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한국어교육적 관점에서 본 국내 대학 한국어문학과의 교육과정

        박나리 ( Na Ree Park ) 영주어문학회 2016 영주어문 Vol.32 No.-

        한국어문학과는 일반적으로 한국어 및 한국문학 전문가 양성을 그 목적으로 한다. 한국어문학은 모국어로서의 국어와 국문학이 아닌, 보다 객관적인 시각에서 한국어와 한국문학을 바라본다는 점에서 기존의 국어국문학과 분명한 차이를 갖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내 한국어문학과의 교육과정이 국어국문학과에 다만 한국어교육적인 요소를 추가한 예로부터 한국어교육에 집중한 경우에 이르기까지 그 변폭이 매우 크다는 문제의식 아래, 본 연구는 한국어문학과의 독자적인 영역을 확보하고 정체성을 확립하기 위한 하나의 방향적 제안을 해 보고자 하였다. 특히 국내외 학습자의 수요가 상당하며 한국어문학과의 개설 동인이 되기도 한 한국어교육에 초점을 두어 한국어교육적 관점에서 국내 한국어문학과의 현존하는 교육과정을 살피고, 그 문제점을 진단한 후 앞으로의 방향성을 제안해 봄으로써 향후 한국어교육적 요소를 교육과정에서 점차 확대시켜나가고자 할 때 일정한 시사점을 제공해 보고자 하였다.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department, basically, sees Korean language in an objective way. However, curriculum of many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department shows no big difference from that of National language and literature departm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urriculum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department especially in view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foreign learners which has been highly increasing for the last several years. As a result of this research, strong necessity for standardization in curriculum is insisted since the differences between curriculum in each college are so great that its graduates, namely, potential Korean language teachers are not likely to meet educatee`s general needs for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Korean culture, etc. Therefore, this study tries to suggest desirable directions in designing curriculum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department based on its own identity and the needs of both Korean language teachers and foreign Korean language learners which are expected to dedicate the standardization.

      • KCI등재후보

        이극로의 "고투 40년" 문학살이 연구 -시가(詩歌) 작품을 중심으로

        한정호 ( Jeong Ho Han ) 영주어문학회 2015 영주어문 Vol.30 No.-

        이극로(李克魯, 1893-1978)는 나라사랑과 한글사랑을 실천했던 독립운동가이자 한글학자였다. 특히 그는 나라잃은시기와 광복기를 거치면서 조국독립과 수호에 앞장섰으며, 굳은 신념으로 한글 보급과 연구에 헌신했다. 따라서 학계에서는 이극로의 생애와 활동에 관한 전반적 연구, 특히 한글활동과 어문운동, 민족교육 내지 독립운동에 관한 논의가 이루어졌다. 하지만 오랜 기간에 걸쳐 다양하게 펼쳐졌던 그의 문학 활동에 대해서는 그동안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에 글쓴이는 문학적 측면에서 그의 초창기 삶과작품들을 대상으로 나라사랑과 문학실천의 의미를 되새겨보고자 했다. 사실 그는 한글 또는 독립운동 못지않게 문학에도 큰 관심을 보여주면서 많은 작품을 이극로(李克魯, 1893-1978)는 나라사랑과 한글사랑을 실천했던 독립운동가이자 한글학자였다. 특히 그는 나라잃은시기와 광복기를 거치면서 조국독립과 수호에 앞장섰으며, 굳은 신념으로 한글 보급과 연구에 헌신했다. 따라서 학계에서 는 이극로의 생애와 활동에 관한 전반적 연구, 특히 한글활동과 어문운동, 민족교육 내지 독립운동에 관한 논의가 이루어졌다. 하지만 오랜 기간에 걸쳐 다양하게 펼쳐졌던 그의 문학 활동에 대해서는 그동안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에 글쓴이는 문학적 측면에서 그의 초창기 삶과작품들을 대상으로 나라사랑과 문학실천의 의미를 되새겨보고자 했다. 사실 그는 한글 또는 독립운동 못지않게 문학에도 큰 관심을 보여주면서 많은 작품을 남기고 있다. 이를테면 한시, 시와 시조, 노래가사, 수필, 비평 등이 그것이다. 먼저, 이극로는 어릴 적부터 한시를 통해 자신의 시재(詩才)를 보여주었다. 그는 자신의 기행 체험을 한시로 형상화했다. 특히 여러 나라와 특정 공간에서 느끼는 감회를 읊고 있는 것이다. 그가 남긴 한시로는 「백두산」, 「애급금자탑상감음」, 「음라마교황청」, 「음라마시」, 「함흥 형무소에서」, 「마니산에올라서」, 「정해제석시」 등 7편을 찾을 수 있었다. 이들 한시를 통해 그는 자신의 장소 탐방뿐 아니라 감옥살이, 그리고 대종교 활동의 고투 체험을 다각도로 표현했다. 다음으로, 이극로는 시와 시조 창작에도 관심을 보였다. 그의 시는 대개 장소에 대한 서정을 노래하고 있는데, 이는 한시의 기행 체험과 맞닿아 있다고 하겠다. 이를테면 그의 시는 낙동강, 백두산, 금강산, 한강, 한양, 충렬사 등을 글감으로 삼고 있다. 그는 이들 작품을 통해 장소가 갖는 의미와 자신의 정서를 형상화했다. 그러한 장소감은 그의 나라사랑과 문학실천의 염원을 고스란히 담아냈던 것이다. 마지막으로, 이극로는 특정 단체의 노래가사를 작사했다. 이를테면 대종교의 「한얼노래」, 조선어학회의 「한글노래」, 조선유도연맹의 「조선연무가」가 그것이다. 이극로의 노래가사는 그의 세계관과 사상에 바탕을 두고 있는데, 이는 구체 적으로 대종교 사상, 한글사랑, 그리고 체육 계몽의 실천의지를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그의 노래가사에서는 나라잃은시기의 현실인식과 민족의식을 고취시키려는 노력이 돋보였다. 결국 그는 노래가사를 통해 우리의 자주독립과 민족의식을 일깨우고자 했던 것이다. 이렇듯 이극로의 초창기 삶은 나라잃은시기와 광복기에 걸친 우리나라의 ‘고투 40년’, 곧 근대 지식인의 전형으로 설정될 수 있다는 점에서 각별한 의미를 부여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그의 문학살이는 독립운동가이자 한글학자로 널리 알려진 명성과 이력을 더욱 풍성하게 만들어준다. 그런 점에서 그의 작품 활동은 근대 지식인의 나라사랑과 문학실천의 방향을 일러준 값진 업적이라 하겠다. Lee Geuk-ro was leader of national independence movement and Hangeul scholar in practicing the country and Hangeul love. In particular, he dedicated to research and to the Hangeul alphabet dissemination with firm beliefs passing by the lost time of country and the liberation of the independence and he leads the way in country independent and guardian. Therefore, the life and activity of him has been made the discussion of the overall research, particularly Hangeul alphabet and linguistics movement, ethnic education and independence movement in the academic community. But his literary activity to various unfold over the long term did not on studies in the meantime. I recollected the meaning of country love and literary practice about works and his early of the life in literary aspects. In fact, he was leaving a lot of work no less showing great interest in the literature than the Hangul, or independence movement. In other words, they were Chiness poetry, poetry, Sijo, song lyrics, essays and criticism. First of all, Lee Geuk-ro appeared in his poetry-gift through Chinese poetry from childhood. He was the embodiment of Chinese poetry about experience of his eccentricity. In particular, there was in anything cite feel from many countries and a certain space. Though these Chinese poems, Lee Geuk-Ro expressed From various angles about the prison and the struggle experience of the Daejonggyo activities as well as explore his place. Next, Lee Geuk-ro was interested in a poetry and Sijo creation. his poetry is usually for lyric song in place, this is bordered on eccentricity experience of Hangeul poetry. He was symbolizing means having a place and his emotions though these Hangeul poetry. a sense of such place have put into the pot with aspirations the country love and the literary practice. Finally, he wrote words of song for specific groups. in other words. This was a song of his world view and ideology as Lee Geuk-ro based on, which was showing specifically the Daejonggyo thoughts, Hangeul love and a willingness to practice of physical education. Therefore, words for his song lyrics looked up the effort in order to raise awareness the reality and ethnic consciousness for time lost korea. Eventually, he evoke a sense of independence and ethnic consciousness through words for song. As such, In the early days of life of Lee Geuk-ro, It will be able to grant a particular meaning that the epitome of the modern intellectuals can be set in that time the country lost over forty years for liberation struggle. Also, his literary life made the prestige and history to enrich by more popularly known as the leader of independence movement and Hangeul scholars. in that sense, his work activities gave valuable achievements in direction to country love and literary practice of the modern intellectuals.

      • KCI등재

        한글 맞춤법으로 본 조명희의 『봄잔듸밧위에』 연구

        황경수 ( Hwang Gyeong-su ) 영주어문학회 2018 영주어문 Vol.40 No.-

        이 연구는 조명희의 『봄잔듸밧위에』를 어문 규정 중 한글 맞춤법을 중심으로 분석하는 것이 목적이다. 한글 맞춤법은 제1항부터 제57항으로 되어 있다. 그중 ‘소리에 관한 것, 형태에 관한 것, 띄어쓰기, 그 밖의 것’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우리는 작품을 분석하려고 할 때 현대어로 되어 있는 것만을 보고 시를 읽고 감상하는 것에 그치고 있다. 그러므로 잘못 분석되어 있는 것을 보지 못할 뿐만 아니라 원문 자체를 보려고 하지도 않는 것 같다. 이 연구에서 우리는 근대 국어에서 현대 국어의 변천 과정과 함께 올바른 한글 맞춤법을 통하여 우리 국어의 창의성과 과학성을 확인하는 자리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원문 시(詩)를 바탕으로 현대어로 바꾸어 놓은 실례들을 볼 수는 있으나 무엇에 근거하여 이렇게 쓰였는지는 설명하지 않고 있다. 그렇기에 모든 문헌이 연구의 대상이므로 다수의 근대 자료 중 포석 조명희의 『봄잔듸밧위에』 시집으로 선정한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Cho, Myung Hee’s 『Spring a Lawn on Top』 based on Hangul orthography in the rules of grammar. It was divided into ‘1. sound’, ‘2. shape’, ‘3. word spacing’, ‘4. the rest of it’ and analyzed 42 sections such as ‘blessing in maturity’, ‘wonder’, untitled’ and so on. While analyzing 『Spring a Lawn on Top』, We were able to confirm the creativity and scientificity of the Korean language through correct grammar with the transition from Modern Korean to Present Korean. It is important that we concentrate on analyzing the grammar and etymology of the Korean language based on ancient, medieval, modern literature in order to globalize our language. But I think it's up to the scholars to give them an opportunity to read and appreciate modern literature correctly, comparing it with the original. Only then will Korean raise its status in the world in comparison with other languages. From now on it is necessary to reinterpret works from the 1920s to the early 40s and to create a level where the public can see correctly and empathize them.

      • KCI등재
      • KCI등재

        노기주의 『應用自在朝鮮語法詳解』(1924) 고찰

        주현희 ( Ju Hyeon-hee ) 영주어문학회 2022 영주어문 Vol.51 No.-

        본 연구에서는 근대 시기 일본인을 위한 한국어 학습서에 나타나는 한국어 문법과 일본어 문법간의 영향 관계를 고찰하는 한편 어문정책에 따른 언문철자법의 기술 양상을 살펴보기 위해 노기주(魯璣柱)가 저술한 『應用自在朝鮮語法詳解』(1924)의 문법 기술 양상을 고찰하였다. 먼저 저자의 생애와 이력을 살펴 이 책이 간행된 계기를 고찰하였고 음운 및 발음의 기술 양상과 품사 항목 설정, 교육 내용의 구성을 살펴보았다. 저자 노기주는 경찰관강습소 교관으로 근무한 경험을 살려 경찰관의 한국어 강습 및 한국어 시험 대비 목적으로 이 책을 저술하였다. 또한 이 책은 음운 및 품사 분류 등의 문법 내용을 체계적으로 수록하여 문법 설명에 충실한 학습서라는 점이 특징적이다. 음운 및 발음의 기술에서는 조선총독부에서 1921년 3월에 개정, 공포한 「보통학교용 언문철자법대요」를 반영하였으며 영어 알파벳으로 발음을 표기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토(吐), 수사 등의 품사 설정에서 한국인 문법가의 문법 체계에 영향을 받은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조동사의 설정은 일본어 문법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한편 한자의 천자음과 단어집을 수록하였으며 화문선역(和文鮮譯)의 주의 사항을 제시하여 조동사 및 토(吐)의 용법을 주의하도록 하고 있는데 이는 조선어장려시험에 대비하기 위한 학습 내용 구성으로 여겨진다. 조선어장려시험의 화문선역(和文鮮譯)의 문항은 문어체로, 국어선역(和語鮮譯)의 문항은 구어체로 답안을 작성해야 하는데 노기주(魯璣柱)의 『應用自在朝鮮語法詳解』(1924)에서는 이러한 한국어의 문어체와 구어체를 모두 학습할 수 있도록 학습 내용을 구성한 것을 알 수 있었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descriptional aspects of phonology and grammar of Noh Ki-ju’s 『應用自在朝鮮語法詳解』(1924), a Korean language study book for Japanese during the modern period. The author Noh Ki-ju worked as a police officer’s instructor, and since this book was published around the time of the < Joseon Language Encouragement Regulations > and < Joseon Language Tests >, this book examined the composition of Korean language classes and Korean language tests for police officers at that time. Meanwhile, in March 1921, the Chosun Governor-General revised and promulgated < Ordinary school Spelling system >, and a large number of learning books reflecting this in the learning contents were published. While many Korean language books around this time were written for various learning purposes for beginners, this book is characterized by setting public officials of a certain status as learners and for special educational purposes of preparing for the Korean language test. In addition, Noh Ki-ju’s 『應用自在朝鮮語法詳解』(1924) is characterized by being faithful to grammar explanations by systematically recording grammar contents. In addition, unlike other Korean language books written for police officers, it seems that the grammar system of Korean grammarians was introduced in the composition of grammar contents to describe the classification and content of parts. In terms of phonology and pronunciation, the < Ordinary school Spelling system Summary > revised and promulgated by the Governor-General of Joseon in March 1921 was reflected, and the pronunciation was written in English alphabets. In addition, it was influenced by Korean grammarians in the setting of parts such as ‘postposition’ and ‘numeral’, and the setting of ‘auxiliary verb’ seems to have been influenced by Japanese grammar. On the other hand, a collection of Chinese characters and a vocabulary book, and precautions for <和文鮮譯> are presented to pay attention to the use of ‘auxiliary verbs’ and ‘postposition’, which is in preparation for the < Joseon Language Recommend Test >. The questions of <和文鮮譯> should be written in written form, and the questions of <和語鮮譯> should be written in spoken form, Noh Ki-joo’s 『應用自在朝鮮語法詳解』(1924) found that the learning contents were composed so that both the written and spoken Korean could be learned.

      • KCI등재

        중국 조선어 어문규범의 변천 연구 - 85년판, 96년판, 07년판의 비교를 중심으로 -

        이림,이래호 영주어문학회 2023 영주어문 Vol.54 No.-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changes in Chinese Koreanlanguage norms in China’s “Joseon Language Norms”. To theseaims, the system of China’s “Joseon Language Norms” wasintroduced, and the contents of the “Joseon Language Norms”,which was revised several times, were compared with theprevious edition. In addition, by comparing the revised contentswith the language norms of South Korea and North Korea,changes in the Chinese Korean language norms wereconsidered. Based on the 85 year’s edition of China’s “JoseonLanguage Norms”, the contents changed in the 96 year’sedition are related to consonant pronunciation, phonemes, andabbreviations, and the contents changed in the 07 year’sedition are spacing and punctuation marks. Since the 96 year’sedition, most of China’s “Joseon Language Norms” has beenrevised by referring to South Korean norms, but it alsoincludes independent revisions to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the daily language of Chinese Korean. 본고는 중국 『조선말규범집』에 나타난 중국 조선어 규범의 변화 양상을 고찰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중국 『조선말규범집』의 체재를 소개하고 여러 차례의 개판 수정한 『조선말규범집』의 내용을 그 전 판본과 비교하여 수정한 부분을확인하고 남한과 북한의 어문규범과 비교함으로써 중국 조선어 어문규범의 변화를고찰하였다. 중국 『조선말규범집』 85년판을 기준으로 96년판에 변화된 내용은 자음 발음, 음운, 준말 등과 관련된 내용이고 07년판에 변화된 내용은 띄어쓰기와 문장부호이다. 96년판 이후 중국 『조선말규범집』은 대부분 남한의 규범을 참조하여수정되었지만 중국 조선어의 일상언어의 특징을 반영하여 독자적으로 개정한 내용도 포함되어 있다.

      • KCI등재후보

        전북 지역 근대 잡지의 사적 고찰

        최명표 ( Myoung Pyo Choi ) 영주어문학회 2015 영주어문 Vol.30 No.-

        이 논문은 전라북도 지역의 문예잡지에 관한 통시적 연구 성과이다. 근대문학은 근대 매체, 특히 잡지의 발간에 많은 영향을 입고 발달하여 왔다. 연구자가이 논문에서 집중적으로 드러내려고 노력한 부분도 잡지의 발간과 편집에 참여한 작가들의 호명이었다. 그들의 헌신적인 수고 덕분에 도내에서도 근대 잡지가 발간될 수 있었다. 애국계몽기부터 해방 전까지 발간된 전라북도 지역의 문예지는 네 종류로 범주화할 수 있었다. 먼저 계몽기를 대표하는 각 학회의 학회지가 한국근대잡지사의 효두를 장식하였다. 두 번째는 한국근대문학의 기틀을 마련한 재동경조선인 유학생학우회의 기관지 『학지광』과 도내 각지의 유학생들이 펴낸 학우회지이다. 세 번째는 주로 사회주의 운동가와 청년단체에서 발간한 사상지를 들 수 있다. 네 번째는 소박하나마 문학을 표방한 문예지가 있다. 이와 같은 도내 잡지의 발간 단계를 주의깊게 살펴보노라면, 근대문학의 형성과정에 대응하는 줄 알게 된다. 그것은 ‘문학’의 외연이 전문화된다는 명분으로 점차 축소되고, 필자들의 폭이 좁혀지는 과정에 상응한다. 곧, 근대 잡지들은 학의 범주를 획정하려는 담론들이 충돌하고 갈등하는 공개적인 공간이었고, 필자들이 각자 전문 분야별로 분리되고 작가가 탄생하는 계기를 제공하였다. This thesis is a result of diachronic research on literary magazines in Jeollabuk-do. Modern literature has been developed with the great influence of modern media, especially the publication of magazines. What this researcher strived to reveal intensively here in this study regards the publication of magazines and the names of writers who participated in editing. Thanks to their dedicative efforts, it was possible to publish modern magazines in the provincial areas, too. The literary magazines of Jeollabuk-do published from the Patriotic Enlightenment Period up to the Emancipation can be categorized into four kinds. The first ones are many different societies’ journals representing the Enlightenment Period decorated the beginning of Korean modern magazine history. The second ones include 『Hakjigwang『, the organ of the in-Tokyo Chosun students’ union which laid the foundation of Korean modern literature, and the union organs published by all different students residing in the province. The third ones are the ideological magazines published mainly by socialist activists or youth groups. Lastly, the fourth ones are the literary magazines claiming to support literature though it was rather plain. Examining carefully the steps of publishing those provincial magazines, you will find it corresponds to the process of establishing modern literature. It, in fact, corresponds to the process that it got gradually reduced with the justification that the extension of ‘literature’ was becoming more specialized and the span of authors grew narrower. In other words, modern magazines were open space where discourses intended to fix the range of literature collided and conflicted and provided opportunities to separate authors by their specialized areas and generate more writers.

      • KCI등재

        루마니아어 모어 화자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교재 개발 방안-일반인과 초급단계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김훈태 영주어문학회 2018 영주어문 Vol.38 No.-

        This Korean language textbook is aimed at Romanian students and ordinary people who are studying Korean at the Korean Language Department established by the University of Babes-Bolyai. This Korean language textbook targets people of all ages from teenagers to adults and is meant to be used in a one and a half hour course per week by students who want to learn useful, but sophisticated Korean expressions in the course of liberal arts. One of the main purposes of this Korean language textbook is to not only to acquire basic language knowledge, but also to broaden the understanding of Korean culture. I hope that the students will have a role in spreading Korean culture in Romania. This text contains the creation of Hangul and its structure, where the learners come to acquire the basic knowledge of the Korean alphabet. This textbook is meant to also help people understand Korean language easily because many grammatical structures and expressions are compared to Romanian language. This textbook contains a wide range of vocabulary, grammatical structures and expressions which are used in everyday spoken Korean and strictly not to be considered about a stage level of the Korean language. 본고는 루마니아 바베쉬-보여이대학 한국어문학과에서 일반인 및 학생들을 위 해 개설한 한국어 교육과정에 사용될 교재 개발에 대해 구체적으로 논의한 것이다. 본 교재는 한국어 학습자들이 10대부터 60대에 이르는 다양한 계층이라는 점과 수 업은 일주일에 1회 1시간 30분 정도가 배정되어 1년 단위로 이루어지는 교양 수준 의 한국어 학습이라는 점이 충분히 고려되었다. 본 교재의 주된 목적 중의 하나는 학습자들에게 기본적인 한국어 지식을 교육시키는 것은 물론이고 학습자들의 한국 문화 및 한국어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는 것이다. 이를 토대로 루마니아 내에서의 한국에 대한 관심을 지속시키고 확장시키는 데에 일정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글의 창제 및 구조 등에 대한 내용도 교육시켜 한글의 우 수성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을 습득하도록 하였다. 한편, 한국어가 가진 언어학적인 특징은 물론이고 한국어 발음 학습에 있어서 학습자의 이해력을 높이고 효율적인 교육을 위해 학습자가 가진 루마니아어의 지식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즉, 한국어와 루마니아어를 비교 검토하여 그 유사점과 차이점을 교재 내용에 적극 적으로 반영하고자 하였다. 아울러 본 교재에서 다룬 어휘나 문법 및 표현 등은 한 국어 단계별 수준을 엄격히 고려하기보다는 한국의 일상생활에서 쉽게 접할 수 있 는 것들을 중심으로 구성하고자 하였다.

      • KCI등재

        「남홍량전(南洪量傳)」의 서사구조와 내용적 특징

        임치균 ( Lim Chi-kyun ) 영주어문학회 2020 영주어문 Vol.45 No.-

        「남홍량전」은 조선을 연상시키는 남접역국을 배경으로 하여 전쟁을 통한 영웅들의 활약을 그려 낸다. 「남홍량전」은 아버지, 아들, 손자 대로 이어지는 유기적 구조속에서 의심의 여지도 없이 정확하게 한 인물, 곧 남홍량에게 초점을 맞추고 있는 작품이다. 또한, 「남홍량전」에서는 수많은 전고를 활용한다. 전고들은 인물의 외모나 능력을 강조하거나, 장면이나 상황을 풍부하게 한다. 아울러 전고의 결합을 통하여 서사의 흐름에 맞게 내용을 조절하기도 한다. 특별히, 「남홍량전」에서는 경전이나 역사책의 내용 일부분을 그대로 전재하기도 하는데, 이는 화자의 논리를 강화하는 데 유용하다. 전고의 활용은 단순히 작가의 지적 능력을 드러내거나 혹은 과시하려는 의도로만 읽히지는 않는다. 필요한 전고를 적절한 곳에 두고 활용함으로써, 작품 속에서 여러 가지 효과를 발생시킨다. 문예문도 주목된다. 「남홍량전」의 문예문들은 대부분 서사의 흐름 속에 녹아 들어가 내용을 확장하고 분위기를 강화한다. 하지만 관심이 가는 것은, 서사의 흐름과 그다지 관련이 없는 「간현산간부(簡賢鏟奸賦)」이다. 여기에서는 간신의 폐해와 해결책을 제시하고 있다. 이는 간신들이 나라를 팔아먹고, 백성들은 도탄에 빠진 당시 조선의 시대상과 무관하지 않다. 「남홍량전」에는 과학에서부터 문학에 이르기까지 의론적 대화가 많다. 본고에서는 미처 다루지 못하였다. 아울러 더 많이 살펴보아야 할 전고도 남아 있다. 후속 논의로 이어지기를 기대한다. 「Namhongnyangjeon(南洪量傳)」 depicts the activities of heroes through war against the backdrop of Namjeopguk(南鰈域國) reminiscent of Joseon. 「Namhongryangjeon」 is a work that focuses on Nam Hongryang, a person who did it correctly without any doubt in the organic structure of his father, son, and grandson. In addition, 「Namhongryangjeon」 uses numerous authentic precedents. Sentiments emphasize a person's appearance or ability, or enrich a scene or situation. It also has the function of adjusting the contents according to the flow of narratives through the combination of an authentic precedents. In particular, 「Namhongryangjeon」 also contains some of the contents of scriptures and history books, which are useful for strengthening the speaker's logic. The use of an authentic precedents is not read simply as an attempt to reveal or show off the intellectual ability of the author. By placing the necessary authentic precedents in the proper place, they produce various effects in the work. Literary and artistic texts are also drawing keen attention. Most of the literary works in 「Namhongryangjeon」 melt into the flow of narratives, expanding the content and strengthening the atmosphere. But what's interesting is the 「Ganhyeon sanganbu(簡賢鏟奸賦」 which has little to do with the flow of narrative. Here It presents the evils and solutions of disloyal subject. This has something to do with the era of Joseon, when its disloyal subject sold off the country and its people were in distress. 「Namhongryangjeon」 has a lot of theoretical dialogue from science to literature. It was not yet covered in the text. In addition, there are still authentic precedents that need to be looked at. I hope it will lead to follow-up discussions.

      • KCI등재후보

        대학생들의 표준어 사용 인식 실태에 대하여 -표준어 규정을 중심으로-

        황경수 ( Gyeong Su Hwang ) 영주어문학회 2015 영주어문 Vol.31 No.-

        최근 대학에서의 ‘국어 교육’은 과목명에서 알 수 있듯이 ‘교양 국어’, ‘대학국어’ 등과 같은 이론 위주의 교육에서 ‘실용적 글쓰기’, ‘글쓰기의 실제’ 등과 같은 작문 위주의 교육으로 변화를 주고 있다. ‘국어 교육’이 보다 실용적인 글쓰기 능력을 바탕으로 대학생들의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방향으로 전환하는 것이다. 대학생들에게 필요한 언어 기능 중심의 효과적인 어문 규정 교육을 구상하기 위해서는 대학생들의 어문 규정 사용 실태를 조사하고, 분석해 볼 필요가 있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어문 규정을 공부하고 있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각 지역별 표준어 사용 실태를 조사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학생들의 표준어 사용에 대한 일반적인 인식 실태와 표준어 규정 각 조항에 따른 인지 현황 및 문제점을 파악하여 대학 교과 과정에서 어문 규정을 올바르게 가르치기 위한것이 목적이다. It has been 23 years since the standard language regulation was introduced. But, according to survey of the standard language usage of recognition and current condition of university student, we know that desirable language life was not reached yet in accordance with the standard language regulation. Through these research, we can know the standard language usage of recognition and current condition of university student and realize that most people ranging from students to ordinary person have little interest in the standard language usage within the language standard. From now on we have an endless discussion that many problems of the standard language regulation have to be completely revised. However, the sad truth is that the standard language regulation doesn``t reflect a variety of drawbacks of the real language life properly. It is essential for changes in people``s perceptions to the right standard language usage. This study looks into standard language usage of recognition and current condition based on the standard language regulation with K university student who learn the language standard. As a result, it found that conditions of the current standard language regulation are in discord with the language standard. This result implies that we need to revise the standard language regulation through study about the forms of language in actual use, because there is a great deal of difference real language life and the standard language as a rule. Due to the fact that language usage condition is not verified with distinctive features, it is sorry to not to grasp clearly regional awareness condition of standard language usage. Thus, future study that will be up and running is necessary to find out present condition of the standard language usage from student to ordinary person with more regional and hierarchical object of investig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