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이용악 시 연구의 제문제와 극복 방안

        이현승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014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62 No.-

        When looking at research on Lee Yong Ak's poetry, the phrase "results are limitations"becomes even more relevant. Research on Lee Yong Ak's poetry, which until nowhas been carried out with a realist focus, is going through a kind of stand still orrepression due to the expansion of object texts and the repetitiveness of the realistmethodology used in the research. Amongst many causes for this, we must firstfind the problems with the research results. Through this type of examination, thisarticle summed up the problems with research on Lee Yong Ak's poetry in the followingway. The following is research that still must be done. First, researchers must standardizethe text. Focusing on the texts that have been collected, poetry and prose shouldbe gathered seperately. A complete collection of poetry should be published througha systematic collection and organization of adaptations and discovered texts. Thepublication of the complete works of Lee Yong Ak from both before and after divisioncould act a s a turning point to k ick-start t he s tagnant research. Next, there is a need to progressively overcome both the passive realism andactive lyricism when one states that Lee Yong Ak's poetry lyrically reflects reality. Difficulty that researchers have when analyzing and evaluating the works from afterLee Yong Ak went to North Korea stem from the gap between the Lee's realitythat they were written in and the " reality" in which researchers read them. In orderto overcome the time difference between these dualistic realities, researchers mustfirst come up with a universality that can overcome the differences or define the d ifferences c learly. What i s reality? Looking a t the limits of Lee Yong Ak's poetrymay actually be the best way to realize the potential of research on Lee Yong Ak'spoetry. However, it will be important not to become overly enthralled with a schematicapproach in those achievements and limits. Above all, this work must start fromthe confirmation of the consistency and changes in Lee Yong Ak's poetry. However,researchers must not change their standards when analyzing Lee Yong Ak's poetryjust to assure consistency in his poetry. In order to confirm the results of Lee YongAk's poetry written under the North Korean system, researchers must gather moreinformation regarding the trends of North Korean literature and Lee Yong Ak's activityat that time. That doesn't mean there are two standards because poetic reality alwayschallenges the meaning of "reality." 성과가 곧 한계라는 말은 이용악 시 연구사에서 더욱 실감되는 말이다. 현실주의적 관점에서 축적되어온 이용악의 시 연구는 대상 텍스트의 확대와, 이용악의시에 접근하는 방법론으로서의 현실주의적 관점의 성과에도 불구하고 일종의 답보와 침체를 거듭하고 있다고 생각된다. 반복과 답보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는 축적된 성과 자체를 상대화해 보는 것도 필요할 것 같다. 우선은 연구의 성과 내부에서도 문제를 찾아 볼 수가 있을 것이다. 이러한 성찰을 위해 이 논문에서는 이용악시 연구의 현황과 과제를 요약하고 그 핵심적인 문제를 압축적으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용악 시의 연구는 다음과 같은 과제들을 남기고 있다. 첫째는 이용악 시 텍스트의 정본화작업이 시급하다. 확보된 자료들을 중심으로 시와 산문을 가려모으고,개작과 발굴작에 대한 체계적인 확보와 정리 작업을 통해서 확장된 시전집을 내놓아야 한다. 분단 이전과 이후로 나뉜 작품들을 합치는 전집발간을 통해서 지지부진한 이용악 시 연구는 새로운 전기를 마련해 나갈 수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는 이용악 시가 현실을 서정적으로 반영한다고 할 때의 수동적 현실과능동적 서정성은 각각 발전적으로 극복될 필요가 있다. 월북 이후의 작품에 대한분석과 평가에서 연구자들이 부딪치는 어려움은 이용악의 시를 배태한 현실과 이용악의 시를 읽고 있는 ‘현실’ 사이의 괴리에서 연유한다. 이러한 시차를 극복하기위해서는 차이를 뛰어넘는 보편성만큼이나 차이 자체에 대한 뚜렷한 확인으로부터 시작되어야 하는 것인지도 모른다. 현실이 무엇인가? 이용악 시의 한계를 직시하는 것이 오히려 이용악 시 연구의 가능성을 확보하는 방법일 수도 있다. 다만그 성취와 한계에서 도식적인 접근에 빠지지 않는 유연함이 요청된다고 하겠다. 이러한 작업은 무엇보다 이용악 시의 일관성과 변화를 확인하는 데에서 출발해야할 것이다. 그러나 이용악 시의 일관성을 위해서 체제 내에서 쓰여진 작품에 대한평가 기준이 달라질 수는 없다. 북한 체제 내에서 이용악 시가 갖는 성과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북한 문학의 흐름과 이용악의 활동사항에 대한 더욱 많은 정보들을확보해야 할 것이다. 그것은 이중의 기준을 의미하지 않는다. 시적 현실이란 언제나 ‘현실’에 대한 어떤 응전을 포함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 KCI등재

        해금과 ‘이용악 시’의 재규정

        김선우 반교어문학회 2020 泮橋語文硏究 Vol.0 No.54

        This study set out to examine the process of Lee Yong-aak and his poems being officially deleted after the foundation of the South Korean government and being restored after the ban was lifted, thus reviewing the circumstances of his poetry being called "national poetry" in the "Critics of Lee Yong-aak" published right before the ban was lifted in 1988. On July 19, 1988, the Ministry of Culture and Communication proclaimed that the ban was lifted on the authors that were kidnapped or defected to North Korea based on a certain set of selection criteria. The core of the criteria included "issues of ideology" and "those that must be reviewed in the literary history of the 1930s." Lee Yong-aak is still included on the list of authors whose ban was lifted. Yoon Young-chon, however, published his "Critics of Lee Yong-aak" on February 10, 1988 before the announcement of the list, which is a case showing that the ban was lifted by the stages. Thanks to the "Critics of Lee Yong-aak," the poet was included in the history of Koran literature as a "poet that created national poetry." There were two reasons behind this: first, his ideological geography before the liberation did not exceed the ideological issues set by the government in 1988; and second, the poet and his poems raised no problems as the subjects of research in the "restoration of literary history" based on the "reevaluation theory for the 1930s" argued by the literary circles as a legitimate cause for the lift on the ban. Yoon Young-chon defined Lee's poetry as "national poetry," which was a methodology to exceed no criteria of lifting the ban and read Lee and his poems after the liberation and his defection to North Korea. "Nation," which is the most political and also non-political awareness system, made the outside of the criteria of lifting the ban thoroughly oblivious. The viewpoint of "nation" even made the "issues of ideology," which were set as clues to lift the ban by most of the subjects, disappear. As far as the investigator is concerned, the "theory on Lee Yong-aak" shows this clearly among the "theories on the authors that were kidnapped or defected to North Korea" submitted before and after the lift on the ban. Lee's left-wing actions including the membership of Korean Writers Alliance and activities in the South Korean Worker's Party before he defected to North Korea after the liberation were rendered ideology-less for his "national poetry." This shows the dramatic process and irony of lifting the ban. 이 글은 이용악과 그의 시가 남한 정부 수립 이후 공식적으로 삭제되고 해금 조치로 복원된 과정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이용악 시가 1988년 해금 직전 발표된 ‘이용악론’에서 ‘민족시’로 명명될 수 있었던 남한 문학장의 사정을 살펴보았다. 1988년 7월 19일 문화공보부는 일정한 선정기준에 의거해 (납)월북작가에 대한 해금을 공표했다. 기준의 핵심은 ‘이데올로기의 문제’와 ‘30년대 문학사에서 반드시 검토돼야 할 대상’이었다. 이용악도 선정기준에 의해 해금 작가 명단에 포함되었다. 하지만 명단이 공표되기 이전인 1988년 2월 10일 윤영천의 ‘이용악론’이 발표되었다. 이는 해금이 단계적으로 진행되었음을 보여주는 하나의 사례이다. ‘이용악론’에 의해 이용악은 ‘민족시를 작성한 시인’으로 한국문학사에 기입될 수 있었다. 이 글은 해금 작가 명단이 공표되기 이전에 ‘이용악론’이 발표될 수 있었던 이유를 크게 두 가지로 파악했다. 첫째, 해방 이전까지 이용악의 사상지리가 1988년 시점에서 정부가 설정한 이데올로기 문제를 초과하지 않았다. 둘째, 해금의 당위성으로 문학계에서 주장한 ‘30년대 재평가론’을 통한 ‘문학사의 복원’에서 이용악과 그의 시는 연구 대상으로서 문제가 없었다. 윤영천은 이용악의 시를 ‘민족시’로 규정했다. 이는 해금의 기준을 초과하지 않으면서 해방 후와 월북 이후 이용악과 그의 시까지 독해할 수 있는 방법론이었다. 가장 정치적이면서도 비정치적이라 여겨지는 ‘민족’이라는 인식체계가 해금 기준의 외부는 철저하게 망각시킬 수 있던 것이다. ‘민족’이라는 시각은 해금을 위해 대부분의 주체가 단서로 달았던 ‘사상의 문제’까지 무화시키기도 했다. 이 글은 해금 조치 전후로 앞다투어 제출되었던 (납)월북작가들에 대한 ‘작가론’ 중 ‘이용악론’이 이를 잘 보여준다고 생각한다. 해방 후 월북 전까지 조선문학가동맹 가입, 남로당 활동 등 이용악의 좌익 행적이 ‘민족(시)’을 통해 무사상화될 수 있었던 것이다. 이는 해금의 드라마틱한 과정과 아이러니를 동시에 그리고 두드러지게 보여준다.

      • KCI등재

        이용악 시에 나타난 식민지 민중 표상 연구

        차성환(Cha, Shung-hwan) 우리말글학회 2015 우리말 글 Vol.67 No.-

        이 글은 이용악 시에 나타난 식민지 민중 표상의 의미를 밝히는 연구이다. 『오랑캐꽃』 은 무고한 민중을 표상하는 상징물로서 ‘오랑캐꽃’을 제시하고 있다. 이용악 시의 ‘민중’은 형상화 방식과 정서적 표현에 있어서 일정한 전형성을 띠고 있으며 그 민중 표상은 『오랑캐꽃』에 집약적으로 구현되어 있다. ‘오랑캐꽃’에는 팔려간 여인의 연약한 형상과 죽어가는 민중의 모습이 중첩되어 있다. 이용악 시에서 시적 주체가 직접 민중을 대상으로 발화하는 시편들은 대부분 시적 대상과 상황, 시적 주체에 있어서 유사한 모습을 보이며 애도의 방식을 취한다. 이용악 시의 시적 주체는 당대 식민지 현실에 죽음으로 수없이 사라져갔던 민중을 위해서 아무것도 하지 못하는 무력한 지식인의 죄의식을 가진다. 이용악의 시쓰기는 민중에 대한 애도를 수행하는 상징적이고 의식(儀式)적인 행위로 볼 수 있다. 이용악 시에 나타난 식민지 민중의 표상화 작업은 하층민 출신 지식인의 욕망과 죄의식이 투영될 수 있는 기본적인 토대로 기능한다. 주체가 상실된 대상을 상징계에 기입하는 행위인 상징화 작업은 애도를 위해 필수적으로 수반해야하며 이는 대상에 대한 표상화 작업과 동시에 진행되는 것이다. 이용악 시에서 민중 표상의 전형성은 단순히 실제 민중을 상징적 기표로 표현하는 데에 있어서 반복적인 패턴이나 습관이 작용한다는 의미만을 가리키는 것이 아니라 그 전형성이 주체가 죄의식을 수반하는 애도를 포기할 수 없게 하는 대타적인 구성물로 재현된다는 점에서 일종의 증상으로 볼 수 있다. 이용악 시의 시적 주체는 ‘오랑캐꽃’이라는 민중 표상을 갖는 것과 동시에 민중에 대한 윤리적 실천을 적극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자신의 위치를 점한다. 이용악 시에 나타난 식민지 민중 표상은 하층민 출신 지식인인 이용악의 욕망과 죄의식이 투영된 대상이자 애도의 대상으로 스스로를 윤리적 주체로 구성할 수 있는 근거가 된다. 이용악 시에서 식민지 민중에 대한 애도와 표상화 작업은 주체의 문제로 귀결되며 리얼리즘 시의 주체가 이데올로기적 주체로 나아가는 것과 마찬가지로 애도적 주체 또한 동일한 회로를 가진다. 이는 무엇보다도 실제 민중에 대한 이용악의 깊은 정서적 애착에서 발현된 것이고 하층민 출신 지식인인 그의 내면적 갈등과 당대 식민지 현실을 넘어서기 위한 분투의 기록이었음을 확인하게 해준다. This paper researches a study on colonial emblems of the people in Lee Yongak’s poem. 『Orangkaeggot』 suggests a violet as a symbol represented innocent people. ‘The public’ in Lee Yongak’s poem assume definite typicalities in embodiment types and emotional expression, then the emblems of the public intensively materialize in 『Orangkaeggot』 . ‘A violet’ is overlapped with women’s weak figures and dying figure of the people. In the poems of Lee Yongak, the most of the poems, which the poetic subjects were expressed directly aimed at the public, take the form of condolence showing similar images in the poetic objects, circumstance and subjects. The poetic subjects of Lee Yongak have the sense of guilt held by the helpless intellectual who cannot do nothing for countless public who have died in the colonial reality at that time. Lee Yongak’s writing poems can be considered as the symbolic and ritual actions that performed the mourning for the public. The emblematizing work of the colonical public shown in the poetry of Lee Yongak functions as the basic foundation that the desire and the sense of guilt held by an intellectual from low classes can be projected. The symbolization work, the action, which puts the object lost its subject in the world of symbol, should be accompanied with the mourning essentially and perform simultaneously with the work emblematizing the object. In the poetry of Lee Yongak, the typicality in the emblem of the public is deemed to be a kind of symptom in the aspects that it not only indicates the meaning that the repetitive pattern and habit work in simply expressing the actual public as symbolic mark but also is reconstructed as the substitutive object, which makes the subject not being able to give up the condolence accompanied with the sense of guilt. Poetic subject in Lee Yongak’s poem contains emblems of the public ‘violets’ and his position that can actively practise ethical fulfill on the public at the same time. Colonial emblems of the people in Lee Yongak’s poem are objects projected Lee Yongak’s desire, sense of guilt and mourning, and become clues which can constitute himself to ethical subject. In the poems of Lee Yongak, the mourning and the work emblematizing the colonial public are concluded to the problem of the subject and have same circuit as the subject of realism poetry goes toward the ideological subject, which is, above all, expressed from Lee Yongak’s deep emotional affection for the actual public and makes us convinced that they are the records of struggle to go beyond the conflict inside of him, the intellectual from low class and the colonial reality at that time.

      • KCI등재

        이용악 산문집 『보람찬 청춘』 연구

        곽효환 ( Hyo Hwan Kawk )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014 한국문예비평연구 Vol.- No.44

        이 논문은 이용악 탄생 100주년을 맞아 다시금 활성화 되고 있는 이용악에 대한 연구와 ‘이용악 전집’ 준비과정에서 발견된 산문집『보람찬 청춘』을 고찰한 것이다.『보람찬 청춘』은 이용악의 유일한 산문집이자 한국전쟁 직후 북에서 처음 발간한 작품집 것이라는 점에서 눈에 띈다. 특히 집필과 발간 시기가 남로당계 숙청과정에서 함께 처벌을 받은 이용악이 활동을 재개한 때이며 북한 사회가 한국전쟁을 마치고 ‘전후복구와 사회주의 기초 건설기’를 맞은 때라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이는 단순한 복권뿐만 아니라 이용악이 북한에서 지속적으로 활동하고 사후에도 북한문학사에서 높이 평가 받는 대표적인 시인으로 자리매김하는데 중요한 고리가 되기 때문이다. 또한 북한에 연착륙한 이용악 작품세계의 전개와 전모를 이해하는데 중요한 단서가 된다. 이 연구는 새로이 발견된 이용악 산문집『보람찬 청춘』의 장르성격과 내용을 고찰하였으며 아울러 이 시기에 발표한 이용악의 시편들을 함께 살폈다. 뚜렷한 산문의식을 표출한 바가 없고 몇몇 짧은 산문을 남긴 것이 전부인 이용악의 유일한 산문집『보람찬 청춘』은 이 시기에 대한 이용악의 인식과 응전에 대한 논리와 추리력을 가늠하게 해 주기 때문이다. 또한 동시대의 시편들을 통해 이 시기 이용악의 작품세계 전체를 함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elebrating the 100th anniversary of his birth, this thesis is to study Lee Yong Ak`s collection of prose Fruitful Youth, found during the preparation of ``Lee Yong Ak`s complete works`` The Fruitful Youth stands out because it is Lee Yong Ak`s only collection of prose and the first book published in North Korea after the Korean War. It`s especially meaningful that his writing and publication time was at the same moment when Lee Yong Ak who got punished during the purge of ``South Korea Labor Party`` clique, resumed his activities and the moment when North Korea met the period of the ``postwar recovery and establishment of socialistic foundation``. Because it is not only the reinstatement of Lee Yong Ak but also an important link for him to be sustainedly active in North Korea and to become a representative poet being highly estimated among literary history of North Korea. Furthermore it`s an important clue to understand the development and whole story of Lee Yong Ak`s works softlanded in North Korea. In this research we studied the character of genre and contents of Lee Yong Ak`s newly found essay『Fruitful Youth』 together with his contemporary poetries. Lee Yong Ak`s only collection of prose Fruitful Youth while he never expressed his clear prose-sense except his few short proses, enables us estimate the logic and reasoning power about Lee Yong Ak`s preception and response at that time. Also it`s possible to understand all of Lee Yong Ak`s whole art world at that time through his contemporary poetries.

      • KCI등재

        월북 이후 이용악 시에 나타난 청년의 표상과 그 의미

        이경수 한국시학회 2012 한국시학연구 Vol.- No.3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representation of youth, which made a consistent appearance in the poems of Lee Yong-ak after his crossing the DMZ into North Korea, worked. The study also aimed to examine its meanings in his poetry. The study tried to read representation of youth and its meanings in the entire collection of his poems including the ones in Lee Yong-Ak Anthology published by Publishing Company of Joseon Writers’ Alliance in 1957 and Literature and Art and Joseon Literature in North Korea. Representation of youth was prominent in his works published from 1950 to 1953, which is called “Period of Fatherland Liberation War” in the literary history of North Korea. In those works, most youths were given a role of fighting in “Fatherland Liberation War.” The representation of youth as a scapegoat and fighter is prominent in his poems during the period. Standing in the battle line, youths lead their troops to victory in the war with an unyielding will and embrace the roles of heroic scapegoat in the process. It the sublime feelings that were raised through the sacrifice of youth supposed to embrace the future. There was an ongoing stream of representation of positive youth in his poems published during “Period of Post-War Restoration and Socialist Establishment.” In those poems, youths were described as workers facilitating post-war restoration and socialist establishment and symbols of hope. The representation of youth in the poems during the period contributed to the creation of a positive man type. The representation of youth as healthy workers and pioneers was often found in his poems during the period. Those youths were also young people that were anxious about love with a fluttering heart for love. The emotions of love heightened by the representation of healthy and positive youth were accompanied by chest-filled joy for the socialist future. The representation of eternal youth also made frequent appearances in other poems during “Period of Post-War Restoration and Socialist Establishment.” His poems from the period worked to ultimately advance the future of socialist establishment with hopes by praising eternal youth. His firm belief in the beautiful future of the new Joseon making progress was expressed through the representation of eternal youth. His wish for everlasting youth, the symbol of youthfulness and passion, was the same as his wish for an everlasting ideal socialist future. In short, representation of youth that made focused appearances in the poems of Lee Yong-ak after his crossing the DMZ into North Korea aroused sublime feelings and heightened the emotions of love, thus adding lyricism to his poems in which narrativeness was reinforced. Even though he created poems loyal to the art and literature policies of North Korea after crossing the DMZ into it, he achieved lively poetic effects by adding his unique lyricism to his poems through representation of youth. As a result, representation of youth that made intensive appearances in his poems after his crossing the DMZ into North Korea contributed to the strengthening of the modern nation sought after by the North Korean regime. Representation of youth was put to active use in order to confirm victory in his poems during the War and solidify the obvious socialist nation system in his poems during the Post-War Restoration and Socialist Establishment. 이 논문의 목적은 월북 이후의 이용악 시에 지속적으로 나타난 청년의 표상이 어떻게 작용하는지 살펴보고 그 의미를 밝혀 보려는 데 있다. 이 논문에서는 1957년 조선작가동맹출판사에서 출간된 『리용악시선집』 수록 시와 북한에서 『문학예술』, 『조선문학』 등에 발표된 이용악의 시 전체를 대상으로 청년의 표상과 그 의미를 읽어내고자 한다. 북한문학사에서 ‘조국해방전쟁기’로 지칭되는 1950~1953년에 이르는 시기에 발표된 이용악의 시에는 청년의 표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나는데, 이들은 대개 ‘조국해방전쟁’에 복무하는 역할을 부여받는다. 조국 해방전쟁기의 이용악 시에서는 희생양이자 투사로서의 청년의 표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전선에 선 청년은 불굴의 의지로 전쟁을 승리로 이끌고 그 과정에서 영웅적 희생양의 역할을 감당하기도 한다. 미래를 담지해야 할 청년의 희생을 통해 고양되는 것은 숭고의 감정이다. ‘전후복구 및 사회주의 건설기’에 발표된 이용악의 시들에는 지속적으로 긍정적인 청년의 표상이 나타나는데, 이들은 전후 복구 및 사회주의 건설을 앞당기는 일꾼이자 희망의 상징으로 그려진다. 이 시기 시에 나타난 청년의 표상은 긍정적 인간형의 창출에 이바지한다. 이 시기의 이용악 시에는 건강한 노동자이자 개척자로서의 청년의 표상이 자주 발견되는데, 이들 청년은 한편으로는 사랑에 설레고 가슴 졸이는 청춘들이기도 하다. 건강하고 긍정적인 청년 표상에 의해 고양된 사랑의 감정은 사회주의의 미래를 향한 가슴 벅찬 기쁨을 동반한다. ‘전후복구 및 사회주의 건설기’에 발표된 이용악의 또 다른 시에서는 영원한 청춘의 표상이 자주 등장한다. 이 시기의 이용악 시는 영원한 청춘을 예찬함으로써 궁극적으로 사회주의 건설의 미래를 희망적으로 앞당기는 역할을 담당한다. 전진하는 새 조선의 아름다운 앞날을 향한 굳건한 믿음은 영원한 청춘의 표상을 통해 표현된다. 젊음과 열정의 상징인 청춘이 영원히 지속되기를 바라는 마음은 사회주의의 이상적인 미래가 영원히 지속되기를 바라는 마음과 한가지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에 따르면, 월북 이후의 이용악 시에 집중적으로 나타나는 청년의 표상은 숭고의 감정을 불러일으키고 사랑의 감정을 고양함으로써 서사성이 강화된 이용악의 시에 서정성을 불어넣는 역할을 한다. 월북 이후 이용악은 북한 문예정책에 충실한 시를 창작하기는 했지만, 청년의 표상을 통해 시에 특유의 서정성을 불어넣음으로써 생동감 있는 시적 효과를 발휘한다. 결과적으로 월북 이후의 이용악 시에 집중적으로 나타난 청년의 표상은 북한 체제가 지향한 근대의 네이션을 강화하는 데 기여하게 된다. 전쟁기의 시에서는 승리를 확신하기 위한 목적에서, 전후복구 및 사회주의 건설기의 시에서는 자명한 사회주의 국가체제를 공고히 하기 위한 목적에서 청년의 표상은 적극적으로 활용된다.

      • KCI등재

        이용악 시에 나타난 ‘생활’ 체험과 의식 현상학 연구

        김윤정 겨레어문학회 2023 겨레어문학 Vol.71 No.-

        본고는 초기시부터 생을 마감할 때까지 이용악이 ‘생활’에 중점을 두었던 시인이었음에 주목하여 그가 생활을 다루는 방식을 살펴보고, 그것이 일으키는 미적 효과와 의의에 관해 고찰하였다. 이용악의 초기시는 서정과 서사의 결합, 모더니즘과 리얼리즘의 결합 등 절충과 종합의 다양한 개념으로 논구되었는데, 그것은 생활 체험을 다루었던 이용악의 독특한 방식에 따른 결과라고 할 수 있다. 그것은 단순히 대상을 사실주의적으로 묘사하는 것이 아닌, 대상에 대한 의식 현상, 즉 세계의 체험에 따른 의식의 현상을 세심히 기술하는 데서 기인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방식으로 시를 구성할 때 현실과 의식이 공존하고 객관과 주관이 균형을 이룸에 따라 소통과 공감을 극대화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고 할 수 있다. 생활 체험과 그에 따른 주관적 의식을 객관화시켜 제시함으로써 이용악은 탁월한 시적 성과를 이룩하였고 문단의 중심에 오를 수 있었다. 생활 체험을 대하는 초기에 보여주었던 이러한 태도는 해방기와 북한체제기에도 지속되었던바, 따라서 이용악은 각 시기 선험적으로 주어진 이념을 맹목적으로 표방하기보다 이를 지연시키고 대신 생활 체험을 충실히 다루는 데 주력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이때 생활 체험은 이용악이 처해 있던 역사적 현실과 분리되지 않은 것이었으므로 생활 체험을 다루는 일은 이용악에게 주체적 실천의 과정과 일치하는 것이었다. 따라서 이는 이용악의 세계관의 변모에 대해서도 해명해준다. 해방기와 북한체제기 초기의 이용악이 중립적 관점에서 생활 세계를 다루었던 데 비해 갈수록 이념적 성향을 띠게 된 것도 이 때문이다. 이것으로써 이념에 동조해 가는 과정이 전적으로 설명되지는 않을지라도 이용악이 이념보다 우선적으로 생활의 체험을 다룬 것은 분명한 일이다. 그리고 이용악은 그속에서 자신의 의식의 지향성을 형성하며 의식의 변화를 이루어 갔음을 알 수 있다. The poetry world of Yi Yong-ak is divided into three periods: the pre-liberation period, the liberation period, and the North Korean regime period. This paper is focusing on the Yi Yong-ak’s attitude to treat the experience of life-world and studied its aesthetic effect and meaning from early poetry to the end of life. The early poetry of Yi Yong-ak was discussed in various concepts of compromise and synthesis, such as the combination of lyricism and narrative, and modernism and realism, which can be said to be the result of Yi Yong-ak's unique way of dealing with life experiences. It is not simply a realistic description of the object, but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henomenon of consciousness according to the world's experience, which can be said to have the effect of maximizing communication and empathy as reality and consciousness coexist and object and subjectivity are balanced This attitude that was shown in the early period had been continued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and the North Korean regime, so Yi Yong-ak delayed the ideology given a priori in each period and focused on faithfully dealing with life experiences instead. And in this process, Yi Yong-ak was facing historical reality and was transforming his own view of the world. It means this is the process of being reborn as a subject of Yi Yong-ak. And this is why Yi Yong-ak in the early days of the liberation period and the North Korean regime dealt with the life world from a neutral point of view, but he became increasingly ideological in his poetry. Although this may not fully explain the process of sympathizing with ideology, it is clear that Yi Yong-ak has dealt with life experiences before ideology. And it can be seen that Yi Yong-ak formed the orientation of his consciousness in it and made a change of consciousness.

      • KCI등재

        이용악 시에 나타난 상호텍스트성의 의미 -일제 말에서 해방기 시를 중심으로-

        박민영 ( Min Young Park )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014 한국문예비평연구 Vol.- No.45

        이용악의 시에서 서사지향성은 1940년을 전후로 약화된다. 이 무렵 그의 시에서는 이전에 볼 수 없었던 현상이 발견되는데, 바로 서양고전과의 상호텍스트성이다. 필자는 이 논문에서 이용악의 시 「별 아래」와 「밤이면 밤마다」, 그리고 「나라에 슬픔이 있을 때」를 주요 텍스트로 원전과의 비교 및 다른 시들과의 교차 강독을 통해 작품의 의미를 해독하고, 궁극적으로 이용악 시에서 상호텍스트성의 역할과 의의를 알아보고자 했다. 2장에서는 그리스 신화의 탄탈로스 이야기와 상호텍스트성을 이룬 시 「별 아래」를 살펴보았다. 이 시에서 탄탈로스는 ‘채울 수 없는 욕망의 기갈’을 상징한다. 탄탈로스 신화는 이용악 전체 시를 가늠하는 상상력의 원형이다. 이용악 시에 나타난 궁핍과 굶주림은 탄탈로스 신화와 상호텍스트성을 이루면서 이상에 대한 채울 수 없는 갈망으로 변모한다. 3장에서는 플라톤의 『소크라테스의 변명』과 상호텍스트성을 이룬 시 「밤이면 밤마다」를 살펴보았다. 이 시에서 멜레토스는 ‘죄의식의 그림자’를 상징한다. 그는 표면적으로 고발자지만, 혐의로써 시인을 성찰하게 한다는 점에서 역설적으로 자기성찰의 조력자 역할을 한다. 멜레토스는 원전과는 다르게 선악의 이분법을 넘어 갈등하고 성찰하는 자아를 나타낸다. 이 시는 원전을 창조적으로 변용한 상호텍스트성의 대표적인 예이다. 3장에서는 구약성서의 ‘다윗과 골리앗의 이야기’와 상호텍스트성을 이룬 시 「나라에 슬픔이 있을 때」를 살펴보았다. 이 시에서 다윗은 ‘원수를 향한 분노와 투쟁’을 상징한다. 시인은 원전의 인물을 알레고리적으로 해석하여 우리를 다윗에 원수를 골리앗에 대입시킨다. 이 시에서 이용악은 자신의 정체성을 전사에 두고 원수를 향한 투쟁을 선언함으로써 앞으로의 시작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이렇게 서양고전과 상호텍스트성을 이루는 이용악 시의 인물들은 일제 강점기 자의식을 수렴하고 해방 공간에서 시인으로서의 위치를 새롭게 모색하는 역할을 한다. 이용악은 일제 말과 해방기, 혼란스러웠던 시의식에 고전 속 ‘그들의 이야기’를 차용함으로써 명료한 서사성을 회복하고 시적 전망을 확보한 것이다. 이용악 시의 상호텍스트성은 서사성이 위축되고 서정성이 강화되었던 시기에 대안으로 나타난 과도기적 현상이며, 이를 계기로 이용악은 사회주의적 이념과 그 이념을 실천하는 투사로서의 정체성을 확립한다. 따라서 이용악 시의 상호텍스트성의 의의는 파탄의 지경에 이르렀던 시의식이 고전 속 인물과의 교감을 통해 과거를 성찰하고 미래를 전망하면서 현실에 대한 능동적인 태도를 갖추게 되었다는 데 있다. The narrative-orientation in Lee Yong Ak`s poetry reduced around 1940. His poems around the period feature a new phenomenon of intertextuality with Western classic texts. This study aims to interpret his works through cross-reading with his other poems and comparisons with the original texts, while focusing on three of his poems, “Under the Stars,” “Night by Night,” and “When the Country Is in Sorrow,” and ultimately to identify the role and significance of intertextuality from Lee Yong Ak`s poetry. Chapter 2 examines the poem, “Under the Stars,” which has intertexuality with Tantalos from the Greek Mythology. In this poem, Tantalos symbolizes ‘the insatiable hunger of desire.’ The myth of Tantalos is the archetype of imagination that penetrates the entire poetry by Lee Yong Ak. The deficiency and hunger in his poems are transformed into an insatiable desire for the ideal, while creating the intertextuality with the myth of Tantalos. Chapter 3 looks at “Night by Night,” which has intertextuality with The Apology of Socrates by Plato. Meletus in this poem symbolizes ‘the shadow of guilt.’ Apparently, he is an accuser, but paradoxically he plays the part of a helper in that he makes the poet turn to introspection. Unlike Meletus in the original text, Lee Yong Ak`s Meletus signifies the ego who struggles and introspects beyond the dichotomy of good and evil. This poem is a representative example of creatively transformed intertextuality. Chapter 3 addresses “When the Country Is in Sorrow,” which is in intertextual relationship with the story of David and Goliath from the Bible. In this poem, David symbolizes ‘the strife against and anger toward the enemy.’ The poet makes an allegorical interpretation of the character from the original text and substitutes David with us and Goliath with the enemy. Lee Yong Ak makes a declaration of his strife against the enemy, establishing his identity as a warrior and presenting his future moves. The characters from Lee Yong Ak`s poems that have intertextuality with Western classic texts play the part of raising self-consciousnes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groping for the positions of poets in the liberated country. By borrowing ‘their stories’ from the classic texts and applying them into poetic consciousness which is lost in confusion, he recovers clear narrativity and secures poetic outlook. The intertextuality in Lee Yong Ak`s poems was a transitional phenomenon as an alternative when narrativity was dwarfed and lyricism was on the rise. With this move, Lee Yong Ak established his socialist ideas and his identity as a warrior who put the ideas into practice. Therefore, the significance of intertextuality from Lee Yong Ak`s poetry is that poetic consciousness, once ruined, comes to take a positive stance toward reality, introspecting the past through communion with characters from the classic texts while making prospects of the future.

      • KCI등재

        해방 초기 민족 주체 담론에 대한 이용악의 비판적 개입 가능성 - 이용악이 1945년에 창작한 디아스포라 형상을 중심으로

        이은홍(Lee, Eun-hong) 원광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21 열린정신 인문학연구 Vol.22 No.3

        이 논문은 해방 초기에 이용악이 형상화했던 디아스포라가 당시의 민족 주체 담론에 비판적으로 개입할 수 있는 지점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제까지 이용악의 시는 유이민 표상 등으로 디아스포라의 범주에서 다루어져 왔다. 그런데 이용악에게 디아스포라 형상은 원체험으로 반복되는 모티프이기도 하지만, 현실 인식을 구체화하는 과정에서 활용되고 변화되기도 한다. 해방 초기 문학 담론장에서는 새로운 국가 건설의 주체로서 민족에 대한 이념과 그 이념적 효과가 모색되었다. 이때 경계를 넘어 이주하고 정착했던 디아스포라 형상은 이용악에게 좌우가 대립했던 민족 주체 담론에 거리를 두고 새로운 관점을 제시하기 위한 매개물이 되었다. 시간을 초월한 본질적이고 보편적 인간으로 민족을 상정했던 우파와 반민족에 대한 대타항으로 노동자, 농민, 각성한 진보적 부르주아 계급까지 포괄하는 인민으로 민족을 상정했던 좌파 모두에서 디아스포라 조선인은 충분히 설명될 수 없었다. 해방 초기에 반제․반봉건이라는 시대 인식과 공통성을 기반으로 한 민족 주체 모색 과제에 이용악은 디아스포라 조선인으로서 개입하고자 한다. 이용악은 디아스포라 체험을 바탕으로 새로운 연대와 주체화의 양식을 모색한다. 이용악은 시를 통해 굶주림 경험을 공유하는 새로운 연대를 제안하며, 먹는-입과 말하는-입 사이의 경계를 해체하고 재구성한다. 또한, 이용악은 과거가 지금의 맥락 속에 재기입되며 현재를 수정하거나 전복시킬 수 있는 전망을 제시할 수 있다고 보았다. 디아스포라의 시간은 새로운 국경이 고착화되는 해방 초기에 경계를 넘고 정착했던 강인한 몸의 기억으로 해방공간에 귀환한다. 해방 초기 이용악의 디아스포라 형상은 국가의 의사를 최종적으로 결정하는 권력, 주권을 지닌 근대적 민족 주체의 모습을 독립된 개인의 서사로부터 모색하기 위한 시도였다고 볼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reveal the point where the diaspora that Lee Yong-ak embodied in the early liberation period can critically intervene in the discourse of the national subject at the time. In the literary discourse in the early liberation period, the ideology of the nation and its ideological effects were explored as the subject of the building of a new nation. The shape of the diaspora, which migrated and settled across borders, has the function of proposing a new perspective while keeping a distance from the discourse of the national subject, in which the left and the right were opposed to. Based on his experience of diaspora, Lee Yong-ak seeks a new form of solidarity and subjectivization. He proposes a new solidarity based on the common experience of ‘hunger’, and believed that the past could be rewritten in the context of the present and presented a new perspective that could modify or subvert the present. Lee Yong-ak"s diaspora shape can be seen as an attempt to explore the figure of a modern national subject with power and sovereignty that ultimately determines the will of the state from an independent individual"s narrative.

      • KCI등재

        이용악 시에 나타간 ‘길’의 표상과 ‘고향-조선’이라는 심상지리

        이경수(Lee Kyung-soo) 우리문학회 2009 우리文學硏究 Vol.0 No.27

        이 논문의 목적은 이용악 시에 나타난 ‘길’의 다양한 표상들을 살펴봄으로써 그의 시가 형성하는 ‘고향’이라는 심상지리를 규명해 보는 데 있다. 이용악의 시에는 초기시부터 후기시까지 일관되게 ‘거리’, ‘뒷골목’ 등으로 표상된 ‘길’이라는 공간이 등장하는데, 그 공간의 성격을 밝힘으로써 이용악의 시를 심층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이 논문에서는 ‘거리’, ‘뒷골목’등으로 표상되는 공간의 상위개념으로 ‘길’을 설정하였다. 이용악의 시에 등장하는 ‘길’의 다양한 표상들은 그의 내면 공간을 상징하는 동시에, 고향과 일본, 고향과 서울, 고향과 만주 사이의 관계에서 형성되는 ‘고향-식민지 조선’의 심상지리를 구축한다. 이용악의 시에서 ‘길’로 표상되는 일제 말기 ‘고향’의 심상지리는 이용악 시의 원칙을 형성한다. 특히 이용악의 시에서 ‘길’의 표상은 단순히 특정 공간을 지시하는데 그치지 않고 화자의 내면을 드러내는 심리적 공간으로 작용한다. 이용악의 시에 나타난 ‘길’의 다양한 표상들은 이용악 시의 내면 공간을 지칭하는 동시에 조선, 일본, 만주 사이의 관계에서 형성된 ‘고향-식민지 조선’의 심싱지리를 구축하였다. 이용악은 ‘뒷골목’, ‘거리’, ‘고향을 등지거나 돌아오는 길’ 등으로 표상되는 ‘길’ 위를 쉼 없이 걸어오면서 ‘길’위에서 시를 써 온 ‘길’의 시인이다. 그의 시에서 ‘길’의 표상들은 뒷골목으로 대표되는 부끄러움의 내면공간을 거쳐, 일제 말 조선과 일본, 조선과 만주 사이에서 형성되는 공간적 관계에 대한 인식의 확장으로 이어진다. 일제 말 뒷골목으로 대표되는 병적인 태도가 잠시 모습을 드러내기도 하지만, 도회의 개방적 거리를 지향하는 순간 그의 시는 잠시 비판적 균형감각을 잃어버리기도 한다. 그러나 해방과 함께 길은 이용악에게 다시 성찰의 공간으로 기능하게 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imaginative geography for "home" in Lee Yong-ak's poetry by investigating his diverse representations of "road." There was a space constantly appearing throughout his poems from the early days to the later period, and it was "road" represented by "street" and "back street." All effort to illuminate the space's nature will promote an in-depth understanding of his works. In this study, the investigator picked "road" as the upper concept of space that's represented by "street" and "back street." The diverse representations of "road" in his poems not only represent his internal space, but form imaginative geography of "home-colonized Chosun " that's established between horne and Japan, horne and Seoul, and home and Manchuria. The imaginative geography of "home" during the late Japanese rule is represented by "road" in his works and serves as the origin of his works. The representations of "road" in his poetry, in particular, also function as psychological space to display the speaker's inside in addition to indicating certain space. So far I have examined the various representations of "road" in Lee's poems. The findings show that they refer to internal space in his poems and, at the same time, build imaginative geography of "home-colonized Chosun' that's formed among Chosun, Japan, and Manchuria. Lee can be dubbed as a poet of "road" who wrote poems on the "road" always traveling on the "road" represented by "back street," "street," and , "road to leave home or return to home." In his poetry, the representations of "road" evolve from the internal space of shyness represented by back street into the expansion of consciousness of spatial relations formed between Chosun and Japan and Chosun and Manchuria during the late Japanese rule. Although his pathological attitude represented by back streets made its appearance during the late Japanese rule, he lost a sense of critical balance in his poems for a while the moment he headed for open streets in cities. However, road resumed its function as a space for reflection for him once Korea took back its independence.

      • KCI등재

        이용악 시에 나타난 연민의 발현 구조와 수사적 특성

        이지원 영주어문학회 2023 영주어문 Vol.55 No.-

        본고는 마사 누스바움의 연민론을 토대로 이용악 시에 나타난 연민의 발현 구조와 수사적 특성을 심층적으로 분석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용악 시에서 연민의 감정은 독특한 수사로 형상화됨으로써 이용악 시세계의 지향점 및 특수성을 이루는 토대로 나타난다. 이용악 시의 진정한 가치는, 자기연민을 넘어서서 공적 연민으로 나아가는 방식으로 당대의 어두운 현실에 대한 시적 정의를 구현했다는 데 있다. 아울러 그 과정에서 이용악이 운용하는 다양한 수사는 그의 시세계를 독특하게 구성하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이용악 시에서 자기연민은 ‘상실’의 메타포를 통해 형상화되는 특성을 갖는다. 일제강점기하에서 그가 체험한 가난이나 질병 등은 ‘생명력’의 상실을 환기함으로써 자기연민을 부추기는 것으로 나타난다. 특히 이용악이 자신의 거주 공간을 병실이나 폐가로, 또 자신을 시든 존재나 폐인으로 시 안에 형상화하는 데 몰두했다는 것은 역설적으로 그가 그만큼 삶에 집착했음을 의미한다. 이로써 자기연민은 자신이 맞닥뜨린 현실의 고통을 환기시킴으로써, 이 고통이 시인 자신만의 문제가 아니라는 자각으로 연결되고 있다. 이에 따라 이용악의 시선이 포착한 ‘귀머거리’, ‘벙어리’ 등은 핍박받는 우리 민족에 대한 반어적 표현으로서, 핍박받는 민족에 대한 연민의 고통과 일제의 폭압에 대한 시적 증언을 동시에 내포한다. 이용악은 ‘빛의 반복-접촉’을 통해 공적 연민을 형상화하는 방식으로 연민의식을 확장하고 있다. 빛의 상상력의 투사는 이용악이 어둠의 시대에서 시적 응전을 도모하는 방식이자, 차가운 땅에 온기를 빼앗긴 민족을 복원함으로써 연민 윤리를 구현하는 방식이다. Based on Martha Nussbaum’s theory of compassion, this paper ais to analyze in depth the expression structure and rhetorical characteristics of compassion in Lee Yong-ak’s poetry. In Lee Yong-ak’s poetry, the emotion of compassion is embodied in a unique rhetoric and appears as the basis for the orientation and specificity of Lee Yong-ak’s poetic world. The true value of Lee Yong-ak’s poetry lies in its ability to do poetic justice to the dark realities of his time by moving beyond self-pity to public compassion. In the process, the various rhetorical devices that Lee Yong-ak employs are what make his poetry unique. In Lee Yong-ak’s poetry, self-pity is characterized by the metaphor of loss. The poverty and illness he experienced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are shown to encourage self-pity by reminding him of the loss of “life force.” In particular, Lee Yong-ak’s preoccupation with representing his living space as a hospital room or an abandoned house, and himself as a withered being or a dead person in his poems, paradoxically, means that he was equally obsessed with life. Thus, self-pity leads to the realization that this suffering is not the poet’s alone, as it reminds him of the real suffering he is facing. Accordingly, ‘deaf’, ‘mute’ captured by Lee Yong-ak’s gaze, are a metaphor for the persecuted Korean people, which simultaneously implies the pain of compassion for the persecuted people and the poetic testimony of the Japanese tyranny. Lee Yong-ak expands on the idea of compassion in a way that shapes public compassion through the ‘repetition and contact of light’. The imaginative projection of light is Lee Yong-ak’s way of seeking a poetic response to the darkness of the times, as well as embodying an ethic of compassion by restoring warmth to a people deprived of it in a cold lan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