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문화예술교육으로의 오페라교육 발전 방향 - 국내외 사례분석을 중심으로

        정주연 한국예술종합학교 한국예술연구소 2018 한국예술연구 Vol.- No.20

        본 연구는 국내 6개, 국외 4개의 오페라교육 사례를 선정하여 조사하고 문헌분석 방법을 통해 살펴봄으로써 문화예술교육으로서의 한국 오페라교육의 발전 방향성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오페라 장르를 둘러싼 진입장벽을 낮추기 위한 다각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교육대상에 대한 연구와 오페라를 구성하는 요소들에 대한 연구로 학습자의 참여와 의미탐색 과정을 중심에 두는 통합 예술교육을 개발해야 한다. 둘째, 초․중․고등학교의 제도와 환경 및 학생들의 필요를 반영한 오페라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교사 교육을 제공하여, 교육의 중심이 되는 학교에서 오페라 체험이 이루어지도록 해야 한다. 향후 국내에서 이루어지는 오페라 교육이 현대의 문화예술교육의 흐름에 맞춘 수준 높은 교육을 제공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연구와 지원이 필요하다. This study examines six Korean and four foreign opera programs to provide policy suggestions to develop opera programs as part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in Korea. First, multilateral efforts are needed for opera to be more accessible to people; we should develop integrated-arts education that facilitates learners’ active involvement and meaning making through further studies about learners and the elements of opera. Second, an understanding of the students’ needs and the Korean public school system will help construct opera learning programs that are appropriate for public schools; and teacher education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aspects of effort to support school opera education. Efforts such as these and further investment is required to ensure a higher quality of opera programs in Korea, which can evolve alongside modern culture and arts education.

      • KCI등재

        초등학교 학부모의 예술 사교육에 대한 인식 연구

        이송하 한국예술종합학교 한국예술연구소 2022 한국예술연구 Vol.- No.38

        This study explores the significance of private tutoring in the arts for elementary school parents. To this end, we tried to find the essential meaning formed in the lived experience of individual and social relationships by returning to the ‘Sache selbst’ of elementary school parents through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s. Our findings show that arts private tutoring have a different pattern of participation from other subjects. Receiving private tutoring in the arts during elementary school is the foundation for enriching the quality of life as children grow up, a phenomenon accompanied by parents’ love and responsibility. Furthermore, it was also a tool for achieving academic achievement. It is worth noting that elementary school parents had great anxiety about falling behind in private tutoring. As mothers shoulder the burden of after-school education, parents expressed a hope that the quality of arts education would develop in public education. 본 연구는 초등학교 학부모가 인식하는 예술 사교육의 의미를 탐구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현상학적 연구방법으로 초등학교 학부모의 개인과 사회적 관계의 체험 속에 형성된 본질적 의미를 찾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예술 사교육은 엄마의 예술경험과 좋은 삶을 위한 목적, 학교 교육의 회의적 시각이 복합적으로 혼재되어 있었다. 특히, 초등학교 예술 사교육은 자녀가 성장했을 때 삶의 질을 풍성하게 할 수 있는 기반으로써 부모의 사랑과 책임이 동반되는 현상이기도 하지만, 학업을 성취하기 위한 도구이기도 하였다. 한편, 초등학교 학부모는 학교 교육이 아닌 사교육에 뒤처지는 것에 대한 불안감이 컸다는 것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논의를 기반으로 학교 예술교육의 내실화를 제언하였다.

      • KCI등재

        초등학교 창의적 체험활동의 음악 수업 사례 연구

        신혜경 한국예술종합학교 한국예술연구소 2020 한국예술연구 Vol.- No.28

        This study aimed to explore a case of a successful music instruction in creative experiential activities in elementary school. An art instructor and two elementary teachers participated in this qualitative study. The analysis of multiple resources of data produc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the characteristics of successful music instructions were: fostering learners’ musical sensitivity as astarting point of each class, deep immersion based on affective and musical interactions between the instructor and learners, firm instructional strategies, achievement due to various performances, experiencing the essence of art, and intrinsic satisfaction of the instructor through classes. Second, the art instructor led collaborations with teachers in acknowledging each other's expertise, which was extended to teacher workshops. Third, both financial support and a consistent curriculum throughout the school year was an essential element for ensuring instructional quality, improving students’ attitudes and developing advanced programs. Fourth, art instructors' qualifications for elementary music education were: a deep understanding students’ developmental stages, concerns for learners, musical abilities for performance and teaching, and capabilities for developing music programs. 본 연구는 초등학교 창의적 체험활동의 예술강사 참여형 음악 수업의 우수 사례 고찰을 목적으로 한다. 예술강사와 교사들의 지속적인 협업으로 진행된 음악 수업에 관한 질적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음악 수업의 특징은 학습자의 음악적 감수성 개발, 예술강사와 학생 간 상호작용의 결과로서의 몰입, 감각적인 단계부터 음악 구성 능력 개발로 발전하는 수업 논리, 다양한 규모의 공연을 통한 성취도 확인 및 음악 예술의 본질 체험으로 나타났다. 둘째, 예술강사와 교사 간 협업은 서로의 전문성을 존중하는 가운데 예술강사 주도로 이루어졌으며, 수업 이상의 학교 단위 교사 연수까지 확장된 협력 관계로 밝혀졌다. 셋째, 학교의 재정적 지원뿐 아니라 연속성 있는 전 학년 수업 편성이 음악 수업의 예술적․교육적 수준 향상, 학생들의 적극적인 수업 태도, 확장된 프로그램 개발을위한 필수 요소임을 알 수 있었다. 넷째, 학교 현장에서 요구하는 예술강사 역량은 학교 실정과 초등학생 발달 단계에 대한 이해, 학습자에 대한 관심, 연주 능력뿐 아니라 수업 진행을 위한 기초 음악 능력, 다양한 음악 프로그램 개발 능력 등으로 밝혀졌다.

      • KCI등재

        정신보건학 관점에서 예술분야의 창의성과 양극성장애에 대한 고찰 - 예술 직업군을 대상으로

        서주연 한국예술종합학교 한국예술연구소 2023 한국예술연구 Vol.- No.42

        한국의 문화예술은 날이 갈수록 발전하고, 이의 주체인 예술인들은 사회, 경제, 정치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고 있으나 이들의 정신적․심리적 측면에 대한 인지와 지지가 부족하다. 본 연구는 정신보건학적 관점에서 예술분야의 창의성과 양극성장애에 관련된 연구를 살펴봄으로써 예술인의 정신적․심리적 측면의 이해를 돕고 그들의 정신건강의 중요성을 강조하고자 한다. 예술인의 창의성과 양극성장애는 유사한 특징을 공유하고 있다. 선행 연구를 통해 예술 직군의 사람들이 양극성장애와의 연관성이 높고 정신과적 질병에 취약할 수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최근 연구는 이러한 특성을 효과적으로 활용하고 조절할 때 창작 수행력을 높일 수 있는 긍정적인 면을 가지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하지만 이를 인지하지 못하고 양극성장애의 증상이 악화되는 경우에는 일상생활과 예술활동에 지장을 초래하고 질병으로 이어질 수 있다. 그러므로 예술인 창의성의 특징을 이해하고 정신건강을 관리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나아가 모든 사람이 건강하게 예술을 향유하는 문화적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서는 예술인 개인뿐만 아니라 대중, 국가적으로 예술과 정신건강을 궁극적으로 이해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Korean culture and arts continue to advance, and artists are active in various fields. However, there is a lack of understanding and support for their mental aspects. This study aims to help understand and emphasize the importance of mental health for artists by researching artistic creativity and bipolar disorder from a public mental health perspective. People employed in artistic professions are more closely associated with bipolar disorder. Recent research indicates that regulating these characteristics on enhancing creative performance. However, failing to recognize these characteristics and allowing the symptoms of bipolar disorder to worsen can disrupt daily life and artistic activities, leading to illness. Therefore,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artists and managing their mental health is essential. Furthermore, to create a cultural environment, efforts are needed not only from individual artists but also from, the public, and the nation to ultimately understand art and mental health.

      • KCI등재

        21세기 이후 중국 현대 ‘예술의 향촌 개입’ 현상 연구

        송아주(Song Yazhou),김형기(Kim Hyung Gi) 한국예술종합학교 한국예술연구소 2021 한국예술연구 Vol.- No.34

        21세기 이후 예술의 향촌 개입 실천은 점점 현대 예술 분야에서 소홀히 할 수 없는 현상이 되었고, 또한 이는 중국의 특수한 향촌 개조 운동 역사 과정에서 발생한 시도이다. 이러한 시도로 예술가들은 전통 전시 공간에서 벗어나 향촌과 같은 특정한 장소와 관련된 예술 계획을 통해 개입하는 경향을 나타내기 시작하였다. 본 연구는 중국 향촌 문화와 역사 정치 발전의 과정을 배경으로 현대 예술이 향촌에 개입하는 다양한 사례에 대한 정리와 연구를 통해 현대 예술의 향촌 개입 현상의 연구를 심화하고 보완하고자 한다. 그리고 이를 위해 최대한 객관적이고 종합적인 관점에서 현대 예술과 향촌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양등예술합작사(羊磴藝術合作社)’등 실천 사례를 통해 현대 예술이 향촌으로 전환하는 과정을 살펴보고, 그 의미와 문제를 요약하며, 상응하는 대책을 제시하여 미래 예술이 향촌 개입의 발전을 위한 일정한 참고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Since the 21<SUP>st</SUP> Century, artistic intervention in the countryside has gradually become a phenomenon that cannot be ignored in the field of contemporary art. It is likewise a particular attempt in the historical process of China’s rural transformation, where artists step out of a traditional exhibition space and get involved in artistic projects in the countryside. Against the background of cultural, historical and political development in rural China, this paper explores the connection between contemporary art and countryside from an objective and comprehensive perspective. Through an analysis of the ‘Yangdeng Art Cooperative Project’ and other cases, this study highlights the transformation of contemporary public art in rural areas, summarizes its significance and problems, and gives corresponding countermeasures, so as to provide a reference for the future development of the field.

      • KCI등재

        네트워크와 원시성 - 1970년 인간환경계획연구소의 ‘한국 2000년 국토공간구상’

        신정훈(Shin Chunghoon) 한국예술종합학교 한국예술연구소 2021 한국예술연구 Vol.- No.33

        이 글의 목표는 1970년 EXPO ’70 한국관 미래전시실 전시를 위해 인간환경계획 연구소가 수행한 2000년 한국의 미래상과 국토이용 구상을 살펴보는 것이다. 기존 EXPO ’70 한국관에 대한 논의에서 다루어진 바 없는 사례로서, 그 구상은 김수근을 비롯한 연구소의 건축가들이 1969년 말에 진행한 해외의 미래학과 한국의 미래상에 관한 발표와 토의에 근거를 두었다. 본 논문은 이 ‘미래학 세미나’와 전시설계 과정이 ‘공간적 도시주의’, ‘도카이도 메갈로폴리스’, ‘엑키스틱스’ 등 테크놀로지 지향의 건축과 도시에 관한 해외의 논의가 수용되고 동시에 그것들이 당대 한국의 맥락으로 굴절되는 장이 되었음을 주장한다. 특유의 ‘원시’에 대한 열망을 확인하고 이를 선진국의 미래주의적 낙관론과 구분지으면서 동시에 반문화적 태도와 전자문명시대의 재부족화(retribalization)를 주창하는 마셜 매크루헌의 영향과 관련지어 이해한다. 그리고 이 영향이 1971년 하와이 범태평양 건축상 수상 강연을 필두로 ‘제3의 공간’, ‘궁극공간’, ‘모태공간’, ‘네가티비즘’ 등의 개념들로 발화되는 김수근 특유의 건축론으로 전개됨을 시사하고자 한다. This paper explores the futuristic urban visions in the the Future Exhibition Hall of the Expo ’70 Korean Pavilion. Largely neglected by previous literature, these were the technological and forward-looking visions of architecture and urbanism derived from a series of invited talks and interdisciplinary discussions, hosted by the Human Environmental Development Institute (HEDI), which architect Kim Swoo-Geun built as his own architectural office in Fall 1969. The ‘futurology seminar’ provided Korean architects of Kim Swoo-geun’s team with a significant arena, in which Western and Japanese technologically oriented urban and architectural discourses were introduced, discussed, and inflected into a Korean context, creating various futuristic sketches, drawings, and maquettes. This paper argues that these design processes for the Korean Pavilion took on an important role for Kim Swoo-geun’s architectural maturity, as represented by his promulgation of ‘the third space,’ ‘ultimate space,’ ‘womb space,’ ‘negativism,’ and others in the 1970-80s.

      • KCI등재

        예술의 (자기)성찰로서의 독일 낭만주의 - 프리드리히 슐레겔의 낭만주의 이론과 루드비히 티이크의 『금발의 에크베르트』를 경우로

        김진환 한국예술종합학교 한국예술연구소 2023 한국예술연구 Vol.- No.39

        This article examines German Romanticism as a possible answer to the question of how to understand the existence of ‘art’. As Benjamin argued, the subject and object of reflection in Romanticism is art itself. Conventionally understood, art is created by ‘genius’ artists and the act of reflection is performed by artists or professional critics. However, the art that Romanticism refers to is beyond human control. Art itself contains meta-theories. In other words, it is art itself that ‘critiques’. The first half of this paper will examine the main concepts of romantic theory. What should be paid attention to is the effect rather than their meaning. In the second half, we look at how these conceptual elements are revealed in Tieck’s work. The journey of the main characters resembles the way romantic concepts work. So Eckbert is a work that embodies the uniqueness of romanticism, the (self-)reflection of art. 이 글은 어떻게 ‘예술’의 존재를 이해할 수 있는지에 대한 하나의 가능한 답변으로 독일 낭만주의의 사유를 살핀다. 벤야민이 주장한 것처럼 낭만주의에서 성찰의 주체이자 대상은 예술 자체다. 종래의 이해에 따르면 예술은 천재적 예술가가 창조해 낸 것이고, 비평/성찰 행위 또한 예술가 또는 전문적 비평가가 해야만 한다. 이때 도덕적 가치판단은 이미 전제되어 있다. 하지만 낭만주의가 말하는 예술은 인간의 통제를 벗어나 있다. 예술은 그 자체가 자신에 관한 이론을 담고 있다. 예술 자체가 예술론이고 예술을 ‘비평’하는 것 또한 예술 자신이다. 이러한 예술이해를 따라가기 위해 전반부에서는 낭만주의 이론의 주요 개념들을 살핀다. 이때 주목하는 것은 그것들의 의미보다 작동방식 또는 효과다. 후반부에는 이 개념소들이 티이크의 작품에서 어떤 방식으로 드러나는지 살핀다. 동화 속 주인공들의 모습은 낭만주의 개념소들의 작동 방식과 닮아 있다. 즉 『에크베르트』는 예술의 자기성찰이라는 낭만주의의 특수성을 체현해 보이는 작품이다.

      • KCI등재

        아마추어 예술가와 일상생활의 심미화

        김보름 한국예술종합학교 한국예술연구소 2020 한국예술연구 Vol.- No.28

        예술시장에서 아마추어 예술가의 활동이 확대되면서 생산자와 소비자, 혹은 창작자와 향유자라는 이분법적 도식으로는 더 이상 아마추어 예술가의 역할과 활동의 변화를 설명하기 어려워졌다. 본 연구는 이러한 예술시장의 변화 흐름에 착안하여 페더스톤(Featherstone)이 주장한 ‘일상생활의 심미화(aestheticization of everyday life)’ 이론을 중심으로 아마추어 예술가는 ‘예술하기’의 과정에서 어떠한 경험을 하며 그러한 경험이 의미하는 바는 무엇인지 알아보고 예술시장에서 시사하는 점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아마추어 예술가가 ‘예술하기’를 시작하는 계기는 각각 다르게 나타났다. 유년기나 청소년기의 예술경험이 계기로 작용하는 경우도 있지만, 성인기에 이르러 건강증진이나 원만한 대인관계의 필요성 등 실용적인 동기로 시작한 경우도 있었다. 어떠한 계기로 시작하였건 아마추어 예술가는 ‘예술하기’를 통해 삶과 예술에 대한 인식 변화가 일어나고 예술적 성취감을 경험함으로써 점차 예술가로서의 정체성을 형성해 나가며 아마추어 예술가의 삶의 변화 가운데 페더스톤(Featherstone)이 주장한 ‘일상생활의 심미화’ 현상을 발견할 수 있었다. In the arts industry, the identity of arts producers and consumers increasingly overlap and their roles are becoming harder to differentiate. Arts consumers are no longer the passive consumers of arts products that they once were. Instead consumers of the arts actively participate in the creative process or even become producers themselves. This paper views the process of the amateur artist's artistic practice through the lens of Featherstone's theory of the aestheticization of everyday life with the aim of identifying the amateur artist's experiences, the value of those experiences, and the consequences for the arts industry. It is common for an amateur artist to create his or her identity as an artist by experiencing various artistic achievements. Amateur artists develop themselves as their awareness and life experiences also change and evolve. Art is central to their lives and influences all aspects of their lives. The change of an amateur artist's life through their artistic practice can be explained by the aestheticization of everyday life as described by Featherstone.

      • KCI등재

        평생예술교육과정 개발 및 운영 개선을 위한 요구조사 - 한국예술종합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최나영(Choi Na-Young),신정원(Shin Jung Won),고용수(Ko YongSu) 한국예술종합학교 한국예술연구소 2021 한국예술연구 Vol.- No.33

        본 연구는 성인을 위한 평생예술교육기관으로서 대학의 역할과 교육과정 개발 및 운영 방안을 탐색하기 위하여 한국예술종합학교의 사례를 중심으로 학습자의 교육요구를 조사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사례 대학의 평생예술교육 수강 경험이 있는 학생 100명을 대상으로 교육목표, 프로그램 운영, 교육방법, 선발 및 교육 환경에 대한 요구의 우선순위를 조사하였다. 요구조사 결과, 평생예술교육의 목표에 대하여 44세 이하 학습자는 개인적 차원에 중점을 두었고 45세 이상 학습자는 타인과의 관계 측면에서 높은 요구를 보였다. 교육 프로그램의 운영에 대해서는 학생의 의견 반영에 대한 요구가 높게 나타났으며, 단계별 심화과정 개설과 선발 방식 개선에 대한 요구가 있었다. 교육방법에 대해서는 실기 수업에 대한 요구가 높았으나, 수강 경험에 따라 개인지도 또는 소집단 지도의 요구 차이를 보였다. 교육 환경 부문에서는 전문 교수인력에 대한 필요도 및 수업자료 제공에 대한 요구가 높았으며, 그 밖에 교육 공간 및 학사운영 개선 요구가 있었다. 조사결과에 기반하여 생애주기별 평생예술교육, 교수 인력의 전문성 확보, 대학의 인적 자원과 네트워크의 활용, 위계와 연속성을 고려한 교육 프로그램 제공 등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learners" educational needs, focusing on the case of the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Arts, in order to explore the role of universities as a continuing arts education provider, the direction of curriculum development, and specific operational strategies. Needs and priorities for educational goals, program operations, education methods, and environment were investigated for 100 students connected to the case university. We found that learners under the age of 44 focused on the individual for educational goals, while learners aged 45 and over showed a higher demand in terms of relationships with others. Needs for advanced courses, practical skills-oriented classes, and curriculum materials were high. Based on these findings, we suggest continuing arts education by life cycle, securing academic faculty’s professional resources and networks, and providing curriculum that considers sequence and continuity.

      • KCI등재

        문화예술교육사 제도의 근원적 문제점에 관한 고찰 - 국가주체가 인식하는 예술(가)의 존재의미는 무엇인가

        이우영 한국예술종합학교 한국예술연구소 2019 한국예술연구 Vol.- No.24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question the issues of the Arts & Culture Education Instructor certification system, established in 2012. One positively received aspect of the current Arts & Culture Education Instructor certification system is that it provides a more systematic and formal approach to cultural arts and arts education. However, the Arts & Culture Education Instructor certification can be obtained simply by attending lectures as a college credit. In effect, this certification system is one in which anyone may be accredited, while adding an additional certification fee, which could be argued is nothing more than an additional tax on artists. It is crucial to reflect on this employment system that admits anyone with licenses and certifications to the world of art, convincing ourselves that it is fair, even, and reasonable to do so. We need to ask ourselves if that is the appropriate evaluation method. 본 논문의 목적은 2012년부터 시행된 문화예술교육사 제도가 가지고 있는 불합리성에 관한 고찰에 있다. 본 제도의 시행 주체가 긍정적으로 전제하고 있는 사안 중 하나는 ‘자격증’이라는 외피를 두른 제도적 개념과 ‘문화예술’, 그리고 ‘예술교육’이라는 모호한 직무군들의 결합인 것이다. 그러나 문화예술교육사는 단순한 학점 이수제에 의한 강의 수강 방식 취득이며, 이는 언제 누구라도 열려있는 자격제도라는 의미와 동시에 모든 이에게 공평하게 추가 교육료를 요구하는 국가 주도의 ‘예술인 과세제도’라는 인식을 지울 수 없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