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910년대 전북지역의 화재발생과 소방조의 결성

        김상욱 전북사학회 2018 전북사학 Vol.0 No.53

        개항 이후 일본인들은 호남평야의 미곡산지에 거주하였다. 전북의 곡창지대에서 생산된 미곡을 군산으로 실어내기 위한 철도가 1912년에 설치되면서 인구증가와 함께 화재가 다발하였다. 이시기 전북지역의 화재발생과 손해액은 1920년대에 비하면 아직은 적은 편이었다. 왜냐하면 1910년대에는 1920년대에 비하여 전북에 정착한 일본인의 경제적인 정착이 아직 진행되고 있었기 때문이다. 1910년대의 전북지역의 화재는 발생 건수로 보면 한국인이 많았지만 손해액은 일본인이 상대적으로 많았다. 이러한 현상은 한일인의 경제력의 차이와 인구거주의 多寡에서 기인하였다. 일본인 소유의 정미소, 면화공장 등에 화재가 발생할 경우 재산손실이 많이 발생하였다. 또한 인구가 많고 일본인이 많이 거주한 지역에는 화재가 늘어났다. 한일합병 이후 조선총독부는 식민통치 제도 개편에 착수하면서 통치기구를 정비하였다. 조선총독부는 1914년 府제 실시와 함께 거류민단도 해체하였다. 1915년에 발포한 「조선총독부소방조규칙」은 소방조를 일제의 경찰보조기관으로 만들었다. 소방조의 구성도 한국인과 일본인으로 구성된 한일공동소방조의 결성으로 변화되었다. 그러나 소방조의 구성원은 한국인이 다수였지만 소방조의 운영권과 주도권은 일본인이 행사하였다. 전북지역에도 한일공동소방조의 결성이 늘어나면서 일본인이 소방조 운영을 주도하였다. 미곡이출의 중심 항구였던 군산이나 전북의 행정중심지였던 전주 그리고 김제·정읍·이리 등 일본인 지주들의 토지침탈이 활발한 지역에서 소방조의 결성이 이루어졌다. 전북지역의 소방조결성은 전북이 전국 최고의 곡창지대라는 특수성을 배경으로 결성되었다. 일본인들은 전북내륙평야의 미곡을 실어내기 위한 철도 인근에 농장을 운영하였다. 이러한 농장과 사업을 기반으로 지역에서 학교조합, 번영회를 만들고 소방조를 결성하여 소방조가 그들의 이익과 안전을 받침대가 되도록 하였다. After Korean ports were opened to foreign countries, Japanese people stayed in rice producing area of the Honam Plains. As railroads were built to deliver rice from the rice producing area of Jeonbuk to Gunsan in 1912, the population increased and many fires broke out. In 1910s, fires and the amount of damages were still not big in comparison with damages of 1920s as the economic settlement of Japanese people in Jeonbuk was still progressing in 1910s. At Jeonbuk in 1910s, more fires broke out to Korean people, but Japanese people had relatively more damages from fires. It was derived from difference in economic power between Korean and Japanese people and the quantity of the population. When fires broke out in rice mills and cotton plants owned by Japanese people, many damages were caused. Also, fires increased in the areas where many Japanese people stayed.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organized the governing body as it began to reorganize its colonial rule system after the Japanese annexation of Korea.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disorganized a residents association along with execution of the Bu system in 1914.「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Fire Fighting Service Rules」 which was announced in 1915 made the fire fighting service as a subsidiary organ of Japanese imperialism. Although the fire fighting service was composed of both Korean and Japanese people and most of the members were Koreans, but Japanese people managed it. As more Korean and Japanese fire fighting services were formed in Jeonbuk, Japanese people dominated the management. Fire fighting services were usually formed at Jeonju, Kimje, Jeongeup and Iri where Japanese landholders took Korean land by force. Fire fighting services in Jeonbuk were organized based on particularity that Jeonbuk was the nation’s top rice producing area. Japanese people managed farms near railroads to transport rice from the inland. Based on the farms and business, they organized school unions, prosperity projects and fire fighting services to use them as tools for their interest and safety.

      • KCI등재

        백제의 ‘전북지역’ 진출 과정과 추이 변화

        김병남 전북사학회 2020 전북사학 Vol.0 No.58

        전통적인 시각에서 전북 권역은 백제의 일부분으로 이해되어 왔다. 하지만 이러한 모습은 백제 전 시기에 걸쳐 적용되지 않는다. 따라서 백제의 일부로 써 중요한 지역이 되기 이전 전북 권역의 실체를 파악할 필요가 있다. 그런데 남아 있는 기록을 보면 1~3세기 사이의 전북 지역은 백제가 아니라 마한의 일원으로 지역별 소정치체들이 산재하였던 곳임을 알 수 있다. 또 이 와는 별개로 전북 동부권에는 가야와 연계된 세력이 존속하였다는 고고학적 인 증거가 나타난다. 따라서 고대 시기 전북 권역의 실재적인 모습을 알기 위해서는 새로운 추 적과 이해가 필요하다. 나아가 지역 분산적인 형태의 다양한 정치체들이 어 떠한 과정을 거쳐 백제라는 하나의 국가적 틀 속으로 흡수·통합되었는지에 대해서도 전북지역사라는 시각에서 접근이 요구된다. 이것은 결국 중앙 중심 의 백제사 인식에서 벗어나는 계기가 될 것이며, 특히 고대 시기의 전북 권 역의 역사·문화적 원천 모습에 좀 더 접근하여 지역의 다양성을 강화하는데 일조할 수 있다. 이에 본 논문은 고대 국가 백제와 전북 권역의 마한 그리고 가야 세력이 어떻게 존재하였고, 또 그들이 어떻게 융합되었는지를 살펴보았다. 우선 2장 에서는 백제에게 복속하기 이전 시기 전북 지역의 존재 양상을 간략하게 알 아보았고, 3장은 전라도 지역이 언제 백제와 조우하여 그 영향권 아래 들어 가게 되는 지를 추정하였다. 그리고 마지막 4장에서는 백제의 웅진 천도 이 후 백제가 전라도 지역을 어떻게 재복속하게 되었는지를 살펴보았다. From the traditional perspective, the Jeonbuk region has been understood as part of Baekje. However, this aspect does not apply throughout the pre-Baekje perio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grasp the reality of Jeonbuk area before becoming an important area as part of Baekje. However, the remaining records show that the Jeonbuk area between the 1st and 3rd centuries was not a Baekje but a part of Mahan, where certain localities were scattered. Apart from this, there is archeological evidence that the forces associated with Gaya survived in the eastern part of Jeonbuk. Therefore, in order to know the actual state of the Jeonbuk area in ancient times, new tracking and understanding is necessary.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approach from the perspective of Jeonbuk regional history on how various politics in the form of regional dispersion were absorbed and integrated into a national framework called Baekje. This will eventually lead to a departure from the central center's perception of Baekje history, In particular, it can help to strengthen the diversity of the region by getting closer to the historical and cultural sources of the Jeonbuk region in ancient times. This paper examines the existence of the ancient national Baekje, Mahan and Gaya forces of the Jeonbuk region, and how they merged. First, in Chapter 2, we briefly reviewed the existence of Jeonbuk area before the subjugation to Baekje. Chapter 3 estimated when the Jeolla Province area would encounter Baekje and fall under its sphere of influence. And in the last chapter, we looked at how Baekje was re-submitted to Jeolla Province after Baekje moved to Woongjin.

      • KCI등재

        20세기 초 전북노회의 설립과 교세 확장

        정석동 전북사학회 2017 전북사학 Vol.0 No.51

        미국 남장로교 선교부에 의해서 시작된 전라북도 지역의 선교는 먼저 군산과 전주선교부를 설립하고 교회 본고에서 교회란 지역에 설립된 개신교에서 장로교회를 주로 의미하며, 기독교는 개신교를 지칭하는 의미로 사용하였다. , 학교, 병원을 중심으로 선교활동을 진행하였다. 목사들로 구성된 선교사들은 교회를 개척하고 설립함으로써 전라북도 지역에 기독교를 확산하였다. 교세가 확산됨에 따라 목사 선교사들과 한국인 목사들을 치리하고 파송하는 상위기관으로서 1907년 대한예수교장로회 독노회를 조직하였다. 전북 초기교회는 독노회 시기에는 전북대리회로 편재되었다가 조선예수교장로회총회가 성립하면서 전남과 광주, 제주도를 포함한 전라노회에 소속하였다가 1917년 제7회 총회 때 전남노회와 전북노회로 분노회 하였다. 전북노회는 전북지역과 충남·제주 일부지역을 선교지역으로 삼았다. 전북노회는 전주·완주를 비롯한 익산과 군산 등 도시는 물론이고 군읍까지 교회를 설립함으로써 교회는 지역적으로 균등하게 분포하였다. 전북노회는 주요지역에 거점교회를 설립하고 이 교회들이 중심이 되어 지역교회들을 분립 개척함으로서 전북지역에 교세를 확장하였다. 전주·완주지역, 익산, 김제 지역의 교회와 교인수가 많이 증가하였다. 교인 현황은 1919년 3·1운동 여파로 감소를 제외하고 매년 6-8백명 증가하였다. 특히 세례로 입교한 교인은 1935년 868명이었는데, 이는 대사경회의 결과이었다. 전북지역교회는 세례로 입교하는 교인을 늘리기 위해 교회들은 사경회, 시장전도, 전도부인 동원 등 다양한 선교방법을 사용하였다. 전북노회 초기 교회 확산과 함께 각 지역별 교인 증감의 현황을 비교하였다. 감소된 군산, 진안지역과 증가된 여타 지역에 대하여 연도별 인구수와 교인수를 비교할 때, 평균 인구증가율을 초월하는 교인증가비율이었다. 교인 증가는 지역의 경제활동이나 도시화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전북교회 직원 증가는 곧 기독교 교세 확장이었다. 대표직원인 목사와 장로, 그리고 꾸준히 증가한 장립집사와 서리집사는 맡은 역할과 임무를 통해 기독교 교세의 확장은 물론 지역사회에 기독교의 영향력을 높였다. 본고는 전북노회회의록에 기록된 구체적인 통계자료를 기초하여 전북 초기선교에서 전북노회를 통한 교회 설립 및 교인의 증가와 교세 확장을 연구하였다. 구체적인 통계자료를 이용한 전라북도 전체 교회에 관한 연구는 본 논문이 유일하다. 앞으로 교세 확장에 따른 교회의 활동과 재정운용을 통해 전북 초기선교에서 전북노회가 전북 지역에 기여한 바를 연구할 것이다. After years of the united ecumenical councils, Jeonbuk presbytery had been included in Jeonbuk agency at the time of the Korea presbytery, after then, it belongs to Jeolla presbytery by the formation of the general assembly of presbyterian of Chosun. With the division of Jeolla presbytery into Jeonnam and Jeonbuk presbytery at the seventh general meeting in 1917, Jeonbuk presbytery made the Jeonbuk province and the part of Jeju province as the missionary area. Jeonbuk presbytery was distributed over a wide area of Jeonbuk not only Jeonju and Wanju but also the very small towns and the newly formed cities such as Iksan, and Gunsan. Although there are some local variations, with the decrease in believers in Gunsan and Jinan, with the increase in believers in some area in Jeonbuk, comparing the number of the believers with the annual population, the rate of believers growth was found higher than the average rate of population growth. The increase the number of believers varied with the activities and situations of local churches. It is regarded the increase the officers of the churches as the rise and influence of Christians. It is regarded as the expansion and the increased influence power of Christianity over the area of Jeonbuk presbytery that the steady increase of the number of church service members such as the ministers, the elders, deacons and intern deacons

      • KCI등재
      • KCI등재

        ‘전북통의부(全北統義府) 사건’의 실상과 성격

        김주용 전북사학회 2023 전북사학 Vol.- No.67

        In 1922, as a result of the integration movement of independence movement groups in the southern Manchuria region, the Korean Unification Ministry was organized. In imperialist Japan, the Daehantonguibu was recognized as the most threatening and dangerous independence movement organization at the time. The group's most active independence movement was fundraising and armed struggle. In this article, among the military fundraising activities of the Daehantonguibu, examples of military fundraising in the domestic region were identified. In particular, it was said that it was a domestic activity after 1925, when the Ministry of Unification Affairs was progressively resolved, and the Japanese authorities were also in a very embarrassing position. Therefore, it was also named the ‘Jeonbuk Tonguibu’ incident. In June 1928, while the Singanhoe movement was actively developing nationwide, the ‘Jeonbuk Tonguibu’ incident, which occurred in Iri, Jeonju, and Gimje, Jeollabuk-do, was an independence movement that the Japanese authorities paid great attention to. This 'Jeonbuk Tonguibu' incident was a glimpse into the fact that the Daehantonguibu, which was active in Manchuria around 1925, maintained its name and developed an independence movement even after the developmental dissolution of the three departments, Jeonguibu and Chamuibu. Jo In-hyeon, the protagonist of the 'Jeonbuk Tonguibu Incident', raised military funds while building a human network in the Jeonbuk region for a relatively long time. In particular, he converted the proceeds from the sale of land into military funds, and also established a plan to manufacture bombs in Korea with the military funds. However, in the process of raising military funds, he was captured by the Japanese police and failed to achieve his intended goal. This incident is seen as a representative example of an independence movement organization in Manchuria related to domestic military fundraising in the late 1920s. 1922년 남만주지역의 독립운동단체 통합운동의 결실로 대한통의부가 조직되었다. 제국주의 일본에서는 대한통의부를 당시 가장 위협적이며 위험한 독립운동단체로 인식할 정도였다. 이 단체의 가장 활발한 독립운동은 군자금 모금과 무장 투쟁이었다. 이 글에서는 대한통의부의 군자금 모금 활동 가운데 국내지역 군자금 모금의 실례를 규명하였다. 특히 대한통의부가 발전적으로 해소되었던 1925년 이후의 국내 활동이었다는데 일제 당국에서도 아주 곤혹스러운 입장이었다. 따라서 명칭도 ‘전북통의부’ 사건으로 명명하였던 것이다. 1928년 6월 전국적으로 신간회운동이 활발하게 전개되고 있던 상황에서 전라북도 이리와 전주, 김제지역 등을 연고로 발생한 ‘전북통의부’ 사건은 일제 당국이 크게 주목한 독립운동이었다. 이 ‘전북통의부’ 사건은 1925년경 만주에서 활동했던 대한통의부가 삼부 가운데 정의부와 참의부로 발전적 해체를 한 이후에도 명칭을 유지하면서 독립운동을 전개하였던 사실을 엿 볼 수 있는 것이었다. 조인현은 전북지역에 비교적 오랫동안 인적네트워크를 구축하면서 군자금 모금을 진행하였다. 특히 토지매각 대금을 군자금으로 전환하였으며, 이 군자금으로 국내에서 폭탄을 제조하려는 계획도 수립했다. 하지만 군자금 모금 과정에서 일제 경찰에 피체되어 소기의 목적을 거두지는 못했다. 이 사건은 1920년대 후반 국내 군자금 모금 관련 만주지역 독립운동단체의 대표적 사례라고 보여 진다.

      • KCI등재

        1950-60년대 전북영화사 - 한국영화, 그 고향을 찾아서 -

        김건,김용 전북사학회 2013 전북사학 Vol.0 No.43

        The birth of realism in Korean cinema of the 1950s and the rising of cinema movement based on literature in the 1960s led to the first renaissance in the Korean cinema history. In this situation, Jeonlabuk-do, especially Jeonju-city, occupied a special place in Korean film industry of the 1950s. Jeonju is a place in which not only the major works in Korean Cinema history, such as Gang-Cheon Lee's masterpiece <Arirang> (1954), <Piagol> (1955), are produced, but also the first 16mm colour film, <Princess Seonhwa> (1957) as well. In the 50~60s, moreover, the majority of Korean cinema were made by filmmakers coming from Jeonlabuk-do, and also was mostly shot there. There are plenty of papers and books on Korean cinema history today, but, in fact, there has only few studies on the local film history. While investigating situation of the 50~60s at Jeonju, Jeonlabuk-do as a mecca for Korean film industry, the study examines the works of the filmmakers working there, especially the director Gang-Cheon Lee. Even though filmmakers coming from Jeonbuk left an indelible footprint in Korean film history, taking the lead in the Korean cinema renaissance of the 1950~60s, but they have underestimated due to the shift in the center of its activity to Seoul. It is very important that the cinema of Jeonbuk should receive credit for its role in Korean cinema history, and for that, to restore its originality and succeed to its legitimacy.

      • KCI등재

        1946년 전라북도 지역 콜레라 만연과 정치・경제학

        임종명 전북사학회 2021 전북사학 Vol.- No.61

        1946년 콜레라가 남한 전역으로 확산하던 5월 말 6월 초, 전라북도 지역은 남한에서 주요 발병지 중의 하나였다. 하지만 6월 말 홍수로 말미암아 그 지 역에서는 콜레라 발병이 폭증해 7월 상반기에 전북 지역은 남한 9개 시・도 단위 지역 중에서 수위(首位)의 발병세를 보여주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7월 하반기 집중적인 방역 조치 등으로 전북 지역에서는 8월 이후 발병세가 약화 된 반면 당시 경북이나 경남 지역의 발병세가 계속해서 악화함에 따라 ‘최악 의 발병세’라는 타이틀은 경북 지역이 가지게 되었다. 그렇다 하더라도, 전북 지역의 인구 대비 발병세는 경남・북 지역의 그것보다도 악성의 것이었다. 1946년 전북 지역의 콜레라 유행과 관련해 주목되는 곳은 군산이었다. 군 산은 당시 동아시아 콜레라 병원지(病源地)였던 중국에서 오는 송환민의 착항 이었다. 또 그 지역은 중국과의 밀무역의 중심지로 그곳과의 인적・물적 교류 가 활성화되어 있었다. 이러한 점에서 군산은 주요 콜레라 발병지가 될 잠재 력을 충분히 가지고 있었다. 하지만 군산의 콜레라 발병세는 상대적으로 미 약했다. 이것은 식민지 도시로서 상수도 등 도시 기반 시설이 상대적으로 구 비되어 있었다는 점에 기인한 것일 수 있다. 하지만 미약한 발병세는 직접적 으로는 콜레라 발병 초기 발병과 확산 시기부터 선제적 방역 조치가 집중적 으로 이루어졌던 결과였다. 전북 지역의 주요 발병지는 동진강 유역의 정읍과 김제, 부안 지역이었다. 동진강 연안 지역의 콜레라 만연 현상은 기본적으로 농촌 지역의 의료 및 사 회 기반 시설 부족과 관련된 것이다. 보다 직접적으로 그 현상은 빈한한 가 운데 농업 노동을 생계로 하는 그 지역민의 농가 경제라는 경제적 맥락을 가 진 것이었다. 이와 함께, 그 지역은 당시 곡창지대로서 당시 심각했던 식량 문제의 해결처였다. 이로 말미암아, 콜레라가 창궐함에도 그 지역에 대해서는 발병지와 외부 지역 간의 교통차단과 발병지 봉쇄・격리라는 당시의 기본적 방역 조치조차 이루어지지 않았다. 바로 이것이 콜레라 창궐의 직접적 원인이었다. In late May and early June, 1946 when the cholera spread across South Korea, North Chŏlla Province was one of the national centers of the cholera epidemic. However, the late-June flooding brought forth the massive outbreak of cholera in the province, and thus it ranked 1st place in 9 metropolitan city and provinces altogether. The concentrated quarantine measures at late July lessened the pandemic situation of the province in August while the pandemic in North and South Kyŏngsang Provinces continued to be exacerbated. Thus, the title of ‘1st place of the pandemic’ was transfered from North Chŏlla Province to North Kyŏngsang Province. Even so, in relationship to population the pandemic situation in North Chŏlla Province was continually the most virulent in South Korea Kunsan, a contemporary major port city in North Chŏlla Province is note-worthy. Its port worked as the port on which Korean repatriates coming from China, the contemporary regional center of East Asian cholera pandemic, landed. Also, the city as the center of the contemporary contraband trade with China was activated with its human and material exchanges with China. Given this, it could be said that Kunsan could work as a center of the pandemic. However, its pandemic situation was comparatively tenuous. This was due to the fact that the city as ex-colonialist city was relatively well-equipped with urban infrastructures such as water supplies. More significantly, the pandemic situation was under control by the concentrated quarantine measures by the national and local authorities from the time of the initial outbreaks of cholera. The center of the pandemic in North Chŏlla Province was the area of Chŏngŭp, Kimje, and Puan, neighboring upon the Tongjin River. The pandemic of the area was basically due to the fact that the farm belt was poorly-equipped with medical and other social infrastructures. More direct was the economic situation of those destitute peasants who tilled the land even in the midst of the pandemic for their living. More significant was the locality of the area. It was a grain belt in South Korea upon which contemporary South Korean economy troubled with food shortage relied. The South Korean economic context of the farming region exposed its people to the outbreak of the cholera without any basic quarantine measures such as a sanitary cordon around plague spot, or traffic blockade. This constituted the context of the outbreaks of the pandemic cholera in the farm belt.

      • KCI등재

        전북 근대 농업사 연구 현황과 전망

        임혜영,소순열 전북사학회 2024 전북사학 Vol.0 No.70

        이 글은 전북 근대농업사에 관한 연구 동향을 소개하고 성과와 연구과제를 지적하면서 앞으로를 전망해 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 글은 농업구조, 지주경영, 수리사업, 농민운동·소작쟁의 그리고 농촌사회, 다섯 개의 주제로 정리하되 다음 세 가지 점을 고려하였다. 첫째, 전북 근대농업을 주제로 한 논문을 학회지나 연구자와 관계없이 수집하였다. 둘째, 시기별보다는 주제별로 선정하여 연구사적 검토를 하였다. 셋째, 저서인 경우 대부분 논문을 재수록하기 때문에 최초 발표연도의 자료를 사용하였다. 정리한 내용을 기초로 연구 경향을 정리, 전망하면 첫째, 연구의 분화·확대와 함께 연구의 축소가 이루어지고 있다. 조선인 지주의 자본가화 및 지주와 지역사회와의 관계, 재래 수리질서의 중시와 벽골제 논쟁화, 교육·의료 등으로의 영역 확대와 분화가 이루어지고 있다는 점에서 매우 긍정적인 경향이다. 그러나 전반적으로 전북 근대농업사의 연구 축적은 타지역에 비해 더딘 편이다. 둘째, 지속적으로 연구자의 노령화, 소수 연구자의 집중화가 진행되고 있다. 새로운 연구자들에 의한 논문이 적고, 소수의 연구자가 전체 연구의 반 정도를 차지할 정도로 연구 성과가 집중되어 있다. 셋째, 제도 사료·정책 사료에 의존하는 연구 방법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대부분의 연구가 사료의 다변화, 빅데이터 분석화, 구술사 등의 방법을 도입하지 못했다. 넷째, 학제 및 공동연구, 국제연구는 전북 농업사를 한 단계 높였다. 두 권의 책(김영정 외 2006, 홍성찬 외 2004), 국제협력(정승진+마쓰모토)의 연구 성과는 높게 평가할 만하다. 이상 연구의 축소화·노령화, 집중화라는 경향을 보면 전북 근대 지역농업사 연구의 전망은 밝지 못하다. 이러한 연구 상황은 농업사 연구에 있어서 새로운 협동 연구의 필요성을 시사해준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was to introduce research trends on Jeonbuk modern agricultural history, point out achievements and research tasks, and provide a future outlook. This article is organized into five themes: agricultural structure, landlord management, water supply business, peasant movement/ tenancy dispute, and rural society, and takes into consideration the following three points. First, paperson the topic of modern agriculture in Jeonbuk were collected regardless of academic journals or researchers. Second, the research was selected by topic rather than by period and reviewed historically. Third, in the case of books, most papers are re-included, so data from the year of first publication was used. If we organize and forecast research trends based on the summarized contents, first, research is being reduced along with the differentiation and expansion of research. Second, researchers are continuously aging and the concentration of a small number of researchers is progressing. Third, research methods that rely on institutional and policy data cannot be avoided. Fourth, interdisciplinary, joint research, and international research have raised Jeonbuk agricultural history to the next level. Considering the trends of downsizing, aging, and centralization of research, the prospects for research on modern regional agricultural history in Jeonbuk are not bright. This research situation suggests the need for new collaborative research in agricultural history research.

      • KCI등재

        전북 지역 교지(校誌)에 나타나는 지역성 -해방 이후부터 1980년까지 전북 지역 교지에 실린 글과 언론 보도의 비교를 중심으로-

        김진흠 전북사학회 2024 전북사학 Vol.0 No.70

        교지는 다른 연속간행물 매체들과 변별성을 갖는 자료로서, 학교를 기반으로 한 여러 주체들의 시각을 보여 주고 독자가 학생이라는 점에서 특별한 자료이다. 또한 교지는 학교가 소재한 지역에 기반하여 발간되기 때문에 지역에 관한 글이 지속적으로 게재된다는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은 글들은 교지의 독자인 학생들에게 일정한 영향을 미칠 수 있었다. 그런 점에서 교지의 자료적 가치를 재확인할 수 있고 교지자료가 지역성 연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의 대상 지역인 전북은 1950년대의 ‘하와이 시비’, 1960년대의 ‘전북푸대접론’, 1970년대 ‘낙후 전북’의 개발에 대한 기대감 등으로 부침을 겪었던 지역이다. 이와 같은 사건들로 인해 지역사회의 각종 매체가 소리를 높였던 반면에 교지에는 시류에 민감하게 반응하기보다 지역의 전통과 향토 등에 대한 관심을 반영한 글들이 지속적으로 실렸다. 특히 전북 지역 교지에는 지역사에 대한 관심이 특별하게 나타났다. 지역사를 통해 학생들의 지역 정체성을 정립하려는 시도였다. 마한과 백제의 역사가 정사에서 비록 주류로 다뤄지지 못하고 있지만, 자랑스러운 ‘우리’의 역사임을 강조하고 신라의 역사에 뒤처지지 않는다는 것을 보여 주는 글들이 교지에 실렸다. 또한 임진왜란 시기 호남 의병의 활약을 자랑하고, 무엇보다 전북 지역은 동학농민운동이라는 역사적 대사건을 지역민들이 감정적으로 공유하고 있다는 것을 강조했다. 전북은 전통적인 농도로서의 이미지와 함께 낙후되고 소외받았다는 인식을 공유하는 지역이었다. 1960년대의 사회적 논쟁을 통해 ‘푸대접’받았다는 불만을 안고 있었다. 1970년 말 개통된 호남고속도로는 이러한 불만에 대한 대가이자 발전의 기점이 될 수 있는 중요한 계기였다. 호남고속도로의 개통 이후 교지에도 지역사회의 개발에 대한 기대감을 담은 글이 등장했다. 지역사회와 학교의 관계, 그리고 그와 관련된 학교의 역할과 임무 등에 관한 진지한 고민들이 교지에 담겼다. 학교는 그 학교가 소재한 지역과 단절될 수 없다. 지역사회와 학교는 불가분의 관계였고, 그렇기 때문에 교지에는 지역성이 담긴 다양한 주제의 글들이 실릴 수 있었다. School magazine is a material that distinguishes it from other continuous publication media, showing the perspectives of various subjects based on the school, and is special in that the reader is a student. In addition, since school paper is published based on the area in which the school is located, it is characterized by continuous publication of articles about the area. Such articles could have a certain influence on students who are readers of the school magazine. In this respect, the material value of school magazine can be reaffirmed. Jeonbuk Province was a region that suffered controversy due to the “Hawaii Dispute” in the 1950s, the “Jeonbuk Poor Treatment” in the 1960s, and the expect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Backward Jeonbuk” in the 1970s. While various media in the local community raised their voices due to these events, the school magazine continued to contain articles reflecting interest in the local tradition and locality rather than reacting sensitively to the current. In particular, local school magazines in Jeonbuk showed special interest in local history. Although the history of Mahan and Baekje has not been treated as the mainstream in official history, articles emphasizing that it is a proud “Our” history and showing that it is not lagging behind the history of Silla were published in the school magazines. And during the Imjin War, they boasted the activities of Honam righteous army. Above all, the Jeonbuk region emphasized that the local people emotionally share an important historical event called the Donghak Peasant Movement. Jeonbuk Province was an area that shared the image as a traditional Agricultural Region and the perception of being backward and marginalized. The Honam Expressway, which opened at the end of 1970, was an important opportunity and a starting point for development. After the opening of the Honam Expressway, articles containing expect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the local community appeared in the school magazines. The school cannot be disconnected from the area where the school is located. The local community and the school were inextricably linked, which is why the school magazine was able to contain articles on various topics related to the locality.

      • KCI등재

        전북지역 항일 유림의 인적 교류 - 염재 조희제를 중심으로

        변주승 전북사학회 2018 전북사학 Vol.0 No.52

        염재 조희제는 임실군 덕치면 절골 산골에서 지내며 한말 의병운동과 독립운동 및 항일활동을 했던 애국지사들의 행적을 기록한 『염재야록』을 편찬했다. 그러나 1938년 임실경찰서에 강제 연행되면서 조희제가 소장하고 있던 자료를 모두 압수당해, 문집이나 일기 및 기타 자료는 거의 전하지 않는다. 그 때문에 조희제를 중심으로 ‘전북지역 항일 유림의 인적교류’를 파악하기는 쉽지 않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조희제와 동시대를 살았던 전북 지역을 중심으로 한 유림들의 문집 속에서 조희제와 교류 흔적이 담긴 서찰, 시, 제문, 만사 등등 자료를 통해 조희제의 인적 교류의 일부나마 살펴보았다. 먼저 조희제가 노사 기정진과 송사 기우만의 문하였다는 사실에서 기우만을 중심으로 형성된 호남 지역 전체 유림의 교유망에 조희제도 연결되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비록 조희제의 교유관계에 대한 자료는 부족하지만 비슷한 사례인 전남 장성의 유학자 산암 변시연의 일기를 통해서 유학자의 교유관계를 알 수 있다. 또한 간재 문인들의 문집에 수록된 간찰과 만사 등을 근거로 이들과의 교류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염재야록』의 편찬은 결코 조희제 혼자의 힘으로만 이루어지지 않았다. 위험을 감수하고 서문을 썼던 최병심, 발문을 썼던 이병은, 교정을 보았던 김영한의 행적과 공로는 겉으로 드러난 것이다. 이밖에도 자료를 빌려주고 정보를 나누었던 김교준, 이태현 등 여러 유림들이 있었다. 이들은 송사 기우만과 간재 전우의 문인으로서 항일의식을 공유하고 이를 실천했던 전북지역 항일 유림들이었다. 이들 유림은 직접 무장투쟁이나 항일투쟁의 길에 직접 나서지는 않았지만, 학문을 통해 연마했던 유학 가치관을 몸소 지키면서 지역사회에서 자신의 삶을 영위하면서 항일의식을 공유하고 묵묵히 실천할 수 있는 길을 모색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염재 조희제를 중심으로 한 ‘전북지역 항일 유림의 인적 교류’의 일단이나마 밝혔다는 의의가 있다. Living in the mountainous district of Jeolgol, Deokchi-myun, Imsil-gun, Yeomje Jo Hui-je published Yeomjeyarok, the book which recorded the activities of the patriots involved in the 'Righteous Army' movement,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and anti-Japanese movement at the end of the Great Han Empire. But taking Jo Hui-je to Imsil police station in 1938, the police seized all the data he owned. So collections, diaries, and other data were hardly handed down. Because of this, it is not easy to figure out the anti-Japanese Confucians' human interchange with Jo Hui-je as a central figure. This study reviewed the data such as letters, poems, funeral orations and so on regarding the exchange with Jo Hui-je in the collections from contemporary Confucians in Jeonbuk where he lived. Above all, given that Jo Hui-je was a pupil of Nosa Gi Jung-jin and Songsa Gi Woo-man, it was found out that Jo hui-je was involved in the social intercourse network of the Confucians in Honam area, which was formed around Gi Woo-man. Though the data about Jo Hui-je's social intercourse were insufficient, it was possible to identify the Confucians' social intercourses through the diary of Sanam Byun Si-yeon, a Confucian in Jangsung, Jeonnam, a similar case. Also it was possible to identify the exchange with Ganje writers based on the letters and funeral songs included in their collections of literary works. So Yeomjeyarok was not published only by Jo Hui-je. Choi Byung-sim wrote its preface taking a risk, Lee Byung-eun wrote its epilogue, and Kim Young-han proofread it. In addition, Kim Gyo-jun, Lee Tae-hyun and other Confucians shared data and information. As writers of Songsa Gi Woo-man and Ganje Jeon Woo, they were anti-Japanese Confucians who shared and fulfilled anti-Japanese spirit. They didn't participate in armed struggles or anti-Japanese struggles in person, but they lived their own lives while adhering to the Confucian values mastered through learning, shared anti-Japanese spirit and sought the way to fulfill it. Therefore this study has a signification in that it figured out some of human intercourse of the anti-Japanese Confucians around Yeomje Jo Hui-je in Jeonbuk provi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