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익산 인문도시 사업의 현황과 과제

        강연호(Kang, Yeon-ho) 원광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6 열린정신 인문학연구 Vol.17 No.3

        이 연구는 이른 바 인문도시지원사업의 의미와 역할에 대해 논의하고, 이를 바탕으로 전라북도 익산시에서 지난 2015년부터 진행되고 있는 인문도시지원사업의 현황과 앞으로의 전망, 그리고 과제에 대해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인문도시지원사업은 대학 등의 연구기관이 지방자치단체와 함께 그 지역을 인문도시화하자는 의미에서 진행되고 있는 사업이다. 즉 시민들이 인문학을 쉽게 접할 수 있도록 인문강좌나 인문체험, 인문축제 등을 통해 인문학의 저변을 확대하고 기반을 조성하는, 인문학 대중화와 활성화 사업이라고 하겠다. 전라북도 익산은 지난 2015년부터 인문도시지원사업을 진행하여 현재 1년차 사업이 완료되고 2년차 사업이 진행되고 있다. 익산을 대표인문도시로 조성하겠다는 취지에서 지역의 다양한 역사문화 유산을 인문콘텐츠로 활용하여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익산 인문도시지원사업의 목적은 대략 세 가지로 정리되는데, 역사문화의 차원에서 지역의 역사문화 콘텐츠를 활용한 인문학 대중화에 기여하고, 시민정신의 차원에서 인문학적 소양을 기반으로 성숙한 시민사회의 문화서비스를 제공하며, 문화예술의 차원에서 지자체의 문화정책과 연계한 인문학 일상화를 도모하고자 한 것이다. 사업의 현황에 대한 점검을 통해 사업의 바람직한 진행 방향과 과제를 모색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Since 2015, Iksansi and Wonkwang University embarked the Humanities City project(InMunDoSi) in Iksan, which title is “Humanities Renaissance DaDaIksan- Ancient Capital and Humanities City Iksan”. Humanities City project has a meaning of popularization of Humanities in contemporary society of Korea. The Education Ministry and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have promoted to develop the business of humanities and the Humanities City project, including several humanities lectures, humanities experiences, and humanities festivals. Especially the Humanistic City project has been common concern for both city and universities. It would be right to deal with the importance of humanities, for it would give us an opportunity to share the benefits of humanities for the public who are alienated. The paper is organized as follows. In section two I shall examine the idea of Humanities City project(InMunDoSi) around the notion suggested by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In section three and final section I shall introduce the Humanities city project of Iksansi and Wonkwang University, current situation and tasks of Humanities City project in case of Iksan.

      • 마음인문학 공유분야의 현황과 비전 : 마음공부 공유 플랫폼을 중심으로

        백현기(Baek, Hyeon-Gi) 원광대학교 마음인문학연구소 2020 마음공부 Vol.1 No.-

        본 논문은 마음인문학 공유분야의 현황과 비전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마음인문학 공유분야가 그동안 연구한 현황 조사를 통해 확인한 현상을 바탕으로 한다. 그리고 연구소가 앞으로 나가야 할 바람직한 방향을 논의하고자 한다. 따라서 마음인문학 공유 플랫폼과 가상현실을 활용한 마음공부를 제안한다. 첫째, 마음인문학 공유 플랫폼은 다양한 사람들과 마음인문학 콘텐츠를 유기적으로 상호 교류하는 장이다. 이러한 공유 플랫폼 안에서 ‘지속적으로 다양한 마음인문학콘텐츠 수용을 통해 마음인문학 토대를 형성한다. 동시에 상호교류를 통한 마음인문학의 성장으로 새로운 가치관과 마음인문학을 창조하는 장’으로 정의하였다. 둘째, 마음공부의 많은 부분이 가상현실에서 경험할 수 있도록 제안했다. 현실세계에서 쉽게 경험하기 어려운 다양한 경험을 학습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가상현실은 마음공부의 목적 달성 측면에서도 유용한 교육방법 및 매체가 될 수 있을 것이다. 가상현실을 마음공부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교육과 재미의 요소를 적절히 조화한 교수설계 모델이 필요하다. 가상현실을 활용한 마음공부는 마음공부의 목표 달성에 도움을 주고 첨단 IT기술이 사회 전반에 영향을 미치는 변화하는 시대에 새로운 교육 수단이 될 것이다. This paper aims to present the present status and vision of the field of sharing the mind humanities. This study is based on the phenomenon that the field of sharing the humanities of the mind has been confirmed to be valid and useful as illustrated in the current status survey. And I want to discuss the desirable direction the institute should take. Therefore, I propose to study the mind using the mind humanities sharing platform and virtual reality. First, the Mind Humanities Sharing Platform is a venue for organically interacting with various people in the mind humanities content. Within this shared platform, the foundation of the mind humanities is formed through the continuous acceptance of various mind humanities contents. At the same time, it was defined as a place for creating new values and mind humanities through mutual exchange. Second, many parts of mind practice were suggested to be experienced in virtual reality. Virtual reality, which can provide learners with a variety of experiences that are difficult to experience in the real world, could also be a useful teaching method and medium in terms of achieving the purpose of mind practice. In order to apply virtual reality to mind study, a professor design model that appropriately combines elements of education and fun is needed. Mind practice using virtual reality will help achieve the goal of mind study and become a new means of education in a changing era when cutting-edge IT technology affects society as a whole.

      • 마음인문학의 회고와 전망

        장진영(Jang, Jin-Young) 원광대학교 마음인문학연구소 2020 마음공부 Vol.1 No.-

        원광대학교 마음인문학연구소는 ‘마음인문학, 인류정신문명의 새로운 희망’을 아젠다로 지난 2011년 12월 한국연구재단의 인문한국(HK) 지원사업에 선정되어 10년에 걸쳐 마음에 대한 근원적 성찰과 실천적 대안을 제시하고자 사상·치유·도야·공유의 네 분야에서 동서고금의 마음담론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였고, 다양한 학문 영역과 비교 및 융합연구를 시도하였으며, 마음의 치유와 도야를 위한 마음공부 프로그램을 개발, 현장적용 및 효과검증 등 실천연구 등을 전개하였다. 이 과정에서 연구학술 영역, 사회적 확산 영역, 토착화 영역 등으로 아젠다 구현을 위한 중점사업을 전개하였다. 먼저 연구학술 영역(4월 현재)에서는 국제학술대회 10회, 국내학술대회 41회, 그리고 소규모 학술회의 70회 이상 하였고, (저자로 HK연구진이 참여한 경우만) 총 198편의 연구논문과 총 43권의 저역서를 저술하였다. 한편 사회적 확산 영역에서는 시민강좌(마음학교), 마음지도사 양성과정, 대학교양수업, 마음인문학 특강, 언론미디어, 다큐 및 영상콘텐츠 제작 보급, 홈페이지 및 전자문화지도 등 온라인서비스 등 양질의 활동을 전개하였으며, 토착화 영역에서는 프로그램 수집 및 현장조사,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마음캠프 운용, 마음공부방 개설 등을 진행하였다. 연구 과정도 대체로 마음연구(마음의 원리적 구조적 이해, 치유·도야 이론 및 방법론 등), 이상적 인간상 및 마음공부 모델 제시, 프로그램 개발, 적용 및 효과검증, 마음지도사 양성 및 전문화, 마음공부의 일상화 등의 순서로 진행되었다. 이 과정에서 다양한 치유와 도야 모델이 제시되었는데, 이를 마음공부 모델로 제시해보았다. 먼저 마음의 ‘분별’ 유무에 따라 본성(근본심)과 현상(분별심)으로 구분하고, 다음으로 마음의 현상을 ‘의지 유무’에 따라 현상(수동적 반응)과 작용(능동적 반응)으로 구분하였다. 마지막으로 작용이 미치는 ‘범위’에 따라 몸을 매개로 안으로는 자기치유(스스로 치유) 혹은 자기 성장, 밖으로는 관계치유(더불어 치유) 혹은 관계 성장 등 응용과 확장을 할 수 있도록 하였다. ‘마음인문학’은 여전히 진행 중이다. 이제는 ‘과학혁명’을 넘어 ‘마음혁명’이 필요한 시대이다. 그동안에도 연구소는 마음의 주체를 바로 세우고, 물질을 잘 활용하여 인류 정신문명의 새로운 희망과 실천적 대안을 제시하고자 했다. 앞으로도 언제 어디서나 누구나 할 수 있는 ‘지금 여기’ 마음공부를 통해 플랫폼 구축 및 마음공부공동체 실현을 위한 한 걸음을 내디딜 계획이다. The Institute of Mind Humanities(IMH), Wonkwang University, was selected for the Humanities Korea(HK) project of the Korea Research Foundation in December 2010 with the The Mind Humanities : A New Vision for the Spiritual Civilization of Human Societies as the agenda. In order to present practical alternatives, literature comparison studies and field studies were conducted on the discourse of mind of East and West, in four fields, namely Thought, Healing, Education, and Sharing, and convergence with various academic fields such as humanities and psychology, medicine, science, pedagogy, and sociology. Attempts were made to conduct research, and development of a mind practice program for healing and toning of the mind, practical application to participate in the field such as field application and effect verification were conducted. In this process, a major project for realizing the agenda was developed in various research and academic fields, social diffusion areas, and indigenous areas. In the field of research and scholarship, 10 international conferences, 41 domestic conferences, and more than 70 small academic conferences were held, and 9 HK researchers totaled 198 research papers. More than 20 research papers were published each year by submitting, and 43 books were published. In social proliferation, quality activities such as citizen lectures, training courses for mind instructors, college classes, special lectures in mind humanities, press media, documentary and video content production, and online services such as homepage and electronic culture guidance were conducted. Additional activities include field surveys, program development and application, and opening of a mind camp or mind practice meeting. The research process was also conducted with mind research, mind practice model presentation, program development, application, effect verification, program diversification and subdivision, mind coach training and specialization, mind study daily life and daily life. Various healing and education models have been presented, and if you present a mind study model, the mind phenomenon, again with the nature (true mind) and phenomena (arising mind) depending 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discernment, is the difference between the passive and active reactions to the apocrypha, that is, will (execution). Phenomenon and action can be classified according to presence or absence. In addition, various applications and extensions such as self-healing and relational healing on the inside were suggested to be possible. IMH is still pioneering a new field of study called Mind Humanities . As a mind practical of mind humanities and now here , which unfolds the mask of abundance caused by the scientific revolution and then presents new hopes and practical alternatives to mankind through the Mind revolution , realizes a mindful community.

      • KCI등재

        로컬리티의 인문학

        문재원(Mun, Jae Won) 원광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6 열린정신 인문학연구 Vol.17 No.3

        로컬리티(연구)와 인문학의 교섭과정으로 새로운 형식으로 드러난 로컬리티의 인문학은, 무엇보다 기존의 지역학을 비판적으로 수렴하고 종합하여 메타이론으로 구성하고, 둘째, 기존 연구와 차이를 만들어 내면서 독자적 연구영역을 확보하고자 했다. 본 논문에서는 로컬리티인문학 연구단의 성과를 비판적으로 수용하면서 로컬리티의 개념이 어떻게 인문학적인 전치작업으로 수행되고 있는가, 그것의 의미는 무엇인가를 고찰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우선, 관점과 방법론을 중심으로 지역학의 흐름을 고찰한다. 그리고 로컬리티인문학의 연구지형을 방법론, 대상, 지향점에 맞추어 1)탈근대담론을 경유한 로컬리티의 개념적 전유 2)공간경계의 재해석과 다중스케일 3)인문정신의 사회화와 로컬리티 등의 측면에서 살펴본다. 이러한 연구지형은 우선, 탈근대의 흐름 안에서 로컬리티담론이 어떻게 부상하고 있는가, 로컬리티 개념을 인문학에서 어떻게 전유할 수 있는가를 확인할 수 있고, 근대적 시공간의 폭력성을 넘어서는 새로운 공간-로컬리티에 대한 상상을 제공할 수 있다. Locality and humanities appearing as a new form, from the bargaining process between locality(study) and humanities attempt to critically accommodate and generalize the existing regional studies and develop them into a meta theory, and then establish its own research areas by achieving performances different from those of previous ones. This paper initially considers the flow of regional studies around some perspectives and methodologies. It also examines the study topography of locality and humanities, from three aspects: 1)conceptual appropriation of locality via postmodern discourse 2) reinterpretation of spatial boundaries and multi-scale 3) Socialization of Humanities. This research topology first confirms how locality discourse is emerging in the flow of postmodernism, how concept of locality can be appropriated in humanities, and provides a new space-locality imagination beyond violence in modern time and space.

      • KCI등재

        〈大學公議〉를 활용한 대학생들의 글쓰기 전략과 지도 방안

        유승섭(Yu, seungsub) 원광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20 열린정신 인문학연구 Vol.21 No.3

        본고는 교수의 학습 지도안을 통해 대학생들이 논증적 텍스트인 〈大學公議〉의 글쓰기 방식을 모방하여 두려움을 해소하고 논리적 글을 전개하는 데 목표를 두었다. 〈大學公議〉가 비록 난해하더라도 그 전개 방식이 논리적이고 현상을 바라보는 관점이 비판적이어서 이를 讀書하고 分析하는 훈련을 한다면 글쓰기 능력 향상에 도움이 될 것이라 보았다. 본고는 3장에서 〈大學公議〉의 내용과 전개 방식을 분석하는 예를 들고, 4장에서 앞 장에서 분석한 텍스트를 모델 삼아, 다양한 戰略으로 글쓰기 교육을 지도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텍스트를 분석한 결과 〈大學公議〉의 주제는 인간은 ‘孝‧弟(悌)‧慈’란 도덕윤리를 실천하는 데서 善이 發現된다는 것이었다. 〈大學公議〉의 전개 방식은 ‘前提-論據-結論’과 같이 대개 演繹的이고, 명제문 형식과 ‘孝·弟·慈’같은 핵심 어구를 사용하여 독자와 직접 소통하는 방식이었다. 隱喩와 比喩法, 設疑法 등을 취하지 않았다. 이런 분석이 논리적 글의 표준 모델이 된다고 보고, 이 모델이 현대적인 글에 얼마나 잘 符合하는지 比較‧對照했다. 그리고 이후 새로운 주제를 제시하여 모델화한 틀을 참고하여 글쓰기를 지도하는 시범을 보였다. 곧 제4장에서 모델대로 글을 써보는 교수‧학습 계획안을 제시했다. 4차시로 정해 단계별로 지도했다. ‘주제 정하기-내용 생성하기-개요 짜기-전개하기-고쳐 쓰기’를 정하여 다양한 戰略으로 글쓰기 방식의 시범을 보였다. 이때 세 종류의 〈학습보조자료〉도 마련하여 글쓰기가 보다 수월하게 이뤄질 수 있도록 했다. 모방적 글쓰기는 『화법과 작문』의 성취기준 중 “내용의 조직과 전개 과정에서 다른 글을 참조하여 활용한다.”와 “『고전 읽기』를 통해서 ‘고전의 가치’와 ‘수용’ 그리고 ‘국어 능력’을 길러 바람직한 국어문화 창조에 참여하는 태도를 함양할 수 있다.”의 基準에 符合한다. 이에 본고는 두 성취 기준을 실현할 수 있도록 교수·학습안을 제시하여 대학생들의 글쓰기 능력 향상에 기여하고자 했다. This study analyzed Dasan’s writing method of 〈DaehakGongui〉 and suggested a way to use it in actual education field. I believe that this method will have a considerable effect on beginners who enter the writing or learners who are afraid of writing. This article discussed the following to help them.: First, Dasan looked at what he was trying to say and how he was going to say through 〈DaehakGongui〉. 〈DaehakGongui〉 is a criticism of the contents as well as redesigning ‘Samgangryeong’ and ‘Paljomok’ designed by ‘Juhi’ for 『The great Learning』, one of the so-called four Confucian books in the Orient. However, the criticism method is detailed and holds many arguments. The criticism method set a premise and chose a deductive method that led to conclusions with many arguments. In the content, the runner’s interpretation of 『The great Learning』 emphasized the “practical ethics” that matches the real life, warning of the risk of falling into an empty theory or controversy. This article analyzed and structured the systematic writing method of Dasan and attempted to imitate writing using parody technique. This method can be used effectively in the educational field. Specifically, the stage of imitative writing is as follows. First, introduction of writing method and reading of work, second, creation and outline of contents, third, writing and group evaluation, fourth, overall evaluation and rewriting. First, the structure of the writing of 〈DaehakGongui〉 is examined and the contents are grasped. Second, the theme is set by group and the contents are found and arranged. Third, it is to publish representative articles. Through this process, the deficient parts are supplemented and the wrong parts are corrected and completed.

      • KCI등재
      • KCI등재

        圓光大 소장 明刊本 23종에 대한 淺考

        강찬수(Kang, Chan-soo) 원광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21 열린정신 인문학연구 Vol.22 No.2

        필자는 원광대학교 중앙도서관에 소장된 22,000여 권의 고서 가운데 조선 간행본과 중국 간행본을 나누는 1차 전수조사 과정에서 먼저 그 간행시기가 비교적 앞서는 明刊本 23種을 선별해 내었다. 이에 이 고서의 주요 판식 사항, 간행인, 현전 판본 상황 등에 대해 역대 목록서와 관련 문헌 기록을 조사하고, 국내외 고서기관에 소장된 판본과 비교 검토하여 기존에 도서관에서 소개한 서지사항 중의 오류를 수정하고 또 새롭게 발견된 서지정보를 추가로 제공하고자 한다. 특히 이번 조사에서 발견된 成化 16년(1480) 尙仁齋 간행본 《新箋決科古今源流至論》과 만력 19년(1591) 간행본 《文選纂註評苑》은 지금까지 국내외 학계에서 전혀 언급되지 않은 매우 희귀한 판본이자 이 책들의 판본 계통을 보완할 수 있는 귀중한 문헌 자료로 평가된다. 그리고 天啟五年(1625)에 朱養純이 간행한 花齋刻本 《管子》와 萬曆間 吳勉學 重校本 《六臣註文選》도 국내에서 유일하게 원광대에만 소장된 판본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번 조사 결과는 현재 중국 정부와 학계의 주도하에 대부분의 明刊本을 “國家珍藏稀貴古籍名錄”으로 분류하고 있는 상황을 고려할 때 국내 소장 명간본이 지니고 있는 문물 가치로서의 의미를 넘어 한중 양국 간의 문화적 공감대를 형성하는 데 있어 매우 중요한 토대가 될 뿐만 향후 이 고서를 대상으로 한 文本 측면에서의 심도 있는 연구에도 중요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investigates and summarizes the major engravings, publishers, and current editions of the book, focusing on twenty-three types of books printed during the Ming Dynasty, through the first survey of ancient Chinese books in the central library of Wonkwang University. For the first time, I find XinjianJuekeGujinYuanliuZhilun(新箋決科古今源流至論) published in Shangrenzhai(尙仁齋), Fujian Province in 1480 and WenxuanZhuanzhuPingyuan(文選纂註評苑) published in 1591. These two books are rare books that have never been introduced in academia, will supplement the version system of these books. Though analysis of these books, I investigate that Zibu(子部) and Jibu(集部) account for 82% of all, Books published in the late Ming Dynasty account for 95% of all, and most of the books are published in Jiangsu Province and Zhejiang Province. In addition, I investigate the situation of several book editions that I had never grasped during the collation of ancient book appraisal, and provide more accurate publication information.

      • KCI등재

        익산 백제문화유산의 디지털콘텐츠 활용 연구

        이명진,원도연 원광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7 열린정신 인문학연구 Vol.18 No.3

        This study is a practical study that suggests ways to utilize Baekje Cultural Heritage of Iksan as digital contents in museum. In Iksan, there are concentrated relics related to King Mu in the late Baekje period. As a result of archaeological excava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remains of Archaeological Site in Wanggung-ri, which retains the appearance of the ancient palace and Mireuksa Temple Site which was the site for the Eastern largest temple with 3 stone pagodas and 3 main buildings were found. Since sarira reliquary was found in the process of disassembling the stone pagoda in Mireuksaji in 2009, we could re-highlight the historical and cultural values of Baekje. Baekje Cultural Heritage in Iksan has become known worldwide as it is listed in the UNESCO World Heritage List in 2015, exceeding the value of the local history. Interest in Baekje Cultural Heritage in iksan was amplified. However, Iksan has been reluctant to develop contents for utilizing the Baekje cultural heritage. Mireuksa relics exhibition museum and Wanggung-ri relics museum which are operated near the ruins, are exhibiting static exhibitions entered on artifacts excavated from the ruins. Mireuksa Temple Site and Archaeological Site in Wanggung-ri require visitors to imagine their historical environment. Therefore, new forms of content must be developed. Recently, the trend of exhibiting museums is changing with the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The emergence of digital technology has transformed the paradigm of exhibition. In particular, virtual reality contents using realistic technology are attracting attention. However, it isconcentrated in the field of digital technology, so it doesn't highlight the story of relic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monstrate a new role for the humanities in the digital contents industr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convergence direction of digital technology and humanities by proceeding the planning which is the basic design of digital contents production. 본 연구는 익산의 백제문화유산을 박물관에서 디지털콘텐츠로 활용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한 실천적 연구이다. 익산은 백제 후기 무왕과관련된 유적이 집중 분포되어 있다. 고고학적 발굴조사 결과, 고대 왕궁터의 모습을 간직한 왕궁리유적(王宮里遺蹟)과 동양최대 3탑 3금당의 사찰터인 미륵사지(彌勒寺址)가 확인되었다. 그리고 2009년 미륵사지석탑 해체과정 중에는 사리장엄구가 출토되어 백제의 역사적, 문화적가치를 재조명할 수 있었다. 익산 백제문화유산은 향토사적 가치를 넘어 2015년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됨에 따라 그 가치가 전 세계적으로 알려지게 되었다. 그리하여 익산 백제문화유산에 대한 국민적 관심은 증폭되었다. 하지만 익산은 문화유산 활용을 위한 콘텐츠 개발에 소극적이다. 유적 인근에서 운영 중인 국립미륵사지유물전시관과 왕궁리유적전시관은 유적지에서 발굴된 유물 중심의 정적인 전시가 이루어지고 있다. 미륵사지와 왕궁리유적은 매장문화재 특성상 관람객에게 과거 역사환경에 대해 상상력을요구한다. 따라서 새로운 형태의 콘텐츠가 개발되어야 한다. 최근 박물관 전시의 흐름은 디지털 기술의 발달과 함께 변화하고 있다. 디지털 기술의 등장은 전시의 패러다임을 전환시켰다. 특히 실감기술을 활용한 가상현실 콘텐츠가 각광받고 있다. 하지만 디지털 기술분야에 집중되어 있어 정작 유물이나 유적이 담고 있는 스토리를 부각시키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는 디지털 중심의 콘텐츠 산업에서 인문학 분야에 요구되는새로운 역할을 실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디지털콘텐츠 제작의 기초설계인 기획을 본 연구에서 진행해봄으로써 디지털 기술과 인문학의융·복합 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 KCI등재

        익산의 농업기반과 문화정체성

        양은용 원광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8 열린정신 인문학연구 Vol.19 No.3

        How can we establish the Iksan studies? This paper is a discourse to suggest to set up this task and establish the cultural foundation and identity. Iksan is located on the place where the mountainous area that take up 70% of the whole land of the country is connected to the plain regions. Accordingly, the production of rice farming in the plain area made this region develop into a strategic points in economy, politics, military, and culture from ancient times. Early, all were established in this area such as the establishment of the Geonma Kingdom of Mahan according to the policy of coming down to the south by King Jun of Gija Joseon, movement of the capital of King Mu in the later period of Baekje, and the Bodeok Kingdom by Anseung who was a drifting people after the collapse of Goguryeo Dynasty. As well as the construction of the Hwangdeung Embankment and Lake crossing over the Jeolla Province (honam) and the Chungcheong Province (hoseo), the Great Battle of Jinpo that people repelled the Japanese raiders (waegu) at the later period of Goryeo Dynasty (1380) when Iksan got the name of Ikju, was an incident that happened in connection with the extortion of rice from the Deokseong Storage in Ung’po of this region. In Iksan that had been the agriculture-based, the urbanization was promoted in relation with the railway construction like the Honam line in 1912 and the Jeolla line in 1914 during the period of Japanese ruling. While the construction to make the Man’gyeong River straight was done from 1925 to 1937, and the Gyeongcheon Reservoir was completed from 1932 to 1935, the Hwangdeung Embankment and Lake was filled in. Iksan city was in the system of Iksan-Gun, and Iri-Bu in 1947, and Iksan city was established where city and agriculture were combined in 1995. However, it became a city without water though it exists between the Geum River and Man’gyeong River. As the Mahan and Baeckje Cultural Research Center of Wonkwang University started the excavation of the old site of Mireuk Temple in 1974, and the historical recovery was promoted, this region proved to be a cultural area of ancient times. As the result, it was designated as an old capital along with Gyeongju, Gongju and Buyeo in 2010, and the historical district of Baekje was listed as the World Heritage by the UNESCO in 2015. However, Iksan, located between the Geum River, and the Man’gyeong River, became a city without water, and it’s historical remains like the Great Battle of Jinpo has been distorted by the projects that pagodas and steles were built up in neighboring regions rather than the historical investigation or development project were done. Accordingly, the work is suggested as a priority task in the Iksan studies to set up a right history of Iksan while establishing the features as the agriculture-based city like the food cluster. 익산학은 어떻게 정립되어야 하는가? 본고는 이러한 과제를 설정하고 그 문화적 기반과 정체성을 확립하기 위해 제기하는 담론이다. 전국토의 7할을 차지하는 산악지역에서 평야지대로 이어지는 지점에 익산은 위치한다. 따라서 평야지대의 도작(稻作) 소출은 고래로 이 지역을경제․정치․군사․문화의 요충지로 발전시켰다. 일찍이 기자조선 준왕(準 王)의 남래 정착과 마한 건마국(健馬國), 백제 말기 무왕(武王)의 천도, 그리고 고구려 멸망후 유민들에 의한 안승(安勝)의 보덕국(報德國)이모두 이 지역에 건설되었다. 호남과 호서를 가르는 황등제호(黃登堤湖)의 건설은 물론, 익주(益州)라는 이름을 얻은 고려시대의 말기(1380)에 왜구를 물리친 진포대첩(鎭 浦大捷)이 이 지역 웅포의 조운창(漕運倉)인 덕성청(德城倉)의 미곡(米 穀)탈취와 관련해서 일어난 일이다. 이러한 농업기반의 익산은 일제시대인 1912년 호남선, 1914년 전라선 철도건설과 관련해서 도시화가 추진되었는데, 1925-1937년 만경강 직강(直江)공사가 이루어지고 1932-1935년경천저수지를 완공하면서 황등제호를 메워버렸다. 익산시는 1947년 익산군․이리부(부, 시) 체제에서 1995년 도농통합의익산시가 이루어졌으나, 금강과 만경강 사이에 존재하는 도시이면서도물이 없는 도시가 되었다. 1974년 원광대학교 마한백제문화연구소에서미륵사지 발굴을 시작으로 역사 복원이 추진되어 이 지역이 고대문화지역임이 밝혀졌다. 그 결과 2010년 경주공부․부여와 함께 고도(古都)로지정되었고, 2015년 백제역사지구가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되기에 이르렀다. 그러나 금강과 만경강 사이에 위치한 익산은 물 없는 도시가 되었고, 진포대첩과 같은 역사유적은 고증작업이나 현창사업이 이루어지는 대신, 이웃지역에서 탑․비를 세우는 등 왜곡을 하기에 이르렀다. 따라서익산은 식품클러스터와 같은 농업기반 도시로서의 면모를 확립하면서역사를 바로 세우는 작업이 익산학의 전개에 선결과제로 제기된다.

      • KCI등재

        공감과 성찰로서의 문학적 상상력과 인문학

        강연호(Kang Yeon-ho) 원광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5 열린정신 인문학연구 Vol.16 No.2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eal the characteristics of literary imagination as sympathy and reflection and the prospects of humanities. Recently there have been many discussions of sensibility, ethics, healing, sympathy and reflection. All these discussions are in reference to the characteristics of literary imagination. The sympathy and reflection is especially helpful in explaining the rules of the literature which is based on fictional imagination. In this regard we can also think about the crisis of literature and the crisis of humanities. All discussions on the crisis of humanities and the crisis of literature must become method of resistance in itself. In conclusion, we need to preserve and maintain literary identity with the ability to sympathy and reflection. Essentially the humanities and the literature exist as a process of thought which deal with its crisi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