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전자바우처 사회서비스 사업의 현황과 개선방안

        박서연(Park, Seoyeon),유태균(Yoo, Taekyun),마츠다이쿠노(Matsuda, Ikuno),민혁기(Min, Hyoekgi) 숭실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7 사회과학논총 Vol.20 No.1

        본 연구는 산업으로서의 전자바우처 사회서비스 사업이 어떤 문제를 가지고 있으며, 그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어떤 변화가 필요한지를 탐색적으로 살펴본 연구이다. 이를 위하여 문헌고찰을 통해 2014년 기준 보건복지부의 6개 전자바우처 사회서비스 사업을 사업의 내용, 이용대상, 선정기준, 예산, 대상자수, 제공기관수, 제공인력 수를 중심으로 분석하여 현황과 문제점을 파악하였다. 현행 전자바우처 사회서비스 사업은 1) 사업의 대상이 사실상 빈곤층에 한정되어 있으며, 2) 제공되고 있는 사회서비스의 범위가 ‘돌봄’이라는 단순한 서비스에 제한되어 있다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사회서비스 시장을 활성화해야 할 필요성을 강조함과 동시에 구체적인 활성화 방안으로 사회서비스 사회보험제도의 도입을 제안하였다. This research is a probing study on what the central government"s social services‘ problems are, and what must be improved to address such problems. For this purpose, the authors reviewed academic literatures and other materials such as government publications and statistics to apprehend the current status and problems of six electric voucher social services with a focus on 7 areas including contents, targets, selection criteria, budget, number of targets, number of service institutions and number of providers. The problems of Korea"s social service are 1) that they are basically restricted to poverty group and 2) that services which is currently provided are limited in simple forms of "Care". In this paper, authors strongly suggest that the social service market should be activated more to address these problems. And to make the market more active, the authors also suggest a social insurance as an alternative scheme for providing social services.

      • KCI등재후보

        사회복지사의 직무스트레스 유형과 삶의 질의 관계: 여가활동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김진아(Jin Ah Kim) 숭실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20 사회과학논총 Vol.23 No.-

        본 연구는 사회복지 분야별 사회복지사들이 겪고 있는 직무스트레스 유형을 파악하고 각각의 직무스트레스가 사회복지사의 삶의 질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사회복지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삶의 질의 관계에서 여가활동이 조절변수로 작용하는지 검증하고자 수행되었다. 본 연구는 종사영역의 특성을 반영하기 위하여 사회복지기관을 이용시설, 생활시설, 기타 사회복지기관으로 구분하여 표본을 할당하였으며, 최종적으로 전국의 사회복지사 301명을 연구대상자로 선정하였다. 자료수집은 네이버 오피스(Naver office) 시스템을 사용하여 온라인으로 수집되었다. 그에 대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복지 분야별 사회복지사들이 겪고 있는 직무스트레스 유형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사회복지사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스트레스 유형은 직무요구, 직무자율성결여, 관계갈등, 보상부적절로 나타났다. 셋째, 직무스트레스와 삶의 질의 관계에서 여가활동의 조절효과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이에 사회복지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삶의 질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직무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삶의 질을 증진시킬 수 있는 각각의 서로 다른 방안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types of job stress of social workers in each field and how each job stress affects the quality of life of social workers. This study also examined moderating effect of leisure activities in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quality of life of social workers. This study allocated samples by dividing social welfare agencies into non-living facilities, living facilities, and other social welfare agencies to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working areas, and final sample of the study included 301 social workers nationwid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online survey using the Naver Office system. Stud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types of job stress of social workers in each social welfare field. Second, the types of job stress affecting the quality of life of social workers were job demands, insufficient Job control, relationship conflict, and inappropriate compensation. Third, the moderating effect of leisure activiti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quality of life were not significant. As a way to reduce the negative impact of social worker"s job stress on the quality of life, different ways are needed to reduce job stress and improve the quality of life.

      • KCI등재후보

        노동통합정책으로서의 사회적기업에 대한 탐색적 연구

        박정민(Park, Jungmin) 숭실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22 사회과학논총 Vol.25 No.-

        본 논문은 노동통합정책으로서 사회적기업의 가능성과 한계를 탐색하였다. 먼저 사회적기업이 나타난 역사적 배경과 개념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유럽과 미국에서 각각 사회적기업이 어떤 경로로 나타났으며, 어떤 특성을 가지고 있는지 정리하였다. 유럽의 사회적기업은 사회적 경제를 배경으로 나타났으며, 공익성을 띤 사회적 목적과 운영의 자율성, 사람 중심의 의사결정구조, 이윤배분의 제한 등 규범적 내용을 가지고 정의를 내린다. 미국의 사회적기업은 공익활동을 하는 기업에서부터 영리활동을 하는 비영리 단체에 이르기까지 넓은 스펙트럼을 가지고 있다. 우리나라의 사회적기업은 사회적일자리사업을 배경으로 노동통합정책으로서 정부에 의해 도입되었다. 그러다보니 사회적 경제라는 토대가 빈약하고, 정부의 주도성이 강하게 나타난다는 특징이 있다. 이는 앞으로 사회적기업이 한국사회에 정착하기 위해 반드시 해결해야 할 문제점이라고 할 수 있다. This paper explores the possibility and limitations of social enterprise as a labor integration policy. First, the historical background and concept of social enterprises were examined. In addition, it examined how social enterprises appeared in Europe and the United States and what characteristics they had. In Europe, social enterprises have emerged in the background of the social economy, and define themselves with normative content, such as the autonomy of social purposes and operations with public interest, people-centered decision-making structures, and restrictions on profit distribution. In the United States, social enterprises have a broad spectrum, from corporations with public interest activities to nonprofit organizations with for-profit activities. Social enterprises in Korea were introduced by the government as a labor integration policy based on social job projects. As a result, the foundation of the social economy is poor and the governments initiative is strong. This is a problem that social enterprises must solve in order to settle in Korean society in the future.

      • KCI등재후보

        학교사회복지사와 지역사회교육전문가의 지역사회 협력업무 수행 실태에 관한 연구

        최경일(Kyung-Il Choi),노혜련(He-len Noh) 숭실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08 사회과학논총 Vol.10 No.-

        본 연구는 학교사회복지사와 지역사회교육전문가가 수행하는 지역사회 협력업무의 실태를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서 본 연구의 조사 시점을 기준으로 각 학교에서 1년 이상 근무한 4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연구 결과 이들은 1년 간 평균 13개 기관과의 협력을 통해서 15개 단위 사업을 공동으로 수행했으며 협력의 주대상은 사회복지관이었으며 가장 많은 공동 사업은 학생들에게 제공하는 직접적인 서비스였다. 또한 대부분의 연구 대상자들은 지역사회 협력에 대한 교육을 받거나 사전 실천경험이 없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학교사회복지사와 지역사회교육전문가가 수행해야 하는 지역사회 협력업무의 확대와 활성화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aim of finding out the current status of community collaborative work that school social workers and community education professionals perform. A total of 47 practitioners who had been working in school for at least for a year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study results revealed that during the period of one year, the practitioners on the average collaborated with 13 community agencies and carried out 15 projects. Of all community agencies, the practitioners collaborated most often with community neighborhood centers and received most help with respect to providing programs for students through the collaborative effort. Almost all practitioners who participated in the study had received no education on community collaborative work and 7 out of 10 have had no experience in the area as well. Based on the results, implications were explored in terms of vitalizing and expanding the community collaborative work among school social workers and community education professionals.

      • KCI등재후보

        양극화 문제 해소를 위한 사회 안전망 구축 방안

        정무성(Moo-Sung Chung) 숭실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06 사회과학논총 Vol.8 No.-

        최근 우리 사회의 양극화 현상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높아져가고 있다. 경제성장이 고용을 늘리고 부분적이나마 복지를 개선했던 ‘한국형 경제모델’이 약효가 떨어진 것이다. 오히려 한국형 경제모델의 결과가 ‘양극화’ 현상으로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이같은 성장-고용-복지의 순환고리가 단절된 지점에 저출산/고령화/가족해체 증가 등의 사회문제가 사태를 더욱 심각하게 만들고 있다. 이와 같이 우리 사회의 급증하는 복지수요의 해결을 위해 공공부문의 사회보장이 강화되어야 하겠지만, 정부의 복지예산과 프로그램은 급증하는 복지수요를 충족시키기에는 역부족인 상황이다. 정부의 재원만으로는 사회복지에 필요한 자원이 충분하게 조성될 수 없기 때문에 민간의 활력적 참여를 유도하여야 한다. 따라서 소득계층간 사회적 양극화 등 사회갈등이, 확대되는 추세를 극복하기 위한 대안으로서 ‘시민참여형 복지사회’라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구축해야한다. Recently polarization between the rich and the poor has become a serious social issue in our society. The Korean development model in which the economic growth promotes employment and partially improves social welfare seems to work any more. Rather, the model causes the polarization, and futhermore the low birth rate, ageing trend, and increasing family breakdown rate make it worse. While needs for social welfare are increasing, government budgets and public social services are far short for meeting them. Private resources should be also mobilized to tackle the polarization effectively. Citizen Participation should be strongly encouraged. This article suggests the welfare society model based on citizen participation as an alternative to tackle the increasing social conflict and social polarization trend.

      • KCI등재후보

        노숙인의 문화여가활동이 삶의 만족감에 미치는 영향

        위세아(WEE Se Ah) 숭실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7 사회과학논총 Vol.20 No.2

        본 연구는 사회적 취약계층인 노숙인의 문화여가활동 접근성이 삶의 만족감에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 더불어 문화여가활동 접근성과 삶의 만족감 간의 관계에 사회통합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통해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사회적 취약계층인 노숙인이 문화여가활동 참여를 통해 사회적 통함감이 증진되고 궁극적으로 삶의 만족감이 높아진다는 점에서 문화여가활동의 중요성을 확인하였다. 이는 문화적 소외계층에 대한 문화향유 기회 제공과 접근성의 확대가 삶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어 사회적 배제감 감소를 이끈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즉 소외계층에 대한 문화여가활동 참여가 단순히 문화향유권을 인정하는 것을 넘어서 그들의 삶에 변화를 가져오고 사회구성원으로서 사회에 융화되는 발판을 마련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concerns how accessibility of leisure activity affect on homeles who is the social vulnerable class and have the purpose to verify that the social inclusion has a mediating effect between the accessibility of leisure activity and life satisfaction. Throughout the result of this study, the implication is drew out as follow. The significance of leisure activity is confirmed as the social inclusion and life satisfa ction are finally enhanced when homeless do leisure activity. Thus, it implies that reinforcing opportunity of enjoying culture and accessibility to the social vulnerable class affect positively on homeless and decrease social exclusion. Part icipation in leisure activity of the social vulnerable class is not only acknowledging their right of enjoying culture but also it means they can be included as social member.

      • KCI등재후보

        근대화이론의 이해와 성찰

        서문기(Moon-Gi Suh) 숭실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4 사회과학논총 Vol.16 No.-

        이 글은 경제성장과 민주화라는 사회발전의 두 가지 기본 축을 중심으로 서구화를 발전모델로 설정하였던 근대화이론의 가능성과 한계를 비판적으로 검토함으로써 사회발전의 이론적, 방법론적 함의를 도출하고자 한다. 이 글의 전반부에서는 근대화이론의 이론적 전통과 유산을 살펴보고, 사회발전의 작동 기제를 개념 및 분석틀을 중심으로 고찰한다. 후반부에서는 근대화이론의 방법론적 가정 및 정책적 함의에 대한 비판을 통해 왜 사회발전모델로서 실패할 수밖에 없었는지에 대해 진단하고 발전모형의 장·단점을 비교, 분석한다. 분석결과, 경제적 차원에서 출발하여 정치, 사회적 차원으로 확장을 거듭해 온 근대화이론의 지형 이면에는 주어진 사회의 정서적 차원에 관한 작동기제의 중요성을 바탕으로 사회구성원의 공적 참여라는 본질적인 쟁점이 포함되어 있으며 실증 및 역사의 방법론적 통합이 중요하다는 점을 발견할 수 있다. 사회 발전의 개념에서는 시간과 공간, 문화적인 한계를 해방시킬 수 있는 지형을 통해 연구주제를 확장하고, 발전의 종착역에 대한 왜곡된 함의를 제어함으로써 미래 발전에 대한 밑그림의 단초를 제공할 수 있다. 개인과 사회의 함수관계에 대한 이론적 통찰은 사회발전의 새판 짜기(paradox)에서 경제성장 및 민주화에 대한 사회적 자원을 어떻게 주어진 사회의 정서적 맥락과 문화적 전통에 접목시키는가의 중요성을 보여준다. 요컨대 근대화이론의 비판적 성찰은 전통과 근대의 접점을 통해 풍부한 이론 및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며 서구 발전 모형의 재구성을 가능하게 하여 역사변동에 대한 분석틀의 활용 및 확장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다. This paper deals with theoretical and methodological issues of modernization studies while more specialized aspects are treated in reflections on the framework of prerequisites of social development. The modernization approach calls for concrete concepts and systematic accounts, since it supposes that the history of modernized societies that traces out the road of development for the less developed societies. Against this backdrop, this study no longer announces to the world what inevitably will, or at least what ideally should, happen in the name of universality. The main argument here is that it would be easy to reject the concept out of hand as a classic example of historical determinism and to leave it at that, which can be regrettable. Although modernization is a critical step by means of which development will be pursued, a fresh appraisal of the given institutions and cultural contexts for the mechanism is required. If reconciliation systems fail, it will because of the blindness of the people to appreciate the mechanism of modernization which highlights transformation rather than transfer. The future of development will depend on its ability to find new and effective ways to balance the particularity through theoretical resources.

      • KCI등재후보

        사회적기업의 사회적 성과가 종사자의 직무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김수아(Kim, Su-a) 숭실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21 사회과학논총 Vol.24 No.-

        본 연구는 사회적기업의 궁극적인 목적인 사회적 성과가 종사자 개인의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연구이다. 분석결과, 사회적기업의 사회적 성과가 높으면 종사자 개인의 직무 만족도가 높아진다는 점에서 사회적기업의 사회적 성과의 중요성을 확인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사회적기업 종사자들의 직무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 사회적기업의 사회적 성과에 대한 관심이 필요하다. 둘째, 사회적기업의 최고 관리자와 중간관리자는 사회적기업의 사회적 성과에 대한 중요성 인지 및 관련 교육이 필요하다. 셋째, 사회적기업의 사회적 성과를 보다 객관적으로 평가하기 위해 개발된 사회적가치지표(SVI)는 측정의 활용 가능성, 신뢰성, 형평성의 문제가 제기되고 있으므로 각 사회적기업의 상황을 반영하여 사회적 성과를 측정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 of social performance, the ultimate purpose of social enterprises, on individual job satisfaction.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importance of social performance of social enterprises was confirmed in that high social performance increases the job satisfaction of individual workers, and based on this, I would like to suggest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the social performance of social enterprises in order to increase the job satisfaction of social enterprises workers. Second, the top and middle managers of social enterprises need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social enterprises" social performance and related education. Third, the Social Value Index (SVI), developed to more objectively evaluate the social performance of social enterprises, raises the issue of the availability, reliability, and equity of measurement, so it is necessary to devise a plan to measure social performance by reflecting the situation of each social enterprise.

      • KCI등재후보

        사회적경제 발전과 사회서비스실천 변화

        이인재(In Jae Lee) 숭실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7 사회과학논총 Vol.20 No.1

        본 글은 한국의 사회적경제발전이 사회서비스실천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것이다. 한국의 사회서비스실천은 개인과 가족단위 미시적 개입이 주류를 이룬다. 그 결과 사회구조적 차원의 변화에는 미치는 못하는 한계를 보였다. 현재 사회적경제활동을 통해 불평등 완화, 신규 고용창출, 사회서비스 문제해결 , 지역차원 공동체 재생 등 다양한 사회적 가치 창출이 시도되고 있다. 그 결과 사회적경제조직의 양적성장이 이루어졌다. 그럼에도 조직의 지속가능성의 측면에서 한계를 보이고 있다. 사회적경제 발전은 사회서서비스실천에 다양한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예측된다. 첫째, 사회서비스 제공과정에 사회적기업, 사회적협동조합 등 사회적경제조직의 활동이 확대되고 있다. 둘째, 시민의 조직적 참여를 기반으로 사회적 미션수행을 목적으로 하는 사회적경제조직의 활성화는 사회서비스실천에 당사자조직 등 다양한 시민들의 참여를 촉진하고 있다. 셋째, 사회적기업가정신을 가진 사회혁신가들의 사회서비스실천에의 참여가 늘어나고 있다. 넷째, 사회적경제의 발전은 서비스 이용자 선택권 확대 등 정부의 사회서비스 제공방식의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예상된다. 사회적경제조직은 시민사회의 자원과 민간시장영역의 자원을 사회문제해결에 동원한다는 측면에서 장점을 갖는다. 나아가 사회적경제조직의 미션이 서비스 제공, 권리 옹호, 지역사회통합이라는 복합미션수행에 대한 지향이 강한반면에 시장원리를 적용하고 있다는 점에서 사회서비스제공조직으로서의 장점이 부각될 수 있을 것이라 전망된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impact of social economy development on social service practice in Korea. The practice of social service in Korea is mainly composed of individual and family-based micro interventions. As a result, it showed limitations that can not be applied to changes in social structure. Currently, various social values such as inequality mitigation, new employment creation, social service problem solving, local community revitalization are being attempted through social economic activities. As a result, quantitative growth of social economic organization was achieved. Nevertheless, there is a limit to the sustainability of the organization. It is expected that changes in social service practice will be manifested in various aspects according to social economy development. First, the activities of social economic organizations such as social enterprises and social cooperatives are expanding in the process of providing social services. Second, the activation of social economic organization aiming at carrying out social missions based on citizen"s systematic participation is promoting the participation of various citizens such as party organization in social service practice. Third, social entrepreneurs with social entrepreneurship are increasingly participating in social service practice. Fourth, the development of the social economy is expected to lead to a change in the way the government provides social services, such as expanding the choice of service users.

      • KCI등재후보

        학교사회복지사의 직무와 역할에 관한 연구

        노혜련(He-Len Noh),김상곤(Sang-Gon Kim) 숭실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06 사회과학논총 Vol.8 No.-

        본 연구는 우리나라 학교현장에서 근무하는 사회복지사들이 어떤 직무와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지를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1969년 Costin이 실시했던 학교사회복지사들의 직무분석에 관한 연구를 우리나라에서 현재 상주형의 학교사회복지실천을 하고 있는 30명의 학교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총 27명의 학교사회복지사가 연구에 참여하였다. 연구결과 우리나라 학교사회복지사들의 직무 영역은 (1) 가정-학교-지역사회 연계, (2) 학생에 대한 사회복지서비스, (3) 교사와의 협력적 활동, (4) 사례관리, (5) 가정에 대한 사회복지서비스, (6) 정책 결정 및 행정, (7) 전문적 활동으로 구분되었다. 직무 중요성의 인식과 관련해서는 학생에 대한 사회복지서비스가 가장 중요하게 인식되었고, 그 다음으로는 교사와의 협력적민 활동, 가정에 대한 사회복지서비스, 사례관리의 순으로 나타났다. 가장 많이 실천되고 있는 직무영역은 역시 학생에 대한 사회복지서비스와 교사와의 협력적인 활동의 순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나머지 5개 영역과 관련해서는 직무중요성에 대한 인석은 높았으나 실제 수행되는 정도는 낮게 나타나 인식과 실제 실천 간에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에서 독특하게 나타나고 있는 직무활동들에 대해 중요성과 수행빈도를 파악한 결과 직무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에 있어서 쉼터제공자로서의 역할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는 신입생 오리엔테이션, 사회봉사명령자 지도, 봉사활동지도의 순으로 나타났다. 직무수행 빈도를 보면, 중요성에 대한 인식과 마찬가지로 쉼터제공자로서의 역할을 가장 많이 수행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는 CA활동지도, 신입생 오리엔테이션의 순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functions and roles that Korean school social workers perform in school settings. To do this, the research that Costin conducted in 1969 to find out the functions that school social workers played in the U.S. was replicated with 27 Korean school social workers working in schools. The study results revealed that the functions performed by the school social workers were classified into 7 groups as follows: 1) linking family, school and community, 2) social welfare services for students, 3) cooperative work with teachers, 4) case management, 5) social welfare services for families, 6) policy making and administration, 7) Professional activity. Among the functions, school social workers perceived social welfare services for students and cooperative work with teachers to be most important and performed the two functions most often. As for the 5 other functions, although they were perceived to be important, in actual practice, school social workers did not perform th em frequently. When functions that are unique to Korean school social workers were studied in ter ms of their importance and frequency in performance, the role of providing a place for rest and relaxation was perceived to be the most important and played most frequently. Other roles that were perceived to be important and performed often were providing orientation to freshmen or newly enrolled students, directing students ordered to do social service as disciplinary punishment, directing students participating in volunteer work and directing students' club activ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