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樂種學의 導言

        袁靜芳 남북문화예술학회 2013 남북문화예술연구 Vol.0 No.12

        악종(樂種)은 사회역사문화현상(社會曆史文化現象)중의 한 종류로써 중국전통음악(中國傳統音樂)이 전승되는 백여 종(種)의 서로 다른 음악종류(樂種)중 하나이다. 악종에 대한 고찰(考察)이 부단히 넓어지고 그 연구 또한 깊어지는 가운데서 악종연구는 하나의 전문적인 이론을 정립하는 문제가제기 되었으며 이러한 문제가 또 객관적으로 이미 의사일정(議事日程)에 올랐다. 《악종학도언(樂種學導言)》에서는 목전에 건립되고 있는 악종학(樂種學)학과의 필요성에 대하여서 요약해서 논술하고, 그 악종학(樂種學)의 정의계선을 명확히 하였으며 악종학(樂種學)이 가지고 있는 구체적인 특성을 논술하였다. 아울러 악종학(樂種學)학과의 성질, 악종학(樂種學)의 연구대상, 악종학(樂種學)의 방법론적인 원칙, 및 악종학(樂種學)이 중국전통문화라고 하는 범주에서의 지위(地位)들을 논술하였다.

      • KCI등재

        일반논문 : 『악부(樂府)』(나손본(羅孫本))의 계보학적 위상

        권순회 ( Soon Hoi Kwon ) 한국고시가문학회 2011 한국시가문화연구 Vol.0 No.27

        본고에서는 계보학적 탐색을 통해『樂府』(羅孫本)의 성격을 재조명하였다. 『악부』(나손본)는 19세기 통영 지방의 관변 풍류의 현장에서 소용된 여러 가집을 모아 乾과 坤2권으로 다시 엮은 가집이다. 『악부(건)』은 19세기 전반 가집『흥비부』의 이본이다. 편제와 수록 가곡의 특성을 비교한 결과 ``각조음``의 수록 작품에서 크게 차이가 났다. 본고에서는 그 이유를 ``각조음``에 대한 해석의 차이에서 찾았다.『흥비부』와 달리『악부』 (나손본)의 편자는 가곡뿐만 아니라 시조 악곡까지 포괄하여 ``각조음``을 새롭게 해석했던 것이다. 『흥비부』가 통영에 유입된 경로는 파악할 수 없다. 하지만 통영의 풍류 문화에 정통했던 편자에게『흥비부』는 대단히 흥미로운 대상이었음이 분명하다. 체제가 잘 정비된 대규모의 가집일 뿐만 아니라 이전에 볼 수 없었던 새로운 악곡들이 그들의 관심을 끌기에 충분했을 것이다.『흥비부』를 필사하여 『악부(건)』으로 삼은 이유이다. 그리고 내친김에 소장하고 있던 여러 가집, 풍류의 현장에서 직접 지어 불렀던 노래들을 모아 건편과 짝을 이루는 곤편을 만들었던 것이다. 『악부(곤)』에는 크고 작은 가곡 가집 3종과 舞譜가 수록되어 있다. 이들은 편자가 소장하고 있거나 통영의 관변 풍류의 현장에서 소용되던 것들이다. 무엇보다 18세기 중후반에서 19세기 초 가집의 특성을 고스란히 간직하고 있다는 점이 주목된다. 특히『악부(곤)』에는 편자와 그 주변의 기녀로 추정되는 인물들이 주고받은 시조를 수록한 점이 흥미롭다. 이를 통해 우리는 편자의 성격과 통영의 관변풍류에서의 가집 소통의 양상을 파악할 수 있다.『악부(건)』이 당대 가곡 연행의 보편적 실질과 관심을 보여주는 부분이라면,『악부(곤)』은 통영의 가곡 소통과 연행의 역사라 할 수 있다. 이렇게 해서『악부』 (나손본)는 통영에서의 가곡에 대한 당대적 관심과 소통의 역사를 두 책에 고스란히 담아냈던 것이다. In this thesis, I rethought Akbu(Nason version)`s character through genealogical research. Akbu(Nason version) is an anthology that was recompiled of anthologies which are performed at the official banquet around Tongyoung in the 19th century. Akbu is composed of Geon(乾) and Gon(坤). Akbu(Geon) is a different version of the anthology, Heungbibu(興比賦) at the beginning of the 19th century. After I compared the organization and the characteristics of songs, I revealed the pieces in Gakjoeum(各調音)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In this thesis, I found the reason from the different interpretations of Gakjoeum. Unlike Heungbibu, the compiler of Akbu(Nason version) reinterpreted Gakjoeum including Sijo besides Gagok. We could not grasp the inflow of Heungbibu into Tongyoung. However, it is obvious that Heungbibu was interesting to the compiler who was familiar with the banquet in Tongyoung. It was sufficient for them to draw interest because the anthology was well organized and big scale and had the new melodies. That is why the compiler transcribe Heungbibu, and then made Akbu(Geon). While the compiler was at it, he or she made Akbu(Gon) with anthologies in his or her possessions and his or her own songs at the banquet or performance. Akbu(Gon) includes 3 anthologies and dancing score(舞譜). These were compiler`s possessions or performing at the official banquet or performance in Tongyoung. More than all, it is noticeable that Akbu(Gon) has the characteristics from the mid or late 18th century to the beginning 19th century. It is interesting thing that Akbu(Gon) includes sijoes which are the compiler and the putative giseangs exchanged. From this, we could grasp the compiler`s personality and the aspects of communicating anthology in Tongyoung. While Akbu(Geon) has shown an universal substance and interest, Akbu(Gon) is a history of gagok`s communication and performance in Tongyoung. Thus, Akbu(Nason version) included the interest in gagok of the time and the history of communicating gagok in Tongyoung.

      • KCI등재

        가무악(歌舞樂) 통합 학습 모형의 개발 및 적용에 관한 연구

        한윤이 한국국악교육연구학회 2011 국악교육연구 Vol.5 No.2

        예로부터 우리는 음악을 악(樂)이라 하여 여기에 가(歌), 무(舞), 악(樂)의 개념을 포함하였으며 지금도 마찬가지 이다. 서양의 교육사상이 도입되고 분과적으로 이루어지면서 음악과 춤이 분리되었고 그로 인해 가무악의 개념 이 퇴색하였다.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전 영역에서 가ㆍ무ㆍ악이 통합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라고 하여 가무악 통합 학습을 해야 함을 강조하고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가무악 통합 학습을 위한 수업 모 형을 개발하고 이를 바탕으로 현장 수업에 적용할 수 있는 지도 방안을 마련하였다. 가무악(歌舞樂)은 노래, 춤, 악기 연주를 말한다. 가무악과 같은 의미로 악가무(樂歌舞)라는 용어를 쓰기도 하지 만 가무악 중 노래가 기초가 되고 먼저임을 고려해볼 때 악기무보다 가(歌)를 먼저 제시한 가무악이 더 적절한 표현이라 할 수 있다. 가무악 통합 학습은 우리 음악의 특성을 바르게 이해하고 총체적 문화 교육을 실천할 수 있으며, 초ㆍ중고등학생의 발달적 특성에 적합하고 교과 간 통합을 강조하는 현 시점에서 통합 교육의 효과를 높일 수 있다는 점에서 교육적 의의가 있다. 가무악 통합 학습의 모형은 가무악 형태를 적용한 학습 모형과 가무악 형태의 학습 모형으로 나눌 수 있다. 가무 악 형태를 적용한 학습 모형은 다시 단순한 형태의 가ㆍ무ㆍ악을 통합하여 학습하는 ‘기초 학습 모형’과 이보다 세련된 가ㆍ무ㆍ악을 학습하는 ‘발전 학습 모형’으로 나눌 수 있고, 가무악 형태의 학습 모형은 본 모습을 단순 화시켜 학습하는 ‘기본 학습 모형’과 되도록 본래의 형태를 그대로 학습하는 ‘심화 학습 모형’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가무악 수업 모형의 절차는 악곡 이해 → 가무악 체험 → 가무악 연습 → 가무악 통합 표현의 필수 단계와 필수 단계에 이어 선택적으로 실시하는 가무악 교체 표현 → 가무악 창작 표현의 선택 단계로 설계해 보았다. 각 모형별로 적합한 제재곡을 선정한 결과 대부분의 전래동요와 민요를 학습 제재로 삼을 수 있음을 알게 되었 고 궁중정재, 제례악, 굿 등 다양한 가무악 통합 학습 제재가 존재함을 알 수 있었다. 가무악 통합 학습 모형의 구체적인 지도 방안 제시를 통해 그동안 감상 학습 위주였던 가무악 형태를 다양하고 의미 있게 지도할 수 있는 방법을 구안하였으며 국악의 특성에 맞는 학습 모형을 제시하여 국악 수업의 질적 제고를 꾀할 수 있게 되었다. Originally, Korean music have been the integrated of Ga(singing), Mu(dancing) and Ak(performing music). With the introduction of Western educational ideas and divisional curricula, this musical concept has been divided, and declined. However, the Revised Curriculum of 2007 stresses that ‘GaㆍMuㆍAk’ should be integrated in all areas." In this vein, this study tries to develop the class model for the integrated class of GaMuAk and presents the lesson plans that can be applied to practice in school music classes. GaMuAk(歌舞樂) refers to singing, dancing and playing musical instruments. AkGaMu(樂歌舞) is used with the same meaning, but GaMuAk is more appropriate since singing is the essence of the three activities. The integrated class of GaMuAk has great educational significance in that it can promote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music and enable to realize the total cultural education. This approaches also have the educational values to proper to the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of the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students and to promote the educational effects of these integrated classes. The integrated learning models of instructing GaMuAk can be divided into the applied models of instructing GaMuAk and the models of instructing GaMuAk. The former model is divided to a ‘primary learning model’ in which the simple forms of Ga, Mu and Ak are integrated and learned again, and a ‘developed learning model’ in which the advanced forms of Ga, Mu and Ak are learned. The latter model can be divided into an ‘basic learning model’ in which original forms are simplified and learned, and an ‘advanced learning model’ in which original forms are learned as they are. This integrated learning models of instructing GaMuAk process to understand the music of GaMuAk, practice of GaMuAk, and express the integrated GaMuAk. These steps are the requirements for learning GaMuAk and as the following steps, the transforming expression and creative expression of GaMuAk can be applied for the more advanced GaMuAk. This study concludes that Korean folk songs and children songs can be applied for this integrated instruction of GaMuAk as well as Korean court dances, ancestral rites music, and shaman musics are very suitable for this model. Furthermore, it also contributes to develop the approaches of Korean music by presenting the models of instructing and learning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music and experiencing GaMuAk with the various approaches.

      • KCI등재

        루이 라벨의 ‘악의 현존과 고통’에 대한 긍정적인 해석 그리고 그 한계

        이명곤(Lee, Myoung-gon) 대한철학회 2018 哲學硏究 Vol.145 No.-

        루이라벨의 사상에서는 현대철학에서 거의 다루지 않고 있는 ‘선과 악’에 대한 주제가 매우 중요한 개념으로 등장하고 있다. 그의 사유에서 악의 개념은 ‘악이란 존재의 부족’이라는 스콜라철학의 소극적인 규정에서 출발하고 있지만, 세계에 현존하는 악이란 ‘삶과 가치’를 파괴하는 의지적인 힘으로, 즉 도덕적인 차원에서 보다 적극적인 의미로 규정하고 있다. ‘악의 현존(la présence du mal)’을 ‘세계의 스캔들(le scandale du monde)’로서 규정하는 그의 사유에는 모든 인간이 의지의 태도로서의 악의 가능성을 지니고 있으며, 세계와 인간사회에서의 악의 현존은 필연적인 것임을 말해주고 있다. 반면 악의 결과가 육체적 정신적인 ‘고통’으로서 나타나기에, 고통을 거부하고자 하는 인간의 ‘고통에 대한 태도’는 이러한 악을 극복하고자 하는 도덕적인 의지를 유발하게 한다. 악의 현존 앞에서 가지게 되는 ‘내적인 고통’인 ‘도덕적인 고뇌’는 그 자체 ‘도덕적인 존재’가 된다는 의식을 가지게 하고 여기서 자기만족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비록 고통스럽지만 도덕적인 존재가 됨에 대한 자기만족과 행복감은 인간이 악의 현존에 맞서 이를 초극할 수 있는 유일한 계기이자 동기이다. 즉 라벨의 선과 악에 대한 사유는 ‘도덕 심리주의’에 기초해 있으며, 고통에 대한 거부와 도덕적 고뇌에 있어서의 ‘심리적 지평과 윤리적 지평의 일치’가 인간으로 하여금 끊임없이 악을 극복하고 선을 산출하도록 한다는 ‘윤리적 낙관론’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이는 분명 스콜라 철학의 발전된 현대적인 적용이라고 할 수 있겠으나, 또한 ‘악을 유발하는 의지의 태도에 대한 구체적 양태의 분석’, ‘사회 속에 현존하는 악의 구체적인 양태들’ 그리고 이러한 악을 초극할 수 있는 ‘의지적인 노력의 다양한 양상’ 등에 대한 분석은 이루어지고 있지는 않다. 이러한 구체성의 부족은 선과 악에 관한 라벨의 사유가 여전히 소극적인 면모를 보이고 있다고 할 수 있다. In the philosophy of Louis Labelle, the subject of “good and evil”, which is rarely discussed in modern philosophy, emerges as a very important concept. In his reasoning, the notion of evil starts from a passive stipulation of the Scholastic philosophy of “the lack of being”, but he defined the evil, which actually exists in the world with more positive sense as a willing force destroying “life and values”. In his reasoning that defines “the presence of evil” as “le scandale du monde”, all humans have the possibility of evil as an attitude of will, and the presence of evil in the world and in human society is inevitable. On the other hand, because the outcome of evil appears as physical and mental “pain”, the human’s attitude toward pain, which attempts to deny suffering, induces a moral will to overcome this evil. The moral anguish, which is the “internal suffering” that we have in front of the presence of evil, makes us conscious of becoming a “moral being”, and people become self-satisfied here. Although painful, self-satisfaction and happiness about becoming a moral being is the only occasion and motive for man to overcome this by opposing the presence of evil. In other words, Lavelle’s thoughts for good and evil are based on “moral psychologism”, and the “coherence of psychological horizons and ethical horizons” between rejection of suffering and moral agony enables “ethical optimism” that man constantly overcomes evil and produces good. This is clearly an advanced modern application of scholasticism on the concept of evil.

      • KCI등재

        제주도 일반신본풀이를 통해 본 악(惡)의 의미와 양상

        강지연(Kang Ji youn) 한국고전연구학회 2018 한국고전연구 Vol.0 No.42

        본고에서는 신화가 인간에게 행위 규범을 마련한다는 점을 염두에 두고, 무속신화에서 중요하게 다루는 행위 및 그 행위의 근본적인 성질이 무엇인가를 확인하고자 악(惡)에 주목하였다. 제주도 본풀이에 등장하는 신화의 주인공들은 악을 무엇으로 규정하고 이를 기피하는가를 살피기 위해 불쾌한 감정을 일으키는 원인에 주목하여 악의 의미를 검토하였다. 이로부터 무속에서 악을 다스리는 사유의 방식을 이해할 수 있으며, 나아가 무속이 추구하는 선(善)의 개념을 파악할 수 있었다. 이승의 세계를 다스리는 신의 이야기인 <천지왕본풀이>를 통해 소별왕의 기만행위는 탐욕을 부추기는 결핍의 감정으로부터 기인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으며, 그리하여 이승에서는 남의 것을 빼앗는 탐욕과 함께 파괴의 힘을 수반하는 폭력이 도사리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무속신화에서 악행이 될 수 있는 것은 악인으로 지목받는 악행 외에도 부모 역할을 수행하지 못하고 가족 윤리에 어긋난 무책임한 행위와 신을 바르게 섬기지 않는 무지한 범인(凡人)의 태도에서도 찾을 수 있다. 이들의 악행에서 공통 적으로 결핍이 야기하는 문제 상황을 엿볼 수 있었다. 이러한 악은 공통적으로 사회공동체, 가족공동체, 신앙공동체의 존속을 방해한다. 제주도 일반신본풀이의 신들은 이러한 악의 형상을 통해서 선한 것의 가치를 일깨우며, 인간이 마땅히 따르고 지켜야 하는 도덕적 규범과 무속이 중시하는 가치를 훼손하지 않아야 한다는 경각심을 심어 준다. 이로써 사회와 가족, 신앙 공동 체의 안정을 도모하며, 무속이 추구하는 세계의 본질을 다룬다. With the fact that myth gives human beings behavioral norms in mind, this study focuses on the meaning of evilness in order to define both what deeds shamanism myth deals with significantly and fundamental features of those deeds. By focusing on causes of what brings about unpleasant feelings, this study analyzes the meaning of evilness so as to figure out what deeds main characters in Jeju bonpuri define as evilness and how they avoid them. In analyzing this, the way they control evilness in shamanism can be understood, and moreover, the definition of virtue that shamanism pursues can be identified. In Cheonjiwangbonpuri, a story about a god who governs earthly world, evilness stems from the feeling of lack, which arouses such emotions as greed and violence that make one extort and destroy things. These evil deeds hinder society, family, and religious community from continuing to exist. In shamanism myth, gods present the value of shamanism and put importance on the moral values through evilness. Also, they display vigilance on evilness that destroy these values and forbid evil deeds. In shamanism myth, there are other things that are defined as evil deeds. First, it is unethical deed of parents who do not conduct their roles as parents and do things against family ethics. Second, ignorant attitude of ordinary human beings who do not obey gods properly is considered evil deed. All of their deeds give ordeal to mythical characters and by overcoming this ordeal, mythical characters’ sacredness is realized. Consequently, evilness that shamanism myth deals with goes forward by transforming the state of disorder and chaos into that of order and organized. Through this, it promotes stability of society, family, and religious community, and deals with the essence of world that shamanism pursues. With the fact that myth gives human beings behavioral norms in mind, this study focuses on the meaning of evilness in order to define both what deeds Shaman Epic deals with significantly and fundamental features of deeds. By focusing on causes of what brings about unpleasant feelings, this study analyzes the meaning of evilness so as to figure out what deeds main characters in Jeju bonpuri define as evilness and how they avoid them. In analyzing this, the way they control evilness in shamanism can be understood, and moreover, the definition of virtue that shamanism pursues can be identified. In Cheonjiwangbonpuri, a story about a god who governs earthly world, evilness stems from the feeling of lack, which arouses such emotions as greed and violence that make one extort and destroy things. In Shaman Epic, there are other things that are defined as evil deeds. First, it is unethical deed of parents who do not conduct their roles as parents and do things against family ethics. Second, ignorant attitude of ordinary human beings who do not obey gods properly is considered evil deed. All of their deeds give ordeal to mythical characters and by overcoming this ordeal, mythical characters’ sacredness is realized. These evil deeds hinder society, family, and religious community from continuing to exist. In Shaman Epic, gods present the value of shamanism and put importance on the moral values through evilness. Also, they display vigilance on evilness that destroy these values and forbid evil deeds. Through this, it promotes stability of society, family, and religious community, and deals with the essence of world that shamanism pursues.

      • KCI등재

        『樂府 高大本』소재 〈樂府〉와 『玄鶴琴譜』〈歌曲〉의 관련 양상

        장정수(Chang Chung-Soo) 한국시조학회 2009 시조학논총 Vol.31 No.-

        본고는 『樂府 高大本』 소재 〈樂府〉와 그 필사 원본으로 추정되는 『玄鶴琴譜』〈歌曲〉과의 비교를 통하여, 『樂府 高大本』의 『玄鶴琴譜』수용 양상 및 형성 과정의 일면을 밝히고자 하였다. 1930~1933년경에 李用基가 편찬한 『樂府 高大本』은 일정한 체계가 없다고 평가되어 지금껏 본격적인 논의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그러나 그 체제를 검토한 결과 『樂府 高大本』에는 기존의 문헌에서 유래한 요소와 새롭게 추가된 요소들이 혼재되어 있음을 발견하였다. 나아가 시조와 한역시를 수록하고 있는 〈樂府〉 부분은 1852년에 吳熹常이 편찬한 『玄鶴琴譜』와 친연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樂府 高大本』의 〈악부〉에는 26수의 시조와 한역시, 6수의 詞가 수록되어 있다. 26수의 시조 작품 중 18수의 수록순서, 한역시, 번역자가 『현학금보』 〈가곡〉과 일치하며, 그 체제 또한 『玄鶴琴譜』 〈가곡〉의 ‘原曲-臺歌’, ‘時俗數大葉’ 형식을 따르고 있다. 〈악부〉 뒷부분에 첨부된 6수의 詞는 다론 곳에서 발견되지 않는 새로운 작품이다. 이를 통해 〈악부〉는 가곡창의 연행 관행 속에서 한역시조의 모습을 드러내고자 하여 『현학금보』의 〈가곡〉을 필사 대본으로 삼았음을 알 수 있다. 또한 樂府詩의 다양한 형태를 보여 주기 위해 6수의 詞를 추가한 것으로 생각된다. 기존 문헌과의 친연성과 『樂府 高大本』의 독창적인 부분들을 식별해 나가는 이러한 작업은 『樂府 高大本』의 특성 및 편찬의식을 규명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aims to clarify the 『Akbu Godaebon』(樂府 高大本)'s related aspect of 『Hyeonhakgeumbo』(玄鶴琴譜) and the formation process of 『Akbu Godaebon』, through the comparison between 〈Akbu〉(樂府) of 『Akbu Godaebon』 and 〈Gagok〉(歌曲) of 『Hyeonhakgeumbo』(玄鶴琴譜) assumed as the transcribed original of 『Akbu Godaebon』. 『Akbu Godaebon』, compiled by Yonggi Lee(李用基) in 1930~1933, was evaluated that there is no regular system and also there is no full-scale discussion till now. But as the result of the system investigation. we can find the mixtures between the originated elements from the existing literatures and the elements of the new supplements. Besides, 〈Akbu〉(樂府), including Sijo and Chinese translated poems, has the syngeneics with 『Hyeonhakgeumbo』 compiled by Heesang Oh(吳熹常) in 1852. 『Akbu Godaebon』 〈Akbu〉 is including 26 pieces of Sijo, Chinese translated poems, and 6 pieces of Sa(詞). The recording order, Chinese translated poems and translators are same with 『Hyeonhakgeumbo』 〈Gagok〉 in the 18 of 26 pieces of Sijo. And those system followed the 'Wongok(原曲)-Daega(臺歌)' of 『Hyunhakgeumbo』 〈Gagok〉, 'Sisoksakdaeyeop(時俗數大葉)'. 6 pieces of Sa are new products could not be founded before. In the performing habit of Gagokchang 『Akbu Kodaebon』 〈Akbu〉 tried to expose the features of Chinese translated Sijo and made 『Hyeonhakgeumbo』 a transcribing object. Also it added 6 pieces of Sa(詞) to show the various forms of Akbusi(樂府詩). A syngeneic with the existing literatures and discrimination of the creative parts could contribute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Akbu Godaebon』 and the compilationing awareness.

      • KCI등재

        논문 : 중국 서사악부(敍事樂府)의 서정악부화(抒情樂府化)와 서사시사(敍事詩史)의 단절

        강필임 중국어문학회 2014 中國語文學誌 Vol.49 No.-

        不僅是中國,還是使用漢字的古代東方文化圈裏,樂府詩歌在內的嶼事詩歌發展不充分,對其原因已有許多硏究分析,不過還未明確。本文認爲, 因爲漢字難學、更難學習的記錄形式古文及其造成的藝人難使用文字的環境, 就造成了缺乏樂府民歌文字記錄的結果。 尤其是嶼事樂府, 其演出都由民間藝人用白話來進行,而且在傳統觀念上嶼事詩歌不如抒情詩歌受重視,因此敍事樂府痕難進入文人的記錄文學範圍內。這可以說是中國在內的古代汗字文化圈裏敍事文學未發達之原因之一. 漢樂府相和歌辭是由民間藝人演行的口述文學、一種具有現場性的演行藝術. 因爲樂府民歌記錄不充分, 魏晉文人主要是通過民間藝人的演出而受容樂府,進行模擬創作。文人在進行創作時,分別創作,一是爲藝人演出而創作,一是爲了表露自己的情感而創作。前者因爲相當部分相和歌辭已被定爲宮庭宴樂, 其歌辭也由此而固定化, 未必要文人重新創作。結果,樂府作爲是一種演行藝術,被文人受容,文人用樂府表露己的鑒賞,這樣樂府逐漸走路抒情樂府化、文人文學化、記錄文學化,嶼事樂府只能停滯在藝人之手而漸漸消失。

      • KCI등재

        중국 남북조시기 외래악무의 중원 전래와 수용

        남종진 한국동양예술학회 2015 동양예술 Vol.28 No.-

        隋·唐시기에 部伎樂은 중국 무용의 역사에서 宴樂의 전성을 불러온 원동력이었다. 당시 부기악은 남북조시기에 中原에 전래한 외래악무가 주류를 이루었는데, 이는 中外악무교류의 산물로써 동아시아 악무교류사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컸다. 본고는 史書, 政書, 類書의 관련 기록에 근거하여 남북조시기 외래악무의 중원전래과정을 고찰하였다. 당시 외래악무는 五胡十六國(304~439년) 이래로 중원과 본격적으로 접촉하기 시작하여 6세기 후반까지 이어졌는데, 수·당 부기악에 편입된 남방계의 天竺樂, 서역계의 龜玆樂, 高昌樂, 西凉樂, 疏勒樂, 安國樂, 康國樂, 동방계의 高麗樂은 모두 이 무렵에 중원에 전해진 것으로 그 전래의 과정과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남북조시기 외래악무는 2세기 넘는 기간에 걸쳐 중원에 전해졌다. 4세기 중반에 천축악이 불교와 함께 전해진 것을 시작으로 서량악과 구자악이 전해졌고, 5세기에는 소륵악, 안국악, 고려악이, 6세기에는 고창악과 강국악이 각각 중원에 전해졌다. 둘째, 남북조시기에 외래악무는 직접 전파와 간접 전파의 경로로 중원에 전해졌다. 고창악, 소륵악, 안국악, 강국악, 고려악은 중원 세력의 정복이나 해당 국가의 헌정으로 전해진 반면 천축악, 구자악, 서량악은 서역에 진출한 중원 세력에게 수용되어 다시 중원에 전해지는 이중의 전래과정을 거쳤다. 셋째, 남북조시기에 외래악무는 단방향 전파와 쌍방향 전파의 두 가지 방식으로 중원에 전해졌다. 천축악, 구자악, 고창악, 소륵악, 안국악, 강국악, 고려악 등 대부분은 외부로부터 일방적으로 중원에 전해졌으나 서량악은 그 형성과 전파의 과정이 매우 독특하다. 즉 4세기 초에 凉州일대에 진출한 중원 세력이 가져간 중원의 악무가 현지의 악무와 융합하고, 이후 4세기 후반에 외래의 구자악과 다시 융합하여 새로운 악무로 탈바꿈 한 다음에 5세기 초ㆍ중반에 다시 중원으로 전해졌다. 넷째, 남북조시기에 중원에 전해진 외래악무 가운데는 서역 계열의 악무가 단연 많아서 천축악과 고려악을 제외하면 모두 서역 계열의 악무였다. 이는 당시 서역 국가가 중원 세력과 교역이나 외교관계가 밀접했기 때문이었을 것이지만 아울러 서역 악무가 지닌 예술성이 중원 사람들에게 환영을 받았기 때문이었을 것이다. 요컨대 남북조시기에 외래악무는 4세기 중반부터 6세기 후반까지에 걸쳐 정복이나 헌정의 방식을 중심으로 중원에 전해져 중원의 악무문화를 풍부하게 만들었고, 수·당 시기에는 부기악에 편입되어 부기악의 지주가 되었다. 그러므로 남북조시기에 중원에 전래된 외래악무는 수·당 연악 발전의 토대가 되었다고 하겠다. 由於隋唐時期有了部伎,故中國古代舞蹈史迎接了宴樂的鼎盛時期。但這部伎是在南北朝時期從外傳入中原的樂舞,所以隋唐部伎可以說是中外樂舞交流的産物,這對東亞樂舞交流史也具有是重要的意義。本論文考察了≪隋書≫、≪舊唐書≫、≪通典≫、≪唐會要≫、≪文獻通考≫等歷史書籍來硏究了南北朝時期外來樂舞傳入中原的途徑。從五胡十六國(304~439)時期以來,外來樂舞斷斷續續通過交流傳入到中原,這種交流持續到了六世紀末。到了隋唐,部伎裏包括的南方系樂舞有天竺樂,西域系樂舞有龜玄樂、高昌樂、西國樂、疏勒樂、安國樂、康國樂,東方系樂舞有高麗樂。這些樂舞都是在這壹時期傳入中原的。其傳入特點如下:第壹、南北朝時期外來樂舞的傳入歷經了二百多年的時間。從四世紀中期開始,天竺樂隨著佛敎的傳入而傳入到中原,隨之西凉樂和龜玄樂也相繼傳入到中原。五世紀,疏勒樂、安國樂、高麗樂也傳入到中原。到了六世紀,高昌樂和康國樂也最終傳入到了中原。第二、南北朝時期外來樂舞是直接或間接地傳到中原。高昌樂、疏勒樂、安國樂、康國樂、高麗樂是經過了中原勢力征服相關國家,或與相關國家通過外交的獻呈的途徑傳入的。天竺樂、龜玄樂、西凉樂是中原勢力進入西域後接受的,還有經過其他途徑傳入的。第三、南北朝時期外來樂舞的傳入,有單方向與雙方向兩個傳播形式。天竺樂、龜玄樂、高昌樂、疏勒樂、安國樂、康國樂、高麗樂等是外來的單方向形式的傳入。其中,西凉樂的形成與傳播形式有些特殊。四世紀初期,中原勢力進入凉州壹帶之後,他們帶去的中原樂舞與本地的樂舞融合。這壹樂舞後來,到了四世紀末期又與外來龜玄樂再融合而煥然壹新。最後,到了五世紀初期中期才傳入到了中原。第四、南北朝時期傳入中原的外來樂舞中,西域的樂舞比較多。除了天竺樂和高麗樂之外,都是西域的樂舞。也許,這是因爲當時西域國家與中原勢力進行了頻繁的交易或外交活動。不僅如此,更重要的是中原的人們喜歡西域的樂舞藝術。總而言之,南北朝時期的外來樂舞是從四世紀中期到六世紀末期,經過征服或獻呈的形式傳入到中原,從而봉富了中原的樂舞文化,最終列入到隋唐時期的部伎裏。所以,南北朝時期外來樂舞的傳入,對隋唐時期宴樂發展起到了基石性的作用。

      • KCI등재

        조선후기 악부(樂府)에 표상된 왕조 창업의 내력 - 선초(鮮初) 악장(樂章)과의 차이를 중심으로 -

        김승우 고전문학한문학연구학회 2021 고전과 해석 Vol.35 No.-

        본고에서는 조선왕조 창업의 내력을 다룬 조선후기 악부시를 탐색하여 정리하고, 그 특징을 몇 가지 항목으로 나누어 검토하였다. 또한 조선초기 악장과 조선후기 악부시의 양상을 대비하는 작업도 병행하였다. 왕조 창업기의 일을 다룬 악부시의 내용은 크게 ‘1) 조종의 위업과 덕망’, ‘2) 창업의 전조와 상서’, ‘3) 고려 유신들의 절의와 비탄’, ‘4) 선초 궁중 정재의 재현’이라는 네 부류로 파악된다. 앞의 두 부류는 선초 악장의 주요한 내용적 범주를 계승한 것이고, 뒤의 두 가지는 조선후기 악부시에서 새롭게 부각된 사항이다. 1)의 부류에서는, 익조의 사적을 추존 임금들 일반의 사적으로 확대하여 이해한 점, 황산대첩에서 발휘된 태조의 신이한 궁술을 천명과 연계지어 서술한 점, 위화도회군의 경과를 최영의 관점에서 시화하여 그 의미를 색다르게 드러낸 점, 명과의 외교관계를 개선한 태종의 공적을 칭송하면서 신료와 백성들이 기뻐하는 모습을 비중 있게 서술한 점 등이 선초 악장과 변별되는 조선후기 악부시의 면모로 지목될 수 있다. 개개의 사안에만 치중하거나 창업 주체들만을 주인공으로 내세우는 일률적 방식에서 벗어나, 사적의 의미를 전체적으로 조망하고 동시기 다른 주체들의 관점에서도 사적을 형상화함으로써 조종의 위상을 보다 다각적으로 표상하였음을 알 수 있다. 2)의 경우에는, 여말에 회자되던 참요를 작품에 직접 도입하거나 복수의 참요를 엮어서 제시하여 태조에게 기운 민심을 효과적으로 드러낸 점, 간소한 문맥만을 지닌 사적의 시공간을 구체적으로 확정하고 기존 기록에는 없던 삽화를 추가함으로써 사건의 인과성을 강화한 점, 선초 문헌에서는 발견되지 않는 새로운 상서를 작품화한 점, 창업과 직접 관련되지는 않으나 수성의 공을 이룬 세종 시대의 상서를 추가로 다룬 점 등이 눈에 뜨인다. 전조나 상서는 기본적으로 신이한 성격을 지니고 있기에 맥락이 불분명한 경우가 많은데, 조선후기 악부시에서는 세부 사항들을 보다 명확하게 서술하려 한 지향이 발견된다. 또한 창업기의 상서를 육룡의 것에 한정하지 않고 세종 시대의 것으로까지 확대하여 살피고자 했던 의도도 엿보인다. 3)에 해당하는 작품들은 선초 악장과 더욱 뚜렷한 편차를 보인다. 선초 악장에서는 태종이 고려에 절의를 지킨 신하들을 용서하고 중용하려 했다는 점을 강조하기 위해 일부 인사들을 작품에 등장시키고는 하였으나 악부에서는 임금의 회유에도 굴하지 않았던 그들의 절의를 역으로 강조하였다. 아울러 고고한 의기에 가려져 있던 인간적인 고통과 비애를 들추어냄으로써 창업기의 상흔을 처연하게 조명한 점, 같은 길을 걸었던 고려 유신들을 한 작품에 담아내어 유신들 사이의 연계를 드러낸 점 등도 주목된다. 선초 악장에서는 직접 거론할 수 없었던 고려 유신들의 선택을 기리되 그들의 번민에도 착목하였던 것이다. 4)는 선초에 제정된 궁중 정재를 묘사하고 그에 대한 감회를 덧붙이는 방식으로 작품을 지은 사례인데, 때로는 정재의 내용과 의미를, 때로는 정재의 규모와 현장감을, 때로는 정재의 전체적인 분위기를 작품에 옮겨 옴으로써 선초 정재의 다단한 면면을 한정된 시구에 효과적으로 재현하였다. 이러한 방식에서는, 정재의 존재를 언급하는 것만으로도 해당 사적이 선초부터 중요하게 거론되어 왔다는 점을 강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정재에 이미 창업기 사적의 주요한 부면이 인상 깊게 형상화되고 있으므로 그 표현을 작품에 원용해 오기도 용이하다. 선초와 조선후기의 안목이 적절히 조화를 이룬 사례라 할 만하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search and catalog akbu-poems(樂府詩) of the late Joseon period that describe the founding of the Joseon Dynasty, and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poems by dividing them into four categories.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a comparison between akjang(樂章) in the 15th century and akbu-poems in the 18~19th century was also performed. The akbu-poems describibg the founding of the dynasty are broadly classified into the following four categories: ‘1) King’s achievements and virtues’, ‘2) Signs and blessings of the founding of the country’, ‘3) Incisions and sorrows of Goryeo officials’, and ‘4) Reproduction of court performances in the early Joseon period’. The first two are also found in akjang of the early Joseon period, and the latter two appear newly in akbu-poems of the late Joseon period. In the category 1), it is noteworthy that King Ikjo’s anecdote was grasped as an event of the entire royal ancestors, that King Taejo’s outstanding archery skills exhibited in the Battle of Hwangsan(荒山大捷) were praised as the help of heaven, and that the whole story of Retreat at Wihwado(威化島回軍) was described from Choi Young’s point of view. It is also unusual to emphasize the fact that when King Taejong improved the diplomatic relations with the Ming Dynasty, his subjects and people were greatly delighted. Apart from focusing on individual issues or stating only the founders as the main characters, the significance of historical events is viewed as a whole and the perspectives of others at that time are also reflected in the works. In the case of 2), It can be seen that the prophetic songs that were popular at the end of the Goryeo period were utilized to effectively reveal the people’s desire to appoint Yi Seonggye as king, that the historical events were described in detail to strengthen their causality, and that the signs of the founding of the Joseon Dynasty were illuminated more abundantly. It is also worth mentioning that although it is not directly related to the founding of the nation, the joyous events of King Sejong’s era were additionally described. In the late Joseon period, not only the details of the historical incidents were more clearly explained, but also the events of the later kings were stressed. The poems belonging to 3) show a more distinct deviation from those of the early Joseon period. In 15th century, it was emphasized that King Taejong tried to forgive and appoint his officials who pledged loyalty to Goryeo, but on the contrary, in the late Joseon period, the integrity of Goryeo loyalists, who did not give in to King Taejong’s conciliations, was highlighted. In addition, it is noteworthy that the pain and sadness of Goryeo officials were expressed, and that solidarity between them was revealed. The loyalty of the servants of the defeated country was praised, but their anguish was also noticed. Category 4) is a case of writing a work in a way that depicts royal performances organized in the early Joseon period and expresses feelings about them. By complexly describing the content, meaning, scale, sense of presence, and atmosphere of the performances, various aspects of court dance were effectively reproduced in the poems. This method is useful in that writers can actively utilize the materials of the early Joseon period. It is a case in which the perspectives of the two eras are appropriately harmonized.

      • KCI등재

        황윤석(黃胤錫)의 일기 『이재난고(頤齋亂藁)』에 언급된 악률(樂律)에 대한 고찰

        金秀賢 ( Kim Su-hyun ) 한국유교학회 2014 유교사상문화연구 Vol.58 No.-

        『이재난고』는 황윤석이 1738년부터 1791년까지 50여년에 걸쳐 쓴 일기를 그의 후손이 묶어서 편찬한 60여 권의 책이다. 이 『이재난고』를 통해서 경학, 역사, 천문, 역상, 수리, 언문, 음악, 도량 등 다양하고 방대한 황윤석의 관심을 엿볼 수 있다. 이 중 음악에 관한 언급은 매우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그 음악에 관한 언급에서도 악률에 관한 비중이 가장 높다는 알 수 있다. 이 논문에서는 이 점에 주목하여 『이재난고』에 언급된 악률 관련 내용을 분석해 이를 통해 황윤석의 악률에 대한 관심과 인식을 살펴보았다. 『이재난고』에 나타나는 악률관계 용어는 음악용어의 절반 이상을 차지할 만큼 큰 위치를 점하고 있었고 악률관계 문헌도 상당히 많이 언급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재난고』에 자주 언급되는 악률관련 용어로는 五聲ㆍ詩聲ㆍ聲音ㆍ律呂ㆍ陽律ㆍ十二律ㆍ詩律ㆍ律管ㆍ雅音ㆍ七音ㆍ八音ㆍ五音ㆍ六十調ㆍ八十四調ㆍ宮調ㆍ商調ㆍ角調ㆍ徵調ㆍ羽調ㆍ慢調ㆍ平羽調ㆍ黍尺ㆍ黃鐘尺ㆍ周尺ㆍ營造尺ㆍ古尺ㆍ橫黍尺ㆍ縱黍尺ㆍ琴制ㆍ琴譜ㆍ琴學ㆍ編磬ㆍ編鐘ㆍ鐘律12律名등이고 문헌으로는 『樂學軌範』ㆍ『文獻備考』, 『樂考』 등의 한국문헌과 『律呂新書』ㆍ『律呂正義』ㆍ『律呂精義』ㆍ『頖宮禮樂全書』ㆍ『樂仙琴譜』ㆍ『大樂元音』ㆍ『松風閣琴譜? 등의 중국문헌이 자주 언급되었다. 또한 인물로는 蔡元定ㆍ朱載堉ㆍ蔡邕ㆍ京房ㆍ何承天ㆍ陳暘ㆍ何承ㆍ李之藻ㆍ冷謙ㆍ韓邦寄 등을 들 수 있다. 그의 살아온 행적과 함께 추적해 보니 그의 악률에 대한 인식은 매우 뛰어나 사람들에게 인정을 받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이재난고』에 언급된 악률 대한 수많은 종류의 악률 용어, 악률서 등은 조선 지식인 사회에서 악률에 대한 논의들이 무엇이었는지를 잘 대변해 주는 것이기도 하다. 그는 당시 학자들이 음악에 관한 성리학적 교과서로 여기는 채원정의 『율려신서』를 읽고 번역하거나 해석하는 작업을 했고 가장 신뢰하는 악률서로서 삼았다. 그러나 『율려신서』를 단순히 해석하는데 그치지 않고 새로운 이론과 대비하여 적극적으로 옹호하였다. 명대의 주재육이나 이지조의 이론도 관심을 가졌고 청대의 악률이론 종합서인 『律呂正義』나 장안무의 『반궁예악전서』의 악률이론에 대해서도 관심을 가졌다. 또한 『낙선금보』니 『송풍각금보』와 같은 琴律에 대한 이론에도 관심을 가졌다. 이러한 것은 새로운 이론들을 섭렵해 보려는 그의 박학정신과 맥을 같이한다. 하지만 채원정의 『율려신서』 이론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았다. 이것은 주자학 존숭자였던 황윤석의 악률에 관한 인식의 한 면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하겠다. 황윤석의 악률에 대한 관심은 조선후기 지식인들이 갖는 악률에 대한 일반적 경향을 가지고 있었다. 상수학을 위주로 하는 역학자(易學者)이기도 하고 명물도수지학자(名物度數之學者)이기도 한 황윤석은 단순한 관심을 넘어서 중국 악률서를 열심히 탐구했고 악률 이론이 궁중 의식 음악에서 어떻게 쓰이고 있는지에 대해 주의를 기울였다. 황윤석은 당시 유학자들이라면 갖는 성리학적 음악 이론이라는 면에서도 실학자들이 추구하는 과학적 측면에서도 악률에 대해 큰 관심을 가졌던 것으로 보인다. Ijaenango (頤齋亂藁) is a series of 60 diaries written by Hwang Yun-soek for about 50 years from 1738 to 1791 and compiled by his descendants. Through Ijaenango (頤齋亂藁), we can take a look at Hwang Yun-Seok’s various and wide interests in Confucian classics, history, astrology, astronomy, mathematics, language and literature, music and weights and measures. Out of them, his mention about music was given a great gravity, and especially Akryul (樂律) was most mentioned. Thus,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Hwang Yun-Seok’s interest and awareness of Akryul (樂律) by analyzing Akryul-related contents mentioned in Ijaenango (頤齋亂藁). Terms related to Akryul seen in Ijaenango (頤齋亂藁) were over a half of all the present music terms, with a great many Akryul-related literatures mentioned. Some of the Akryul-related terms mentioned frequently in Ijaenango (頤齋亂藁) were terms related to 聲 ㆍ音ㆍ律ㆍ調 and 12 Yulmyeong (律名), such as 黍尺, 琴制, 琴譜, 琴學, 編磬. 編鐘 and 鐘律, and Korean literature, such as 『樂學軌範』, 『文獻備考』 and 「樂考」 and Chinese literature, such as 『律呂新書』, 『律呂正義』, 『律呂精義』, 『頖宮禮樂全書』, 『樂仙琴譜』, 『大樂元音』 and 『松風閣琴譜』, were frequently mentioned. As for historical figures mentioned frequently, it has 蔡元定, 朱載堉, 蔡邕, 京房, 何承天, 陳暘, 何瑭, 李之藻, 冷謙 and 韓邦寄. Based on the trace of his life events, it was found that his awareness of Akryul was so great that he was recognized by many people. Thousands of terms and books related to Akryul mentioned in Ijaenango (頤齋亂藁) explain well what were mostly discussed on Akryul in the intellectual society of Joseon Dynasty. At that time, he worked on translating and interpreting Chae Won-jeong’s Yulyeoshinseo, which scholars considered as a Neo-confucianism textbook on music, and even introduced it as the most reliable Akryul book. Beyond simply interpreting Yulyeoshinseo, however, he even actively advocated it by comparing with new theories. He was interested in Joo Jae-yook’s or Yi Ji-jo’s theories in Ming Dynasty, and also had interest in an Akryul theory integrated book in Qing Dynasty, titled 『律呂正義』, or Jang An-mu’s Akryul theory in Bang-gung Yeakjeonseo. Besides, He had interest in other theories such as Nakseongeumbo and Songpung-gak Geumbo. Such an interest of his is in the same context of his Bakhak Spirit, which he attempted to acquire new theories. However, all his interest was not greatly far from Chae Won-jeong’s theory of Yulyeoshinseo. It shows an aspect of his awareness of Akryul as a successor to Neo-confucianism. As a dynamist and myeongmuldosujihak scholar (名物度數之學者) focusing on Sangsuhak (象數學), Hwang Yun-Seok explored Chinese Akryul books beyond his simple interest, while paying attention to how Akryul theories were used and applied to court ritual music. It also seems that Hwang Yun-Seok had great interest in Akryul in the scientific aspect that Silhak scholars pursued in terms of Neo-confucianism music theo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