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교육복지우선지원학교 1-4학년 아동의 어휘, 단어읽기와 읽기이해 특성

        윤효진,정부자 한국언어치료학회 2019 言語治療硏究 Vol.28 No.2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receptive vocabulary, word reading, and reading comprehension with a focus on first through fourth graders in schools that participated in the Education and Welfare Priority Project (participating school). Methods : The participants included 414 children who were attending a participating school and a non-participating school. They were tested to evaluate receptive vocabulary, word decoding, and reading comprehension. Two-way MANOVA were conducted to determine differences between school types and grade on receptive vocabulary, word reading, and reading comprehension. Results : There was a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between both participating and non-participating schools and grades on the combined dependent variables and both schools and grades were main effects on dependent variables. Overall, participants from the participating school obtained significantly lower scores than those from the non-participating school on receptive vocabulary, word reading, and reading comprehension. As well, receptive vocabulary and reading comprehension showed improvement with grades across both types of schools. The interesting finding was that there was an interaction effect on word reading. The participants from both types of schools achieved similar scores on the word reading in third and fourth graders while first and second graders from the participating school demonstrated significantly poorer performance that those from the non-participating school. Conclusions : The results are consistent with previous studies that show low SES has a negative effect on language and reading skills in school-aged children. It suggests that language and reading intervention should be initiated in an effort to improve language and reading for children with low SES. 목적: 본 연구에서는 저소득층 밀집지역 내에 위치한 교육복지우선지원학교의 1-4학년 아동을 대상으로 어휘, 단어읽기, 읽기이해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교육복지우선지원학교의 모든 아동을 저소득층으로 규정하는 데에는 무리가 있으나 이 학교의 아동들을 대상으로 살펴봄으로써 저소득층 아동의언어와 읽기능력의 경향성을 예측해보고자 하였다. 방법: 본 연구는 교육복지우선지원학교에 다니고있는 1-4학년 아동과 그렇지 않은 학교의 아동 총 414명이 참여하였다. 모든 대상자에서 REVT의수용어휘검사, KOLRA의 단어읽기와 읽기이해, 그리고 비언어성지능을 살펴보기 위해 C-TONI-2를실시하였다. 교육복지우선지원학교 선정여부 (학교유형)와 학년을 독립변수로, 수용어휘, 단어읽기, 읽기이해, 비언어성지능을 종속변수로 하여 two-way MANOVA를 실시하였다. 결과: 모든 종속변수에 대해 학교유형과 학년에 따른 주효과와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교육복지우선지원학교에 다니는 아동이 그렇지 않은 학교의 아동보다 수용어휘, 단어읽기와 읽기이해 모두에서 낮은점수를 얻었다. 또한 학년이 올라갈수록 어휘, 읽기 모두 발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흥미로운 점은단어 읽기에서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난 것인데, 이는 초등 1-2학년 때는 교육복지우선지원학교에다니는 아동의 단어읽기 점수가 낮았으나 3-4학년 때는 두 학교유형의 아동 집단간에 비슷한 단어읽기능력을 보여 나타난 결과로 볼 수 있다. 결론: 낮은 사회경제적 지위는 아동의 언어와 읽기, 학업성취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이는 청소년기와 성인기에 이르는 생에 전반적으로 영향을미칠 수 있다. 그러므로 학업의 기초가 되는 언어와 읽기를 예방적 차원에서 적극적으로 교육하는 것이필요할 것이다.

      • KCI등재

        지적장애아동과 품행장애아동의 가족지원 사례관리 연구

        강미라,이효신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2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51 No.3

        이 연구의 목적은 저소득층 장애아동의 변화과정을 기술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첫째, 저소득층 장애아동을 위한 사례관리 프로그램을 개발한다. 둘째는, 사례관리 프로그램의 회기 중에 일어나는 아동과 가족의 변화 과정을 분석한다. 이 연구에서는 아동의 개인적 요인(지적장애, 행동문제)과 특정 환경적 요인(편모가정, 저소득층 가정)을 모두 고려하여 사례관리라는 포괄적이고 복합적인 중재 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 대상은 D광역시에서 사례관리 대상자로 의뢰된 저소득층의 지적장애아동 1명과 품행장애가 의심되는 아동 1명 그리고 그 아동의 가족이다. 사례관리 절차는 아동과 가족의 기본 정보 수집, 요구 사정, 중재목표 설정, 지원서비스 제공, 그리고 종결평가와 사후관리이다. 중재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아동의 개별프로그램을 개발하였고, 가족지원 서비스를 가족에게 제공하였다. 사례관리 프로그램의 시작과 종료 시 가족요구를 조사하였고, 아동의 변화를 측정하였다(A아동은 포테이지 발달 검사를, B아동은 K-CBCL과 K-ABC를 실시하였다). 사례관리 대상아동과 가족의 변화를 제시하기 위해 변화과정 연구(Change Process Research; CPR) 방법의 3가지 성과, 즉각적 성과, 중간적 성과, 최종적 성과를 중심으로 내용을 기술하였다. 연구 결과, 아동의 중재 목표는 달성되었지만, 가족의 역량강화는 성취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저소득층 지적장애아동의 가족은 29개월 간의 사례관리 프로그램에도 불구하고 수동적인 수급자로 남아 있다. 마지막으로 저소득층 장애아동의 사례관리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cribe that changes process in low-income familie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Specific goals of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is to develope case management program for low-income families’ children with disabilities. Second, it is to analysis that change process of child and family in sessions. Subjects were 2 children and their families in D city, referred to the case management for low-income families of children that with diagnosed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that who is judged to be at risk of conduct disorder. The procedures of case management were as follows: collection of basic information, needs assessment, goal setting, providing support services, evaluation of program and follow-up activities. Thus, individualized program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was developed. Also, family support services were provided. Results indicated that final outcomes for children A and B were accomplished, but family empowerment was not attained.

      • KCI등재

        아동수당 도입과 조세지원체계 개편: 국가별 비교 및 대안정책의 급여수준효과 모의실험

        이상은 ( Lee Sangeun ),정찬미 ( Jeong Chanmi ) 한국사회보장학회 2016 사회보장연구 Vol.32 No.4

        본 연구는 아동부양가구에 대한 소득보장정책에 있어서 아동수당과 조세지원정책의 양자 모두를 종합적으로 고려하면서, 한국에서의 아동수당 도입 방안과 조세지원제도들의 대체 문제를 검토하였다. 이를 위하여 주요 국가들의 사례를 비교 분석하고, 또한 대안 모델에 따라 소득계층별로 급여수준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한국의 아동부양가구에 대한 소득보장정책은 이제 인적소득공제 중심의 역진적 체계에서 벗어나 아동수당 중심의 누진적 체계로 전환해야 한다. 둘째, 아동수당을 도입할 경우 소득수준에 관계없이 모든 아동에 급여를 제공하는 보편적 아동수당이 적절하다. 셋째, 조세지원정책 측면에서는 중산층 이상이 주된 수혜대상인 인적소득공제 및 비환급성 세액공제제도는 폐지하되, 저소득층 및 서민층에 대한 지원제도는 존속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넷째, 중장기적으로 근로장려세제를 중산층에 대한 지원체계로 까지 대폭 확대하는 것을 고려해야 한다. This study explores an introduction of a child allowance and reform alternatives of tax expenditure systems with regard to income support policy for the households with dependent children in Korea. To do this, this study analyzes the cases of Sweden, the UK, and the US and compares them with the Korean case. And then this study also simulates the changes of benefits according to 8 different alternative models. On the basis of the results, this study suggests the following policy implications. First, the current Korean income support system needs to transform from the regressive income deduction system through the tax expenditure to the universal progressive system by introducing child allowance programs. Second, the favorable form of child allowance is an universal system. Third, of the tax expenditure programs, the income deduction and the non-refundable tax credit program needs to be abolished, while the refundable tax credit programs are sustained. Fourth, in the mid-to-long term, the EITC needs to be enlarged to include the middle class.

      • KCI등재후보

        저출산·고령화 사회에 직면한 한국의 아동 공적 소득이전 정책의 방향

        정찬미(Jeong, Chanmi) 숭실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22 사회과학논총 Vol.25 No.-

        국가의 사회적 상황에 따라 아동의 공적 소득이전정책의 목적 및 방향성이 달라지므로, 한국의 저출산, 낮은 아동빈곤율, 높은 노인빈곤율 상황과 유사한 국가를 선정하고,’ 그 국가의 아동에 대한 공적 소득이전정책을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한국의 아동에 대한 공적지원 체계의 정책 방향성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OECD 33개 국가의 아동빈곤율과 출산율에 따라 군집분석(cluster analysis) 한 결과, 한국은 낮은 아동빈곤율- 낮은 출산율의 그룹에 속하였으며 같은 그룹에 속하며 아동빈곤율, 전체빈곤율과 노인빈곤율의 관계가 한국과 유사한 국가로 스위스와 독일로 선정되었다. 스위스와 독일의 아동 공적이전 정책 체계를 살펴보고 한국에 주는 시사점을 다음과 같다. 첫째, 국가의 공적지원에 연령의 사각지대가 없어야 한다. 둘째, 낮은 아동빈곤율-낮은 출산율의 국가는 아동수당을 보편적으로 지급하는 경향을 보이며, 출생순위에 따라 급여수준을 확대하여 아동수가 많을수록 많은 혜택을 받게 설정하고 있다. 셋째, 아동에 대한 지원이 중복되지 않도록 제도 간의 체계가 이루어져야 하겠다. 마지막으로 노인빈곤율이 높은 국가에서는 노인 빈곤해소를 위한 국가의 재원 부담도 필요한 상황이므로, 아동에 대한 공적 지원의 재원을 부모의 기여와 고용주의 부담 등을 기반으로 하는 사회보험의 방식이나 목적세 등의 방법도 고민할 필요가 있다. According to the social situation of the country, the direction of the public transfer policy of the child changes. Switzerland and Germany are similar to Koreas low fertility rate, low child poverty rate, and high poverty rate. The following are the implications for the Koreas child public transfer policy in Switzerland and Germany. First, there should be no blind spot for age gap in child public transfer policy. Second, In countries with low birthrates, child benefit should be universally paid. Third, a system should be established between institutions to prevent duplication of support for children. Finally, It is necessary to consider social insurance or the way of taxation as a means of funding.

      • KCI등재

        저소득층 아동/청소년의 급식지원실태 및 급식지원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탐색적 연구: 서울지역을 중심으로

        장신재,박은미 한국아동권리학회 2006 아동과 권리 Vol.10 No.4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review the general state of current meal service, find out the effective factors on the satisfaction degree of the meal service, and provide data for the meal service policy.Target populations of meal service are mainly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in single parent family. Fifty-two-point-three percent of recipients were served within a year and majority of recipients were served more than two kinds of service(53.1%). The method of service was meal delivery to each house(82.8%). However, the 46.1% of recipients wanted other means, such as food stamps or cash. Also most of the recipients appreciated the meal service itself.The degree of satisfaction was above average(average is 3.41). The results of detailed analysis showed that preference of food was the lowest level of satisfaction(average is 2.54) and right time to eat was the satisfactional factor(average is 3.61). The effective factors on the satisfaction degree were family size, economic situation, and welfare recipients. The research results showed that as they recognized their family economic status was positive and they were not welfare recipients, and their satisfaction degree was high. ◈본 연구는 건강하게 성장·발달할 수 있는 권리를 위협받고 있는 결식아동·청소년에 대한 급식지원의 전반적인 현황과 특성들을 평가해 보고 결식아동·청소년의 급식지원 만족도와 이와 관련된 요인들을 탐색적으로 도출해 냄으로써 향후 급식지원제도의 개선 방향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급식지원 실태를 요약하면, 급식지원 대상자는 주로 한부모 가정의 초 중등학생이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며, 급식지원 기간은 1년 미만이 가장 많은 52.3%에 해당되었고, 대부분의 대상자가 2 종류 이상(53.1%)의 급식지원을 받고 있었다. 급식지원방법은 도시락을 배달 받고 있다는 응답자가 82.8%에 달했다. 그러나 선호하는 급식지원 방법은 식권이나 급식비 지급 등을 요청하는 경우도 많았으며(46.1%), 대다수가 급식지원에 대해서 감사한 마음을 가지고 있다고 응답하였다. 급식지원 사유에서는 부적절한 지원대상자가 31.8%나 되어 지원대상자 선정에 문제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저소득층 영유아 가정 주양육자들의 정책적 요구 분석

        이미화,이윤진,이정림 육아정책연구소 2009 육아정책연구 Vol.3 No.1

        본 연구에서는 저소득층 영유아를 위한 통합적 지원사업 대상 가정의 주 양육자들이 정부에 대하여 원하고 있는 정책이 무엇인지, 그리고 원하는 육아지원정책이 무엇인지에 관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 408가구의 저소득층 가정의 주양육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아동지원사업의 대상인 저소득층 가정의 주양육자들은 미래의 자녀 교육비 지원이나 기초생활비 지원확대 등과 같은 비용지원 정책을 많이 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저소득층 가정에 가장 필요한 육아정책으로는 자녀의 학습지 또는 학원비 지원과 같은 자녀 교육과 관련된 요구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고, 저소득층 아동지원사업의 확대 및 프로그램 확대도 많이 요구하였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what polices beneficiaries of comprehensive support projects for children of low-income households wanted. The participants of the survey was 408 parents of low-income families. The parents of low-income families wanted financial support the most related to their children's education and basic living expenses. In addition, their children's education was one of their major concerns such as supporting the fee of private academies or children's workbook as child-rearing polices.

      • 아동수당의 효율적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강영숙(Kang, young sook) 한국복지실천학회 2019 한국복지실천학회지 Vol.11 No.1

        UN 아동권리협약 제6조에서는 각국의 정부가 아동의 생존과 발달을 최대한 보장해야 함을 규정하고 있다. 아동수당제도가 제대로 기능하기 위해서는 일부 계층의 아동을 대상으로 하기보다는 부모의 능력과 무관하게 모든 아동에게 아동수당이 지급되어야 한다. 아동수당은 아동의 기본적인 생존권과 발달권을 보장하여 올바른 시민으로 성장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중요하다. 현재 우리나라 노령인구의 증가추세와 낮은 출산율로 인해 생산 가능인구(15〜64세)의 감소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실정이다. 이는 국가경쟁력에 악영향을 미칠 것이며 또한 노년부양비가 증가하는 가운데 사회보장비용이 점차 증대되고 있어 미래사회에 대한 부담감으로 세대 간의 갈등이 우려되고 있다. 2017년 통계청의 인구동향조사발표에 따르면 2016년 총 출생아 수는 40만 6천 2백 명으로 전년보다 7.3% 감소한 것으로 이는 합계출산율(여성 1명이 평생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평균 출생아 수)은 1.17명으로 전년(1.24명)보다 0.07명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2008년 465.9(1.192), 2010년 470.2(1.226), 2012년 484.6(1.297), 2014년 435.4(1.205), 2016년 406.2(1.17) 순으로 OECD 국가들 중 가장 출산율이 낮았다(통계청, 2017). 출산율이 낮아진 원인 중 여성들의 가치관 변화를 들 수 있는데 이는 여성들이 예전처럼 필수적으로 출산을 할 필요가 없어졌기 때문이고 아직은 우리사회에 존재하고 있는 가부장제로 여성들이 결혼을 연기하거나 출산을 축소하는 선택을 하게 되었다. 또한 다산을 하더라도 사회적 보장 체계가 미흡하기에 출산 기피현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이에 정부는 아동 양육을 위한 금전적 부담을 감소시키고자 보육료를 받지 못하는 아동에게 2009년부터 양육수당을 도입하게 되었고 이어 2018년 9월부터 한국에서 최초로 아동수당을 지급하게 되었다. 그러나 아동수당의 도입 초기부터 수혜대상 등 끊임없는 논란이 야기되고 있어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각국의 아동수당의 운영을 고찰하고, 관련된 선행연구들을 검토하여 향후 아동소득지원인 아동수당이 올바르게 운영 될 수 있도록 효율적 운영방안을 제시해 보기로 한다. Article 6 of the U.N. Convention on the Rights of the Child requires governments of each country to ensure the survival and development of children as much as possible. In order for the child benefit system to function properly, all children should be given child benefits regardless of their parent s ability, rather than targeting some class of children. Child benefits are important because they can guarantee a child s basic right to survival and development, thus providing an opportunity to grow into a proper citizen. Currently, Korea is affecting a decrease in production-ready population (ages 15 to 64) due to the increasing aging population and low birth rates. This will have a negative impact on the nation s competitiveness and the rising cost of social security amid the rising cost of aging has raised concerns about conflicts between generations due to the burden on the future society. The total number of births dropped 7.3 percent from a year earlier to 406,200 in 2016, according to the National Statistical Office s population trend survey report in 2017. Among the OECD countries, 465.9 (1.192), 470.226 in 2010, 484.6 in 2012 (1.297), 435.4 (1.205), and 406.2 (1.17) in 2016(Statistics Board, 2017). Among the reasons for the falling birth rate is a change in women s values, as women are not necessarily having to give birth as they used to. The patriarchal system, which still exists in our society, has forced women to choose to postpone marriage or reduce childbirth. In addition, even if you have a large number of children, you can avoid giving birth due to the lack of a social security system. In order to reduce the financial burden of child rearing, the government introduced child care benefits to children who do not receive child care in 2009, and the first child benefit in Korea from September 2018. However, since the introduction of child allowances, such as those subject to benefits, the government should consider the operation of child allowances in each country to resolve these problems and review the relevant preceding studies to present efficient plans for children s benefits.

      • KCI등재후보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 지원사업 프로그램이 저소득층 아동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효과성에 관한 연구: 춘천지역을 중심으로

        박미란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2010 학교사회복지 Vol.- No.18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effects that the Education Welfare Priority Zone has on the School Adjustment level of the students. The subjects were 100 children of low-income families in elementary schools specified by Education Welfare Priority Zone of Chuncheon Office of Education in Gangwondo. School Adjustment Level of the children were examined before and after the research. The result showed that the Education Welfare Priority Zone improved the school adjustment level of the children and it had a bigger positive result for the children of low-income families with complex problems. In order to prove that the Education Welfare Priority Zone would give positive impact on students' school adjustment for the future continuously, it is necessary to do assessments periodically and to provide programs necessary for the students such as case management, mentoring, and others in a continuous base. 본 연구에서는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 지원사업 프로그램이 저소득층 아동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조사방법으로는 강원도춘천교육청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 지원사업 지정 초등학교의 저소득 아동 100명으로 학교적응 척도 검사를 사전, 사후 2회 실시하였다. 그 결과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 지원사업이 저소득층 아동의 학교적응을 향상시키고 있고 저소득층 아동 가운데에서도 복합한 문제를 가진 사례관리 아동에게 가장 긍정적인 영향이 있음이 확인되었다. 그러므로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 지원 사업이 효과적임을 지속적으로 입증하기 위해서는 주기적인 평가가 실시되고 사례관리, 멘토링 등 집중지원 대상아동에게 필요한 프로그램이 지속적으로 제공되어야 한다.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