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중년기 여성 학습자의 학습참여 요인과 삶의 의미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 조절효과 요양보호사 학습자 중심으로

        정윤주 ( Joung Yoon Ju ),조희선 ( Cho Heui Seon ) 한국사회복지경영학회 2021 사회복지경영연구 Vol.8 No.1

        중년기 여성의 학습참여 요인은 삶의 의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회적 지지도 학습참여 요인과 삶의 의미에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참여 요인, 삶의 의미, 사회적 지지의 각 변인에 대한 개별적인 연구는 많이 있으나, 사회적 지지가 학습참여 요인과 삶의 의미에 미치는 조절효과에 대한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므로 학습참여 요인, 삶의 의미, 사회적 지지와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시점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학습에 참여하는 중년기 여성을 대상으로 학습참여 요인과 삶의 의미,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밝힌 것은 학습에 참여하는 중년기 여성의 학습참여 요인의 전략을 세우는데 기초 자료를 제시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학습참여 요인, 삶의 의미 간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는 학습참여 요인과 삶의 의미의 관계에서 조절효과가 있었다. 정보적 지지, 평가적 지지, 정서적 지지는 학습참여 요인과 삶의 의미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정서적 지지, 평가적 지지, 정보적 지지가 높아질수록 학습참여 요인과 삶의 의미는 높아지는 것이다. 반대로 물질적 지지는 학습참여 요인과 삶의 의미와의 관계에서 조절효과가 없었다. 이는 중년기 여성에게 평가적 지지, 정서적 지지, 정보적 지지를 강화시키는 상담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며 이를 위한 사회 제도적 보완 및 대책이 요구된다 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nfluence of middle-aged women's learning participation-related factors on the meaning of life and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To verify this, this study surveyed 551 middle-aged women aged 45-65 years living in Seoul, Incheon, and Gyeonggi-do with the questionnaire including learning participation factors, meaning of life, and measures of social support with the use of SPSS 25.0 for data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learning participation factors of middle-aged female learners positively affected the meaning of life. Learning-oriented factors and goal-oriented factors positively affected the meaning of life, but activity orientation negatively affected the meaning of life, which means that taking pleasure in learning itself and having a clear purpose make the meaning of life more valuable, but the increase in activity orientation - with expansion of human relationships, feelings of alienation, and escape from boring daily - life reduces the value of the meaning of life. Second, it was revealed that social support partially and positively affected learning participation factors. Informational support and emotional support positively affected the activity-oriented factors. Emotional support, evaluative support, and informational support positively affected learning orientation factors. Informational support positively affected goal orientation. Conversely, it was verified that material support negatively affected goal orientation factors, which means that information provision, interest and love, and a high level of trust increase activity-oriented factors, and affection and trust, providing information, and positive evaluation or high acceptance of oneself increase goal-directing factors, and a high level of advice, information, and suggestions raises the level of goal orientation, and an increase in material support such as money, goods, labor assistance, or time decreases goal orientation. Third, the results of the study on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on the meaning of life show that social support had a positive effect. Emotional support and evaluative support positively affected the discovery of meaning in life and informational support and evaluative support positively affected the meaning-seeking. On the other hand, material support negatively affected the pursuit of meaning, which means that when emotional support, informational support, and evaluative support increase, the meaning of life increases, but also meaning-seeking decreases when material support such as goods, money, time, and labor aid increases. This study verified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iddle-aged women's learning participation factors and the meaning of life. In other words, it is meaningful that social support increases the learning participation factor of middle-aged women, which helps enhance the value of meaning in life, leading to growing understanding of middle-aged female learners.

      • 중년여성의 갱년기와 삶의 질 관계연구: -자아정체감, 가족건강성 매개효과-

        정윤주 ( Joung Yoon Ju ),한면화 ( Han Myun Hwa ) 한국사회복지경영학회 2021 사회복지경영연구 Vol.8 No.1

        본 연구는 중년여성의 갱년기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자아정체감과 가족건강성의 매개효과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서울과 경기도, 인천, 강원도 지역에 거주하는 45세~65세의 중년여성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코로나19 신종 바이러스 출현으로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병행하여 설문 조사를 시행하고 응답한 564부를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기 위하여 SPSS 25.0과 AMOS 25.0 통계프로그램을 통해 기술 통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서 중년여성의 갱년기 및 삶의 질, 자아정체감, 가족건강성과의 관계를 확인하였고, 이들 관계가 직·간접적인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본인 스스로의 노력과 가족들의 관심 및 적극적인 지지가 필요하며, 갱년기로 인해 심리적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중년여성들에게 심리적 안녕감을 부여하고,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이는 상담 장면에서 중년여성의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해 중년여성의 갱년기와 가족건강성 및 자아정체감을 함께 고려하여 상담 개입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menopause on the quality of life of middle-aged women and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s of ego-identity and family strengths. To verify this, a structured self-report questionnaire was used for middle-aged women aged 45 to 65 living in Seoul, Gyeonggi-do, Incheon, and Gangwon-do, due to the emergence of the new Corona 19 virus, the survey was conducted both online and offline, and 564 responses were analyzed.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through the SPSS 25.0 and AMOS 25.0 statistical programs. This study confirmed the relationship between menopause, quality of life, ego-identity, and family strengths of middle-aged women, and found that these relationships had direct and indirect effects.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ne's own efforts, interest and active support from family members are required, it is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s psychological well-being to middle-aged women who are experiencing psychological difficulties due to menopause and provides basic data that can improve the quality of life. This suggests that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middle-aged women in the counseling scene, counseling intervention is necessary by considering menopause, ego-identity and family strengths of middle-aged women.

      •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 사회적 지지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정윤주 ( Joung Yoon Ju ),이인순 ( Lee In Soon ) 한국사회복지경영학회 2021 사회복지경영연구 Vol.8 No.1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분석하여, 그 영향 관계를 살펴보고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심리적 안녕감은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보육교사의 사회적지지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심리적 안녕감은 보육교사의 사회적 지지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심리적 안녕감은 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이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아탄력성은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보육교사의 사회적 지지가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아탄력성은 보육교사의 사회적 지지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자아탄력성이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analyzed the variables that affect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childcare teachers, by examining the influence relationship and verifying the mediating effect of self-resilience.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the effect of childcare teachers' teacher efficacy on psychological well-being, psychological well-being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 effect on teacher efficacy. Second, in the effect of childcare teachers' social support on psychological well-being, psychological well-being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 effect on social support. Third, in the effect of childcare teachers' self-resilience on psychological well-being, psychological well-being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 effect on self-resilience. Fourth, in the effect of childcare teachers' teacher efficacy on self-resilience, it was found that self-resilience had a positive (+) effect on teacher efficacy. Fifth, in the effect of childcare teachers' social support on self-resilience, it was found that self-resilience had a positive (+) effect on social support. Finall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mediating effect of self-resilience in the effect of childcare teachers' teacher efficacy on psychological well-being, it can be confirmed that self-resilience has an indirect effect.

      • 어머니의 양육 태도와 유아의 자기 조절력 간의 관계: 애착 매개 효과 중심으로

        정윤주 ( Joung Yoon Ju ),조혜민 ( Jo Hye Min ) 한국사회복지경영학회 2021 사회복지경영연구 Vol.8 No.1

        사회적 문제행동이 늘어나고 있는 오늘날 자신과 타인의 감정을 이해하고 상황에 맞게 조절하며 대응하는 자기 조절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애착의 매개 효과를 검증함으로써, 상담현장과 교육현장에서 사용할 수 있는 효과적이며, 대안적인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한 연구문제는 첫째, 어머니의 양육 태도가 유아의 자기 조절력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둘째, 어머니의 양육 태도가 애착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셋째, 애착이 유아의 자기조절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넷째, 어머니의 양육 태도, 유아의 자기 조절력 간 관계에서 애착의 매개 효과는 어떠한가?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양육 태도가 유아의 자기 조절력에 미치는 분석결과, 어머니의 양육 태도 중 애정적, 자율적 양육 태도는 정(+)적 영향을 미치며, 거부적 양육 태도는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의 양육 태도가 애착에 미치는 분석결과에서 애정적, 자율적 양육 태도는 정(+)적 영향을 미치며 거부적 양육 태도는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애착이 자기조절에 미치는 분석결과에서 의사소통과 신뢰감이 높을수록 유아의 자기 조절력은 높게 나타났고, 소외감이 높을수록 유아의 자기 조절력은 낮게 나타났다. 넷째, 어머니의 양육 태도, 유아의 자기 조절력 간 관계의 애착 매개 효과 검증결과 애착의 간접효과 유의성은 (p<.01수준에서) 매개 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완전매개인 것을 알 수 있다. 이상의 연구결과와 같이 부모의 긍정적인 양육 태도는 부모-자녀 간 안정 애착을 형성하게 하며, 이러한 애착은 유아의 자기 조절력에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애착이 유아의 자기 조절력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수임을 입증하였으며 발달 시기에 맞게 발달을 이루어야 하는 영유아의 발달특성을 고려하여 영아기 최초에 형성되어야 할 애착과 다음 단계에서 순차 적으로 이루어야 할 유아의 자기 조절력과 유아의 환경 외적 변인 중 가장 영향력이 많은 어머니의 양육 태도 간 상관관계에서 애착 매개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는 점이 이 연구의 의의라 할 수 있다. The goal is to develop effective and alternative parent education programs that can be used in counseling and education sites by analyzing the effects of self-regulation on self-control, adjusting and responding to situations, and verifying the intermediate effect of attachment. The research question for this is first, what is the effect of the mother's parenting attitude on the infant's self-control? Second, what is the effect of mother's parenting on attachment? Third, what is the effect of attachment on self-control in infants? Fourth, what is the mediating effect of attachme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other's parenting attitude and the infan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512 mothers of daycare centers in Suwon and Yongin, and the path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PSS 24.0 and AMOS 24.0 to determine the direct effect of mother's parenting attitude on the infant's self-control and the intermediate effect of attachment.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analysis of the mother's parenting attitude on the infant's self-control shows that the loving and autonomous parenting attitudes of the mother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the child's parenting attitude, and the negative parenting attitude has a negative impact. Second, the analysis of the mother's parenting attitude on attachment showed that affectionate and autonomous parenting attitudes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affection, and rejectionary parenting attitudes have a negative (-) influence on attachment. Third, the analysis results of attachment on self-control showed that the higher the communication and confidence, the higher the infant's self-control, and the higher the alienation, the lower the infant's self-control. Fourth, verification of the mother's parenting attitude and the attachment mediating effect of the infant's relationship between self-regulation shows that the indirect effect significance of attachment is significant (at the p<.01 level). As shown in the above studies, positive parenting attitudes of parents lead to stable attachments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which serve as a medium for infants' self-control. This demonstrates that attachment is a major variable affecting the infant's self-regulation, and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attachment in the correlation between infant self-regulation and infant's most influential maternal attitude in the next stage.

      • 어머니의 행복감, 양육스트레스와 유아의 사회적 능력 간 관계에서 양육효능감의 매개효과

        정윤주 ( Joung Yoon Ju ),김은영 ( Kim Eun Young ) 한국사회복지경영학회 2021 사회복지경영연구 Vol.8 No.1

        본 연구는 사회적 능력이 또래와의 원만한 관계를 유지하고 다양한 상황에서 적절히 적응하는데 필요한 기술이라고 보고,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을 분석하고, 양육효능감을 매개로 할 때, 어머니의 행복감, 양육스트레스가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이 어떤지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어머니의 행복감, 양육스트레스, 양육 효능감이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둘째, 어머니의 행복감, 양육스트레스가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셋째, 어머니의 행복감, 양육스트레스가 유아의 사회적 능력 간 관계에서 양육효능감의 매개 효과는 어떠한가?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행복감과 양육효능감은 직접적인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의 행복감이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에서 양육효능감이 매개효과를 갖는지에 대한 결과를 보면 어머니의 행복감이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도 하지만 양육효능감을 매개로 간접적인 효과도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내용을 통해서, 어머니의 행복감, 양육스트레스, 양육효능감이 유아의 사회적 능력을 향상시키는데 중요한 변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유아의 사회적 능력 발달을 위해 어머니의 행복감과 양육스트레스의 관리가 중요하며, 양육효능감을 높일 수 있는 프로그램의 개발과 운영, 다양한 교육이 필요함을 시사해준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variables that affect infants' social abilities, and to understand the effects of mother's happiness and child care stress on their social abilities, considering that social skills are necessary to maintain smooth relationships with peers. To this end, the following research problems were established: First, what is the effect of mother's euphoria, parenting stress, and parenting effectiveness on infants' social abilities? Second, what is the effect of mother's happiness and child-rearing stress on child-rearing effectiveness? Third, what is the medium effect of mother's happiness and child support stres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fant's social abiliti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557 infants and mothers aged 2 to 5 years old who are volunteering at daycare centers in Suwon and Yongin, Gyeonggi-do. The collected data were verified using SPSS 20.0 and AMOS 20.0 program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looking at the effects of mother's happiness, child-rearing stress, and child-rearing effectiveness on infants' social abilities, it was found that mother's happiness and child-rearing effectiveness had a direct impact. However, the mother's parenting stress did not directly affect the infant's social ability. On the other hand, mother's happiness and child support stress were directly influenced by the effectiveness of parenting. Second, the results of whether the mother's happiness has a mediating effect on the infant's social ability showed that the mother's happiness has a direct effect on the infant's social ability, but also indirectly has a mediating effect. Meanwhile, the mother's parenting stress was only indirect to the infant's social ability through the medium of parenting effectiveness. The mother's parenting stress affects the infant's social ability rather than having a direct impact on the infant's social ability, and the mother's parenting stress and the infant's parenting effectiveness are completely mediated. Through the above, it was confirmed that the mother's happiness, parenting stress, and parenting effectiveness were important variables in improving the infant's social skills. Therefore, the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suggests that the management of mother's happiness and child-rearing stress are important for the development of infants' social skills, and that various education is needed to enhance their child-rearing effectiveness.

      • 보육교사의 공감능력과 정서표현성이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인성 매개효과

        정윤주 ( Joung Yoon Ju ),한지연 ( Han Ji Yeon ) 한국사회복지경영학회 2021 사회복지경영연구 Vol.8 No.1

        본 연구는 보육교사와 영유아 상호작용의 관계에서 공감능력과 정서표현성이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과 공감능력과 정서표현성이 보육교사의 인성을 매개로 영유아 상호작용에 작용하는 간적접인 영향을 이해하기 위해 경로분석을 통한 관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진행하기 위해 서울시, 경기도, 인천, 경상도 소재 영유아 보육시설에 근무하는 보육교사 847명의 데이터를 AMOS 22.0, SPSS 22.0 프로그램으로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의 공감능력은 교사-영유아 상호작용 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보육교사의 정서표현성은 교사-영유아 상호작용 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보육교사의 인성은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정적인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공감능력이 교사-영유아 상호작용 간에 미치는 영향에서 인성의 매개효과는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다섯째, 정서표현성이 교사-영유아 상호작용 간에 미치는 영향에서 인성의 매개효과는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보육교사 인성의 중요성을 반영하여 보육교사의 공감능력과 정서표현성이 교사-영유아간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연구하였음에 중요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또한 보육교사의 공감능력과 정서표현성이 교사와 영유아 간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감안하여 교사와 영유아 간 상호작용의 질적인 수준을 증진시키기 위해 보육교사의 내적요인인 공감능력과 정서표현성을 상승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려는 노력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direct effect of empathy ability and emotional expression on the interaction between child-care teachers and infants, and the indirect effect of empathy ability and emotional expression on the interaction of infants through the personality of the child-care teacher. For this purpose, we trie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through path analysis. In order to proceed with the research, data of 847 child-care teachers working at child-care facilities in Seoul, Gyeonggi-do, Incheon, and Gyeongsang-do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22.0 and AMOS 22.0 programs, and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empathy ability of child-care teachers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teacher-infant interaction. Second, the emotional expressiveness of child-care teachers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teacher-infant interaction. Third, the personality of child-care teachers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and significant effect on the teacher-infant interaction. Fourth, the mediating effect of personality was found to be significant in the effect of empathy ability between teacher-infant interaction. Fifth, the mediating effect of personality was significant in the effect of emotional expressiveness between teacher-infant interaction. Through these results, reflecting the importance of child-care teachers' personality, an important significance can be found in the study of the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child-care teachers' empathy ability and emotional expression on teacher-infant interaction. In addition, considering the fact that child-care teachers' empathy ability and emotional expression affect the interaction between teachers and infants,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interactions between teachers and infants, efforts should be made to develop and apply programs that can improve empathy ability and emotional expression, which are intrinsic factors of child-care teachers.

      • 긍정심리학에 기반한 상담코칭프로그램이 어머니의 양육효능감과 양육태도에 미치는 효과 - 지역아동센터 초등자녀를 둔 어머니를 대상으로 -

        정윤주 ( Joung Yoon Ju ),박은경 ( Park Eun Kyung ) 한국사회복지경영학회 2021 사회복지경영연구 Vol.8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아동센터에 초등학교 아동을 둔 어머니의 양육효능감과 양육태도의 증진을 위해 긍정심리기반의 상담코칭프로그램을 실시한 후 그 효과성을 검증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H시 M지역아동센터에 초등학교 아동을 둔 어머니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실험집단 11명에게는 긍정심리기반의 상담코칭프로그램을 주 1회 120분씩 12회기 진행하였다. 어머니의 양육효능감과 양육태도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선행연구 조사를 통해 구성한 설문으로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6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본 연구의 결과는 긍정심리기반의 상담코칭프로그램은 지역아동센터에 초등학교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효능감 증진과 양육태도 개선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기존 연구의 한계점을 보완하고 긍정심리기반의 상담코칭프로그램이 지역아동센터에 초등학교 아동을 둔 어머니의 양육효능감과 양육태도를 증진시키는 상담코칭프로그램을 제시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after conducting a positive psychology-based counseling coaching program to promote the parenting efficacy and parenting attitude of mothers with elementary school children at community child center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2 mothers who expressed interest in positive psychology-based counseling coaching programs among mothers with elementary school children at community child centers. For the experimental group of 11 mothers, a positive psychology-based counseling coaching program had been conducted for 12 sessions of 120 minutes a week.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 positive psychology-based counseling coaching program had positive effects on improving both parenting efficacy and parenting attitude of mothers with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 community child center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a positive psychology-based counseling coaching program proves its effectiveness for mothers with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 community child centers.

      • 초등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교사전문성이 적응유연성을 매개로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정윤주 ( Joung Yoon Ju ),방명숙 ( Bang Myung Sook ) 한국사회복지경영학회 2021 사회복지경영연구 Vol.8 No.1

        본 연구는 초등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교사전문성이 적응유연성을 통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초등교사의 직무만족도를 제고할 수 있는 효율적인 방안을 도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서울지역에 소재한 초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구조화된 자기보고식 설문지를 사용하였으며, 코로나19 신종 바이러스 출현으로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병행하여 설문조사를 시행하고 503명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 참여자의 응답 자료를 통해 직무만족도의 영향에 미치는 요인과 적응 유연성의 매개효과 검증을 위해 SPSS 22.0과 AMOS 22.0을 이용하여 통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초등교사의 직무스트레스는 직무만족도에 부적인 영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사전문성은 직무만족도에 정적인 영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등교사의 적응유연성은 직무만족도에 정적인 영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초등학교 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인식수준은 적응유연성을 매개하여 직무만족도 인식에 미치는 간접효과는 나타났으나,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직접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나지 않음으로 완전매개 효과를 나타냈다. 또한, 초등학교 교사전문성 인식수준은 적응유연성을 매개하여 직무만족도 인식에 미치는 간접효과가 나타났으며,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직접효과 또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남으로 인해 부분매개효과를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초등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교사전문성이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가운데 적응유연성이 밀접한 관련성을 갖는 중요한 변임임을 알 수 있었으며, 교사 직무만족도 증진을 위해 교권침해, 심리치료, 직무스트레스 등 상담지원을 위한 교원치유센터 활성화에 대한 정부차원의 지원 등 실천적인 방안을 제언함으로써 교육 전반의 질 제고를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데 기여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an effective way to reconsider the job satisfaction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by analyzing the effects of job stress and teacher expertise on job satisfaction through resilienc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elementary school teachers located in Seoul, a structured self-report questionnaire was used, and due to the emergence of the new Corona 19 virus, a survey was conducted both online and offline, and data from 503 people were collected.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PSS 22.0 and AMOS 22.0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s of the factors affecting job satisfaction and resilience through the response data of the study participa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meaningful in that this study verified the mediating effect with other variables while there are insufficient previous studies that verified the parameters of adaptive flexibility targeting elementary school teachers. Healthy management of primary school teacher job stress has a positive effect on teachers themselves and students, and is meaningful in that it has been reconsidered to improve the quality of education. Therefore, in order to increase teacher job satisfaction, We hope that it will contribute to finding ways to improve the overall quality of education by suggesting practical measures such as government-level support for the activation of the Teacher Healing Center for counseling support such as violation of teaching rights, psychological treatment, and job stress.

      • 감정노동종사자의 감정노동과 직무소진 간의 관계에서 스트레스대처능력의 매개효과

        이민자 ( Lee Min Ja ),정윤주 ( Joung Yoon Ju ) 한국사회복지경영학회 2020 사회복지경영연구 Vol.7 No.1

        본 연구는 감정노동 종사자들의 감정노동이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스트레스대처능력의 매개효과를 검증함으로써, 감정노동종사자들의 건강한 삶을 위한 다양한 교육 및 상담프로그램 등을 개발하여 확장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감정노동, 직무소진, 스트레스대처능력 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둘째, 감정노동이 직무소진과 스트레스대처능력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셋째, 스트레스대처능력이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넷째, 스트레스대처능력은 감정노동과 직무소진 간의 관계를 매개 하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 및 수도권에 위치한 콜센터 및 서비스직에 근무하는 감정노동종사자 544명이며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statistics 24와 LISREL 8.52 통계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검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감정노동과 직무소진, 스트레스대처능력간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직무소진과 스트레스대처능력의 관계에서는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감정노동이 직무소진, 스트레스대처능력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스트레스대처능력은 직무소진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스트레스대처능력은 감정노동과 직무소진 간의 관계에서 부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와 같이 감정노동이 직무소진과 스트레스대처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으며, 스트레스대처능력이 감정노동과 직무소진 간의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스트레스대처능력이 직무소진을 완화시키는데 중요한 변수임을 입증하였으며 상담프로그램 개발시 필요한 방안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expand various education and counseling programs for the healthy life of emotional workers by analyzing the effects of emotional labor on job exhaustion and verifying the mediating effect of stress-coping ability. For this, the following research problem were set. First,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abor, job exhaustion, and stress-coping abilities? Second, what is the effect of emotional labor on job exhaustion and stress-coping ability? Third, what is the effect of stress-coping ability on job exhaustion? Fourth, does stress-coping abilit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abor and job exhaustion? The subject of this study was 544 emotional laborers working in call centers and service jobs located in Seoul and the metropolitan area. The collected data were verified using IBM SPSS statistics 24 and LISREL 8.52 statistical programs.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abor, job exhaustion, and stress-coping ability, most of each factors are a positive (+) correlation but there i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job exhaustion and stress coping ability. Second, emotional labor had a positive effect on job exhaustion and stress-coping ability. Third, the ability to deal with stress was found to have a negative effect on job exhaustion. Lastly,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mediating effect between emotional labor and job exhaustion of stress-coping ability, it was found that indirect effect was used for partial mediation. As the result of the above study, the effect of emotional labor on job exhaustion and stress-coping ability was confirmed, and the stress-coping ability was found to play a mediating role between emotional labor and job exhaustion. This proved that stress coping ability is an important variable in alleviating job exhaustion, and it is meaningful to provide basic data when developing a counseling program.

      • KCI등재

        생활사건 스트레스가 중년기 위기감에 미치는 영향 -심리사회 성숙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채경선 ( Kyoung Sun Chae ),정윤주 ( Yoon Ju Joung ) 한국가족복지학회 2016 한국가족복지학 Vol.21 No.2

        This study intends to analyze the correlation of life incident stress and psychosocial maturity in a conceptual and empirical way in order to examine theirsignificant effect on midlife crisis, an important phenomenon affecting individuals and society. This study also aims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 of psychosocial maturity on midlife crisis. The main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difference in midlife crisis based on demographics and variables was confirmed. Second, it was revealed that midlife crisis, life incident stress, and psychosocial maturity influenced each other. Third, the higher the level of life incident stress was, the greater the midlife crisis became. Fourth, the higher that the level of psychosocial maturity was, the less the severity of the midlife crisis was. Finally, although the life incident stress was high, psychosocial maturity played a moderating role to reduce the severity of the midlife crisis. That is, it was confirmed that psychosocial maturity played a moderating role on the effect that life incident stress had on mid-life crisi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