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표적 중심 반편견교육의 모색

        추병완 ( Beong Wan Chu )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2012 초등도덕교육 Vol.0 No.39

        편견은 병리적인 현상이 아니라 정상적인 인간 경험의 한 부분이다. 편견 감소와 관련한 대부분의 이론과 연구들은 편견을 지각하고 있는 사람들의 편견을 감소시키는 방안을 모색하는 데에만 초점을 맞추었을 뿐, 정작 편견의 표적이 자신에 대한 편견에 맞서 싸울 수 있는 방안이 무엇인지를 제시해 주는 데에는 매우 소홀하였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편견 형성과 관련된 연구들이 공통적으로 제시하는 기본 원리로부터 표적이 편견이 개재된 상호작용에서 활용할 수 있는 대응 전략이 무엇인지를 밝히고, 그것을 초등 도덕과교육에 구체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교사는 초등 도덕과교육을 통해 보편적 가치에 대한 심층적 이해를 조장하고, 범주화 과정의 변화를 유도하며, 협동학습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집단 간 유사성을 긍정적 맥락에서 강조함으로써 잠재적인 표적 대상으로서의 학생들의 반편견 대응 능력을 발달시켜 주어야 한다. Virtually all existing research and practice on reducing prejudice has focused on the people who hold prejudiced beliefs. Theory and research addressing the role that the stigmatized themselves may play in reducing prejudice are almost nonexistent. The purpose of this article ventured into this uncharted territory by considering prejudice reduction from the perspective of the target. Different theories of the origins of prejudice lead to different recommendations for ways that a target might destroy or deter prejudice in others. My intent here has been to outline what social psychological theories predict that targets can do to combat prejudice in prejudicial interactions, rather than to endorse a particular type or set of strategies. The risks and benefits of these various approaches to prejudice are ultimately borne by the target. In applying these strategies to elementary moral education, it is desirable that teachers provide students with in-depth understanding of universal values, teach students new ways of categorization, utilize cooperative learning, and highlight intergroup similarities in positive contexts.

      • KCI등재

        학교 유대감 형성을 위한 감사의 기능

        추병완 ( Beong Wan Chu )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2015 초등도덕교육 Vol.0 No.49

        학교 유대감은 학교 사랑, 학교에 대한 소속감, 교사와의 긍정적인 관계, 학교 활동에의 적극적인 참여 등을 포괄하는 가운데 학생들의 긍정적인 발달 결과를 예측하고, 부정적인 문제 행동을 예방하는 보호 요인으로 각광을 받고 있다. 한편, 감사 개입은 학생들의 학교생활에 대한 만족도를 증가시켜 주는 데에도 매우 효과적인 것으로 밝혀졌다. 학교생활에 대한 불만과 부적응을 보이는 학생들이 증가하고 있는현 상황에서, 학생들의 감사 성향을 함양하는 일은 학교에 대한 학생들의 부정적인 인식과 평가를 완화하고, 학생들의 학교 유대감을 증진하는 매우 효과적이고 실용적인 개입이 될 수 있다. 하지만, 감사가 학교 유대감을 어떻게 증진할 수 있는지에 대한 명확한 이론적 원리는 아직 불분명하다. 이에 이 논문에서는 인간의 기본적 욕구 이론, 긍정 정서의 확장 및 축적 이론, 도덕 정서로서의 고양에 관한 이론을 토대로 하여, 감사가학교 유대감을 증진하는데 어떻게 기여할 수 있는지에 대한 이론적 설명 기제를 제공하였다. In general, school connectedness includes love for school, a sense of belonging at school, positive relationships with teachers and peers, and active involvement in school activities. It is an important protective factor that predicts positive developmental outcomes and less negative problem behaviors. Nowadays, researches have demonstrated that gratitude interventions in schools may be considerably effective in improving students`` satisfaction with school. Considering recent trends that students who have disaffection with school are increasing, cultivating and inducing gratitude in students may be a viable intervention for mitigating negative appraisals of schools and promoting school connectedness. However, a theoretical rationale for explaining a relationship between gratitude and school connectedness is not obvious so far. In this article, I provided a mechanism of theoretical explanation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gratitude and school connectedness with three propositions that are based on the theories of fundamental human needs, broaden-and-build theory of positive emotions, and elevation as a positive moral emotion. I make the case for the unique role of gratitude in fostering positive relationships with teachers and peer students in school.

      • KCI등재

        글로벌·다문화 시대에서 도덕과교육의 과제

        추병완(Chu Beong Wan)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11 도덕윤리과교육 Vol.- No.33

        이 글에서는 세계교육과 다문화교육에 관한 문헌 검토를 통해 세계교육과 다문화교육이 공통적으로 강조하고 있는 개념을 도덕과교육에 용해ㆍ적용하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세계교육과 다문화교육은 공히 다양성 안에서의 통일성을 확보하려는 교육적 시도이다. 두 교육은 인간의 상호 의존성과 문화 간 이해 및 협력의 중요성을 무엇보다도 강조하고 있으며, 동시에 사회 변혁의 중요성을 함축하고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공통 개념에 근거한 도덕과교육은 내용 및 교수ㆍ학습 과정에 있어서 다양성 및 인권의 존중, 유연하고 복합적인 정체성, 간문화 역량, 공동 책임과 참여 의식을 중시해야 한다. "Multicultural education and global education have many commonalities. Both involve a process whereby individuals develop knowledge, skills, attitudes, and behaviors for participating effectively in a culturally diverse society. When combined, multicultural education and global education can be seen as two parts of the same theme of how individuals, groups, and institutions can work together to build a better world locally, nationally, and internationally. In this paper, I tried to review related literature on global education and multicultural education, to identify shared goals and objectives of both global education and multicultural education, and to apply them to the content and teaching & learning process of moral education in the schools. In the global and multiculral era, moral education in the schools has to emphasize respect of diversity and human rights, flexible and complex identities, intercultural competence, and sense of co-responsibility and participation.

      • KCI등재후보

        사이버 공간에서 행위자의 도덕 심리에 관한 연구

        추병완(Chu Beong Wan)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03 도덕윤리과교육 Vol.- No.17

        이 연구는 사이버 공간에서 행위자의 비도덕적 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도덕 심리적 요인을 탐색하기 위한 것이다. 사이버 공간은 익명성이 보장되는 공간이기에, 현실 공간에 비하여 탈억제(disinhibition) 심리가 쉽게 나타나고 있다. 탈억제는 개인의 자기 표현을 증대시킴으로써 솔직하고 개방적인 의사소통을 촉진하는 긍정적인 측면이 있기도 하지만, 규범으로부터의 이탈을 촉진하여 비도덕적 행동을 유발하는 심리적 기제로 작동하기 쉽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사이버 공간에서 행위자의 도덕 심리적 특성을 밝히고, 이러한 특성에 부합하는 도덕 교과에서의 정보윤리교육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moral psychology of the agent in cyberspace. Cyberspace has unique technological and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that minimize the agent's morality. In this study, I focus on disinhibition on the Internet in order to delve into the causes of immoral behaviors on the net. In general, people believe that anonymity has a critical role in disinhibited behavior in cyberspace. In this study, I found that disinhibited behaviors online are related to the other various causes such as invisibility, asynchronicity, solipsistic introjection, dissociation, neutralizing of status, disregard or distortion of consequences, and attribution of blame. Thus, information ethics education in moral education is desirable to follow these lines: ① It should emphasize the nobleness of the humanity. ② It should enlarge the concept of the moral virtues into cyberspace. ③ It should emphasize the characteristics of cyberspace. ④ It should emphasize the importance of nettiquette and cyber ethics. ⑤ It should emphasize several virtues(self-respect, self-efficacy, self-identity, and self-control) in order to cope with Internet addiction. ⑥ It should involve the lessons that help children and adolescents protect themselves in cyberspace.

      • KCI등재

        초등 교실에서 회복탄력성 증진 방안

        추병완 ( Chu Beong-wan )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2017 초등도덕교육 Vol.0 No.55

        많은 초등학생이 빈번한 스트레스를 경험하고 있다는 사실이 여러 조사 결과를 통해 드러난다. 초등학생이 삶에서 겪는 스트레스와 역경에 직면하여 긍정적인 발달 결과를 보여주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심리학적 구인이 바로 회복탄력성(resilience)이다. 회복탄력성은 전통적인 3R에 덧붙여 학교교육이 추구해야 할 네 번째 R에 해당한다. `2015도덕과 교육과정`에서는 도덕 교과 공부를 통해 학생이 갖추어야 할 도덕적 기능의 하나로 도덕적 보건 능력을 제시한 바 있다. 새 교육과정에서는 도덕적 보건 능력의 구체적인 요소로 회복탄력성 키우기, 건강한 마음 가꾸기를 강조한다. 초등학교 교실에서 도덕 교사로서 그리고 담임교사로서 초등학생의 회복탄력성을 증진하기 위해 교사는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하는가? 이 논문에서는 아동의 회복탄력성에 관한 기존의 연구를 개관하고, 그것에 기초하여 초등 교실에서 회복탄력성 증진을 위한 교실 풍토를 조성하는 방법, 회복탄력성 증진에 도움을 주는 생활 기능을 가르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Everyone faces adversities in his or her life trajectories because life can be challenging and may include many stressful situations and risk factors. Resilience is the ability to steer through serious life challenges and find ways to bounce back and to thrive. The construct `resilience` is becoming more and more important in the elementary moral education. According to a revised moral education curriculum in 2015, resilience is a part of moral health ability. How can teachers promote students` resilience in the elementary classrooms? In this article, I proposed promising methods for promoting resilience by the two dimensions of classroom climate and life skills. Caring relationship, positive and realistic high expectations, and opportunities for participation and contribution are the core components of resilient classrooms. In this resilient classroom climate, teachers should teach students life skills for resilience such as savoring positive emotions, optimistic explanatory style, and hardiness & grit.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should bear in mind that resilience is the most important present that they can give their students.

      • KCI등재

        《교과교육학》 : 청소년의 회복탄력성(resilience) 증진을 위한 도덕과 지도 방법

        추병완 ( Beong Wan Chu ) 한국윤리교육학회 2014 윤리교육연구 Vol.0 No.34

        1980년대 중반 이래 아동 발달, 소아의학, 심리학, 정신의학, 사회학 등 여러 학문 분야에서의 많은 연구자들이 삶에 있어서 주요한 역경을 겪으면서 심각한 정신병리를 지속적으로 겪는 아동이 있는 반면에 왜 다른 아동은 그런 역경에 성공적으로 대처하는지에 주목하여 왔다· 그들의 연구를 통해 등장한 회복탄력성 개념은 오늘날 아동과 청소년의 삶에서 위험과 스트레스를 근본적으로 제거하지는 않지만, 효과적으로 다룰 수 있게 해 주는 완충 과정, 성격 강점, 개인적 자산으로 여겨지고 있다· 특히 최근 학교교육을 통한 회복탄력성 증진 프로그램의 개발 및 실행은 위기에 처한 학생들에 대한 결핍 모델에서 강점에 기반을 둔 예방 모델로의 전환을 의미하는 것이기에, 우리가 아동과 청소년의 안녕과 행복 수준을 높이기 위한 도덕 교과에서의 지도 방안을 모색하는 데에 많은 시사점을 줄 수 있다· 이에 이 논문에서는 회복탄력성 개념에 대한 문헌분석에 근거하여 다음의 세 가지 질문들에 대한 해답을 찾는데 중점을 둘 것이다· 첫째, 회복탄력성이란 무엇이고, 교육적으로 왜 중요한 것인가? 둘째, 회복탄력성 증진을 위한 국외의 성공적인 교육적 개입 사례는 무엇인가? 셋째, 도덕 교과에서 활용할 수 있는 회복탄력성 증진을 위한 지도 방법은 무엇인가? Since the mid-1980s, a number of researchers from diverse academic disciplines such as child development, pediatrics, psychology, psychiatry, and sociology have focused on the question why some children cope successfully with major adversities in their lives, while others develop severe and persistent psychopathology. The concept of resilience these children display is conceived as an end product of buffering processes, character strength and individual asset that do not eliminate risks and stress in their lives, but that allow the individual to deal with them effectively. Especially the developing and practicing of resilience prevention program based on the school settings in foreign countries represent a significant shift from a deficit model of youngsters at risk to prevention model. It can give us many implications to seeking teaching methods in moral education for enhancing the level of happiness and well-being among young people. Therefore, this article mainly based on literature analyses focused on possible answers to the following three questions. First, what is the meaning of resilience and why is it educationally important? Second, what are successful educational interventions in foreign countries with regard to promoting resilience among youngsters? Third, what are effective teaching methods in moral education for promoting resilience of the youth?

      • KCI등재

        교사의 회복탄력성 함양 방안

        추병완(Chu, Beong-Wan)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17 도덕윤리과교육 Vol.- No.55

        교사의 회복탄력성에 관한 많은 연구는 회복탄력성이 타고난 개인적 특질이 아니라, 훈련과 연습을 통해 얼마든지 단련하고 함양할 수 있는 심리적 자원이자 능력임을 분명하게 지적한다. 도덕 교사는 학생의 도덕 발달을 위한 최상의 안내자이자 탁월한 역할 모델이 되어야 하므로 다른 과목을 가르치는 교사보다 스트레스와 소진에 더욱 취약하다. 그렇다면 도덕 교사의 회복탄력성을 함양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법은 무엇인가? 이 논문에서는 문헌 분석을 통해 교사의 회복탄력성에 영향을 주는 위험 요인과 보호 요인을 살펴보고, 도덕 교사의 회복탄력성을 증진하기 위한 지지 조건(supporting conditions)의 실현 방법을 제시하였다. 회복탄력적인 도덕 교사가 되기 위해서는 도덕 교사로서 자신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자신의 강점과 자원을 활용하여 위험에 적극적으로 대처하며, 필요한 경우에 도움을 얻을 수 있고 긍정 정서를 향유할 수 있는 사회적 지지의 관계망을 구축하려는 실제적인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In general, resilience refers to the tendency or capacity to spring back in spite of life stressors or adversity. Levels of work-related stress, anxiety and depression are higher among teachers than any other occupational groups because teaching is based on emotional, physical, and intellectual work. The focus of research on resilience was to identify factors or variables contributing to resilience. The partial intent of this article was to organize those factors described in the literature related to teacher resilience. Furthermore, based on the literature analysis, this article tried to propose promising methods for cultivating moral education teachers" resilience. The key messages from this article are as follows. First, moral education teachers should form their identities as moral educators. Second, moral education teachers should utilize their strengths and resources in order to deal with stress and adversity arising from their work and world. Third, moral education teachers should build positive relationships that are helpful for their work and lives. Resilience is not regarded as byproduct of teacher education programs. It has to be a focus of teacher education program.

      • KCI등재

        도덕 이탈의 도덕교육적 함의

        추병완(Chu, Beong Wan)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20 도덕윤리과교육 Vol.- No.67

        도덕 이탈은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직면하는 모든 유형의 도덕적 곤경에서 빈번하게 발생한다. 도덕 이탈은 자신의 도덕적 이미지나 자존감을 온전히 보전하는 가운데 개인적으로 비난 받을만한 행동이나 사회적 피해를 정당화하려는 일군의 사회 인지 기제로서 아동과 청소년에게도 흔히 나타나는 현상이다. 이에 이 논문에서는 밴두라(Bandura)의 도덕 이탈 이론 및 그 이론을 적용한 여러 연구 결과를 분석하고, 그러한 연구 결과가 우리의 도덕교육에 주는 함의가 무엇인지를 규명하였다. 이를 위해, 이 논문에서는 다음의 3가지 사항을 심층적으로 다루었다. 첫째, 도덕성에 관한 사회 인지 이론의 특징과 도덕 이탈 기제를 규명하였다. 둘째, 도덕 이탈의 발달 측면에 관한 연구 결과를 분석하였다. 셋째, 도덕 이탈의 과정에 대한 연구 결과를 살펴보고, 도덕 이탈을 감소시킬 수 있는 도덕교육적 개입 방안을 제안하였다. Moral disengagement occurs frequently in all types of moral predicaments we face in our daily lives. Moral disengagement is a common phenomenon for children and adolescences. It is a set of social cognitive mechanisms that try to justify personally reprehensible behavior or social damage while preserving personal moral image and self-esteem. Thus, in this paper, I analyzed the theory of moral disengagement made by Albert Bandura and the scientific results of various studies that applied the theory, and identified the implications that such findings might give for moral education. To this end, the following three points were discussed in depth in this article. First, the characteristics of social cognitive theory on morality and the moral disengagement mechanism were identified. Second, the results of the researches on the developmental aspect of moral disengagement were analyzed. Third, the results of the studies on the process of moral disengagement were examined, and finally I proposed some useful ideas for interventions in moral education that could reduce moral disengagement.

      • KCI등재

        발달 훈육(developmental discipline)의 도덕교육적 함의

        추병완 ( Chu Beong-wan ),최윤정 ( Choe Yun Jeong ),이영문 ( Lee Young-mun )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2020 초등도덕교육 Vol.0 No.70

        아동 발달 프로젝트는 교실과 학교 그리고 가정환경에서 체계적인 변화를 통해 아동의 도덕·사회 발달을 고양하려는 포괄적인 종단 연구 프로젝트였다. 아동 발달 프로젝트는 학급 경영의 주요 목표로 배려·정의·민주 공동체를 구축하는 데 초점을 맞추었으며, 그 구성 요소 중 일부로 발달 훈육이라는 대안적인 훈육 방법을 개발하여 적용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발달 훈육에 관한 우리의 연구는 지금까지 매우 미진하였다. 이에 이 논문은 초등 교실에서 발달 훈육의 개요와 특징을 명료하게 규명하였다. 구체적으로, 이 논문은 훈육의 개념과 도덕교육적 함의를 분석하고, 아동 발달 프로젝트의 대안적인 훈육 방법으로서 발달 훈육의 특징과 구성 요소를 살펴보았다. The Child Development Project was a comprehensive longitudinal research project aimed at enhancing moral and social development of children through systematic changes in classrooms, schools, and home environments. The Child Development Project focused on establishing a caring, just, and democratic community as the main objective of classroom management, and as a part of its major components, it developed and executed an alternative method of discipline called developmental discipline. Nevertheless, our research on developmental discipline has so far been very poor. Thus, this paper clearly identified the outline and characteristics of developmental discipline in elementary classrooms. Specifically, this paper analyzed the concept of discipline and its implications to moral education, and looked at the components of developmental discipline as an alternative method of discipline in the Child Development Project.

      • KCI등재

        도덕 정당화의 심리 기제 분석

        추병완 ( Chu Beong Wan )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2020 초등도덕교육 Vol.0 No.67

        우리는 비도덕적으로 행동하는 것에서 어떤 상당한 이득을 취하면서도 자신이 여전히 도덕적이라고 느낄 수 있을 때에는 의도적으로 비도덕적 행위에 관여한다. 이때 우리는 도덕적으로 문제가 될 소지가 있는 결정이나 행동을 도덕적으로 아무런 하자가 없는 것으로 정당화한다. 도덕 정당화는 우리가 비도덕적인 결정을 내리거나 또는 비도덕적으로 행동할 때 도덕 자아나 도덕적인 자기 이미지에 대한 위협을 희석하여 의도적으로 비도덕적 행동에 관여하게 한다. 사전 도덕 정당화는 의심스러운 행동을 용서할 수 있고 수용 가능한 것으로 정의함으로써 도덕 자아에 대해 예상된 위협을 감소한다. 사후 도덕 정당화는 이미 자신이 저지른 비도덕적 행동을 보상함으로써 도덕 자아에 대해 체험된 위협을 감소한다. 이에 이 논문에서는 의도적인 비도덕적 행위에 관여하는 것을 사전과 사후에 도덕적으로 정당화하는 심리 기제가 무엇인지를 규명하고, 이를 통해 도덕교육에서 우리가 새롭게 고려해야 할 사항이 무엇인지를 제안하였다. 이 논문에서는 대부분의 사람이 사전과 사후의 도덕 정당화를 통해 나름의 도덕적 균형을 이루며 사는 것에 대한 이해가 필요함을 강조하였다. 동시에 이 논문에서는 도덕적 행동을 촉진하기 위한 교육적 개입에서 우리가 새롭게 고려해야 할 2가지 기본 원칙을 제안하였다. When we take some substantial advantage of acting immorally, and at the same time we can still feel that we are moral persons, we intentionally engage in immoral conduct. At this time, we justify morally questionable decisions or actions as morally innocent or permissible. Moral justification dilutes the threat to moral self or moral self-image when we make immoral decisions or act immorally, thereby deliberately engaging in immoral behavior. Pre-violation moral justification reduces the expected threat to the moral self by defining suspicious behavior as excusable and acceptable. Post-violation moral justification reduces the threat experienced against the moral self by compensating for the immoral behavior it has already committed. In this paper, I identified what the psychological mechanism is that morally justified in before and after engaging in intentional immoral conduct, and proposed what we should consider anew in moral education. In this paper, I emphasize that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at most people live in their own moral balance through pre-violation and post-violation moral justification. At the same time, this paper propose the basic principle that we should consider anew in educational interventions to promote moral behavior. Thus, this paper proposed the fact that in order to reduce the moral justification for violation behavior, the moral reminders and evidence-based teaching methods in moral education should be u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