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방어공간의 영역성 연구

        최선우 원광대학교 경찰학연구소 2017 경찰학논총 Vol.12 No.1

        방어공간의 영역성을 형성하는 것은 바로 범죄와 관련된 환경을 통제하기 위한 제반 노력이라고 할 수 있다. 인간은 선험적으로 방어본능을 가지고 있으며, 따라서 이를 위해 적절한 방어공간을 구축하고자 한다. 이러한 방어공간은 곧 ‘영역성’을 확보함으로써 형성된다. 따라서 범죄예방 및 통제를 위해서는 방어공간의 영역성을 어떻게 확보하고, 형성하느냐 하는 것이 관건이다. 이러한 방어공간의 영역성과 관련하여가장 1차적으로 중요한 곳이 바로 주거장소이다. 주거장소는 우리 삶의 근간이 되는장소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아이러니하게도 방어공간의 영역성이 가장 강하고 중요시되는 주거장소가 범죄로부터 가장 취약한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방어공간의 영역성형성은 바로 주거장소의 재설계부터 시작되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인간의 행동은 환경과의 복잡한 상호작용을 통해서 나타난다. 따라서 방어공간의 영역성을 형성하는데 있어서 환경에 대한 인간의 자극과 반응을이해하는 것을 매우 중요하다. 범죄행동이라는 것 역시 환경에 대한 지각, 인지, 태도의 과정 속에서 표출되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러한 인간의 행동에 가장 거시적·내면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환경요인이 바로 문화라고 할 수 있다. 문화는 한 개인 또는 한 집단이 어떠한 환경에서 행동하는 정신적·물질적 토대가 되기 때문이다. 한편, 인간의 행동은 감각적 환경 즉, 색채, 조명, 소음, 바람, 기온, 대기오염 등에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이러한 요소들 역시 중요하게 고려해야 한다. 그런데, 수많은 사람들이 살고 있는 장소 즉, 도시는 근본적으로 방어공간의 영역성을 형성하는데 본질적인 한계를 안고 있다. 바로 과밀화로 인한 도시혼잡의 문제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도시의 각 영역을 추상적이고, 이질적인 ‘공간’ 개념에서 구체적이고 친밀한 ‘장소’의 개념으로 전환시킬 수 있는 노력이 이루어져야한다. 이를 위한 거시적 접근방법으로서 인간상호간의 사회적 가치를 지향하는 ‘지속가능한 도시발전’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중시적·미시적 접근방법으로서 도시공동체 정신과 물리적 환경을 개선할 수 있는 셉테드전략을 체계적으로 운용해야할 것이다. The formation of the territoriality of defensible space is a every efforts to control environments related to the crimes. Human have a instinct of defense inherently, therefore, try to secure proper the defensible spaces. And the defensible space formed by ‘the territoriality’ directly. Therefore, how to secure, and how to form the defensible space is very important to prevent crime and control it. Related to the territoriality of defensible space, it is the primary important places are the residential places. The residential places are the places which are the backbone of our life. But ironically, it is true that the residential places whose the territoriality of defensible space are considered the most strong and important are the most weakness places for crimes. So, it means that we must start to form the defensible space from remodeling of residential places. As is generally known, human’s behaviors are caused through the complex interaction with environments. So, it is very important to understand the human’s stimulations and responses about to the environments in forming the defensible space. Because crime behaviors also come out in the process of perception, cognition, and attitude about to the environments. And the comprehensive and internal environmental elements which affect to the human behaviors are the culture exactly. The culture became the spiritual・physical ground for an individual or a group acting in certain environments. While, human's behaviors are affected by the sensitive environments, that is, colors, lights,sounds(noises), winds, temperature, air pollutions and so on. So, we also must consider these factors. However, the places which many people are live in, that is, the cities have a essential limits to form the defensible spaces. The problems are the city congestions aroused by overcrowding. To solve these problems, we must try to change the 'Space' concepts that are abstract, and heterogeneous into the 'Place' concepts that are concrete, and intimate. For this, as the macroscopic methods, we must search the Sustainable Urban Development which pursuit the interpersonal social values. And as the middle and microscopic methods, we must operate CPTED systematically which can improve the community spirits of the city and physical environments.

      • KCI등재후보

        고층아파트단지 외부공간의 영역성 표현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서혜영,곽윤정,김영석,박찬규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07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Vol.9 No.2

        The research inquires about the spacial elements for the representation of territoriality for solving such a problem, design factors for manifestation of a boundary by a case study and looks into the correlation with representation of a boundary by surveying an usage behavior and frequency in use. Besides, this study aims for the finding of inhabitants satisfaction, territoriality, degree of action, boundary of territory, the analysis of un-used spaces and the investigation of improvements by interviewing the residents. So this research is that symbolic territoriality representation method which argued in preceding study investigates how to represent in a case apartment housings. A case study is new apartment housings in Daejeon Noeun 2 district. A dwelling period after they move in is more than 6 months and less than 2 years. This study selected a privately-built apartment building A1,A2,A5,A6,A7,A8 block which are done territoriality representation of the outdoor space. Also High-rise apartment housings case analysis 2 of chapters 4 in depth analyzes A1 and A8 by usage behavior and frequency in use, questionnaire survey method.

      • KCI등재

        공간적 가구 중에서 인지적 영역성을 형성하는 가구디자인에 관한 연구-연구자의 작품 < Stool with Partition 1,2,3 >을 중심으로-

        김진우 ( Kim Jinwoo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0 한국디자인포럼 Vol.26 No.-

        본 연구의 목적은 인지적 영역성을 형성하는 가구디자인의 사례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기반으로 하여 연구자의 작품(Stool with Partition 1,2,3)을 분석하고 특징을 도출하는데 있다. 인지적 영역성이란 공간을 분할하는 물리적인 장치인 바닥, 벽, 천정, 파티션, 기둥 등 물리적인 요소를 사용하지 않고도 공간을 시각적, 감성적으로 분할하며 형성되는 영역성을 의미하며 본 논문에서는 물리적 영역성과 대비되는 개념으로 사용했다. 연구의 방법으로는 공간적 가구를 유형별로 분류하고 각 유형에 대한 특징을 서술한 후 물리적 영역성과 인지적 영역성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해당사례와 함께 비교하여 서술했으며, 4장에서 인지적 영역성을 형성하는 가구의 사례로 찰스 레니 매킨토시(Charles Rennie Mackintosh, 1868-1928), 프랭크 로이드 라이트(Frank Lloyd Wright, 1867-1959), 자하 하디드(Zaha Hadid, 1950- )의 가구에 대해 서술했다. 5장에서는 연구자의 작품 개념을 표현의 매개체로서의 가구, 유연한 경계영역을 통한 예술의 대중화, 편안하고 자연스러운 아름다움 표출 등으로 나누어 서술했으며 최종적으로 작품을 조형적, 구조적, 기능적 관점에서 분석하고 그 결과를 유기적 불확정적 조형, 가변적 구조, 공간을 감성적으로 구획하는 기능으로 도출했다. This study attempted to discuss the features of furniture design forming the cognitive territoriality by selecting the furniture from design history and author`s work titled < Stool with Partition 1,2,3 > as the subjects. The cognitive territoriality means the territoriality that enables the visual and emotional division of space and independent use of space without using the architectural elements in the space. This study applied the cognitive territoriality as the concept against the physical territoriality. As the methodology, the physical territoriality and cognitive territoriality were compared for theoretic examination. The furniture created by Charles Rennie Mackintosh(1868-1928), Frank Llyod Wright(1867-1959), and Zaha Hadid(1950- ) were investigated as the cases forming the cognitive territoriality in Chapter 4. Chapter 5 analyzed author`s works in accordance with the development and production process around the concept of works. The concepts of these works were fragmented into furniture as the medium of expression, pursuing the popularization of arts creating the furniture with soft edges, and comfortable and natural beauty. The results from the formative, structural and functional analyses on the works were explained as the organic and indeterminate formation, variable structure, and function to sensibly divide the space.

      • KCI등재

        도시 공간 오픈 스페이스의 영역성 디자인 표현 연구

        정승희(Seung Hee Chong),김현중(Hyun Joong Kim)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09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5 No.4

        도시 공간에 있어서 오픈스페이스를 공적 영역으로 간주 할 때 공적 영역에는 광장, 공원, 가로공간 등이 있다. 이러한 오픈스페이스는 이용자의 다양한 활동이 이루어지는 공간이고, 이용자에게 휴식과 심리적 안정감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우리나라의 경우, 오픈스페이스의 이용도가 낮고 행태지원의 다양성에 문제가 있다. 따라서 귀속감, 심리적 안정감, 다양한 사회적 행태등과 연관이 있는 영역성의 개념은 매우 중요하며, 오픈스페이스에 적용되어지는 디자인 표현의 방법과 다양성에 관한 연구가 많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본 연구는 영역성의 개념과 다양한 표현 방법을 문헌연구와 더불어 실제 사례 분석을 통해 조사하였다. 연구 대상은 도시 공원으로 한정하고 범위는 영역성의 디자인 표현의 다양성을 중점적으로 다루었다. 방법은 연구자가 대상공간을 직접 답사하여 사진촬영하고 조사기준에 맞춰 분석하였다. 사례조사 결과 첫째, 영역성의 표현이 다양하지 않았고 둘째, 행태조절의 기능이 미약했으며 셋째, 공간디자인시 심리적 영향까지 고려하여야 함을 알 수 있었다. 이 연구는 영역성의 개념을 공적인 공간으로 확장시키고, 오픈스페이스의 영역성 표현을 다양하게 함으로써 도시민들에게 보다 더 질 높은 인간행태 욕구를 충족시키는데 그 의의가 있다. When we regard open space of urban area as public one, it includes square, park and sidewalks. Such open space provides many users with playground for various activities as well as gives place for rest and mental stability. In Korea, the usage of open space is very low and the range of open space usage is quite limited. Therefore, the territoriality related with mental stability and various social behavior becomes of great importance and it is thought to be necessary to study the ways and diversity of designing open space. This study is based on the research on books and actual examples of territoriality and various ways of expression. The scope of this study is limited to city parks, and the range of this study mainly focuses on design expression of territoriality. The researcher visited the city parks in person, and took the picture of them and analyzed under the research standards. The research shows that expression of territoriality is not quite diversified and that function of controlling behavior is weak and that mental effect meeds to be considered in open space design. This study has its meaning in that satisfying more demand on people`s behavior by expanding territoriality to open public and space and offering various ways of expressing territoriality in open space.

      • KCI등재

        한옥밀집지역에서의 지역인지 및 영역성 인식에 관한 거주자와 방문자 간 차이 분석

        구자훈(Koo, Ja-Hoon),박청호(Park, Cheong-Ho),김재하(Kim, Jae-Ha) 한국도시설계학회 2011 도시설계 : 한국도시설계학회지 Vol.12 No.5

        본 연구는 서울의 대표적 한옥밀집지역인 북촌지역의 거주자와 방문자를 대상으로 지역인지 및 영역성 차이를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두 집단 모두 잘 알고 있는 지역을 인지조사를 통해 도출한 후, 대상지를 공간구문론에 의한 3단계 가로위계로 구분하여 영역성 인지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에 의하면, 거주자는 대상지를 주거지역으로 인식하지만 방문자는 관광지나 역사문화지역으로도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방문자로 인해 발생하는 거주자의 생활피해에 대해서는 지역주민이 더 높게 인식하고 있었지만 행위규제 필요성에 대해서는 두 집단이 동일 수준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가로위계별 영역성 차이를 살펴보면, 위계가 높은 가로에서의 집단 간 영역성 차이는 없었지만, 위계가 낮은 가로일수록 거주자가 영역성을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가로위계별방문자 행위규제 필요성 차이를 살펴보면, 단순한 관찰행위에 대해서 가로위계가 높은 지역은 집단 간의 인식차이가 거의 없지만, 가로위계가 낮은 가로일수록 거주자는 사적영역으로 인식하여 방문자보다 더 높은 규제를 필요로 한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In this study, Bukchon, the largest Hanok town in Seoul was studied to compare differences between the recognition of residents and visitors of the town in their understanding of the area and its territoriality. We conducted a cognitive study of residents and visitors to identify a region familiar to both groups. The identified target area was divided into three different road hierarchical groups based on space syntax. Then we conducted another cognitive survey on territoriality of the area. The result shows that residents of the town recognize the area as a residential area while visitors view the area as a tourist attraction or even a historical, culturally meaningful spot. In addition, residents were more aware of the disturbances done by visitors to their daily life. However, both visitors and residents shared same level of understanding on the necessity to introduce regulation on visitors’ behavior in the town. As for the territoriality by street hierarchical groups, the two group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recognition of territoriality in higher grade roads. But in lower grade roads, residents had higher recognition of territoriality. Regarding the necessity to introduce regulations on visitors’ behavior, both groups show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erceiving general behaviors of visitors. But for streets in lower grade, residents tend to see the region as a more private area and require stronger regulations than visitors.

      • 고층아파트단지 외부공간의 영역성 표현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서혜영,곽윤정,김영석,박찬규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06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 No.1

        The research inquires about the spacial elements for the representation of territoriality for solving such a problem, design factors for manifestation of a boundary by a case study and looks into the correlation with representation of a boundary by surveying an usage behavior and frequency in use. Besides, this study aims for the finding of inhabitants satisfaction, territoriality, degree of action, boundary of territory, the analysis of un-used spaces and the investigation of improvements by interviewing the residents.

      • KCI등재

        인식론적 신념의 척도 재타당화 및 영역성 탐색

        박병기(Byung Gee Bak),정영주(Young Ju Chung) 한국교육심리학회 2012 敎育心理硏究 Vol.26 No.3

        이 연구의 목적은 두 가지였다. 첫째 목적은 박병기 채선영(2006)이 2 6 요인구조로 개념화하고 개발한 영역일반적 인식론적 신념 척도 SOPE를 수정하고 재타당화 하는 것이었다. SOPE는 12개의 요인 중 일부분에서 신뢰도가 낮게 나오는 문제점이 있었다. 둘째 목적은 인식론적 신념의 영역성을 탐색하는 것이었다. 이 목적은 두 개의 과제를 포함하였다. 한 과제는 영역성 탐색의 선결조건으로서 영역특수 척도를 개발하는 것이었다. 이 연구에서는 과학과 역사라는 두 가지 대비되는 영역에 해당하는 척도를 개발하였다. 둘째 과제는 인식론적 신념이 영역일반적인지, 영역특수적인지, 아니면 영역복합적인지 종합적인 방법으로 판단하는 것이었다. 연구대상은 J시에 소재한 인문계 고등학생 389명(남 189, 여 200)이었다. SOPE의 수정은 박병기 채선영(2006)에 제시된 12개 요인의 개념정의에 근거하여 모든 문항을 재검토하는 절차를 거쳤다. 수정된 척도는 전문가 3인에게 의뢰하여 내용타당성을 검토 받은 후 재수정하였다. 과학과 역사의 두 가지 영역특수 척도는 재수정된 SOPE의 문항들에 과학과 역사의 학문적, 교과적 특성이 반영되도록 구성하였다. 인식론적 신념의 영역성은 상관행렬분석, 평균차이분석, 확인적 요인분석의 세 가지 통계분석 결과를 종합하여 판단하였다. 연구결과, 수정된 SOPE-r은 신뢰도와 내용타당도에 있어서 양호한 척도로 인정받을 만하였다. 이 연구에서 새롭게 개발된 두 가지의 영역특수 척도 SOPE-hd와 SOPE-sd도 양호하였다. 영역성 탐색의 결과는 일률적인 결론을 내리기 어려웠다. 소박한 수준의 인식론적 신념에서는 영역복합성이 지지된 반면, 세련된 수준에서는 영역일반성이 지지되었기 때문이다. 말미에는 이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그리고 영역성 탐구의 향후 과제가 논의되었다. This study had two purposes. The first purpose was to modify the SOPE (Scale of Personal Epistemology), a domain-general scale of 2 6 structure developed by Bak & Chai(2006). The SOPE has 12 sub-scales, and low reliability problem has been repeatedly reported. The second purpose was to explore the ``domainality`` of epistemological beliefs. This purpose includes two kinds of task. One task was to develop, at least, two scales of domain-specific epistemological beliefs. The other task was to judge whether the epistemological beliefs are domain-specific, domain-general, or domain- complex through the utilization of various kinds of statistical techniques. Research subjects were 389 highschool students in a city of Korea. The items of SOPE were thoroughly modified based on the definition of 12 sub-scales. In order to improve the content validity of the scale, modified items were remodified after they were checked by 3 experts. Remodified scale was named SOPE-r. Science and history were chosen as specific domains. Two kinds of domain-specific scale, named SOPE-hd and SOPE-sd, were developed by adopting the 2 6 structure of SOPE. The ``domainality`` of epistemological beliefs was explored through examining the results of three statistical methods of correlation analysis, mean comparison, and confirmative factor analysis. The research results showed that the scales of SOPE-r, SOPE-hd, and SOPE-sd had high reliability. Conclusions on the ``domainality`` of epistemological beliefs were not clear. In the naive-level of epistemological beliefs, domain-complex was most appropriate. While in the sophisticated-level, domain-generality was highly appropriate.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suggestions toward future studies were discussed.

      • KCI등재

        중·고등학교 숙제 관련변수의 영역성 분석

        박병기(Byung Gee Bak),황진숙(Jin Suk Hwang) 한국교육심리학회 2016 敎育心理硏究 Vol.30 No.1

        이 연구의 목적은 중·고등학교 영어, 수학 두 과목에서 숙제 관련변수의 영역성을 검토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Trautwein의 숙제모형을 기초로 10개 이상의 숙제 관련변수를 포함하는 연구모형을 구성하였다. 연구대상은 J시에 소재한 중학교 1학년 248명(남 118, 여 130), 2학년 185명(남, 82, 여 103) 3학년 183명(남 98, 여 85), 인문계 고등학교 1학년 192명(남 106, 여 86)으로 총 808명이었다. 측정도구는 기존 연구들의 문항을 참고하여 수정·개발하였다. 영역성 검토는 변수수준과 모형수준의 두 가지 측면에서 이루어졌다. 첫째, 변수수준에서는 영어, 수학 두 과목 간 숙제 관련변수의 상관행렬과 평균치 차이를 비교하였다. 둘째, 모형수준에서는 연구모형에 대한 과목별 인과구조의 적합도를 비교·검토하였고, 유의한 경로만으로 구성된 수정모형에 대해 성별, 학년별, 성취수준별로 다집단분석을 수행하였다. 변수수준의 분석결과, 상관행렬 비교는 영역일반성이나 영역특수성 하나만을 지지하지 않았으며, 평균차이 비교도 이와 유사하게 영역성의 혼재 양상을 보여주었다. 모형수준의 분석결과, 연구모형의 적합도는 두 과목에서 모두 좋았지만, 수정모형의 경로는 상당히 상이하였다. 수정모형에서 성별, 성취수준별 조절효과는 나타나지 않았고, 학년별 조절효과는 유의하였다. 연구결과를 종합하면, 숙제 관련변수의 영역성은 다소 영역일반적이거나 영역복합성을 지닌 것으로 판단되었다. 숙제 관련변수에 대한 영역성 검토의 의의와 제한점이 논의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domainality of homework related variables between two subjects of english and mathematics in the secondary school. Research model including more than 10 variables was constructed on the basis of Trautwein`s homework model. The subjects covered 248(118 boys, 130 girls) first graders, 185(82 boys, 103 girls) second graders, 183(98 boys, 85 girls) third graders in middle-school, and 192(106 boys, 86 girls) first graders in general high-school. Scales were modified or developed referring to the items of the prior researches. Domainality was examined by the aspects of variable level and model level. In the variable level, correlations and means of homework related variables were compared between english and mathematics. In the model level, the goodness of research model and its modified model were examined, whose moderation effects by gender, grade, and achievement level were also analyz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comparison between two subjects would not exclusively support domain-generality or domain-specificity. The results showed a kind of domain-complexities among homework related variables. Based on these findings, significance, importance, and limitations of homework model were discussed.

      • 멀티플랙스 서비스공간과 영역성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최주영,서지은,이정호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08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08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erritoriality be expressed by visual perception in the service space of the multiplex cinema. The results is as following : Firstly, we could classify that territoriality be expressed by preceding research is limitation, extension, center, overlap and visibility. and we could know that the limitation be expressed the territoriality it gives a many effect. Secondly, we could know the fact that the service_space dividing the territory is necessary. and territory dividing gives an effect to satisfaction of the user. Thirdly, we could know that the formation of territoriality is taken a many effect by the visual perception element.

      • KCI등재

        창의성의 영역성과 발현요인 측정도구 개발과 타당화 연구

        김홍권(Kim Hong-kweon) 교육종합연구원 2004 교육종합연구 Vol.2 No.2

        이 연구는 창의성의 영역성과 발현요인에 대한 인식을 적절하게 측정할 수 있는 측정도구를 개발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창의성 인식에 대한 측정도구를 인지적 영역과 정의적 영역을 통합적으로 고찰하기 위한 설문형식의 검사지의 개발에 중점을 두었다. 창의성의 통합적 접근 방법에 근거하여, 이 검사지의 하위요인은 창의성의 영역성(일반성, 특수성) 및 발현요인인 지능, 관련지식, 사고, 동기의 5개 요인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검사지는 일반인을 대상으로(1차 316명, 2차 237명, 3차 본검사 217명) 실시되었으며,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또한 창의성의 실체를 규명함에 있어 영역성 및 발현요인의 파악과 창의성에 대한 전문가 합의법에 의한 관계구조망(구조방정식 모형)의 적합도를 설계하고 분석하는데 적합하게 사용되어질 수 있다. 그리고 기존의 확산적 사고 중심의 연구에서 벗어나 각계각층의 창의적인 사람들에 대한 인식을 통한 연구방법 등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thesis has an aim to appropriately develop the tool useful for examining domain of creativity and its manifestation. It centered on developing the questionnaire of examination with the form of making up a question to contemplate the tool useful for examining creativity applying confluent way of cognitive domain and sentimental domain. Based on the method of confluent approach of creativity, the subsidiary factors of this questionnaire are composed of five factors including domain of creativity, intelligence as the factor of manifestation, related knowledge, thoughts, and motives, and each factor has two subsidiary factors. This questionnaire is composed of 5 point measurement and total 50 items. This questionnaire will be appropriately applied to study creativity through the creative persons recognition(expert s agreement). In addition, it will be applied to grasp the factor of domain and manifestation and to analyse the related structural net(model of structural question) in searching the actuality of creativ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