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지각된 긍정적 부모양육태도가 대학생의 대인관계조화와 심리적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 자존감안정성의 매개효과 -
박경희,임수진 한국문화융합학회 2023 문화와 융합 Vol.45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ositive parenting attitudes perceived by university students on interpersonal harmon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nd to examine whether self-esteem stability plays a mediating role. To this end, 250 university students in K province were administered parental parenting attitudes, interpersonal harmony, psychological well-being, and self-esteem stability scales, and the final 239 data were analyzed. For the collected data, SPSS Win 22.0 and AMOS 22.0 were used for correlation analysis, the fit of the measurement model and the structural model was verified, and the mediating effect of the final model was analyzed.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the perceived positive parenting attitude showe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interpersonal harmon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university students. It was found that the more positive the parenting attitude, the higher the interpersonal harmon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Seco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parenting attitude, interpersonal harmon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self-esteem stability showed a partial mediating effect.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parenting attitude is a variable that predicts interpersonal harmony, psychological well-being, and self-esteem stability of university students. Finall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and suggested.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이 지각한 긍정적 부모양육태도가 대인관계조화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자존감안정성이 매개 역할을 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K도 소재 대학생 250명에게 부모양육태도, 대인관계조화, 심리적안녕감, 자존감안정성 척도를 실시하고, 최종 239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2.0과 AMOS 22.0을 활용하여 상관분석, 측정모형과 구조모형의 적합도를 검증하고 최종모형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지각된 긍정적 부모양육태도는 대학생의 대인관계조화와 심리적 안녕감에 유의한 효과가 나타났다. 부모양육태도를 긍정적으로 지각할수록 대인관계조화와 심리적 안녕감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각된 부모양육태도와 대인관계조화, 심리적안녕감의 관계에서 자존감안정성은 부분매개 효과를 나타냈다. 부모양육태도는 자존감안정성의 부분 매개효과에 의해 대인관계조화와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부모양육태도는 대학생의 대인관계조화와 심리적안녕감 및 자존감안정성을 예측하는 변인임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결과에 대해 논의하고 제언하였다.
박경희 중앙대학교 한국전자무역연구소 2004 전자무역연구 Vol.2 No.-
In today’s world, electronic document management and electronic information transmission constitute an extensive part of commercial and administrative activities. It is expected that the world-wide use of computer-based information will still increase dramatically. The electronic documents have quite different meanings in the electronic world than in the paper world. The electronic documents are generated in the form of the electronic record which means data created, generated, sent, communicated, received, or stored by electronic means. This paper deals with not only concept and problems of Electronic documents which was at issue owing to the increased use of electronic trade but also Authorized Electronic Data Depot as an integrated system for the efficient management of Electronic document. Key Words: Electronic Trade, Electronic Document, Authorized Electronic Data Depot 오늘날 전 세계적으로 전자문서의 관리와 전자정보의 전달은 영업활동이나 경영활동의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컴퓨터 기반 정보의 전 세계적인 사용이 더욱더 증가될 것으로 기대된다. 전자문서는 종이기반의 세계보다 전자적인 세계에서 훨씬 다른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전자문서는 전자적 수단에 의하여 작성, 생성, 발송, 전달, 수령 또는 저장되는 계약서나 기타 기록물을 말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전자무역의 도입으로 인하여 대두되고 있는 전자문서의 개념과 한계성 그리고 이러한 전자문서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한 전자문서보관소의 개념과 필요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