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우울이 정치참여에 미치는 영향

        변준수,최태준,김지현,정유진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건강정책학회 2022 비판사회정책 Vol.- No.74

        Depression can cause major problems in sense of that it may negatively affect an individual’s political participation, which leads to the unequal distribution of socioeconomic resources. This study tried to investigate whether depression decreases political participation in the Korean sociocultural context. This study selected 6,304 people aged 15 or over in Seoul from the 2010 Seoul Welfare Panel Survey. The independent variable was defined as whether one has mild or moderate depression, measured by Zung Self-Rating Depression Scale (SDS). The dependent variable was defined as whether one participates in a political group. Logistic regression models were fitted in the total population sample, male sample, and female sample. Results showed that, when political group participation was narrowly defined, the probability of political group participation was significantly lower when one had more than mild depression for all three samples. When political group participation was broadly defined, the probability was significantly lower when one had more than moderate depression for the female sample, However, the probability was significantly higher when one had more than mild depression for the male sample. One possible explanation of this finding for the female sample is the higher level of somatization during the depression for females than males. The contrasting finding for the male sample shows the sociocultural context which is specific in Korea. Seen as one of the highest levels of political involvement, participating in a political group seems to be easily tolerated as a way to express one’s depression for the male population. A limitation of this study is that the results do not suggest a causal relationship, as it used cross-sectional data. Nevertheless, this study demonstrates the population with depression may be neglected in shaping Korea's mental health policy. This study further suggests that promoting their participation in politics is crucial. In future studies,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political participation may be investigated, especially when more data with variables that measure political participation is available. 우울은 사회경제적 자원의 분배를 결정하는 정치참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한 문제이다. 본 연구는 한국적 맥락에서 우울이 정치참여를 저하시키는지 실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시복지패널 2010」의 서울시 15세 이상 6,304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독립변수로 쭝 우울척도(SDS)를 이용한 우울 경미 이상, 중증도 이상의 우울 여부, 종속변수로 정치단체 참여 여부를 두었으며,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전체인구 표본, 남성 표본, 여성 표본에 대하여 각각 실시하였다. 그 결과, 정치단체 참여의 기준을 높게 잡았을 때, 전체인구 표본, 남성 표본, 여성 표본 모두에서 경미 이상의 우울인 경우에 정치단체 참여 가능성이 유의하게 더 낮게 나타났다. 정치단체 참여의 기준을 낮게 잡았을 때, 여성 표본에서는 중증도 이상의 우울인 경우에 그 가능성이 유의하게 더 낮고, 남성 표본에서는 경미 이상의 우울인 경우에 그 가능성이 유의하게 더 높게 나타났다. 여성에서 우울한 경우에 정치단체 참여 가능성이 더 낮게 나타난 것은 우울 시에 발생하는 신체화 증상이 여성에게서 더 심하기 때문으로 보인다. 또한, 남성에서 우울한 경우에 정치단체 참여 가능성이 오히려 더 높게 나타난 것은, 한국의 사회문화적 맥락상 비용이 크고 어려운 정치참여인 정치단체 참여로 우울을 표출하는 것이 남성에게 용인되기 더 쉬운 결과로 보인다. 본 연구는 단면연구로서 인과적 연관성이 명확하지 않다는 한계를 갖는다. 그럼에도 본 연구는 우울인구의 정치참여가 작아 한국의 정신보건정책에 우울인구의 목소리가 반영되기 힘들 가능성을 밝히고, 이들의 참여를 증진할 필요를 제시했다는 데에 함의를 갖는다. 향후에는 정치참여 관련 변수가 추가된 자료의 축적을 기반으로 인과적 연관성이 뚜렷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일개 대학병원에서 종합검진을 받은 직장인에서 우울증과 심혈관위험요인과의 관계

        최종원,조정진,장혜미,김찬원,송홍지,백유진,박경희,최환석 대한가정의학회 2008 Korean Journal of Family Medicine Vol.29 No.9

        연구배경: 성인에서 우울증이 심혈관질환 위험도 및 심혈관질환 위험요소들의 위험도를 증가시킨다는 외국의 연구들이 있었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는 이에 대한 연구가 별로 없었다. 본 연구는 직장인의 우울증과 각각의 심혈관질환위험요인의 관계에 관하여 평가하고자 하였다. 방법: 2005년 3월 1일부터 11월 30일 까지 한림대학교병원 건강검진센터에서 건강검진을 시행한 직장인 2,095명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시행하여 우울증과 심혈관질환 위험요인과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 depression scale (CES-D) 점수 21점을 기준으로 비우울증군과 우울증군으로 나누어 독립변수로 두고 고혈압, 당뇨, 고지혈증, 비만을 종속변수로 두어 우울증이 심혈관질환 위험요인을 높이는지 여부 대해 다중 로지스틱 회귀 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우울증의 유병률은 15.5% (324명)이었다. 단변량 분석 결과 고혈압과 고지혈증, 비만이 우울증과 관련이 있었다. 고혈압은 우울증군에서 25.2%로 비우울증군의 16.1%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P<0.001). 고지혈증은 우울증군에서 11.1%로 비우울증군의 6.6%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P=0.004). 비만의 경우 우울증군에서 39.5%로 비우울증군의 33.1%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P=0.026). 당뇨의 경우 우울증군에서 6.0%로 우울증군의 3.7%로 높았으나 유의하지 않았다(P=0.06). 다중 로지스틱 회귀 분석 결과 우울증 여부는 고혈압과 고지혈증과 유의한 관계를 보였으며, 교차위험비는 각각 1.41 (95% CI 1.04∼1.91), 1.59 (95% CI 1.05∼2.40)이었다. 결론: 우울증군이 비우울증군에 비해 고혈압과 고지혈증이 유의하게 높았으며 당뇨와 비만과는 관련성이 없었다. 본 연구는 단면조사 연구로 우울증과 심혈관질환 위험요인과의 인과관계를 밝힐 수 없었다. 이를 위해 우울증과 심혈관질환 위험요인간의 인과관계에 관한 전향적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Background: Depression increases the risk of cardiovascular risk factors in adults. However, the association between depression and cardiovascular risk factors was not well evaluated in South Korea. Our study was done to evaluate the association between depression and cardiovascular risk factors in workers. Methods: The study population was selected among adults working in several industries that had more than 50 employees. They had received their medical examinations at the Health Promotion Center of Hallym University Sacred Heart Hospital between March and November 2005. We estimated the odds ratio to determine whether depression (Korean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 Depression Scale score ≥21) was associated with each cardiovascular risk factors (hypertension, diabetes mellitus, hypercholesterolemia, and obesity). Results: The prevalence of depression was 15.5%. Depression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hypertension (P<0.001), obesity (P=0.03) and hypercholesterolemia (P=0.004). The adjusted odds ratio for hypertension and hypercholesterolemia were 1.41 (95% CI 1.04∼1.91) and 1.59 (95% CI 1.05∼2.40), respectively. The association between depression and obesity was eliminated after adjustment (1.25, 95% CI: 0.97∼1.61). Conclusion: Depression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hypertension and hypercholesterolemia in workers. Further long-term study on the association of depression with cardiovascular risk factors is necessary.

      • KCI등재후보

        한국성인에서 영양소 섭취 상태와 우울증과의 연관성: 2014년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박서연,한아름,신새론,어재은 대한가정의학회 2019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Vol.9 No.2

        Background: Many studies have assessed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nutrient element and depression independently, but few have assessed the effect of dietary intake on depression, as diagnosed using the Patient Health Questionnaire (PHQ-9).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dietary intake and depression, which was diagnosed using the PHQ-9. Methods: This study used the second data set (2014) from the six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NES). Our analysis included 5,897 persons who answered the PHQ-9, aged 20 to 60 years. They were categorized into either a male or female group, which were then subdivided into a depression group of patients who were diagnosed using the PHQ-9, and those without depression (control group). The patients’ dietary intakes were obtained using the 24-hr recollection method in KNHNES. The relationship between dietary intake and depression was investigated for each group. Results: In males, dietary intake was not associated with depression in both groups, except in relation to carotene. While in females, the depression group had lower fiber and vitamin C dietary intake than the control group (fiber P=0.015, vitamin C P=0.020). The dietary intakes of all other nutrients had no associations between the depression and control groups, in both males and females. Conclusion: According to our results, low dietary intake of fiber and vitamin C may be associated with depression in femal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a diet regimen that includes fiber and vitamin C may help prevent and reduce depression in females. 연구배경: 많은 연구들이 각각의 영양성분과 우울증의 관계를 평가해왔으나, 한국판 우울증 선별도구(Patient Health Questionnaire,PHQ-9)에 의해 진단된 우울증에 대한 식이섭취의 영향은 거의 평가되지 않았다. 본 연구는 식이섭취와 PHQ-9에 의해 진단된 우울증과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방법:본 연구는 국민건강영양조사(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제6기 2차(2014년)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대상은 만 20세 이상에서 60세 이하의 성인 중 PHQ-9에 응답한5,897명이며, 이들은 남성과 여성으로 나누어, 각각의 군은 PHQ-9에의해 진단된 우울증 군과 대조군으로 분류하였다. 식이섭취는 24시간 회상법을 이용하였다. 각군의 식이섭취와 우울증과의 관계를 평가하였다. 결과:남성에서는 우울증 군과 대조군 모두 카로틴을 제외한 식이섭취가 우울증과 관련이 없었다. 반면 여성에서는 우울증 군이 대조군에 비해 낮은 섬유소와 비타민 C 섭취를 보였다(섬유소 P=0.015, 비타민 C P=0.020). 남성과 여성 모두에서 다른 영양소들의 식이섭취가우울증 군과 대조군 간의 차이가없었다. 결론: 본 연구에서는 여성에서 섬유소와 비타민 C의 낮은 식이섭취는 우울증과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들은 여성에서섬유소와 비타민 C를 포함한 식이요법은 우울증의 예방과 감소에도움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 일반인의 우울 정도와 불안 및 일상 생활 스트레스와의 관계에 대한 예비조사

        황장호(Jang-Ho Hwang),권정화(Jungwha Kwon),조지희(Jee-Hee Jo) 대한사회정신의학회 2000 사회정신의학 Vol.5 No.2

        연구 목적: 일반인을 대상으로 우울증의 유병률을 조사하고, 우울증과 불안 및 일상 생활 스트레스와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서울시 산하 보건소를 이용하는 일반 시민을 대상으로 Zung의 자가 평가 우울 척도, Zung의 자가 평가 불안 척도, 일상 생활 스트레스 평가 척도(daily stress inventory)를 이용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얻어진 663명의 자료를 사용하였다. 우울증의 유병률과 사회인구학적 특성 및 정신과 치료병력 등을 조사하고, 불안과 일상 생활 스트레스의 우울증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결 과: 연구대상자들의 우울 척도 평균점수는 42.20±8.55이고, 63.1%(418명)가 경도 이상의 우울 증상을 보였다. 세분하여 보면 전체 연구대상자의 4.4%(N=29)는 고도의 우울 증상을, 26.1%(N=173)는 중등도의 우울 증상을, 32.6%(N=216)는 경도의 우울증상을 보였다. 경도 이상의 우울 증상을 보인 연구대상자들 중에서 0.8%(N=5)만 현재 우울증으로 치료받고 있고, 2.4%(N=16)가 과거에 우울증으로 치료받은 적이 있다고 하였다. 우울 증상과 유의한 관계가 있는 사회인구학적 특성은 발견되지 않았다. 우울 정도와 불안척도는 유의한 상관관계(r=0.555, p<0.01)를 보였고, 일상 생활 스트레스도 우울 정도와 유의한 상관관계(r=0.263, p<0.01)를 보였다. 결 론: 일반인을 대상으로 우울증 선별검사를 실시하여 우울증 환자들을 선별할 수 있었으나, 우울 증상과 유의한 관계가 있는 사회인구학적 특성은 발견하지 못하였다. 불안과 일상 생활 스트레스는 우울 증상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여주어 우울증과 관련되는 요소임을 알 수 있다. 우울 증상을 갖고 있으면서 현재 치료를 받고 있는 사람은 극소수였다. 우울증이 미치는 영향에 대한 계몽과 함께 정신과적인 도움을 보다 쉽게 받을 수 있는 장치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Objectives: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revalence of depression in general population and to find the relationships of the severity of depression, anxiety, and minor stressors. Method:By using the survey on 663 volunteers at 3 public health centers in Seoul, the authors examined the prevalence of depression,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the psychiatric treatment history of subjects. The Zung self-rating depression scale(SDS) and the Zung self-rating anxiety scale(SAS) were used to measure severity of depression and anxiety. The daily stress inventory(DSI) was used to measure minor stressors. Results:The mean depression score of the subjects was 42.20±8.55 and 63.1%(N=418) of the subjects had at least mild depressive symptoms. Of all subjects, 4.4%(N=29) had severe, 26.1%(N=173) had moderate, and 32.6%(N=216) had mild depressive symptoms. Only 0.8%(N=5) of the depressed respondents were treated currently and 2.4%(N=16) were treated previously for their mental health problems. Depressive symptoms had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s with any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 severity of depression had a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with anxiety(r=0.555, p<0.01) and daily minor stressors(r=0.263, p<0.01). Conclusion:In public health centers, the education and screening test for depression provide a good opportunity for identifying the unidentified and untreated individuals with depression. There is need for public health initiatives to detect and treat depressive peoples who could not receive any mental care.

      • KCI등재

        우울감을 주소로 내원한 환자들에서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장애 증상의 공존율 분석

        정미영,박서영,김정호,임우영,이연정 한국정신신체의학회 2019 정신신체의학 Vol.27 No.2

        Objectives:Cognitive dysfunction, including inattention, is often observed in patients with depression. Inattentive symptoms in patients with depression is similar to those among attention 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ADHD) patients. It is important to diagnose the two diseases accurately, because the treatment varies depending on the cause of inattention.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coexistence rate of ADHD and the correlation between ADHD symptoms and depression in patients with depression. Methods: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158 outpatients presenting with depression, who visited the psychiatric department from March 2015 to July 2018. Participants divided into a depression and a non-depression group according to the Korean version of the Center for Epidemiological Studies-Depression Scale (CES-D) score and were administered the following : a sociodemographic variables form (age, sex, academic background, occupation), the self-reporting test for adult ADHD (Adult Attention 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self-report scale-V 1.1; ASRS V1.1), and the Korean version of the Connors adult ADHD rating scale (K-CAARS).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crossover analysis, t-tests,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were conducted on the data. Results:The coexistence rate of adult ADHD symptom was as high as 36.7% in patients with depression (p<0.001). In K-CAARS, the depression group (Inattention=1.80, Hyperactivity=1.92, Impulsivity=1.56, Selfconcept= 2.06) showed higher average scores on ADHD symptoms than the non-depressive group (Inattention= 1.28, Hyperactivity=1.25, Impulsivity=1.09, Self-concept=1.42, p<0.001). Conclusions:This study confirmed that ADHD symptoms coexist in the depression group. When evaluating the symptoms of patients who complain of depression, it is suggested that they should be accurately diagnosed and appropriately treated with interest to the coexistence of ADHD symptoms and the possibility for ADHD diagnosis. 연구목적우울증 환자들에게서는 부주의를 포함한 인지기능 저하는 흔히 동반된다. 우울증 환자들에게서 나타나는부주의 증상은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Attention 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ADHD)에게서 나타나는증상과 유사한 양상을 보인다. 부주의 증상의 원인에 따라 치료가 달라지므로 두 질환을 정확히 진단하는 것이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우울감을 주소로 내원한 환자들에서 ADHD 증상의 공존율과 증상 별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한다. 방 법2015년 3월~2018년 7월까지 우울감을 주소로 순천향대학교 부속 서울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외래에 내원한158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모든 대상자들은 사회인구학적 특성(연령, 성별, 학력, 직업), 한국판 역학연구센터 우울척도(The Center for epidemiological Studies-Depression Scale, CES-D), 성인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자기보고척도(Adult Attention 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self-report scale-V 1.1, ASRS-V 1.1), 한국판 코너스 성인 ADHD 평정척도(Korean-Conners’ Adult ADHD Rating Scale, K-CAARS)를 수행하였다. 우리는 우울증군과 비우울증군을 CES-D점수로 분류하였으며, 자료처리는 기술통계분석, 교차분석, t-tests, 피어슨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 과성인 ADHD 증상 공존율은 우울증군에게서 36.7%로 높았다(p-value<0.001). K-CAARS에서 ADHD 증상정도는 우울증군(Inattention=1.80, Hyperactivity=1.92, Impulsivity=1.56, Self-concept=2.06)이 비우울증군(Inattention=1.28, Hyperactivity=1.25, Impulsivity=1.09, Self-concept=1.42) 보다 높게 나타났다(p-value< 0.001). 결 론본 연구에서는 ADHD 증상이 우울군에서 공존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우울감을 호소하는 환자의 증상을평가할 때, ADHD 증상의 공존 여부와 ADHD 진단 가능성에 관심을 가지고 정확하게 진단하고 적절한 치료를 병행해 나가야 한다고 제안한다.

      • KCI등재

        어머니우울, 아동기외상, 아동우울과 친구애착 및 청소년기 사이버관계중독의 관계

        하문선(Ha MoonS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23

        본 연구에서는 한국복지패널자료(Koweps)를 활용하여 어머니우울, 아동기외상, 아동우울, 친구애착 및 청소년기 사이버관계중독의 관계를 검증하였다. 구조방정식모형을 적용한 결과, 어머니우울은 아동기외상에 .161, 아동기외상은 아동우울에 .529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아동우울은 친구애착에 -.255, 친구애착은 사이버관계중독에 -.171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어머니우울과 청소년기 사이버관계중독 간 관계에서 아동기외상, 아동우울 및 친구애착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Bootstrapping 절차에 따라 추정한 결과, 어머니우울과 친구애착간 관계에서 아동기외상과 아동우울의 다중매개효과가 유의하였고, 아동기 외상과 청소년기 사이버관계중독 간 관계에서 아동우울과 친구애착의 다중매개효과가 유의 하였다. 특히 어머니우울과 청소년기 사이버관계중독 간 관계에서 아동기외상, 아동 우울 및 친구애착이 연속적으로 다중매개효과가 나타났다. 본 연구는 어머니의 부적응과 아동기 부적응 및 청소년기 부적응 문제 간 관계를 종합적으로 탐색하고, 이에 대한 구체적 개입 방안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depression, childhood trauma, children`s depression, peer attachment, and adolescent cyber-relationship addiction using Koweps(Korean Welfare Panel Study). The result of the final model test indicate that maternal depression had a .161 impact on childhood trauma, and childhood trauma .529 on children’s depression. In addition, children’s depression had a -.255 effect on peer attachment, and peer attachment -.171 on cyber-relationship addiction. Next, the Bootstrapping procedure was used to confirm the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depression and adolescent cyber-relationship addiction. As a result, multiple mediating effects of childhood trauma and children`s depression were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depression and peer attachment. Also, multiple mediating effects of children`s depression and peer attachment was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hood trauma and adolescent cyber-relationship addiction. In particular,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depression and adolescent cyber-relationship addiction showed successive multiple mediating effects of childhood trauma, children’s depression, and peer attachment.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comprehensively explores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 problem, childhood problem, and adolescent problem and suggests specific intervention methods.

      • KCI등재

        연령이 노령계층 우울에 미치는 영향: 서울시를 중심으로

        전형준,김한양,전경구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2022 한국지역사회복지학 Vol.- No.8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a relationship between elderly depression and age, considering other risk factors such as life-span characteristics and subjective neighborhood perception. The study employed the regression model and multinomial logit model with a data 2017 Seoul Community Health Survey released by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KDCA). In the study an asymmetrical U pattern between depression and age is suggested without other risk factors of depression. With regression models in which risk factors including lifespan related personal and household factors and subjective neighborhood perception are controlled, this paper suggested that age was still significant even if the slope of graph of age was diminished. Also this study suggested that some lifespan related variables such as poverty, health, education, spouse, and neighborhood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slope of age function, it is argued that the lifespan risk factors may be more strongly associated with depression of the elderly. In addition to the regression analysis, a multinomial logit model was conducted to analyze characteristics of groups with depressive symptoms. The respondents were grouped into three categories by the cutpoints of PHQ-9; Non-depression, mild depression, and major depressive disorder. In general the results of multinomial logit analysis were aligned with those of the regression analysis. However the model provided an additional information on the effects of age and other variables. The analysis suggested that although age was significant factor with regard to depression, it was not significant in distinguishing major depressive disorder with mild depression groups. It implies that age may not contribute to lead to major depressive symptom from mild depression. In the analysis gender also turned out to be insignificant variable which develop mild depression to major depressive symptom. Based on the analysis this study discussed academic and policy implications. 일반적으로 노령기에는 다른 연령계층에 비하여 우울의 발생 비율이 월등히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노령 우울이 연령이 높아짐에 따라 발생하는 불가피한 심리적‧정신적 현상인지 또는 노령세대가 겪게 되는 다른 우울 위험요인 때문인지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2017년 질병관리청의 서울시 지역사회건강조사에서 PHQ-9척도를 토대로 조사한 우울 진단값과 다양한 원시자료를 활용하여 회귀모형과 다항 로짓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성인에 있어서 연령과 우울의 관계가 비대칭 U형임을 밝히고, 생애주기에따라 겪게 되는 여건변화를 비롯한 다른 우울 위험요인들을 고려하였을 때 연령이 우울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일차적으로 회귀분석을 토대로 성인우울에는 연령을 비롯하여 개인 및 가구 특성, 그리고 근린 특성이 모두 영향을 미치지만 노령 우울에는 연령 자체보다 노령세대가 겪게 되는 개인 및 가구 요인과 근린환경요인이 중요한 위험요인임을 밝혔다. 또한 본 연구는 응답자를 정상군, 경증 우울군, 중증 우울군으로 분류하고 다항 로짓분석을 통하여 연령을 비롯한 다른 위험요인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우울의 증상별로 연령과 우울 위험요인의 영향에 차이가 있음을 발견하였다. 특히 본 연구는 경증 우울군을 대조군으로 설정하여 중증우울군의 특성을 분석한 결과 고령층에서 우울이 많이 발생하지만 우울 장애로 악화되는 것은 연령 때문이 아니라 연령 이외의 위험요인일 수 있다는 것을 밝혔다. 본 연구는분석결과를 토대로 학문적 의의와 정책적 의미를 설명하였다.

      • KCI등재

        신경계 질환자들의 우울 수준 및 우울 요인과 신경인지기능과의 관계성

        조현주,윤영철 한국건강심리학회 2008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Vol.13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nvestigated the differences of depression figure according to diagnosis, and the relation of depression level and depression factors to neuro-cognitive functions. The subjects were 142 patients diagnosed as Alzheimer disease, vascular dementia and mild cognitive impairment. The patients were given brain MRI, neurological examination, the Seoul Neuro-psychological Screening Battery(SNSB), the geriatric depression scale(GDS) and the activity of daily living scale (ADL). The depression rate of Alzheimer patients were the highest compared with other group. However, the vascular dementia showed the highest depression level. In higher depression level, there were significantly lower in attention abilities, psychomotor velocities, visual memory, executive function and ADL. The results of factor analysis for the GDS was classified 4 factors such as depression, worry, dysphoria, and apathy. The depression factor of GDS was related to the attention, immediate visual recall, and executive function. On the other hand, the apathy factor was related to the core symptoms of dementia, such as recall and recognition of memory. Because the depressive symptoms of the dementia patients were often originated from both emotional reaction to their defect and neurological disease itself, the factors of depression might be affected by causes of dementia. So, it is important to ensure that the dementia patients with depression need appropriate treatment through the evaluation of depression factors. 본 연구는 신경계 질환의 진단에 따라 우울 양상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 조사하고, 이들의 우울 수준 및 우울 요인들과 신경인지기능 및 일상생활기능과의 관계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신경과에서 알쯔하이머 치매, 혈관성 치매, 경도 인지장애로 진단된 142명의 환자들이다. 이들에게 신경심리검사(SNSB)를 실시하였고, 그 외 노인 우울(GDS), 일상생활기능(ADL)을 평가하였다. 노인 우울척도를 요인분석하여 우울(depression), 걱정(worry), 불쾌감(dysphoria), 무감동(apathy) 4개 요인을 추출하였으며 총 48%의 설명량을 보였다. 연구결과, 신경과 환자들 중 알쯔하이머 환자들이 다른 집단에 비해 우울 비율이 가장 높았으나, 우울 수준은 혈관성 치매에서 높게 나타났다. 이들 환자 중 우울 수준이 높은 집단은 낮은 집단에 비해, 주의력, 주의집중능력, 정신운동속도, 시각적 기억력, 실행기능, 일상생활기능의 저하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그러나 세부적으로 우울 요인들이 관련되는 신경인지기능에 차이가 있었다. 우울 요인은 주의력, 주의집중력, 시각적 즉시회상, 실행기능과 관련되는 반면 무감동 요인은 기억인출 및 재인과 같이 치매의 핵심 증상인 기억 기능과 관련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신경계 질환자들의 우울증은 정서반응으로 인한 우울 이외에 신경학적 결손으로 유발되는 우울 증상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우울 요인들의 기저 원인이 다를 수 있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치매 환자들의 우울증은 우울 요인에 대한 정확한 평가를 통해 적절한 치료가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우울증과 영혼의 어두운 밤에 관한 통합적 연구

        김홍근 한세대학교 영산신학연구소 2019 영산신학저널 Vol.0 No.48

        Nowadays people are suffering from depression. The reason why depression is serious issue. it causes suicide. The symptoms both Depression and Dark night of the soul are very similar each other. Depression and Dark night of the soul are come from same roots and different expression. One side, there is Depression and Dark night of the soul which process of spiritual maturation in the other side. Not only these two things reveal on man individually, but sometimes those appear simultaneously on same person. The persons have Depressed Tendency is more sensitive on religion. So they tend to immersed deeply in religion. People who have depressed disposition more easily experienced Dark night of the soul. Further the state of depression means one type of Dark night of the soul itself. Therefore, Depression could be opening the gate of spiritual awakening and it is process of spiritual journey at the same time. A seeker of Dark night of the soul faces with Solitary always. But depressed patients can not feel Solitary only they felt Loneliness. Solitary means physically alone but the object of love is internalized inside. So full with Solitary inside of man gives us creativity. But Loneliness is not contained on inner side of object. It causes psychopathological symptoms as defense mechanism. In this paper, we are going to give an alternative for depression treatment by researching integrated Psychoanalysis and Dark night of the soul. We try to understand by “View of Psychoanalysis, Existentialism, and Dark night of the soul on Depression”. And we will introduce some cases Overcoming Depression through the process of “Dark night of the soul” without drug treatment and psychotherapy. From these, I tried to prove possibility of Spiritual Psychotherapy on Depression. 오늘날 많은 사람들이 우울증으로 고통하고 있다. 우울증이 심각한 이유는 자살의 주요한 원인이 되기 때문이다. 우울증과 영혼의 어두운 밤에서 나타나는 많은 증상들은 매우 유사하다. 우울증과 영혼의 어두운 밤은 동일한 원줄기에서 나온 열매이며, 같은 연장선상에 있는 다른 표현이다. 그 한쪽 끝에는 우울이 있고, 다른 한쪽 끝에는 영적 성숙을 향한 과정으로서의 어두운 밤이 있을 뿐이다. 우울증과 영혼의 어두운 밤은 개인적으로 나타난다. 하지만, 때로는 동일한 사람에게서 두 가지가 동시에 나타날 수도 있다. 우울성향을 지닌 사람은 종교적으로 더 예민하며 종교에 깊이 몰입하는 경향이 있다. 우울증의 기질을 가진 사람들은 영혼의 어두운 밤의 경험을 더 잘 느낄 수 있다. 나아가서는 우울증적 상태 자체가 일종의 어두운 밤을 의미하기도 한다. 그러므로 우울증은 영적 각성을 여는 관문이 되는 동시에 영적 여정의 필수 과정이기도 하다. 영혼의 어두운 밤을 지나는 이는 고독함 속에 거한다. 하지만 우울증 환자는 고독을 겪을 수 없고 외로움을 겪는다. 고독은 물리적으로는 홀로 있지만 사랑하는 대상이 내면화되어 있는 상태이다. 그래서 굳건한 자긍심을 가지고 자신의 창조성을 드러낼 수 있다. 그러나 외로움은 내면에 좋은 대상이 내면화되어 있지 않다. 그래서 외로움에 대한 방어로서 갖가지 병리적인 증상들을 야기한다. 본 논문의 목적은 우울증에 대한 정신분석학과 영혼의 어두운 밤을 통합적으로 연구함으로써 우울증 치료에 새로운 대안을 제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우울증에 대한 정신분석학과 영혼의 어두운 밤의 관점을 각각 이해한 후에 양자를 통합적으로 연구한다. 그리고 심각한 우울증을 겪으면서도 약물치료나 심리치료를 받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영혼의 어두운 밤의 과정을 겪음으로써 이를 극복한 사례를 제시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영성심리치료의 가능성을 증명하고자 한다.

      • KCI등재

        우울증으로 인한 자살과 목회상담학적 접근

        김상인 한국개혁신학회 2012 한국개혁신학 Vol.33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approaches in the pastoral counseling of prevention and healing of suicide caused by depression. The suicide is a criminal act in front of God the action of taking one's own life. One cause of suicide is depression. The Depression experienced by hopelessness pervades the emotions, self-rejection, lowered self-esteem, and guilty feelings. Severe depression is connected with suicide. Suicide caused by depression is appearing in various ages and professions. Suicide caused by the depression is increasing every year. This is not only a non-Christian problem but a Christian problem as well. This research approaches prevention and healing of depression in perspective with pastoral counseling. The church community and pastoral counseling can be a healing resource for depression. This study has been developed in six chapters as follows. In the introduction the researcher argued the necessity of studying. In the second chapter, I examined the preceding studies. In the third chapter, I discussed the understanding of suicide and depression. Suicide was defined as well causes of suicide, and opinion of Christian and doctrines of the Holy Bible. I also discussed the definition, types, and causes of depression. In the fourth chapter, I considered the actual conditions of suicide caused by depression. In the fifth, I researched the approach in pastoral counseling for the prevention and healing of depression. To approach pastoral counseling and its prevention as well as the healing of depression, we discussed the early morning prayer, intercessor prayer, restoring in praise, and dialogue of caring through visitation. In the conclusion, the researcher emphasized approach and coping with pastoral counseling, the use of the counseling center, and practicing of pastoral counseling regarding suicide caused by depression. 본 연구의 목적은 우울증으로 인한 자살 예방과 치료에 대한 목회상담학적 접근이다. 자살은 자기 스스로 생명을 끊는 행동으로 하나님께 대한 범죄 행위이다. 우울증은 자살의 주요 원인 중 하나이다. 우울증은 자기 스스로 낮은 자존감, 절망감, 자기 거절, 그리고 죄책감 갖게 되는 정서적 질병이다. 심각한 우울증은 자살과 관련이 있다. 우울증으로 인한 자살은 연예인, 방송인, 고위 공무원, 청소년, 노인 등 다양한 연령과 직업군에서 나타나고 있다. 우울증으로 인한 자살은 해마다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우울증으로 인한 자살은 비기독교인의 문제 뿐 만아니라 기독교인들에게도 문제이다. 일반적으로 우울증 치료는 약물치료, 정신치료, 인지치료, 대인관계치료에 도움을 받는다. 그리스도인들조차도 목회상담학적인 방법을 시도해보기도 전에 일반적인 치료방법을 선택하여 도움을 받고 있다. 본 연구는 특별히 우울증 치료에 주목하여 자살 예방에 대해 접근하였다. 교회 공동체와 목회상담은 우울증 치료에 적극적인 도움을 줄 수 있다. 우울증은 정서와 인지적인 문제로 인간을 창조하신 하나님과의 다양한 교제로 인해 치료와 예방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본 연구는 우울증 치료와 예방을 위한 방법으로 새벽기도를 통한 회복, 중보기도를 통한 회복, 찬양을 통한 회복, 심방을 통한 돌봄적 대화를 논 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