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소화기 ; 아스피린 복용 환자에서 내시경 유두 괄약근 절개술에 따른 출혈의 위험성

        황종호 ( Jong Ho Hwang ),강대환 ( Dae Hwan Kang ),김형욱 ( Hyung Wook Kim ),최철웅 ( Choel Woong Choi ),박수범 ( Soo Bum Park ) 대한내과학회 2011 대한내과학회지 Vol.81 No.2

        목적: 내시경 유두 괄약근절개술(endoscopic sphicterotomy, EST)은 현재 췌장과 담도 질환에서 널리 사용되는 내시경적 치료방법이나 출혈, 천공, 췌장염의 합병증이 동반될 수 있다. 외국 문헌에 따르면 EST 시행 전 아스피린(aspirin)을 중단할 필요가 없다고 제시하고 있다. 최근 국내에서도 아스피린의 복용자가 늘어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현재 이에 대한 적절한 지침이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EST를 시행한 환자들에서 아스피린 복용 군과 비 복용 군의 출혈에 대한 빈도와 안전성에 대해 비교 평가하고자 하였다. 방법: 2005년 2월부터 2008년 9월까지 본원에서 EST를 시행한 1,003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13명이 시술 전 지속적으로 아스피린을 복용한 군이었으며 나머지 990명이 아스피린을 복용하지 않은 군이었다. 각 그룹 간에 EST 시행 후 출혈 빈도를 후향적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아스피린 복용 군과 비복용 군 간에 연령, 성별에서는 통계학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EST 적응증으로 담관담석이 아스피린 복용 군에서 12예(92.3%, 12/13예), 비 복용 군에서 706예(71.3%, 706/990예)였으며(p=0.124) 동반된 질환으로 담도염이 아스피린 복용 군에서 11예(84.6%, 11/13예), 비 복용 군에서 815예(82.3%, 815/990 예)로 (p=0.974)두 군 간에 별다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임상적으로 의미 있는 출혈은 아스피린 복용 군에서는 발견되지 않았으며 아스피린 비 복용 군에서 3예(0.3%, 3/990예)가 관찰되었다. 결론: 본 연구에서는 아스피린을 복용하는 것이 EST 후 임상적으로 의미 있는 출혈을 증가시키지는 않았다. 따라서EST를 시행하기 전에 아스피린의 복용을 반드시 중단할 필요는 없을 것으로 생각한다. Background/Aims: Endoscopic sphincterotomy (EST) is a common therapeutic technique for biliary and pancreatic disease, but itcan cause several complications. Although the literature suggests that there is no need for patients to stop taking aspirin beforeundergoing EST, there are no definite guidelines on this in Korea. Consequently, we compared the frequency of bleeding and safety between aspirin users and nonusers undergoing EST. Methods: This retrospective study recruited 1003 patients who underwent EST at our hospital between 1 February 2005 and 30 September 2008. Thirteen patients continued to take aspirin until the day of the sphincterotomy (group 1), and 990 patients had not taken aspirin before the sphincterotomy (group 2). The incidence of post?sphincterotomy bleeding was compared between the two groups retrospectively. Result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ge or gender between the two groups. The indications for EST included common bile duct stones in 12 patients (92.3%, 12/13) in group 1 and 706 patients (71.3%, 706/990) in group 2 (p=0.124). Regarding combined disease, cholangitis was observed in 11 patients (84.6%, 11/13) in group 1 and 815 patients (82.3%, 815/990) in group 2(p=0.974). Clinically significant post?sphincterotomy bleeding was observed in three patients in group 2 (0.3%, 3/990) versus none in group 1.Conclusions: Taking aspirin does not appear to clinically increase bleeding after EST. Therefore, there is no definite need to stopaspirin before undergoing EST. (Korean J Med 2011;81:193-198)

      • KCI등재

        아스피린과 플라빅스의 수술 전 지속적 사용이 무심폐기 하 관상동맥우회술에 미치는 영향

        이기종,이교준,양홍석,안지영,유경종 대한흉부외과학회 2006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39 No.1

        배경: 아스피린과 플라빅스는 관상동맥 환자들에게 가장 흔히 사용하는 항혈소판 제제이나 수술 후 출혈 성향의 증가에 대한 우려 때문에 수술 5일에서 7일 전에 복용을 중단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들 약제들의 지속적 사용이 무심폐기 하 관상동맥우회술(Off pump coronary artery bypass grafting, Off pump CABG) 후의 결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관하여 조사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4년 3월부터 2005년 2월까지 Off pump CABG를 시행 받은 123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여 수술 전후에 아스피린과 플라빅스를 끊지 않고 지속적으로 사용한 군(n=45, 36.6%)과 적어도 수술 1일 이전에 끊은 군(n=78, 63.4%) 사이에 수술 전후 혈소판, 헤모글로빈/헤마토크리트 수치, 수술 후 출혈량, 도관 개통률, 수술 시간 등을 비교하였다. 또한 대상환자들을 수술 전에 아스피린을 1달 이상 사용했던 장기 사용군과 그렇지 않은 군으로 구분하여 상기 요소들을 비교하였다. 결과: 수술에 의한 사망은 없었으며 출혈에 관한 합병증으로는 출혈에 의한 재수술과 상부 소화관 출혈이 각각 1예씩 있었다. 지속적으로 사용한 군과 그렇지 않은 군의 비교에 있어서는 수술 직후와 수술 후 1, 2일의 혈소판 수치가 지속적 사용군에서 유의하게 낮았으나(p=0.02, p=0.002, p=0.021) 수술 후 출혈량, 수혈 빈도, 출혈 관련 합병증 및 도관의 개통률에는 차이가 없었다. 아스피린을 1달 이상 사용한 장기 사용군의 경우 그렇지 않은 군에 비하여 수술 전후의 혈소판 수치가 지속적으로 낮았으나 출혈량, 수혈 빈도, 합병증 및 도관의 개통률에는 차이가 없었다. 결론: 아스피린과 플라빅스의 Off pump CABG 전후의 지속적 사용은 수술 후 일시적인 혈소판 수치의 감소를 초래할 수 있으나 수술 후 출혈량, 수혈 여부, 수술 시간, 출혈과 관련된 합병증 및 도관의 개통률에는 영향을 주지 않았다. 그러므로 Off pump CABG에 있어서 아스피린과 플라빅스는 수술 전까지 지속적으로 사용하여도 될 것으로 생각한다.

      • KCI등재

        심뇌혈관질환 예방을 위한 아스피린의 근거중심 사용법

        김영상,김경곤,황인철 대한가정의학회 2009 Korean Journal of Family Medicine Vol.30 No.4

        Aspirin is well known for its central role in preventing cardio cerebrovascular diseases as an antiplatelet agent. However besides its favorable effects, one must also be fully aware of its side effects such as gastrointestinal complications or cerebral hemorrhage. Particularly when prescribing to Koreans, one must be highly cautious, considering the higher prevalence of helicobacter pylori infection and the contribution of hemorrhagic stroke as a major part of cerebral disease in Korean. Currently the guideline for secondary prevention of cardio cerebrovascular diseases is relatively well established, while the consensus for primary prevention is still controversial. The purpose of this paper would be to summarize the evidence of aspirin usage in preventing cardio cerebrovascular diseases, examine the additional factors one must consider, and help primary physician prescribing aspirin appropriately. 아스피린은 심뇌혈관질환 예방에 사용하는 항 혈소판제 중 가장 중추적인 역할을 하는 약제이지만, 긍정적 효과 이외 에 위장관계 합병증이나 뇌출혈 등의 부작용이 적지 않다. 특 히, 한국인에서는 헬리코박터균 감염률이 높고, 뇌혈관질환 중 뇌출혈이 차지하는 비중이 매우 크기 때문에 그 사용에 있 어 보다 신중해야 할 것이다. 현재 심뇌혈관질환의 이차예방 에 대해서는 확립된 지침이 있지만, 일차예방에 대해서는 아 직도 논란이 많다. 본 고에서는 지금까지 발표된 아스피린의 심뇌혈관질환 예방에 대한 효과를 검토하고 아스피린을 사용 할 때 고려해야 할 몇 가지 사항들을 고찰함으로써 실제 임상 에서 아스피린의 현명한 사용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 KCI등재

        아스피린 단결정의 성장 및 브릴루앙 산란법에 의한 탄성계수의 온도의존성연구

        김태현,고재현,이광세,Yuji Ike,Seiji Kojima 한국물리학회 2009 새물리 Vol.58 No.5

        The temperature dependence of the elastic constants was investigated, by using Brillouin light scattering, for aspirin single crystals grown by the slow-evaporation method. Two scattering geometries were used to obtain the C11, C55, and C66, which correspond to the longitudinal and the transverse acoustic phonons propagating along the [100]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cleavage plane. C11, C55, and C66 exhibited monotonically decreasing behaviors upon heating, which may be understood in terms of the normal lattice anharmonicity. No signs of any structural phase transition at temperatures between 100 K and the melting point of aspirin, i.e., ~ 410 K, were observed. 용액 증발법을 이용하여 아스피린 단결정을 성장시킨 후에 브릴루앙 산란법을 적용하여 탄성계수의 온도의존성을 조사하였다. 절개(cleavage)면의 특성을 가지는 단사정계 아스피린 단결정의 (100)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진행하는 하나의 종음향파 및 두 개의 횡음향파에 대응되는 세 개의 탄성계수인 C11 및 C55 및 C66의 온도의존성을 100 K에서부터 아스피린의 녹는점인 ~410K까지 넓은 온도영역에서 구하였다. 세 탄성계수 모두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단조감소하는 경향성을 보여주고 있고 구조 상전이의 징후는 나타나지 않았는데 이러한 온도의존성은 상전이를 나타내지 않는 결정이 가지는 격자 진동의 비조화성을 고려함으로써 이해될 수 있다.

      • KCI등재

        아스피린 복용 후 소실된 대장 용종증

        최소영 ( So Young Choi ),이현석 ( Hyun Seok Lee ),박수영 ( Soo Young Park ),정민규 ( Min Kyu Jung ),전성우 ( Seong Woo Jeon ),김성국 ( Sung Kook Kim ) 대한내과학회 2010 대한내과학회지 Vol.78 No.4

        아스피린과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제의 대장 종양 예방 효과는 널리 알려져 있다. 이는 대장암이나 대장 선종에서 과표현되어 있는 cyclooxygenase-2 (COX-2)의 억제를 통해 나타나며, 다양한 연구에서 이러한 COX-2 억제제의 복용이 용종의 발생과 재발을 예방하는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 그러나 이미 존재하는 대장 용종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선 잘 알려져 있지 않다. 본 증례는 대장내시경 점막절제술로 완전히 제거하지 못한 다수의 대장 용종을 가진 환자에서 6개월간 100mg의 아스피린 복용 후 용종의 소실과 퇴행을 경험한 예로, 아스피린 복용이 이미 존재하는 대장 용종에서도 항용종 효과를 보인 증례로 판단되어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한다. There is considerable evidence that aspirin and other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s) decrease the risk of colorectal neoplasia. Unlike cyclooxygenase-1 (COX-1), which is constitutively expressed in the colon, COX-2 is overexpressed in colorectal cancers and adenomas in human. Aspirin inhibits the generation of prostaglandins by inhibiting both COX-1 and COX-2, which initiate prostaglandin synthesis. The chemopreventive effect of aspirin against the development of colorectal adenomas has been widely investigated. However, there is no agreement on the effect of aspirin on existing adenomas. We describe a case of colon polyposis that disappeared after aspirin medication. (Korean J Med 78:485-489, 2010)

      • KCI등재

        저주파수 영역에서의 사이크로덱스트린과 아스피린수용액의 초음파완화

        배종림 한국물리학회 2015 새물리 Vol.65 No.1

        Aspirin is in the class of nonsteroidal ant-inflammatory drugs. In this study, ultrasonic absorption spectra of β-cyclodextrin (β-CD) and aspirin in aqueous solutions (pH ≈ 1.7) were measured in the frequency range form 0.18 to 8.1 MHz with emphasis on the low-frequency range below 1 MHz. Here, we showed that the interaction of β-CD and aspirin complies with a typical spectrum of a single relaxation process at frequencies below 1 MHz. The cause of the relaxation was attributed to a perturbation of the chemical equilibrium. The perturbation was associated with an inclusion complex formed by β-CD and aspirin. From the concentration dependences of aspirin on the relaxation time and on the maximum absorption per wavelength, we determined reliable rate (kb = 2.88 × 106 s−1) and equilibrium (K = 73 M−1) constants and a standard volume change (ΔV = 11.5 × 10−6 m3mol−1) for the reaction. The obtained rate and thermodynamic constants were compared with those of naproxen and adenosine 5’-monophosphate (AMP). 아스피린은 비스테로이성 항염증제의 일종이다. 본 연구에서는 저주파수 영역 (0.18 - 8.1 MHz)에서 아스피린 (guest)과 β-사이크로덱스트린 (β-CD)(host)이 함께 존재하는 수용액 (pH ≈ 1.7)에 대하여 초음파 흡수측정을 행하였다. 초음파 단일 완화현상이 1 MHz이하의 저주파수 영역에서 관측되었다. 이 완화현상의 원인은 β-CD와 아스피린의 복합체 형성과 붕괴반응에 의한 화학평행의 혼란상태에 의한 것으로 해석하였다. Guest농도의 함수에 따른 완화주파수와 파장당 최대흡수치의 변화로부터 신뢰할 수 있는 복합체 형성 속도상수 (kf =2.08×108 M-1s-1), 붕괴 속도상수 (kb = 2.88×106s-1), 평형상수 (K = 73 M-1) 그리고 반응에 의한 표준체적변화 (ΔV = 11.5×10-6 m3mol-1)를 각각 구하였다. 이들 속도상수들은 같은 비스테로이성 항염증제의 일종인 나프로젠과 에너지 대사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adenosine 5'-monophosphate (AMP)와 비교하였다.

      • KCI등재

        Effect of Antiplatelet Drugs on the Development of Vitreous Hemorrhage in Patients with Atrial Fibrillation

        Yoon-Jung Choy 대한시과학회 2022 대한시과학회지 Vol.24 No.1

        목적: 항혈소판제를 사용했던 심방세동 환자들을 장기적으로 추적 관찰하여 유리체 출혈의 발생률 및 위험요인을 연구하였다. 방법 : 2002년도부터 2006년까지 건강보험공단 자료에서 심방세동으로 진단받은 환자들을 2007년부터 2013 년 12월까지 유리체 출혈의 발생을 경과 관찰하였다. 아스피린, 실로스타졸 사용과 유리체 출혈과의 관계를 알아 보기 위해 투여 기간을 1년 이하 복용, 1년 이상 4년 이하 복용, 4년 이상 복용으로 나누어 검토하였다. 결과 : 총 7,471명의 환자가 선택되었다. 유리체 출혈은 98명이 발생하였다. 아스피린을 먹고 있던 총 25명 중 1년 이하로 복용한 환자는 9명(36%), 1년 이상~4년 이하로 복용한 환자는 9명(36%), 4년 이상 복용한 환자 는 7명(28%)이었다. 아스피린을 1년 이상~4년 이하로 복용 후 유리체 출혈 발생의 위험도는 0.799(p=0.634), 4 년 이상은 0.489(p=0.158)이었다. 실로스타졸을 먹고 있던 총 13명 중 1년 이하로 복용한 환자는 7명(53.8%), 1 년 이상~4년 이하로 복용한 환자는 4명(30.8%), 4년 이상 복용한 환자는 2명(15.4%)이었다. 실로스타졸을 1년 이상~4년 이하로 복용 후 유리체 출혈 발생의 위험도는 0.757(p=0.657), 4년 이상은 1.202(p=0.819)이었다. 12년간 추적관찰한 유리체 출혈은 4.6%의 누적 발생률을 보였다. 결론 : 심방세동 환자를 장기간 추적 관찰한 결과, 아스피린과 실로스타졸의 사용이 유리체 출혈의 위험을 증 가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유리체 출혈이 있는 환자에서는 당뇨병과 고혈압의 빈도가 높기 때문에 유리체 출혈은 다인성인 것으로 나타났다. Purpose :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incidence and risk factors of vitreous hemorrhage in patients with atrial fibrillation (AF) using thrombolytic agents with long-term follow-up. Methods : Patients diagnosed with AF between 2002 and 2006 were selected from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database and followed-up from 2007 to 2013.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use of antiplatelets (aspirin and cilostazol) and vitreous hemorrhage, patients were divided based on length of antiplatelet use (<1 year, 1~4 years, and ≥4 years). Results : A total of 7,471 patients were enrolled. Ninety-eight patients developed vitreous hemorrhage, of which 25 patients were taking aspirin (<1 year: 9[36%] patients, 1~4 years: 9[36%] patients, and ≥4 years: 7[28%] patients). The hazard ratio for developing vitreous hemorrhage after taking aspirin for 1~4 years was 0.799 and for ≥4 years was 0.489. In addition, 13 patients who developed vitreous hemorrhage were taking cilostazol (<1 year: 7[53.8%] patients, 1~4 years: 4[30.8%] patients, and ≥4 years: 2[15.4%] patients). The hazard ratios for developing vitreous hemorrhage after taking cilostazol for 1~4 years and for ≥4 years were 0.757 and 1.202, respectively. The cumulative incidence of vitreous hemorrhage at 12-years follow-up was 4.6%. Conclusion : Long-term follow-up of patients with AF revealed that the use of aspirin and cilostazol may increase the risk of vitreous hemorrhage. However, vitreous hemorrhage was found to be multifactorial because the frequency of diabetic mellitus and hypertension was high in patients with vitreous hemorrhage.

      • KCI등재

        아스피린과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제로 인한 다발성 위장관 궤양 출혈: 약제 기인성 대장 궤양을 중심으로 한 증례 보고와 문헌 고찰

        김현진,정우철,이강문,백창렬,정승혜,김진동,정성훈,곽재욱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 2009 Clinical Endoscopy Vol.39 No.6

        Aspirin and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s) are widely prescribed drugs, and they are known to be responsible for many cases of gastroduodenal ulcerations by inhibiting prostaglandin synthesis via blocking the cyclo-oxygenase production. Colonic side effects of these drugs are rare, but they are increasingly being reported to be due to the popularization of colonoscopy and the new formulations of drugs such as enteric coated pills or slow release pills. There is currently no consensus for making the clinical diagnosis and administering the proper therapy for drug-induced colonopathy in Korea. We experienced the patient who had multiple colonic ulcers after ingesting large amounts of aspirin and NSAIDs. In near future, we hope to determine the clinical and endoscopic features of drug associated colon injury. 아스피린과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제는 고령화와 함께 처방이 증가하고 있지만, 일부에서는 상부위장관 궤양과 출혈을 일으킨다. 이러한 약들은 cyclo-oxygenase (COX)의 작용을 억제하여 prostaglandin의 합성을 저하시켜 효과를 나타내지만 부작용도 발생하게 된다. 최근에 장용제나 서방형 약제의 사용이 많아지고, 대장내시경이 일반화되면서 대장에서 발생하는 부작용에 관한 관심이 늘어나고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국내에서는 임상 진단이나 병리 진단에 대한 협의가 없을 뿐 아니라, 증례 보고도 없는 실정이다. 본 증례는 지속적인 고열로 많은 양의 아스피린과 NSAID를 복용한 후에 위와 대장에 다발성 궤양 출혈이 발생한 경우로서, 약제 기인성 대장 궤양을 중심으로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한다.

      • KCI등재

        증례 : 알레르기 ; 아스피린과민성 환자에서 메페리딘에 의해 유발된 알레르기 반응 1예

        서민교 ( Min Gyo Seo ),노태훈 ( Tae Hoon No ),정희정 ( Heui Jeong Jeong ),김용완 ( Young Wan Kim ),김용한 ( Young Han Kim ),정재원 ( Jae Won Jung ),박찬선 ( Chan Sun Park ) 대한내과학회 2015 대한내과학회지 Vol.88 No.6

        본 증례는 아스피린/비스테로이드성 진통소염제 과민성과 만성 두드러기 환자에서 대체약물로 비교적 안전하게 사용되는 아편유사체진통제인 메페리딘에 대한 IgE 매개 급성 전신두드러기 증례로 국내에서는 첫 번째 보고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임상에서 흔히 사용하는 약물이기 때문에 투여 후주의 깊은 관찰이 필요하며 즉시형 과민반응이 의심되는 경우에는 병인기전의 확인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Although narcotic analgesics are potent releasers of histamine, IgE-mediated allergic reactions to these drugs are rare. Here we report the case of a 56-year-old male who suffered from chronic urticarial and analgesics-induced skin rashes. He visited our allergy clinic to determine alternative analgesics before undergoing surgery. A drug provocation test showed a positive reaction to aspirin, but negative reactions to acetaminophen and celecoxib. Despite careful attention to his drug regimen, during surgery he developed generalized urticaria and flushing. Skin tests of allergy to latex, lidocaine, propofol, rocuronium, flomoxef, meperidine, palonosetron, pyridostigmine, and fentanyl yielded negative results, except for the prick and intradermal tests with meperidine. Thus, this patient had both an aspirin/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idiosyncrasy and an IgE-mediated hypersensitivity to meperidine. (Korean J Med 2015;88:732-736)

      • KCI등재

        아스피린의 심혈관질환 및 암 예방효과

        백유진,윤종률 대한의사협회 2014 대한의사협회지 Vol.57 No.4

        Cardiovascular disease (CVD) is the one of the leading causes of death in Korea. Aspirin, well known for its antiplateletfunction, has been used for the secondary prevention of CVD during the first few several decades. However, whetheror not to have a protective effect on the primary prevention of CVD in apparently healthy people is still controversial. In addition, accumulating data suggest aspirin may have a favorable possibility on cancer incidence and mortality. Wereviewed the literature, focusing on new evidence on the benefits and risks of aspirin for the prevention of CVD andcancer. Aspirin modestly decreases the risk of non-fatal myocardial infarction and cancer incidence in patients withoutovert CVD and at average cancer risk, but increase the risk of major bleeding. Several guidelines on the use of aspirinfor the primary prevention of CVD stated the need for the prudent assessment of individual CVD risks in the targetpopulation. Currently there's no CVD risk assessment tools based on domestic data available in Korea. Also the bleedingrisk and relatively high incidence of hemorrhagic stroke in Koreans make a difficult decision. Clinicians should give thepatients a balanced information and discuss the effects or harms of taking aspirin on the prevention of CVD and canceraccording to the updated evidence. Patient education for the prevention of CVD is more important and life style changeincluding smoking cessation, weight reduction, and a healthy diet should be emphasized before considering aspiri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