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청말 중국인의 일본 유학 연구

        김보림 전북사학회 2017 전북사학 Vol.0 No.51

        청말 일본에서 공부한 중국 유학생은 서양의 문화와 기술을 도입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였다. 13명의 학생들이 1896년 일본으로 유학을 떠난 이래 중국 중심의 역사관이 깨지는 상황을 맞게 되었다. 중국의 유학생들은 근대 중국을 세우는 데 앞장섰다. 그들은 처음에는 속성교육이라는 단기간 기술을 배우는 교육에 집중하였다. 중국의 유학생 정책은 청과 일본과의 관계, 또는 청과 러시아와의 국제적 환경에 의해 영향을 받았다. 그러나 기본적인 정책은 높은 소양을 가진 유학생을 기르는 것이 목표였다. 1896년과 1906년 사이에 유학하고 있는 학생들은 증가 추세에 있었다. 또한 외국에 유학생을 파견하는 중국 정부의 움직임도 활발하였다. 그러나 곧 두번째 국면이 찾아오게 되는데 중국은 여러 조항들을 만들어 수적으로 많은 유학생을 보내기 보다는 국내의 교육 활동을 보다 활발히 하고, 질적으로 우수한 소수의 유학생들을 파견하는 정책으로 선회하게 된다. 이는 과거제 폐지 등 신정의 부활과 신해 혁명 등의 정치적 변혁기에서 국내의 상황을 견고히 하려는 중국 내부 사정과 관련이 깊다. 중국 학생들은 일본인들에 의해 무시되어지고 정치적 변혁이 중국에서 일어날 때마다 중국으로 돌아가는 길을 택했다. 남은 유학생들은 공부와 정치적 활동을 병행하면서 학업을 끝낸 후 고국으로 돌아가 정치가, 번역가, 작가 등의 활동을 하며 여러 업적을 남기거나 일본에 체류하면서 교수가 되거나 정치적 활동을 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1937년 중일 전쟁을 끝으로 중국의 일본 유학생 파견은 종국을 맞았다. 결론적으로 일본 유학생 정책은 외국 문명에 대한 내부적 응답을 통해 제한되거나 지원되는 형태로 나타났던 것으로 보인다. Chinese students studying abroad in Japan in the late period of Qing(淸) played the important role on the introduction of western knowledge and skills. The 13 young students towards Japan in the late Qing were dispatched in 1896. The first dispatched students including 13 young students made a role to set up the modern Chinese like Japan fast. They pursued the first to take an accelerated education in Japan. The Chinese policy of study-abroad had been changed according to the circumstance like the war between Qing and Japan or Qing and Russia. But the basic idea of the policy was to make a high quality students. The first phase is between 1896 and 1906 when the number of students studying abroad were increasing and the government activity about dispatching students to foreign countries were very aggressive. The second phase is the period that there were restriction of the dispatching students to other countries by the rule. Chinese students were despised by the Japanese, but when political reforms took place in China, they came back to study with interest. The remained students studied more and harder and made a big role in the Republic of China later as intellectuals. In conclusion, the studying abroad policy were supported or restricted through the internal response about the foreign country civilization.

      • KCI등재

        『친목회회보(親睦會會報)』의 재독(再讀) (1) -≪친목회≫ 의 존재 조건을 중심으로-

        김인택 국제한국문학문화학회 2008 사이 Vol.5 No.-

        1895년 5월 1일 일본에 도착한 113명의 한국 유학생들은 이후 한국 역사상 최초의 재일유학생 단체인 ≪대조선인일본유학생친목회(大朝鮮人日本留學生親睦會)≫를 결성하고 기관지 『친목회회보(親睦會會報)』를 발행한다. 본인이 이 글에서 분석하는 대상은 바로 『친목회회보』에 나타나는 ≪친목회≫의 존재 조건이다. 구체적으로 본 분석 작업은 지금껏 『친목회회보』를 둘러싼 논의에서 은폐되어온, 정확히는 그 영향력을 탈색하는 데 경주해온 `일본`의 존재를 드러내는 작업이 될 것이다. 이는 근대 국문자(國文字)의 지정학적 위치의 재구를 위한 작업의 일환으로서 구상 중인 1890년대 특히 갑오개혁기 이후 매체장(media-sphere)의 형성 과정에서 잡지 『친목회회보』의 `위치`를 비정하기 위한 기초 분석 작업임을 밝혀둔다. 거시적 측면에서 본 분석 작업이 목적하는 바는 「번역」과 비교의 관점에서 근대 텍스트의 「지역적 교환 및 분배 구조와 그 기능」의 탐구에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위 연구 주제의 일부분으로 근대 국문자 담론을 재구할 수 있는 가능성의 한 축으로서 일본의 위치를 파악하는 것으로 정리할 수 있을 것이다. 본고에서 분석한 것은 세 가지로 『친목회회보』의 발간 조건으로서 일본의 당대 관련 법령인 <신문지조례>와의 상관관계(Ⅱ장), ≪친목회≫의 수익 구조(Ⅲ장), ≪친목회≫의 출판물 수급방식(Ⅳ)이다. 이를 통해 확인한 지점들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을 것이다. 첫째, 『친목회회보』는 일본 당국의 검열에 의해 그 출판 및 발행에 있어 제약을 받기보다는 오히려 편익을 제공받았다. 둘째, ≪친목회≫는 본회의 운영 및 『친목회회보』 등 각종 사업에 있어 가장 중요한 재원이었던 기부금 및 기부자 양 측면에서 모두 일본(인)에 절대적으로 의존하고 있었다. 셋째, ≪친목회≫는 본회의 출판물 수급의 상당 부분을 일본인에게 기증받아 『친목회회보』의 기사 및 회람에 이용하고 있었다. 넷째, 일본 측의 기부금 및 기증 서적의 기증자는 당대 일본의 정치문화 지형에서 일정한 지위와 영향력을 행사하던 인물들이었다.

      • KCI등재

        대한제국기 일본 유학생들의 유학생활과 유학의식

        이태훈(Lee, Tae-hoon) 역사실학회 2015 역사와실학 Vol.57 No.-

        1900년대 유학생들은 러·일전쟁 이후 본격적으로 일본론을 제기하기 시작하였다. 근대화의 성공을 넘어 동아시아 패권국가로 등장한 일본에 대한 심도 있는 이해가 필요하다고 생각했기 때문이었다. 다양한 분야의 일본론이 등장하였고, 자기시각에 근거한 평가도 제기되었다. 유학생들이 가장 많이 주목한 부분은 일본의 역사문화와 근대화개혁이었다. 유학생들은 일본의 역사문화 역시 동양문명권에서 탄생한 것이며, 한국과 중국에 비해서는 후진적이라고 생각하였다. 한국이 근대화에는 뒤쳐졌지만, 역사문화적 전통은 더 우수하며, 언젠가는 재기할 수 있다고 생각하였다. 그러나 근대화과정은 확연히 다르다고 생각하였다. 일본은 교육개혁과 정치개혁에 성공하여 국가적 통합력을 강화시키고, 인민의 지적능력을 근본적으로 향상시켰다고 평가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인식들에서 속에서 일본인의 민족적 특징을 급속한 성공의 이유로 보는 시각도 등장하였다. 강국인 러시아를 이긴 힘을 서구문명만으로 설명할 수는 없다는 것이었다. 유학생들이 공통적으로 지적한 일본민족성의 특징은 죽음을 두려워하지 않은 강한 정신인 ‘대화혼’이었다. ‘대화혼’이 무사도와 결합하여 일본의 독특한 정신적 특성을 형성했다는 것이었다. 이러한 일본의 민족적 특성이 강국을 건설하는데 성공적으로 작용하여 패권국가로 부상했다는 주장이었다. ‘대화혼’이 의미하는 강력한 희생정신, 복종심이 강력한 국가주의적 근대화를 추동했다는 것이었다. 또한 고유의 민족성과 결합된 일본의 근대화과정은 서구의 자유주의적 근대화과정과 다른 것이라는 주장도 이어졌다. 자유주의적 근대화의 부작용을 민족정신을 활용한 국가주의적 근대화노선으로 극복했다는 것이었다. 그리고 이러한 논리를 주장한 인물들은 한국사회의 실패원인도 국가주의적 민족성의 부재에서 찾았다. 일본의 성공에 압도되어 인민의 절대적 헌신을 요구하는 국가주의적 근대화를 주장하게 된 것이었다. 반면 일본의 침략적 성격과 일본사회의 모순에 대한 비판적 인식은 제기되지 못하였다. 일본을 심층적으로 이해하겠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지만, 주체적 시각을 상실하게 된 것이었다. After Russo-Japanese War, Study-abroad students in Japan started to get interested in the theory on Japanese society. They believed that it was necessary to understand Japanese society in-depth after they witness Japan’s successful modernization and becoming the power of East Asian region. Many suggested various theories on Japan, and some even evaluated Japan from their own perspectives. Most interests of them were in Japanese history and culture, and modernization and reforms. They believed that Japanese history and culture were also from East Asian civilization, and regarded them as backward culture. They believed that Korea was far advanced than Japan in terms of history and culture, and will prosper someday though modernization became delayed. But they thought that the modernization process was totally different. They evaluated that Japan was successful in consolidating nation through educational and political reforms, and, as a result, enhanced general intelligence of people. From this perspective, some observed Japanese people’s national character as the very reason of rapid success. They thought that the power to win over Russia was not from a mere adaptation of Western civilization. What these study-abroad students in Japan commonly realize was the Japanese people’s strong national character, ‘taehwahon,’ which does not fear even death. They thought that Japanese unique spirit comprise of ‘taehwahon’ and samurai spirit. They argued that this unique national culture affected to build a strong nation, and made Japan as one of the world powers. Taehwahon meant sacrifice and conformity for nation, and functioned to form a state-centered modernization. They also argued that Japanese modernization was different from Western liberal modernization because it was strongly related to Japan’s national characteristics. They argued that state-centered Japanese modernization overcame the shortcomings of the Western liberal modernization. Those who argued this theory also evaluated the failure of Korean modernization in that Korea lacked this state-centered national characteristics. Mesmerized by the success of Japan, these people also argued that Koreans should follow Japanese state-centered model that requires people’s absolute sacrifice for nation. But they did not critically look at Japanese aggressive imperialism and problems within Japanese society. Although their theory came from the initiatives to understand Japanese society in-depth, their study made them lose subjective position as Koreans in effect.

      • KCI등재

        대한제국 말기와 식민지시기 발명·발견 소재 소설의 행보 -일본 유학생 집단 지식인의 ‘발명’에 대한 인식과 수용 양상

        최애순 한국현대소설학회 2023 현대소설연구 Vol.- No.91

        대한제국 말기 유입된 초창기 과학소설 「해저여행기담」과 『철세계』에는 서구문물의 발명, 발견에 대한 호기심과 동경, 이에 반한 조선의 안타깝고 답답한 현실을 개탄하며 구습 타파를 외치는 내용이 들어있다. 서구 문물에 대한 동경과 조선의 현실을 계몽하고자 하는 일본 유학생들의 의지는 일본을 통해 들어온 ‘서구 문물의 수용’이었다. 또한 애국계몽운동의 일환으로 ‘과학’을 내세우고, 발명·발견을장려함과 동시에 역사담이나 영웅의 일대기를 실어서 애국심을 고취하도록 했다. 그러나 애국계몽운동의 일환으로 서구 문물을 적극적으로 수용한 재일본 유학생집단은 식민지시기 지식인 계층을 형성하여 예기치 않게 국내 민족주의 노선과 결을 같이하기도 한다. 본 논문은 1907년과 1908년 애국계몽의 일환으로 들어온 과학소설 번역이 이후 국내 소설에 어떻게 영향을 끼쳤는지를 들여다보고자 한다. 이광수는 일본 유학시절에 재일본 유학생 잡지에 글을 싣기도 하면서, 유학생 잡지의 정서나 유학생집단의 특성이 고스란히 묻어난 소설을 창작한다. 이광수의 생애는 일본 유학생 집단이 조선으로 귀국 후 어떤 활동을 했는지, 그들이 신봉했던 과학발명은 그들에게어떤 의미였는지를 알 수 있게 해준다. 본 논문에서는 이광수의 과학에 대한 인식보다 작품 안에 그려진 신문물로서의 발명·발견 소재, 풍경으로 인식된 화학실험등, 식민지시기 조선인에게 ‘발명과학’이 이질적이고 모순된 풍경으로 들어오며 수 용된 역사를 들여다보고자 한다. 더불어 발명·발견 소재를 서구의 풍경으로 들여오는 데 일본 유학생 집단이 선도적인 역할을 했다고 판단하고, 일본 유학생 잡지에실린 「해저여행기담」에서부터 유학생 경험을 가진 이광수 소설로 이어지기까지 어떻게 인식되고 있는지를 따라가 보았다. 따라서 이광수 개인의 과학에 대한 인식보다 『개척자』에 드러난 김성재가 식민지 유학생의 대표적인 표상이라 간주하고, 작중인물을 중심으로 따라가 보고자 한다. ‘과학’이라는 용어 대신 ‘발명·발견’이라는용어를 사용한 것은, 과학적 인식이 아니라 발명·발견에 대한 기계나 기술, 혹은 풍경에 집중하였기 때문이다. 발명·발견 소재를 차용하고 있다고 하더라도 이광수의 『개척자』와 『사랑』은 ‘과학소설’로 분류할 수 없다는 것도 ‘과학’이란 용어를 직접적으로 사용하지 않은 까닭이다. 본 논문에서는 ‘발명·발견’ 소재의 소설에서 보여주는 인물들의 행동이 왜 모순투성이인지, 애국계몽운동과 부국강병의 일환으로 들어왔던 ‘과학’은 왜 민족을 부강하게 하는 길로 가지 못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과학 혹은 공업(이공계), 과학소설을 가장 먼저 앞서서 들여왔던 일본 유학생 집단의 특성이 조선으로 귀국 후에 살았던 삶과의 충돌, 그리고 실체가 없는 발명·발견과 성공하지 못하고 늘 실패를 되풀이하는 발명·발견 소설 속 그들의 실험을 통해 보여주고자 한다. 국내에 처음 유입된 「해저여행기담」과 『철세계』, 그리고 이 작품들이 영향을 끼친 국내 창작소설 이광수의 『개척자』와 『사랑』을 중심으로 따라가 보고자 한다. The early science novels The Strange Story of Undersea Travel and The Iron World, which were introduced in the late Korean Empire, contain stories of curiosity and longing for the invention and discovery of Western civilization, lamenting the unfortunate and frustrating reality of Joseon against this, and calling for the breaking of old customs. Japanese students' admiration for Western culture and their will to enlighten themselves about the reality of Joseon were the 'acceptance of Western culture' that came through Japan. In addition, as part of the patriotic enlightenment movement, ‘science’ was promoted, inventions and discoveries were encouraged, and historical stories and biographies of heroes were included to inspire patriotism. However, the group of students living in Japan who actively accepted Western culture as part of the patriotic enlightenment movement formed an intellectual class during the colonial period and unexpectedly aligned themselves with the domestic nationalist line. This paper examines how translations of science fiction, which came as part of patriotic enlightenment in 1907 and 1908, influenced subsequent domestic novels. While studying abroad in Japan, Lee Kwang-soo also wrote articles for a magazine for international students in Japan, creating novels that fully capture the sentiment of the magazine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udent group. Lee Gwang-su's life allows us to learn what activities a group of Japanese students studying abroad did after returning to Joseon and what the scientific inventions they believed in meant to them. Rather than Lee Kwang-soo's perception of science, this paper examines the history of how 'invention science' was introduced and accepted as a heterogeneous and contradictory landscape by Joseon people during the colonial period, including inventions and discovered materials as news items depicted in his works, and chemical experiments perceived as landscapes. I want to go see it. In addition, it was judged that a group of Japanese students studying abroad played a leading role in creating inventions, discovered materials and landscapes, and how it was perceived from The Strange Story of an Undersea Travel published in a magazine for Japanese students studying abroad to the novels of Lee Kwang-soo, who had the experience of studying abroad in Japan. I went there. Therefore, rather than Lee Kwang-soo's personal awareness of science, we consider Kim Seong-jae revealed in The Pioneer as a representative symbol of a colonial student, and try to follow the characters in the work. The reason why the term ‘invention/discovery’ was used instead of ‘science’ was because the focus was on the machines, technologies, or landscapes of inventions/ discoveries rather than scientific awareness. Even though they borrow materials from inventions and discoveries, Lee Gwang-soo's The Pioneer and Love cannot be classified as ‘science fiction’ because they do not directly use the term ‘science’. In this paper, we will examine why the actions of characters in novels about 'inventions and discoveries' are full of contradictions, and why 'science', which was introduced as part of the patriotic enlightenment movement and national prosperity and military power, did not lead to the enrichment of the nation. do. The characteristics of the group of Japanese students who were the first to introduce science or industry (science and engineering) and science fiction clash with the life they lived after returning to Joseon, and the inventions and discoveries that have no substance and the inventions and discoveries that do not succeed and always repeat failure. I want to show this through their experiments in the novel. I would like to follow The Strange Story of an Undersea Travel and The Iron World, which were first introduced into Korea, and the domestic original novels The Pioneer and Love by Lee Kwang-su, which were influenced by these works.

      • KCI등재

        東學敎團과 (合同)一進會의 일본 유학생 파견과 '斷指同盟'

        이용창 동학학회 2011 동학학보 Vol.22 No.-

        1905년 11월 ‘을사늑약’ 전후로 私費留學生의 증가와 함께 종교단체 등에서 일정한 목적으로 파견하는 ‘貸費유학생’들도 꾸준하게 이어졌다. 특히 동학교단은 일본에 체재 중이던 의암 손병희의 주도로 일본에 유학생을 파견하였다. 또 동학교단의 민회조직인 진보회와 친일단체 일진회가 (합동)일진회로 합쳐진 후에도 다수의 유학생이 파견되었다. ‘단지동맹’은 동학교단과 (합동)일진회가 파견했던 유학생 중 1907년 1월 당시까지 남아있던 32명 중 21명이 손가락을 잘라 혈서로 항의한 사건이다. 두 단체의 결합으로 조직된 (합동)일진회는, 1906년 9월에 동학의 후신인 천도교와 일진회로 다시 분립했다. 이 과정에서 재정적인 문제와 책임 소재를 둘러싸고 같은 해 3월(또는 7월)부터 12월까지 일본 유학생들에게 지급해야 할 학비와 생활비를 중단함으로써 생활고를 견디다 못한 21명의 유학생들이 ‘단지동맹’을 결행한 것이다. ‘단지동맹’의 충격적인 소식이 국내는 물론 일본을 비롯한 해외의 동포들에게 알려지면서 이들을 돕기 위한 모금이 이어졌고, 한국정부의 유학생 관리․처우 등에 대한 대책도 요구되었다. 이와 함께 ‘단지동맹’에 참여한 유학생들의 감독 주체를 둘러싸고 관심이 집중되었다. 동학․천도교단과 통칭 ‘일진회’가 주장하는 입장은 서로 상반되기 때문에 책임소재를 명확하게 밝힐 수 없는 한계가 있었다. 천도교단 측의 책임도 없는것은 아니었지만, 당시 일반적인 반향은 주로 ‘일진회’가 친일행적의 前歷이 빌미로 작용하면서 비판의 대상이 되었다. 이 글에서는 동학교단과 (합동)일진회가 일본에 유학생을 파견하는 과정과 규모를 살펴보았지만, 두 단체가 남겨 놓은 기록으로는 실체를 규명하는 데 많은 한계가 있었다. 현재까지 명단으로 확인되는 유학생의 규모는 각각 28명과 24명, 총 52명이라는 것과, 사회적으로 관심을 일으켰던 ‘단지동맹’에 참여한 21명의 행적, 그리고 사회적인 반향이 어떠했는지 등을 정리할 수 있었다. 그렇지만 동학교단과 (합동)일진회 시기에 파견된 유학생들의 정확한 명단 확인과, 두 단체에서 유학생을 파견한 정확한 시기 등에 대해서는 앞으로 연구되어야 할 과제이다. 또 ‘단지동맹’이 결행된 후 한국 정부와 감독 관청인 學部가 유학생 전반에 대해 제도적인 정비를 한 것은 사실이지만, ‘단지동맹’에 참여한 학생들을 어떻게 조처했는지, 그리고 이 학생들이 이후 일본에서 어떤 과정을 거쳤는지 등도 풀어야 할 숙제로 남게 되었다. Around the Protectorate Treaty between Korea and Japan on Nov. 1905, the students were steadily sent abroad by the religion organization with the increase of the students studying abroad in their own money. Especially Donghak sent the students to Japan by Eui Am Sonbyonghui who stayed there. Also many students were dispatched abroad after the organization of (united)Ilchinhoe between the Chinbohoe which was the people's organization of Donghak and pro-Japanese Ilchinhoe. ‘Danji Strike’ was that 21 ones among 32 students who stayed on Jan of 1907 protested in the letter written in their blood by cutting their little finger. They were sent by both the Donghak and the (united)Ilchinhoe. On Sep. of 1906 the (united)Ilchinhoe was divided into Chondokyo and Ilchinhoe. In the process from March(or July) to Dec., both organization had stopped the school expenses and living expenses for students. The students who suffered from the grim realities of life carried out ‘Danji Strike’. As this incident became known to the Korean residents abroad including Japan as well as to Korea, the supervisory agent to thes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Danji Strike’ was the center of attention. Also it led to the fund-raising for them and the measures by the Korean government were asked. There is a limit to clarify who was responsible for the incident because the position of the Donghak was contrary to that of Ilchinhoe. Chondokyo was to blame to some extent. But the public criticized the Ilchinhoe on account of its pro-Japanese activities. In this thesis, I reviewed the dispatch process and scale of the students studying in Japan by the Donghak and the (united)Ilchinhoe. But it was much limited to examine the realities by the document of two organizations. Until now I identified total number 52 students studying in Japan by the name list(28 and 24 by each organization) and 21 students' activities after they participated in 'Danji Strike' which caused the social concern. However, there are some remaining subjects such as how the measures to that incident were executed after 'Danji Strike' and how 21 students finished their studying under what condition etc..

      • KCI등재

        근대계몽기 『대한유학생회학보 』의 정체성과 문학적 상상력

        전은경 한국문학언어학회 2023 어문론총 Vol.96 No.-

        The 'DaehanYuHakSaengHoeHakbo'(대한유학생회학보) was a journal published by the Association of Korean Students Studying in Japan, starting from March 3rd, 1907 to May 25th, 1907, with a total of three issues. The Association of Korean Students Studying in Japan was established on September 2nd, 1906, as an organization where all overseas students could gather for discussions. It was not a unified and integrated entity with a single goal, but rather a group that came together in the sense of collaboration, based on actual individual organizations and their respective academic journals. However, instead of achieving a complete unification, the 'collaboration' itself became the identity of the Association of Korean Students Studying in Japan. By uniting under the umbrella of the Association while maintaining their own identities as separate organizations and academic journals, the DaehanYuHakSaengHoeHakbo' became the platform for that 'collaboration'. Thus, the 'DaehanYuHakSaengHoeHakbo' was a journal that embodied the characteristics of 'solidarity' and 'collaboration.' Rather than being created with a unified theme and perspective under a single ideology, the journal consisted of diverse and scattered writings that retained the unique features of each contributing journal. Especially in the realm of literature, the varied and scattered forms of these writings were particularly prominent. The ''DaehanYuHakSaengHoeHakbo' included a majority of the narrative forms that were published in contemporary Korean student association journals in Japan. Among them, Yi Gyu-yeong's 'Words of a Tiger Hunter' (박호자의 설) depicts a narrative format where a character traveling domestically engages in a conversation with a tiger hunter in a village, leading to an enlightening realization. It combines various forms of narrative genres while incorporating the concerns and situations of Korean students association journals Studying in Japan in the present moment, delivering stories and lessons specifically tailored for Korean students studying in Japan. Furthermore, Jin Hak-mun’s ‘Falling house’(쓰러져 가는 집), written entirely in Korean script, can be considered an experimental form of modern fiction. Although it may not be classified as a complete modern short story, it is a work that explores new forms of storytelling. This piece not only portrays a Korean household entangled in customs and vices but also critically and metaphorically depicts the occupation of Korea by Japan, depicting the self-destruction and downfall of Korea. Of course, due to the experimentation of various narrative forms and the scattered presence of multiple narratives, it may appear that the 'DaehanYuHakSaengHoeHakbo' contains literature that is sporadic and lacks consistency. However, this is not a result of randomness or inconsistency but rather stems from the collaborative and collective nature of the journal. In other words, the diverse inclusion of narratives in the ''DaehanYuHakSaengHoeHakbo' was made possible because it served as a literary platform, enabling various novelistic experiments. In essence, the journal fulfilled its function as a contemporary literary magazine, ultimately becoming a product of collective imagination. Whether intentional or not, the 'DaehanYuHakSaengHoeHakbo' facilitated numerous novelistic experiments and provided a space to explore the possibilities of modern fiction. 『대한유학생회학보』는 1907년 3월 3일부터 1907년 5월 25일까지 총 3호가 발간된 잡지로 대한유학생회의 학회지였다. 대한유학생회는 1906년 9월 2일에 유학생들 전체가 모여 회의 등을 할 수 있는 단체로서 설립된 것이다. 또한 대한유학생회는 하나의 목표로 단합하고 하나로 통합된 형태가 아니라, 실제 모 학회를 기반으로 둔 채, 연합의 의미로 모이게 된 단체였다. 그런데 하나로 단일화된 통합이 아니라, ‘연합’ 자체가 대한유학생회의 정체성이 되었다. 각자의 단체와 모 학회지를 기반으로 그 단체의 정체성을 그대로 품은 채 대한유학생회에 연합하게 됨으로써 『대한유학생회학보』는 바로 그 ‘연대’의 장이 될 수 있었기 때문이다. 이처럼 『대한유학생회학보』는 ‘연대’와 ‘연합’의 특징을 지닌 학회지였다. 즉 하나의 기치 아래 통합된 주제와 사상대로 학회지가 만들어졌다기보다는 각 학회지의 특징이 통합되거나 종합되지 않은 채, 다양하고 산발적인 특징 그대로 글들이 게재되었다고 보아야 한다. 특히 이러한 산발적이면서도 다양했던 글의 양식들은 문예면에서 그 특징이 가장 두드러진다. 『대한유학생회학보』에는 그 당대 일본 유학생회 잡지에 실렸던 서사적 양식 대다수가 실리고 있었다. 이 가운데 이규영의 「박호자의 설」은 단순한 문답 형식이 아니라 국내 여행을 다니던 인물이 한 마을에서 만난 범 사냥꾼과의 대화를 통해 깨달음을 얻는 서사 형식을 보여준다. 다양한 형태의 서사 장르가 혼합되어 있으면서 일본 유학생으로서의 ‘지금, 여기’의 고민과 상황이 녹아들어 일본 유학생들을 위한 이야기와 교훈을 전달하고 있기도 한다. 또한 순 한글로 쓰인 진학문의 「쓰러져 가는 집」은 근대적 소설의 실험적 양식이라 할 수 있다. 완전한 근대 단편소설이라 할 수는 없을지라도 새로운 소설 양식을 실험하고 있는 작품이다. 이 작품은 구습과 악습에 찌들어 있는 조선의 한 가정을 묘사한 것이기도 하고, 혹은 더 확대하여 스스로 도태되고 망해가는 조선을 일본이 차지한 것을 비판적이고 비유적으로 묘사한 것이기도 하다. 물론 『대한유학회학보』에 다양한 서사적 양식이 실험되고, 여러 서사물들이 산재해 있기 때문에, 문예면에 산발적이고 일관성 없이 작품들이 실려 있는 것처럼 보일 수도 있다. 그러나 이는 산발적이거나 일관성 없이 실린 것이 아니라, 『대한유학생회학보』의 연합적이고 연대적인 특징에서 비롯된 것이다. 즉 『대한유학생회학보』에 이렇게 다양한 서사물이 실릴 수 있었던 것은 다양한 소설적 실험이 가능하도록 문학, 문예의 장으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 『대한유학생회학보』는 연대적 상상력의 소산으로서 결국 당대 문학 잡지로서의 기능을 담당하고 있었다고 할 수 있다. 이는 『대한유학생회학보』가 의도한 것이든, 아니든 간에 수많은 소설적 실험을 가능하게 했고, 근대적인 소설의 가능태를 실험할 수 있는 장이 되어주었다.

      • KCI등재

        근대 지식인 단체 네트워크(2)- 『동인학보』, 『태극학보』, 『공수학보』, 『 낙동친목회학보』, 『대한학회월보』, 『대한흥학보』, 『학계보』, 『학지광』등 재일조선인유학생 단체 회보(1906~1919)를 중심으로

        전성규 한국근대문학회 2022 한국근대문학연구 Vol.23 No.2

        In this study, a network analysis was conducted on 16 types of domestic and foreign magazines published from 1906 to the early 1910s. An analysis of the network of foreign student groups in Japan was performed. 'Gongsuhagbo', 'Donginhakbo', 'Nagdongchinmoghoehagbo(The Journal of Nakdong Friendship Society)', and 'Haggyebo(The Journal of Academia)' are magazines that have not been covered well in the analysis of groups of international students residing in Japan. In this study, a member database was built for 16 types of groups, and data of 1,558 members of 5 groups were newly added to the total number of 12,942 members of 11 groups, and network analysis was conducted with 14,500 member data. Network visualization software, gephi, was used for network analysis. In the total network of 16 groups, 9 international student groups in Japan are classified as somewhat heterogeneous from domestic groups. Furthermore the nine groups are again divided into two groups. Taegeughaghoe, Daehanhaghoe, Daehan-yuhagsaenghoe, Daehanheunghaghoe, Gongsuhaghoe, Dong-inhaghoe, Nagdongchinmoghoe, Joseon-yuhagsaeng chinmoghoe was one group. Joseon-yuhagsaenghag-uhoe was another group. In addition, this article analyzed the network of international student groups in Japan in a time-series manner. In this process, it was confirmed that the complex system of the international student group was becoming orderly, starting from the establishment of Daehanheunghaghoe, Joseon-yuhagsaeng chinmoghoe, and Joseon-yuhagsaenghag-uhoe. The Joseon Christian Young Men’s Christian Association in Japan was highlighted as the power that created the continuity of the network in the process of ordering. 본 연구는 1906년부터 1910년대 초반까지 발간된 국내외 잡지 16종을 대상으로 인명 데이터 베이스를 구축하여 이에 대한 네트워크 분석을 진행하고 그중 재일유학생단체 잡지로 분류할 수 있는 9종을 대상으로 하위집단이라고 할 수 있는 재일유학생단체 네트워크 분석을 수행하였다. 『공수학보』, 『동인학보』, 『낙동친목회학보』, 『학계보』는 그간 재일본유학생단체 분석에서 잘 다뤄지지 않았던 잡지이지만 『아단문고 미공개 자료 총서 2012』를 통해 영인·출판되어 보다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16종 단체 기관지를 대상으로 회원록, 졸업생명단, 의연금 및 찬조자 명단을 추출하여 회원 및 단체 관련자 인명 데이터 베이스를 구축하였으며, 기 구축된 11종 단체 회원 총수 12,942명에, 5종 단체 회원 및 관련자 1,558명의 데이터가 새롭게 추가되어 14,500개의 인명 및 단체명 데이터를 가지고 네트워크 분석을 진행하였다. 네트워크 분석에는 네트워크 시각화 소프트웨어인 gephi가 사용되었다. 16종 단체 전체 네트워크에서 재일유학생단체 9개는 소집단 분석에서 국내 단체들과 다소 이질적인 집단으로 분류된다. 9개 집단은 그 안에서도 다시 성격이 크게 이분화되는데, 태극학회, 대한학회, 대한유학생회, 대한흥학회, 공수학회, 동인학회, 낙동친목회, 조선유학생친목회가 하나의 집단으로, 조선유학생학우회가 다른 하나의 집단으로 분류된다. 1911년에 설립된 조선유학생친목회는 조선유학생학우회의 모체로 평가되지만 인물의 친소 관계에 따라 학우회보다는 1910년 이전에 설립된 유학생 단체와 더욱 친연성을 갖는 것이다. 또한 이 글에서는 일본 유학생 단체 네트워크를 시계열적으로 분석하였다. 이 과정에서 대한흥학회, 조선유학생친목회, 조선유학생학우회 설립 시기를 기점으로 유학생 단체의 복잡계가 질서화되어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 공수학회가 대한흥학회와 조선유학생친목회를 잇는 역할을 하였음을 밝혀 조선유학생친목회 설립에 있어 황실특파유학생들의 활약상을 가늠하였으며, 공수학회, 동인학회가 태극학회와 대한학회에 두루 연관을 가진 것과 다르게 낙동친목회는 대한학회와 비교적 편중된 관계성을 갖고 있었음을 드러냈다. 1906년에서부터 1912년까지 설립된 재일본 조선인 유학생단체 네트워크를 시계열적으로 따라가다보면 대한흥학회-조선유학생친목회-조선유학생학우회로의 일정한 흐름이 생기는 상황을 확인할 수 있다. 큰 흐름의 줄기가 형성되는 과정에서 이 연속성을 만들어내었던 힘으로 재일본조선기독청년회를 조명하였다. 재일본조선기독청년회는 1906년 태극학회가 설립되고 얼마있지 않아 생겨났으며 유학생 단체들과 매우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였다. 유학생사회 단체가 조직과 해산을 반복하는 상황에서도 네트워크의 연결성을 만들어내는 조력자의 역할을 수행하였다.

      • KCI등재

        근대 불교잡지에 나타난 재일조선불교유학생들의 현실인식 - 재일불교청년단체의 기간지 『금강저(金剛杵)』를 중심으로 -

        제점숙 한양대학교 일본학국제비교연구소 2018 비교일본학 Vol.43 No.-

        본 연구는 근대 불교잡지에 나타난 재일조선불교유학생의 현실인식을 살펴보기 위해 『금강저』라는 근대 불교잡지를 검토한 것이다. 이를 위해 『금강저』의 기고문 중 그들의 현실인식을 잘 드러내고 있다고 판단되는 1920년대 후반에 전개된 일본불교시찰, 학인대회, 조선승려대회의 내용을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이들 기고문에서는 조선불교계 현황에 대한 거침없는 비판과 조선불교 부흥을 위한 새로운 개혁, 혁신론이 제안되기도 하였다. 이럴 경우, 일본불교학, 종교단체법과 같은 일본종교의 상황을 참고하면서 이보다 나은 조선불교를 상정 하였다. 하지만 『금강저』 간행에 있어 경제적 어려움과 조선불교계로부터의 소외감은 재일조선불교유학생이 느끼는 제국의 땅에서 경험하는 식민지민으로서의 또 다른 근대적 경험이었다. 이처럼 『금강저』라는 근대적 매체는 재일조선불교유학생들의 식민지와 제국 틈새의 근대적 고뇌가 ‘조선불교’라는 근대적 산물을 통해 표출되는 유일한 언설공간으로, 이른바 제국에서의 ‘조선불교’의 또 다른 모습이었던 것이다. This study investigates a modern Buddhist magazine, Geumgangjeo (Vajra) to examine the awareness of the reality in Joseon Buddhist students studying abroad in Japan. For this purpose, this study discusses the magazine articles on the Surveys of Japanese Buddhism, Scholars’ conventions and Joseon Monks’ Conferences written in the late 1920s. These writings reveal the awareness of the reality in contributions to Geumgangjeo. These contributions proposed inexorable criticism of the present status of Buddhism in Joseon, new reforms and theories of reform for the revival of Joseon Buddhism. Regarding the situations of Japanese religion, such as Japanese Buddhist studies and laws on religious groups, they introduced Joseon Buddhism better than Japanese Buddhism. And yet, in the publication of Geumgangjeo, financial problem and a sense of alienation from Buddhism in Joseon were other modern experiences Joseon Buddhist students in Japan as the colonized people living in the metropole. The modern medium, Geumgangjeo was the only space for comments in which modern agony felt by Joseon Buddhist students in Japan as they experienced the gap between the colony and the empire were expressed through a modern product, ‘Joseon Buddhism,’ which was so called another aspect of ‘Joseon Buddhism.’

      • KCI등재후보

        재한 일본 유학생의 특성에 따른 문화적응유형과 대학생활적응과의 관계

        서선자 ( Sun Ja Seo ),금명자 ( Myoung Ja Keum ) 서강대학교 학생생활상담연구소 2012 人間理解 Vol.33 No.1

        본 연구는 국내 유학생 중 두 번째 점유율을 지닌 재한 일본 유학생의 성별, 체류기간 및 체류목적이 문화적응유형과 대학생활적응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 확인하기 위하여 이루어졌다. 연구대상은 대구 및 경북, 부산에 위치한 5개 대학 유학생 103명이었고, 일본어로 번역된 문화적응유형척도와 대학생활적응 질문지가 실시되었다. 연구 결과, 재한 일본유학생 중 여학생은 통합유형이, 남학생은 주변화 유형이 많은 경향성이 나타났으며, 여학생이 보다 사회적응 수준이 높았다. 어학연수가 목적인 유학생들은 통합유형이, 대학교육이 목적인 유학생들은 주변화 유형이 많은 경향성이 나타났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지만 체류기간 6개월 이하인 초단기 유학생에게는 통합, 동화, 주변화가 비슷한 수준으로 많았고 분리는 적었고, 반면 7개월 이상인 중단기 유학생들은 통합과 주변화는 유지되었지만 분리가 증가하고 동화는 감소하는 경향성을 보였으며, 초단기 유학생이 중단기보다 대학생활적응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이 이전의 문화적응유형 연구들과 중국인 유학생과 비교되었고, 일본인 유학생의 특성과 관련하여 논의가 이루어졌다. This research investigated how gender, the length of stay, and the purpose of study abroad of Japanese international students would be related to their acculturation types and adaptation to college. One hundred and three Japanese students completed the Scale of Acculturation Type and the Questionaries for Adaptation to College. Among four types of acculturation, the most male students were categorized into Maginalization, while the most female students were classified as Integration.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level of college adaptation across the acculturation types. Integration and Assimilation types reported greater adaptation to collage than Separation and Marginalization types did. This study supported the need for studies of Japanese international students, which could be used as a basis for developing policies and strategies which promote their adjustment.

      • KCI등재

        A Comparative Analysis of International Student Recruitment Polices

        채재은(Chae, Jae-Eun) 한국비교교육학회 2010 比較敎育硏究 Vol.20 No.3

        이 논문의 목적은 호주, 일본, 한국의 외국인 유학생 유치 정책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우리나라의 외국인 유학생 유치 정책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는 데에 있다. 분석 사례로서 호주를 선택한 이유는 고등교육기관에 등록한 외국인 유학생 비율이 22.5%(2007년)나 되며, 가장 성공적인 고등교육 수출국으로서 평가를 받기 때문이다. 그리고 일본 사례를 선택한 이유는 우리나라와 같이 출산율 감소로 인해 날로 부족해지는 대학학령인구를 보충하기 위하여 외국인 유학생을 적극적으로 유치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2007년도에「외국인 유학생 30만명 유치 계획」을 수립하여 추진하고 있기 때문이다. 3개국 사례를 비교 분석한 결과, 일본과 호주에 비하여 우리나라는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프로그램, 재정 지원, 기숙사 시설 및 기타 서비스 등이 상대적으로 열악했으며, 외국인 유학생 유치를 위한 행정지원체제도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분석대상 3개국 모두 유학생 질 관리에 대해 고심하고 있었지만, 특히 우리나라는 부족한 등록생을 외국인 유학생으로 채우려는 일부 지방대학들로 인하여 유학생 관리 문제가 보다 심각하게 대두하고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기존 유학생 유치정책을 고등교육 질 관리 관점에서 진단하고 개선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외국인 유학생 유치가 국내 고등교육에 주는 긍정적인 영향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외국인 유학생 유치정책과 대학국제화 정책을 긴밀히 연계할 필요가 있다. This paper aims to provide policy implications for the Korean government by comparing international student recruitment (ISR) policies of Australia, Japan, and Korea. Australia was chosen because the percentage of international students registered in its HEIs in 2007 equaled 22.5%. Japan was selected since it has recruited international students to address the shortage of college students as in the case of Korea, in addition to releasing 「The 300,000 International Student Recruitment Plan」more recently.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compared to Japan and Australia, Korea lacks programs, financial support, dormitories, and other services for international students as well as a specialized administrative system for an effective ISR. Although there is a growing concern over the low quality of international students in all three countries, Korea seems to face more challenges due to the aggressive ISR polices of some Korean HEIs that have suffered from a shortage of students. Accordingly, the Korean government should examine the quality of international students and develop strategies to improve its ISR policy. It should also enhance its efforts to closely integrate its ISR policy into strategies for the internationalization of HEIs. Without the internationalized HEIs, the scope and impact of ISR policy is likely to be limi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