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世俗化プロセスからみた日本新宗敎の社會活動

        제점숙 한국일본근대학회 2005 일본근대학연구 Vol.0 No.10

        世俗化プロセスのなかで、今は脫 私事化の現象であるといわれている。宗敎の世俗化とは、特定時期の現象ではなく、近代以來から現在までの一つの世界史の流れとしてみつめなければならない。世俗化プロセスの進行やその內容においては、地域や國家的特性、またその文化的傳統によって樣樣である。脫-私事化として日本の新宗敎の社會活動は、その說明變數として有效であると思われる。特に創價學會と立正교成會は、脫-私事化の道程の先にたっている社會活動をしている。本稿では兩敎團の社會活動を、價値·理念の次元、政治的次元、經濟システム次元、社會·文化的次元にわけて、脫-私事化と關連性を明らかにすることを目的にする。

      • 일본불교 ‘의례’문화를 둘러싼 연구동향 - ‘장의(葬儀)’문화를 중심으로 -

        제점숙 불교의례문화 연구소 2020 무형문화연구 Vol.0 No.1

        This study analyzes the research trend around Japanese Buddhist ‘rituals.’ In particular, this study focused on the culture of ‘burial rituals’ and investigated the research status and trend of each denomination of Japanese Buddhism. Most denominations of Japanese Buddhism have investigated the religious forces based on the religious body’s own research institute over a long period of time, assessed problems appearing here and conducted continuous studies to find a solution. The recent interest is the issues related to burial rituals. In the social atmosphere in Japan, “Japanese Buddhist burial rituals are not needed” now, low-cost and simplified funerals are required. In such a situation, what would be the role of Japanese Buddhism? This study introduced the present status of research on Jodo Shinshu Hongwanji-ha and Nichiren-shu representative denominations of Japanese Buddhism to shed new light on the role of today’s Japanese Buddhism. 이 연구는 일본불교 ‘의례’를 둘러싼 일본에서의 연구 동향을 분석한 글이다. 그중에서도 ‘장의(葬儀)’문화에 중점을 두고 일본불교의 연구현황 및 동향을 살펴보았다. 대부분의 일본불교 각 종파는 교단 내 자체 연구소를 기반하여 장기간에 걸쳐 종교 세력 현황을 조사해 왔으며, 여기에 나타난 문제점을 파악하고, 해결 방안을 찾기위해 꾸준한 연구를 수행해왔다. 최근 관심사는 초고령화, 저출산, 인구감소로 인한‘장의(葬儀)’ 문제이다. 더이상 ‘일본불교의 장의가 필요 없다’는 일본 사회 분위기속에 일본인들은 생략하거나, 저비용, 간소화 장례식을 요구하고 있다. 그러한 상황속에 과연 일본불교의 역할은 무엇인가? 이 연구는 일본불교의 대표적 종파인 정토진종본원사파(淨土眞宗本願寺派), 일련종(日蓮宗)의 연구현황을 소개하여 오늘날일본불교의 과제를 전망해보았다.

      • KCI등재

        구한말 부산지역 조선어, 일본어 교육의 전개 -이문화 “장(場)”으로서의 교육 공간-

        제점숙 한국일본근대학회 2013 일본근대학연구 Vol.0 No.39

        일제시대 부산지역 관련 연구는 최근 몇 년 사이에 다방면에 걸쳐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연구 성과가 축적된 결과, 개항과 동시에 체재하기 시작한 일본인과 그 속에서 함께 살아 간 조선인들의 당시 시대상의 모습들이 조금씩 드러나고 있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흐름에 발맞추어 부산지역의 일본인과 조선인을 대상으로 실시한 교육 사업을 중심으로 그 실태와 동향을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일본인과 조선인 간에 표출되는 공생과 협력 등이 다양하게 공존하는 ‘섞임’의 공간으로서의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한다. 부산은 최초로 일본인 거주를 위한 특별구역인 왜관이 형성되었을 뿐만 아니라, 일본인, 조선인과의 다양한 이문화의 흔적을 확인 할 수 있는 장(場)이다. 예를 들어 언어 학습 면에서 일본인이 조선어를 학습한다는 것은 일본 거류민들이 조선에서 생활하기 위한 삶과도 직결되는 것으로, 조선이라는 이국에서 조선인들과 공존하기위해서는 조선 문화, 조선인에 대한 이해와 노력이 필요했음을 말해준다. 결국, 구한말 부산의 각 지역 초등교육시설에서는 조선어 교육 과목이 대부분 개설되었다. 한편 조선인의 일본어 교육도 이에 못지않은 학습열을 보였다. 특히 청일전쟁 이후의 조선인의 일본어 학습에 대한 고조 현상은 이문화 교류의 장을 위한 하나의 수단으로써 반드시 필요한 것이었다. 부산 지역의 이러한 외국어 학습 공간은 일본과 한국이라는 이문화의‘장’을 형성시키기에 충분한 역할을 했던 것이다. 기존의 구한말 교육 사업에 대한 평가는 ‘한국에 대한 식민지 교육 정책’ 또는 ‘하나의 저항코드로써 민족교육’에 중점을 둔 지배와 피지배, 수탈과 저항의 관계의 구도를 크게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본고는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고자 교육공간을 통해서 바라 본 한국인과 조선인과의 이문화 교류의 장으로서의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Researches regarding Busan during the Japanese colonization of Korea are being conducted in a number of different aspects in the recent few years. As a result these researches, the lifestyle of Japanese sojourning in Busan after the opening of ports has been revealed little by little, as well as the zeitgeist of Koreans in the community. This paper strives for an understanding of the reality and the tendency of educational industry in the Busan area of the time, enforced specifically for the Japanese and Koreans. The purpose of this paper through such investigation is to evaluate the possibility of education being the place for unity, where reciprocity, cooperation, discrimination and conflicts manifested by both nationalities exist together. Not only was Busan the first city to create a special district for Japanese habitation, the city holds many other evidences of being a culturally diverse place during the time. For example, the fact that the Japanese learned Korean directly relates to their everyday life in Korea: it shows that Japanese immigrants had to have an understanding on Korean culture, and the people, in order to live in harmony with the Koreans in Busan. Thus, the most of elementary educational systems in Busan created a course on Korean language during the era of Korean Empire, 1897-1910. On the other hand, the learning of Japanese language among Koreans also showed a certain enthusiasm. Especially, the fact that knowing Japanese as a Korean came to have an elated importance after the Sino-Japanese war shows that the knowledge on Japanese language was essential in cultural exchange. The education of Japanese and Korean language in Busan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creating a place of cultural diversity, composed of Korean and Japanese cultures. The existing evaluations on education during the Korean Empire remain focused on ``Colonial education regarding Korea`` or ``Nationalism education as a form of rebellion``, unable to break the conventionally set composition of domination and submission, exploitation and victimization. This paper aims at overcoming this limitation by viewing education as an opportunity of cultural unity between the Japanese and the Korean.

      • KCI등재후보

        식민지 조선 일본불교의 사회사업동향 -신슈오타니파(眞宗大谷派)의 사회사업을 사례로-

        제점숙 동서대학교 일본연구센터 2010 次世代 人文社會硏究 Vol.6 No.-

        The aim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process of modernization of Japanese Buddhism in Colonial Korea. Roles of Japanese religions in imperial era were to support a colonial policies of government and to help to reform spiritually people in a colony. We have studied on the focus of the role of Japanese religion in colonized regions because an important role of Japanese religions was to reform spiritually Korean particularly in imperial era. To be concrete, there are some studies on roles of Japanese religion that have focused on its influence on Korean in colonized. And the other hand, there are some studies that have focused on the suppression from Japanese religion and Korean resistance against that. In this paper, I am concerned about the action of Japanese religion in a colony as the process of modernization of Japanese religion. And I choose the action of Sangyo Bu(the department of industrial) in Kozyo Kaikan as a casework, which was an important social work of Shinshu Otaniha which is the Japanese Buddhism, and investigate the content of it as a social work and the movement of Korean in it. Consequently I will confirm the modernity of Japanese religion in Korea colonized by Japan through these works.

      • KCI등재후보

        일본 선종교의 해외 사회활동과 종교적 정체성의 문제 일본 선종교의 해외 사회활동과 종교적 정체성의 문제 -입정교성회의 세계평화활동을 중심으로-

        제점숙 동서대학교 일본연구센터 2005 次世代 人文社會硏究 Vol.1 No.-

        본 연구는 일본신종교의 해외 사회활동과 종교적 정체성 문제와의 관계를 분 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세계화시대에 있어서 나타나는 종교의 공간적 확 대 현상과 현대사회에서 기대되는 종교의 역할변화에 대하여, 일본신종교의 대 표적 교단 중 하나인 입정교성회의 세계평화활동의 사례를 분석한다. 즉, 입정교성회의 사례분석을 통하여 일본신종교의 사회활동을 통한 보편성 확보와 거기에 수반되는 종교적 정체성의 문제를 지적한다. 그리고 세계평화 활동의 종교성과 사회성의 문제를 밝힘으로써, 해외사회활동의 긍정적인 측면 및 그 한계를 지적하고자 한다.

      • KCI등재

        근대 한국불교의 <친일 - 항일> 담론 - 한국불교 ‘친일’ 의미의 다양성 -

        제점숙 한양대학교 일본학국제비교연구소 2016 비교일본학 Vol.37 No.-

        이글은 오늘날〈친일-항일〉의 구도 속에서 배양된 잘못된 한일양국의 서로 다른 근대역사인식을 비판하고, 특히 ‘친일’이라는 용어에 함축된 다양한 의미를 시대적 상황을 염두에두고 재해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친일-항일〉도식은 근대 이후 한국의 내셔널리즘 창출을 위해 장착된 하나의 역사인식의 잣대에 불과하다. 다시 말해, 오늘날 우리가 생각하는‘친일’이라는 용어는 ‘현재’를 기준으로 생각하고 있으며, 그 대상 역시 ‘일본(일본제국)’, 내지는 ‘일본인’을 상정하고 있다. 하지만, 당시의 시대적 상황을 염두에 둔다면, ‘친일’의 의미는 다양하게 해석 될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다. 즉, 그 당시의 ‘친일’이라는 행위를 친일을 행한 주체의 입장에서 본다면 개개인의 다양한 친일의 ‘대상’을 상정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의식 하에 이글에서는 오늘날 한일양국의 근대역사 인식에 대해 살펴보고, 이러한 논의의 유효성을 지닌 근대 한국과 일본의 ‘불교’에 중점을 두고 논의를 전개하였다. 나아가 선행연구의 조선불교계 ‘친일’의 다양한 의미를 시대적 배경을 고려하여 다양하게 재해석하여 그 의미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This study aims to criticize different wrong recognitions about modern history in Korea and Japan, cultured in today’s Pro-Japanese-Anti-Japanese structure, and in particular, to reinterpret various significances implied in the term, ‘pro-Japanese,’ keeping the historical situation in mind. The Pro-Japanese-Anti-Japanese structure is just a criterion of historical recognition equipped for the creation of Korea’s nationalism since modern times. In other words, the term, ‘pro-Japanese’ we think today is thought based on the ‘present,’ and its object, too, presumes ‘Japan (the Empire of Japan)’ or ‘Japanese people.’ However, bearing in mind the historical situation of the times, the meaning of ‘pro-Japanese’ can be interpreted in various ways. In other words, from the position of the subject who collaborated with Japan at the time, individual’s various ‘targets’ of collaboration with Japan could be postulated. This study investigated today’s recognitions about modern history between Korea and Japan under this critical mind and developed a discussion, focusing on ‘Buddhism’ of modern Korea and Japan, with such a validity of the discussion. Furthermore, this study would reinterpret the various meanings of ‘Pro-Japanese’ in the Buddhist community in the Joseon period in previous studies, considering historical background.

      • KCI등재

        한국SGI 회원의 종교적 가치관과 생활 만족도에 관한 연구

        제점숙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22 大東文化硏究 Vol.120 No.-

        This study investigated the Korea SGI members’ religious values and life satisfaction through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result of a survey of Korea Soka Gakkai International (Korea SGI) members based on data on Protestantism, Catholicism, and Buddhism surveyed by Gallup Korea. Through this, this study would approach the religious characteristics of Korea SGI, a Japanese religion and the growth factors of the Korea SGI religion in Korean society. As a result of this survey, compared to the established religions, most of the Korea SGI members came to have the religion when they were younger than nine and in their 20s to 30s. In addition, the Korea SGI members had faith longer than those of the established religions did. As for the momentum they came to believe in the religion was mostly because they needed to or by another person’s propagation. As for the reason for believing in the religion, they wanted to be blessed or they would like to find the meaning of life. The number of participants in religious gatherings, the number of personal prayers or wish, and the number of encounters with the doctrine were much more than in the established religions. Also, they had higher religious beliefs or more experiences of healing by the religious power than in the established religions. In terms of life satisfaction, they felt great happiness and attached importance to the meaning of life as well. As for the important measure of life, the members of the established religions picked health while those of Korea SGI picked happy family life. In addition, it turned out that the Korea SGI members had open values, instead of conservative ones tied up to Confucian values compared to the established religions. Through the above results, the Korea SGI members had religious values different from Protestantism, Catholicism, and Buddhism while they kept a close relationship with the religion of Korea SGI. It is judged that the members’ religious values and life satisfaction are also considered one of the growth factors of Korea SGI in Korean society. 이글에서는 한국갤럽에서 조사한 개신교, 천주교, 불교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국SGI 회원 대상의 설문조사 결과를 비교 분석하여 한국SGI 회원의 종교적 가치관과 생활 만족도에 대해 고찰하였다. 이를 통해 일본계 종교인 한국SGI의 종교적 특징과 한국 사회 속에서의 한국SGI 종교의 성장 요인에 접근하고자 했다. 이 조사에서 살펴본 결과, 한국SGI 회원의 종교를 갖는 시기는 기성종교와 비교했을 때 9세 이하와 20대~30대가 가장 많았다. 또한 한국SGI의 회원은 기성종교 대비 신앙을 하는 기간도 긴 것으로 나타났다. 종교를 믿게 된 계기는 스스로 필요해서와 다른 사람의 권유가 많았고, 종교를 믿는 이유는 복을 받기 위해, 삶의 의미를 찾기위해라는 특징을 보였다. 종교집회 참가 횟수, 개인적인 기도 또는 기원 횟수, 교리를 접하는 횟수도 기성종교에 비해 훨씬 많았다. 또한, 종교적 신앙심 정도나 종교의 힘으로 병을 나은 경험 역시 기성종교에 비해 높은 결과를 나타냈다. 생활 만족도 면에 있어서는 행복감을 크게 느끼고 있었고 인생의 의미도 중요하게 생각했다. 삶의 중요한 척도에서는 기성종교가 건강한 것을 꼽을 때 한국SGI는 가정생활이 즐거운 것을 꼽았다. 또한, 한국SGI 회원들은 기성종교에 비해 유교적 가치관에 얽매이는 보수적인 가치관이 아닌 개방적 가치관을 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이혼에 대해서는 보수적인 경향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한국SGI 회원은 개신교, 천주교, 불교와는 다른 종교적 가치관을 가지고 있으며 한국SGI라는 종교와 삶이 매우 밀착 관계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한국SGI 회원의 종교적 가치관과 생활 만족도 특징 역시 한국 사회 속 한국SGI 성장 요인 중 하나로 볼 수 있을 것이다.

      • 일본 선종교의 해외 사회활동과 종교적 정체성의 문제 일본 선종교의 해외 사회활동과 종교적 정체성의 문제 -입정교성회의 세계평화활동을 중심으로-

        제점숙 동서대학교 일본연구센터 2005 次世代 人文社會硏究 Vol.1 No.-

        본 연구는 일본신종교의 해외 사회활동과 종교적 정체성 문제와의 관계를 분 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세계화시대에 있어서 나타나는 종교의 공간적 확 대 현상과 현대사회에서 기대되는 종교의 역할변화에 대하여, 일본신종교의 대 표적 교단 중 하나인 입정교성회의 세계평화활동의 사례를 분석한다. 즉, 입정교성회의 사례분석을 통하여 일본신종교의 사회활동을 통한 보편성 확보와 거기에 수반되는 종교적 정체성의 문제를 지적한다. 그리고 세계평화 활동의 종교성과 사회성의 문제를 밝힘으로써, 해외사회활동의 긍정적인 측면 및 그 한계를 지적하고자 한다.

      • KCI등재

        근대 일본불교계의 승려 ‘처대(妻帶)’에 대한 논쟁

        제점숙 순천대학교 남도문화연구소 2021 南道文化硏究 Vol.- No.44

        조선불교의 친일, 왜색 논쟁의 중심에는 늘 대처(帶妻), 즉 승려가 여자를 취한다는 가취(嫁娶), 혼인 문제가 중심에 서 있었다. 이러한 조선불교의 대처 문화에 직접적 영향 을 끼친 것은 당연히 일본불교다. 일본불교의 대처 공인은 조선보다 훨씬 이른 1872년 에 이루어졌으므로, 이러한 대처 문화가 고스란히 조선에 건너와 조선 승려의 대처에 영향을 끼쳤다는 것이다. 조선 승려의 대처는 1927년 대처를 공인한 본말사법(本末寺 法) 개정 이후 더욱 확산하였고, 일본으로 유학을 다녀온 조선불교 유학생들도 여기에 한몫하였다. 그렇다면, 이렇게 조선에 밀접한 영향을 끼친 일본 불교계의 대처 현황은 어떠했을까? 이글에서 고찰한 바로는 일본불교의 대처를 둘러싼 논쟁은 1940년 이후까지 등장하였다. 일본 사회 역시 대처 승려를 받아줄 사회적 요건이 미정비 된 상태였고, 이를 사회적으로 인정받기 위한 일본 승려들의 처절한 몸부림이 끊임없이 전개되었다. 이러한 고찰을 통해 이글에서는 일본불교가 먼저 일본 사회에 대처가 안정화되고 조선불 교에 영향을 미쳤다는 기존 연구에, 일본불교의 대처 현황도 동시에 시야에 두고 조선의 대처 문제를 논할 필요가 있다는 새로운 관점을 제공하였다. At the center of the pro-Japanese and Japanese style controversies of Joseon Buddhism, there was always the issue of a monk’s taking a wife or marriage (Daecheo or Gachwi). What had a direct influence on the culture of taking a wife in Joseon Buddhism is, of course, Japanese Buddhism. Since taking a wife in Japanese Buddhism was officially recognized in 1872, which was much earlier than in Joseon, it is said that this culture of taking a wife came across to Joseon as it was and influenced Joseon Buddhist monks’ taking a wife. Especially the Joseon culture of taking a wife further spread after the revision of the law made by Japan in 1912 for the Korean Buddhism Order that formulated taking a wife in 1927, and Joseon Buddhist students who had been to Japan to study also contributed to this. Then, what was the phenomenon of taking a wife in the Japanese Buddhist communities like which closely affected Joseon? As a result of discussions in this study, the controversy surrounding taking a wife in Japanese Buddhism continued till after 1939. In Japanese society, too, social conditions had not been organized to accept married Buddhist monks, and Japanese monks’ desperate struggles to get it socially recognized were continuously developed. Through this analysis, this study would provide a new perspective different from the previous studies that taking a wife first became common in Japanese Buddhism and affected Joseon Buddhism concerning the controversy over taking a wife in Joseon Buddhism.

      • 근대 일본의 불교개혁과 신불교운동 : 신불교운동’을 통해서 본 일본불교의 ‘근대'

        제점숙 한국일본불교문화학회 2015 일본불교문화연구 Vol.- No.12

        이 글은 일본의 근대국가 성립과 함께 전개된 종교운동의 일환인 ‘신불교운동(新佛敎運動)’을 통해 일본 불교의 근대성을 도출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최근 일본의 ‘근대불교’에 대한 성과는 요시다 구이치(吉田久 一)와 이케다 히데토시(池田英俊)의 연구 성과를 넘어 근대불교 개념에 대한 재구축의 필요성과 함께 일본 국내외에서 다양한 논의가 활발히 전개되고 있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반면, 이 글에서 주목하고 있는 ‘신불교운동’에 대한 논의는 그러한 일본의 ‘근대불교’ 관련 논의에서는 소외된 측면이 없잖아 있다. ‘신불교운동’은 1900년대 기성 일본불교의 비판의식에서 파생되어 건전한 신앙, 사회개선, 종교의 자유토구, 미신근절, 교단 제도 부정, 정치권력으로부터의 독립을 핵심 강령으로 정하고, 이를 주장하는 운동이다. 이러한 신불교운동에 대해 이 글에서는 선행연구에 의거 하여「신불교(新佛敎)」라는 잡지를 통해 주된 내용 및 주변 인물들을 검토하고 신불교운동 속에 투영된 일본불교의 근대성에 대해 논했다. 즉, 종교/불교라는 개념화 과정 속에, 천황제국가, 근대종교 모델로써의 기독 교, 전근대와 근대의 경계에 위치하는 일본불교의 모습 등이 실타래처럼 뒤엉킨 가운데 연동하여 표출되는 근대적 현상이 ‘신불교운동’이었음을 고찰했다. 이처럼 ‘불교인 듯 불교 아닌’ 당시 신불교의 모습은 ‘종교 Religion’와 ‘불교Buddhism’의 개념화가 이루어지는 과도기 속에서 표출되 는 일본불교의 또 다른 ‘근대적 표상’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