson s momentum correlation coefficient (r) to examine Girt s correlation, which is known to predict cooperative self-regulation, self-control, academic optimism, and success of university students. Second, in order to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cooperative self-regulation, self-control, and academic optimism factors and Grit,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first performed using AMOS to verify the validity of variables, and then the structural relationship to the research model was analyzed. Finally,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PSS to examine the effects of cooperative self-regulation, self-control, and academic optimism on Grit. Results Grit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cooperative self-regulation, self-control, and academic optimism. In addition,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correlation between each variable, Grit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all of cooperative self-regulation, self-control, and academic optimism. In addition,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each variable, it was found that the ‘cooperative self-regulation’ factor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self-control’ factor, ‘belief in professors’, ‘academic self-efficacy’ factor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Grit’ factor. On the other hand, it was found that self-control had a significantly negative effect on Gri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ffects of cooperative self-regulation, self-control, and academic optimism on Grit, it can be inferred that students with strong cooperative self-regulation and somewhat poor self-control but higher academic optimism have higher Grit.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the importance of project-based learning by university students can be recognized and used as basic data in devising the learning methods of students in university education.

      • KCI등재

        유아 자기조절 교육 실태와 교사의 인식 분석

        지성애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6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1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 자기조절 교육 실태와 교사의 인식을 조사 분석하는데 있다. 유아의 자기조절에 대한 교육 실태와 교사의 인식을 분석하기 위해 문헌분석, 전문가 집단과의 협의 그리고 문항 내용 이해도와 적합도 검증을 통해 설문지를 개발하고, 개발한 설문지를 통해 연구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도구인 설문지는 ‘자기조절 교육 실태’, ‘자기조절과 누리과정’, ‘자기조절 교육에 대한 교사 인식’, ‘자기조절에 기반한 사회적역량 교육에 대한 교사 인식’의 4개 범주로 구분하여 총 18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연구대상은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근무하고 있는 249명의 유아교사들이었으며, 수집된 연구자료는 x2-검증을 통해 배경변인에 따른 차이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유아 자기조절 교육 실태와 교사 인식 그리고 자기조절에 기반한 사회적역량 교육에 대한 교사 인식은 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라 부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status and early childhood teachers’ awareness of self control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A questionnaire was developed based on prior literature, research and arrangements with early childhood professionals. The questionnaire was composed of 4 areas of 18 questions related to ‘status of self control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self control and Nuri Curriculum’, ‘general awareness of self control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and ‘awareness of social competence education based on self control for young children’.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249 early childhood teachers. Data analysis was conducted by x2-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there were parti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groups in the status and teachers’ awareness of self control education, and social competence education based on self control for young children. Finally, ways to promote efficiency of self control education and social competence education based on self control for young children were discussed.

      • KCI등재

        자기 조절과 도덕교육

        추병완 ( Beong Wan Chu ) 한국윤리교육학회 2013 윤리교육연구 Vol.0 No.29

        자기 조절은 상위의 목표 달성이라는 관점에서 자신의 사고ㆍ감정ㆍ욕구ㆍ행동을 바꾸려는 시도를 의미한다. 자기 조절은 우리가 사건에 대한 무력한 관망자로 전락하는 것을 막아주는 동시에 능동적인 의사결정 및 행위자로서의 인간의 본질을 실현시켜 주는 매우 중요한 인간의 능력이다.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우리의 결정을 행동으로 옮기는데 실패하는 것은 자기 조절의 실패라고 말할 수 있다. 즉 사고와 행동의 불일치 혹은 결정을 행동으로 옮기는데 있어서의 실패는 부분적으로 자기 조절의 실패와 깊은 연관성을 맺고 있다. 학교 폭력과 인터넷 중독, 사이버 범죄 등의 문제 행동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아동과 청소년의 자기 조절 실패 현상은 단순히 당사자의 개인적 수준을 넘어서서 사회 문제로 발전하고 있다. 우리가 올바른 도덕적 결정을 내리고도 그것을 행동으로 옮기는데 실패하는 것 혹은 순간의 유혹에 굴복하여 비도덕적인 행동을 저지르는 것은 명백한 도덕적 자기 조절의 실패라고 말할 수 있다. 인간에게 있어서 도덕적 행동의 실천은 각자에게 하나의 삶의 목표일 수 있다. 그러한 목표 달성을 위해 가용한 자원을 어떻게 활용하고, 자신의 사고와 감정 그리고 욕구와 행동을 어떻게 조절해야 하는지의 문제는 자기 조절의 측면에서 가장 잘 파악될 수 있다. 이에 이 글에서는 자기 조절이 도덕교육에서 차지하는 중요성과 의미를 탐색하고, 자기 조절과 관련된 사회 인지 이론, 사이버네틱 통제 이론, 자기 통제 힘 이론의 주요 특징을 분석하며, 세 가지 자기 조절 이론들이 도덕교육에 주는 시사점이 무엇인지를 규명하였다. Compared to other living creatures, human beings have an extensive ability to exert control over their inner states, processes, and responses. People are able to resist their own impulses, adapt their behaviors to social standards, and change their current behaviors in the service of attaining distal goals. The term self-regulation is used to refer to efforts by humans to alter their thoughts, feelings, desires, and actions in the perspective of such higher goals. Thus, self-regulation refers to the person as an active agent and decision-maker, and is a vital aspect of human adaptation to life. In this article, I delved into definitions of self-regulation and it`s important to human life and moral education. Then I tried to analyze three different theories on self-regulation such as social cognitive theory, cybernetic control theory, and strength theory of self-regulation. According to social cognitive theory, moral conduct is regulated vis mechanisms of self-reactive influence. Cybernetic control theory emphasizes that people live life by identifying goals and behaving in ways aimed at attaining those goals. Self-control strength theory assumes that successful self-regulation entirely depends on the availability of the resource. Finally, I did suggest several implications to moral educ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each theory. When teachers deliberately teach self-regulation as part of everyday experiences, they help students become actively engaged moral ac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