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翻訳における日本語「-てくるㆍ-ていく」と 韓國語 「아/어 오다ㆍ아/어 가다」について

        한양대학교 일본학국제비교연구소 한양대학교 일본학국제비교연구소 2014 비교일본학 Vol.31 No.-

        본 연구에서는 일본어「-てくるㆍていく」가 한국어의 소설 안에서 어떻게 번역이 되고 있는지, 공간적 이동과 아스펙트로 나뉘어 번역상의 특징을 고찰 하였다. 3권의 작품에서 총 460개의 용례를 발췌하여, 일본어「-てくるㆍていく」와 한국어「-아/어 오다 ㆍ아/어 가다」가 대응하는 용례와 대응하지 않는 용례로 나뉘었다. 또한 대응하지 않는 용례는 그 이유에 대하여 고찰 하였다. 그 결과, 한국어는 일본어와는 달리 「-て くるㆍていく」에 다음과 같은 선행동사가 올 경우, 「-아/어 오다ㆍ아/어 가다」가 생략되거나 의역이 되고 있는 것을 알았다. 먼저 공간적 이동에서, 다음과 같은 선행동사가 올 경우 대응하지 않았다. (1)선행동사가 방향성을 나타내는 경우 (2)같은 의미의 단어가 중복되어 사용되는 경우 (3)선행동사가 화자의 시점(視點)과 관련되는 경우 다음으로 아스펙트에서, 다음과 같은 선행동사가 올 경우 대응하지 않았다. (1)선행동사로 “되다”의 의미가 올 경우 (2)선행동사가 심리상태(心理狀態)를 나타내는 동사의 경우 (3)선행동사가 지각(知覺)이나 감각(感覺)을 나타내는 동사의 경우 (4)선행동사가 발생(發生)을 나타내는 동사의 경우 (5)선행동사가 시선(視線)을 나타내는 동사의 경우 (6)선행동사가 질문(質問)을 나타내는 동사의 경우 (7)선행동사가 소멸(消滅)을 나타내는 동사의 경우 In this study, Japanese ‘-tekuruㆍ-teiku’ were studied in translation to Korean novel, divided by aspect and spatial movement meaning. Investigating a total of 460 examples from the work of three volumes, Japanese ‘-tekuruㆍ-teiku’ and Korean ‘-a/o odaㆍ-a/o gada’ was split into usage does not correspond with the examples. Also been investigated for the reasons that do not correspond to the examples. As a result, Korean ‘-a/o odaㆍa/o gada' has been paraphrased or omitted in case of such a verb comes after Japanese ‘-tekuruㆍ-teiku’. following example. First, in the spatial movement, followings were not responded. (1) If the preceding verb is showing the direction leading (2) When used in the same meaning as the word is duplicated (3) If the preceding verb is relevant to the speaker's view Next, in the aspect, followings were not responded. (1) If the preceding verb means “become” (2) If the preceding verb presents emotion (3) If the preceding verb indicate the sensing or perception (4) If the preceding verb means “occurrence” (5) If the preceding verb means “line of sight” (6) If the preceding verb means question (7) If the preceding verb means “extinction”

      • KCI등재

        「テハ」と「テモ」- 同じ文脈状況で使われる条件用法を中心に -

        한양대학교 일본학국제비교연구소 한양대학교 일본학국제비교연구소 2014 비교일본학 Vol.31 No.-

        조건표현은 크게 순접과 역접으로 나누어지며, 이 중 순접조건은 전건의 성립으로 당연하다고 생각되는 귀결이 후건에 오는 데 비해 역접조건은 그러한 귀결로 후건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를 말한다. 그리고 이들에 대응하는 조건형식 중 ‘テハ’와 ‘テモ’ 는 순접과 역접이라고 하는 각기 다른 상황에서 쓰이는 표현으로 흔히 말해지고 있다. 하지만 실제 이들 형식은 같은 장면에서 쓰이는 일이 있어 이 둘을 대립되는 개념의 언어형식으로 다룰 수만은 없다. 전건을 p, 후건을 q라고 했을 때 ‘テハ’는 바람직하지 않은 사태를 q에 가져옴으로써 ~p의 타당성을 끌어내고자 하는 발화의도로 쓰이는 것 인데, 이러한 장면에 ‘テモ’가 쓰이는 일이 있기 때문이다. ‘テモ’를 역접의 언어형식으 로만 볼 수 없는 이유이다. 이러한 쓰임의 성립조건은 각각의 후건에 바람직하지 않은 사태가 온다, 라고 하는 것으로 화용론적인 용법이라 할 수 있다. 이 경우 ‘テハ’와 ‘テモ’는 문면 뒤의 전제를 특별히 상정하고 있지 않고 그대로 ‘ナラバ’와도 치환가능하다. 다만 ‘テハ’는 바람직하 지 않은 q를 이끄는 p가 강조됨으로써 ~p의 타당성을 전하고자 하는 것인데 비해, ‘テ モ’는 ~p의 타당성을 말하기는 하지만 ‘テハ’에 비해 삼가는 뉘앙스를 띤다는 점이 다 르다. 이는 ‘テハ’는 이유로 해석되는 ‘テ’에 대비용법의 ‘ハ’가 붙어 이루어져 있지만, ‘テモ’는 이러한 ‘テ’에 상황을 부드럽게 하는 ‘モ’가 붙어 생긴 것으로 인한 결과라고 여겨진다. Conditionals are classified as positive conjunction and negative conjunction; positive conjunction which makes sense to the audience by giving the expected conclusion and negative conjunction which works the opposite, by not giving the expected conclusion. ‘tewa’ and ‘temo’ each are often referred to as the two conditionals mentioned above. However, it must be noted that the two conditionals are occasionally used within the same form, meaning that they cannot always be considered as two different linguistic forms. Although ‘tewa’, as an example of positive conjunction, is often used to justify the antecedent (p) by referring to an undesirable consequent (q), ‘temo’ can also be used in the same context, too, therefore blurr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forms. These two forms work by pragmatically conveying that there will be an undesirable consequent after the p. In this case, both ‘tewa’ and ‘temo’ can be directly replaced by ‘naraba’ without specifically inferring the intertextual reference. However, unlike ‘tewa’ which is more often used to highlight the validity of the ~p through emphasizing the undesirable consequence led by p, ‘temo’ tends to avoid being definite in stating the negativity, although still conveying the legitimacy of ~p. This can be seen as an outcome of ‘-mo’ which softens ‘te’ which is understood by the audience as the reason, which separates ‘-mo’ from the contrast usage of ‘-wa’.

      • KCI등재

        일본어 잔재의 사용실태에 대한 사회언어학적 연구

        한양대학교 일본학국제비교연구소 한양대학교 일본학국제비교연구소 2017 비교일본학 Vol.39 No.-

        대구광역시에 거주하는 425명을 세대별(청년층, 중년층, 노년층)로 나누어 식품 명칭 6개, 생활도구 명칭 6개, 기타(색깔 및 복장) 3개 등, 15개 일본어 잔재에 대한 사용빈도를 유형별로 분류하면 다음과 같다. (1) 소멸형(모든 연령층에서 사용비율이 30% 이하이면서 연령이 낮을수록 사용빈도가 감소하는 일본어 잔재)-다쿠앙, 다마네기, 쓰메키리, 와리바시, 마호병, 자부동, 구루마, 소라색. (2) 정착형(연령에 관계없이 일본어 잔재의 사용비율이 60%가 넘는 잔재 일본어)-와사비, 오뎅, 곤색. (3) 확산형(청년층의 사용비율이 60%를 넘고 연령이 낮을수록 사용 빈도가 높아지는 일본어 잔재)-스시, 소데나시. (4) 공존형(중년층, 노년층의 사용빈도가 30%넘거나 세대(연령층) 간 사용률의 차이가 3% 이하인 잔재 일본어)-사시미, 요지. 즉 ‘요지’를 제외한 5개의 생활도구 명칭과 ‘다꾸앙’ ‘다마네기’와 같은 식품 명칭은 앞으로 점차 소멸해 갈 것으로 예상되지만, 나머지 10개의 잔재 일본어는 앞으로도 소멸하지 않고 한국어와 함께 공존해 갈 것으로 예상된다. The 425 people living in Metropolitan City of Daegu are divided into households(young, middle-aged and older group), and the results of survey on the usage status of 15 Japanese residues including 6 food names, 6 household tools names, and 2 others(colors and costume) are classified by type as follows; (1) Extinction type-Japanese residues whose usage rate decreases as the lower aged group in all ages with less than 30% of the usage ratio: Takuang(pickled radish), ‘Tamanegi(onion)’, Tsumekiri(nail clipper), Waribashi(wooden chopsticks), Maho Byung(thermos bottle), Jabudong (sitting mat), Kuruma(cart). Haneulsaek(sky blue). (2) Settled type-Japanese residues with over 60% of the usage ratio regardless of any age group: Wasabi, Oden(fish cake), Konsaek(navy blue color). (3) Diffused type-Japanese residues whose usage ratio of young group is higher than 60%, and usage ratio is decreased as the lower age group: Sushi, Sodenashi(sleeveless clothes). (4) Coexisted type – Japanese residues whose usage ratio of middle-aged and older age group with over 30% or Japanese residues with a difference of 3% or less between generations: Sashimi, Yohji(toothpick). In other words, it is expected that the name of 5 living tools excluding ‘Yohji’ and the names of foods such as ‘Dakuang’ and ‘Damanegi(onion)’ will gradually disappear, but the remaining 10 Japanese residues are expected to coexist with Korean language in the future.

      • KCI등재

        노(能) <가모(賀茂)>와 젠치쿠(禅竹)의 하타 씨(秦氏) 의식

        한양대학교 일본학국제비교연구소 한양대학교 일본학국제비교연구소 2014 비교일본학 Vol.31 No.-

        노 <가모(賀茂)>는 곤파루 젠치쿠(金春禪竹)가 교토(京都)의 가모 신사(賀茂神社)에 얽힌 신화를 제재로 하여 만든 노이다. 이 곡은 하타 씨(秦氏)의 노라고 할 수 있을 만 큼 젠치쿠의 하타 씨 의식이 강하게 나타나는 작품이다. 본고는 노 <가모>를 중심으로 ‘젠치쿠의 하타 씨 의식’을 살펴보고자 한다. <가모>의 전장에서는 마을의 처녀가 가모 신사에 얽힌 신화를 자세히 들려주는 내용이며, 후장에서는 가모 신사의 미오야 신(御 親神)이 등장하여 선녀의 춤을 추고, 뒤를 이어 천둥의 신인 와케이카즈치 신(別雷神) 이 비바람을 일으키며 신의 위력을 보여준다. <가모>의 종교문화적 배경은 농경사회에 있어서 중요했던 ‘물’과 그 물을 신격화 한 ‘수신(水神)신앙’이라는 점을 중요한 요소로 들 수 있다. 작품 속에서는 강물의 아름다움을 강조하며, 가모 강을 지칭하는 모든 이 름을 열거하여 강을 칭송하고, 그 강을 따라 흘러내려온 화살을 천둥을 일으키는 뇌신 (雷神)으로 연결시킨다. 이 곡의 전거로는 『야마시로노쿠니후도키(山城国風土記)』와 『하타우지혼케쵸(秦氏本 系帳)』의 두 가지 계통이 있지만, 후자에 포함된 하타 씨 계통의 신화가 노의 사장과 더욱 유사하다. 젠치쿠가 노를 창작함에 있어 『하타우지혼케쵸』를 직접 보았을 지의 여 부는 확실하지 않지만, 이 하타 씨 계통의 신화가 다른 문헌들에 포함되어 남아 있으므 로 직간접적으로 하타 씨와 관련된 가모 신화를 바탕으로 노를 창작했다고 할 수 있다. 곤파루 젠치쿠는 동시대의 가장 뛰어난 예능인의 한 사람으로서, 작품 창의능력과 이론적 사고능력 또한 탁월하였다. 그는 노 이론서의 집필을 통해 엔만이 좌의 후진들 에게 노가 갖는 정신적 가치를 전수하기 위해 노력한 뛰어난 사상가이다. 그의 저서를 보면 자신들의 선조가 도래집단 하타 씨이며, 이에 대해 무한한 긍지를 가지고 있었다 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메이슈쿠슈(明宿集)』에서 엔만이 좌의 선조에 해당하는 하 타노 가와가쓰(秦河勝)의 사적을 포함하여 노의 신화적 역사를 상세히 기술하고 있는 단락은, 젠치쿠를 비롯한 노 연희집단이 스스로를 ‘하타 씨’의 후예라고 자칭하고 있는 유래의 근거로서 주목되는 부분이다. 젠치쿠가 『메이슈쿠슈』와 같은 노 이론서를 통해 노의 기원을 하타 씨와 결부 시켜 설명하면서 동시에 하타 씨를 신으로 숭배하는 하타 씨 의식은 작품 창작에도 적지 않은 영향을 끼쳤다고 할 수 있는데, 그의 의식을 반영 한 대표적인 곡이 노 <가모>이다. 젠치쿠가 하타 씨 계통의 가모 신화를 소재로 <가모>를 창작하게 되는 배경에는 하타 씨 신앙이라고 해야 할 정도의 하타 씨 의식이 담겨 있는 것이다. <Kamo> is a work of Konparu Zenchiku. Its theme is based on the mythology involved in Kamo Shrine in Kyoto. In the first half of the <Kamo>, a woman tells about the myth of Kamo Shrine. In the latter part, the god of Kamo Shrine dance the ‘Tennyonomai’ and then ‘Wakeikazuchinokami’ appears to show the power of the god with the wind and rain. Konparu Zenchiku is one of remarkable artists in the Middle Ages. He is an outstanding artist who had both creativity and great theoretical knowledge. Also, Zenchiku is a philosopher who strived for teaching spiritual values of Nho to descents of ‘Enmaniza’. In Zenchiku’s writing, it is found that he is proud of the fact that his ancestors are the ‘Hata’ clan. In fact, Zenchiku wrote in the “Enmanizakeizu” that he is a descendant of ‘Hatano Kawakachu’, and he described in his Noh theory book called “Meisyukusyu” the mythical history of Noh including the legend of ‘Hatano Kawakachu’ which is an ancestor of ‘Enmaniza’. Moreover, it is found in Zenchiku’s “Meisyukusyu” that he worshiped Hantano Kawakachu and it is believed that his creation of arts was influenced by that respect to Hantano Kawakashu. Nho <Kamo> is a representative work that was created to reflect Zenchiku’s sense of being a clan ‘Hata’. In this paper, it is analyzed in the perspective that <Kamo> is Zenchiku’s consciousness of the Hata clan.

      • KCI등재

        메이지기, 번역한자어의 성립과 한국 수용 고찰 - [society]가 [사회(社会)]로 번역되기까지 -

        한양대학교 일본학국제비교연구소 한양대학교 일본학국제비교연구소 2017 비교일본학 Vol.39 No.-

        본 연구는 서구 근대 사상을 수용하고 그 개념을 이해하는데 필수적 단어인 [society]가 [사회(社会)]로 번역되기까지의 과정을 한중일 근대 자료를 중심으로 고찰한 것이다. [사회(社会)]는 근대 일본(메이지기)에서 중국 고전(한적)의 어형을 차용하여 만들어낸 [society]의 번역어이다. 원래 [사회]는 중국 고전에서 [제사를 같이 모시는 집단]의 의미로 사용되고 있었다. 1867년 일본은 메이지 유신을 거치면서 서양의 근대 문명을 받아들이고, 이를 일본어로 번역하게 된다. 메이지 유신이 발발한 지, 10 여년이 지난 1870년 중반, 메이지 일본에서는 [society]의 번역어로 [사회]를 만들어낸다. 그러나 메이지기에 만들어진 [society]의 번역어에는 [사회]이외에도 40 여개가 더 존재한다. 이렇게 많은 수의 번역어가 만들어진 이유 는 [society]의 개념이 당시의 일본에는 부재했기 때문에 그 개념을 이해하는 것이 어려웠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 이러한 현상은 [사회]가 [society]의 번역어로 어느 정도 일반화되었다고 판단되는 1880년까지도 계속된다. 한편, 개화기 조선, [society]의 번역어 [사회]는 1895년 『서유견문』과 학부편제교과서 『고등소학독본』에 소개된다. 이후, 1899년에는 독립신문에 사용될 정도로 일반 대중에게 전파된 상태으며, 1910년 이후에는 사전에 등재될 정도로 한국어에 완전 정착하게 된다. It is about 1875 when the word [sa-hwae(社会)] appeared as the translation word for [society]. Even after the translation word for [society], [sa-hwae], became popular and generalized to the public, there still existed 40 different versions of the word [society]. Which means that various versions of translation for [society] have been competing in Meiji Japan. The reason many different versions of translation word existed is because Japan at that time did not have the concept [society]. It takes a lot of time and effort for the society to accept a concept that has never experienced and to use a word that contains that idea. The reason many different versions of translation word built up may be originated in the absence of the concept [society] which was afraid of giving trouble on the word of understanding Japan at that time. As the creative imagination of the Meiji Japanese has contributed to understand a concept that has never experienced and to use a word that contains that idea, we may appreciate to serve as a steppingstone for modernization to the public which had to promote mutual understandings by translation solely between Japan and the West at that time.

      • KCI등재

        「悩む·苦しむ」 に前接する格助詞の用例分析 - 名詞句と格助詞 「ニ·デ·ヲ」との関係を中心に -

        한양대학교 일본학국제비교연구소 한양대학교 일본학국제비교연구소 2017 비교일본학 Vol.39 No.-

        본고에서는 동사 “悩む(Nayau)”와 “苦しむ(Kurushiu)” 앞에 격조사 “ニ(ni), デ(de), ヲ (wo)”가 접속하는 용례를 코퍼스에서 수집해 분석을 실시했다.그 결과 ①조사 앞에 오는 명사구가 감정을 나타내는 경우 “ニ(ni)”, 감정을 나타내지 않는 경우 “デ(de)”, 직접적으로 감정을 나타내지 않으나 숨어 있는 감정을 읽어낼 수 있는 경우 “ニ(ni), デ(de)”가 접속한다. ②용법 면에서 보면 “목적, 상대”의 용법인 경우 “ニ(ni)”, “내용”의 용법인 경우 “デ(de)”가 접속한다. ③문장 구조상, “고민, 고생”하는 주체와 그 원인이 되는 대상의 주체가 동일한 경우 “ニ(ni)”, 동일하지 않은 경우 “デ(de)”가 접속한다. ④문장 구조상, 조사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デ(de)”와 “ニ(ni)”를 선택적으로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⑤“ヲ(wo)”는 일반적으로 “ニ (ni), デ(de)”가 접속하는 문장에서 “높은 주체성(의지, 적극성)”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the proper usage through the examination and analysis of particles connected before the verb “Nayamu, Kurushimu”. Examples obtained from “BCCWJ : Balanced Corpus of Contemporary Written Japanese”. “sortKWIC” and “BNAnalyzer” are used for analysis of example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ly, particle “ni” is used for words expressing emotions. Particle “de” is used for the words expressing causes. Secondly, for purpose and opponent usage, use “ni”. For contents usage, use “de”. Third, if the subject is the same, use “ni”. If the subject is different, use “de”. Fourth, when representing a strong will, use particle “wo” rather than “ni, de”. Fifth, if both “ni” and “de” can be used, one particle is optionally used in order to avoid duplication of particle.

      • KCI등재

        일본의 대 동남아시아 ODA 정책에 대한 평가

        한양대학교 일본학국제비교연구소 한양대학교 일본학국제비교연구소 2014 비교일본학 Vol.31 No.-

        일본의 ODA는 60여년의 역사를 갖고 있으나 그동안 원조의 대부분은 아시아, 특히 동남아시아를 중심으로 경제인프라 개발에 초점을 맞추어 실시해 왔다. 이는 일본 입장 에서 볼 때 동남아시아가 경제ㆍ정치ㆍ외교적으로 중요한 전략적 지역이면서 일본이 실리도 얻을 수 있기 때문이기도 하다. 이로 인해 일본은 국제원조사회에서 ODA의 이념과 취지에서 벗어나 경제적ㆍ상업주의적 ODA 정책을 실시해 왔다는 비난을 받아왔 다. 그러나 2000년대 이후부터는 지나친 상업주의적 원조, 아시아에 치우친 원조라는 누명이 어느 정도 사라지면서 긍정적 평가를 받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비해 우리나라는 과거 일본의 국제개발협력의 부정적 역사를 비슷하게 답습하 고 있고, 또 한국만의 독자적인 원조이념이나 철학이 부재하다는 비판을 받고 있어 일 본을 비판할 입장이 못 된다. 따라서 향후 한국이 국제사회에서 위상을 높이기 위해서 는 일본의 시행착오로부터의 학습효과를 통해 한국만의 독자적인 원조이념과 철학을 수립하여 수혜국의 실정에 맞는 효과적인 지원방식을 개발해 나갈 필요가 있다. Japan’s ODA has a history of 60 years. During those 60 years of history, Japan has supported most of its aid on Asia especially concentrating on Southeast Asia. The aid on Southeast Asia has been carried out focusing in developing the economic infrastructure. The reason for this, from the perspective of Japan the Southeast Asia is an important strategical area economically, politically and diplomatically; and on the one hand, Japan may gain practical benefit from the result of giving aid to Southeast Asia. Japan’s ODA policy has been criticized for conducting economical and commercial aid as it was done digressed from the international society ODA’s principle and intent. However, as the false accusation of excessive commercial aid and biased aid of Asia has cleared to some extent, it is now earning positive reviews. In comparison, Korea is following similarly the negative history of Japan on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Korea is criticized for the absence of its own aid principle and philosophy. Thus, for Korea to elevate its status in the international society, it should obtain the learning effect from the Japan’s trial and error. Korea should establish its own aid principle and needs to develop effective aid method adequate for the recipient countries.

      • KCI등재

        21세기 대학의 역할과 리버럴아츠칼리지 ─ 아키타 국제교양대학이라는 물음 ─

        김태경 한양대학교 일본학국제비교연구소 2018 비교일본학 Vol.44 No.-

        오늘날 급변하는 세계 속에서 대학과 지식은 근본적인 변화를 요구받고 있다. 대학의 위기가 말해지는 오늘날 다시 말해 디지털화와 인터넷 보급으로 21세기 우리가 직면한 상황은 그야말로 인쇄혁명이 지식의 근저를 바꾸었던 16세기와 유사하다. 그렇다면 제2의 지식혁명 또는 지적전환 앞에서 대학은 이대로 사라지고 말 것인가. 2004년 아키타 외곽에 새로이 설립된 국제교양대학(Akita International University)은 선구적인 실험으로 현재 일본에서 가장 주목받는 대학이다. 국제교양대학의 교육 프로그램은 이름 그대로 ‘국제’와 ‘교양’이라는 두 개의 축으로 단순화할 수 있다. 본고는 국제교양대학 ‘성공’의 함의를 비판적으로 고찰함으로써 21세기 대학이 나아가야 할 방향과 역할을 제시하고자 한다. 흥미로운 것은 대학의 위기가 말해지는 가운데에 대학들이 눈을 돌린 곳이 리버럴아츠칼리지 즉 국제교양교육의 강화라는 사실이다. 다시 말해 4차 산업혁명 또는 신자유주의라는 새로운 시대가 역설적이게도 ‘국제’ ‘교양’으로서의 리버럴아츠의 부활과 인문교육 본연의 자세를 회복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사실 대학은 태생적으로 ‘국제=보편’적이자 원리적으로 ‘교양=융합’적인 존재였다. 새로운 시대가 요구하게 된 바람직한 인재상과 교육이 바로 대학 본연의 자세라는 점은 매우 시사적이다. In today’s rapidly changing world, both universities and the spread of knowledge are undergoing fundamental changes. The situation that we now face in the 21st century, due to digitalization and the internet, is similar to that which was faced in the 16th century, when the printing revolution changed the root and access of knowledge. If this is so, will the notion of the university disappear, in front of the 2nd knowledge revolution or will it go through an intellectual transformation? Akita International University, was founded in 2004 just outside the city of Akita. It is seen as a pioneering experiment and is currently the most popular university in Japan. The curriculum of the University can be simplified into two axes; international and liberal. This paper presents the direction and potential role that universities may play, by critically reviewing the implication of ‘success’ at Akita International University. Interestingly, during this current crisis faced by universities, universities have now turned their eyes towards the Liberal Arts Colleges, which is seen as an enhancement of the international liberal arts education. In other words, a new era of both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Neoliberalism, is paradoxically calling for a revival of the Liberal Arts as both an ‘international’ and ‘liberal’ method of restoring the attitude of human education. In fact, the idea of the university is originally ‘international=universal’ and it is ‘liberal=convergent’ in principle. It is therefore very suggestive that the desirable talent and education required by the new age is the nature of the university.

      • KCI등재

        1980년대 일본의 「국제화」 인식 - 「일본의 아이덴티티」 구축이라는 관점에서 -

        金弼東 한양대학교 일본학국제비교연구소 2015 비교일본학 Vol.34 No.-

        1980년대의 일본은 경제대국의 지위에 상응하는 「국제국가」로서의 역할을 적극적으로 수행해야 한다는 내외의 요구에 직면하게 된다. 이 논리는 「일본의 아이덴티티」 주창과 맞물리면서 일거에 일본의 대국화= 「국제화」라는 등식을 양산하기에 이른다. 그 무렵 일본사회의 「국제화」는 다양한 방면에서 논의되었으나 광의적으로 보면 개방화ㆍ국제교류ㆍ국제공헌ㆍ국제국가ㆍ대국화 등의 개념과 불가분의 관계를 맺고 있었다. 따라서 「국제화」의 개념도 산업화ㆍ근대화이후의 일본사회의 비전제시를 통한 통합의 논리와 경제대국일본의 국제적 지위 변화를 반영한 국제공헌의 가치구현으로 정의할 수 있다. 이를 토대로 본고에서는 80년대 일본의 「국제화」 논리를 일본사회의 통합화와 일본의 대국화라는 2개의 관점을 중심으로, 그것이 일본사회에서 어떠한 성격을 띠고 전개되었고, 동시에 그 시대적 의미와 한계가 무엇인지를 분석해보고자 한다. In 1980s, Japan had been faced with demands, which has to carry out the role of ‘global nation’ indicated economic superpower, from domestic and foreign. This discourses encouraged with the argument of ‘identity of Japan’ so that during the period produced the equation about that great power of Japan is same as global nation. In those days, Japan society had discussed the methods for globalization in the many ways. In effect, globalization, global exchange, global contribution and the superpower were inevitably connected with globalization in the aspect of broad sense. Accordingly, the concept of globalization can be defined by global contribution, which reflected change of position to Japan as economic superpower nation, and suggestion of vision, which was discussed after modern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through the integration. From the concept and discussion mentioned, the article analyzes globalization based on two core concepts that are about Japan as a superpower nation and integration for Japan society. Following the statement, the article researches impacts on the society and coincidentally analyzes the meaning and limits from the statement mentioned for the period.

      • KCI등재

        재일코리안 교육의 패러다임 전환과 경험 - 코리아국제중고등학교 졸업생 3인의 구술사를 중심으로 -

        조세진 한양대학교 일본학국제비교연구소 2021 비교일본학 Vol.52 No.-

        본 연구는 코리아국제중고등학교의 사례를 중심으로 재일코리안 민족교육의 패러다임이 변화하고 있는 현황을 살펴보고 이러한 변화의 저변에 있는 교육적 수요에 대해 분석한다. 재일코리안 민족학교의 역사적 전개에서는 내셔널리즘의 영향이 존재해 왔으며 이는 분리주 의적 학교 환경의 형성에 영향을 미쳤다. 2008년 설립된 코리아국제중고등학교는 재일코리안 교육에서 내셔널리즘의 영향을 극복하고 트랜스내셔널리즘에 기반한 교육을 실현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본 연구는 재일코리안 민족교육의 최대 학교군인 조선학교를 졸업하고 이후 코 리아국제중고등학교에서 수학한 젊은 세대 재일코리안 3인의 구술사를 통해, 이들이 재일코 리안으로서의 에스닉 정체성과 동시에 일본사회 구성원으로서의 정체성을 지향하고 있으며 이러한 인식이 조선학교에서 코리아국제중고등학교로 학교를 전환하는 선택으로 이어졌음을 고찰한다. 본 연구를 통해서는 민족교육 패러다임의 변화의 저변에 존재하는 인식의 특징을 확인할 수 있다. This paper explores the change of educational paradigm of Zainichi Korean education in Japan with the example of Korea International School (KIS). In the history of ethnic minority schooling for Zainich Koreans, it is noticeable that nationalism had influenced their curriculum. To overcome nationalistic ideas in the education of ethnic schools, KIS was established in 2008 based on the idea of transnationalism. This paper explores the experiences of three students who started their education in a Chōsen school, which is the biggest group of the Zainichi Korean school, and then transferred to KIS. This paper examines interviewees’ educational desire in their choice of changing schools. Their identity as a Korean ethnic minority and also as a member of Japanese society could not be fully explored in a Chōsen school. Through this analysis, this paper shows one of the underlying reasons for the change of educational paradigm of the Zainichi Korean schoo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