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서번트 리더십이 혁신 행동에 미치는 영향 : 심리적 안전감의 매개 효과와 진정성 리더십의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김유진,김병직 한국경영컨설팅학회 2021 경영컨설팅연구 Vol.21 No.1

        본 연구는 상사의 서번트 리더십이 조직 구성원의 혁신 행동에 미치는 과정에서 구성원들의 심리적 안전감 수준의 매개 효과를 살펴보았다. 또한 서번트 리더십과 심리적 안전감 사이에서의 진정성 리더십의 조절 효과를 알아보았다. 이를 통해 상사의 서번트 리더십이 어떤 작동 기제 를 통하여 구성원의 혁신 행동을 이끌어 내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347부의 응답을 분석에 활용하였다. 각 변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 모형을 설정하고 그 적합도를 확인하였다. 분석 결과, 서번트 리더십은 조직구성원의 혁신 행동을 향상시켰으며, 구성 원의 심리적 안전감은 혁신 행동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구성원의 심리적 안전감은 리더의 서번트 리더십이 조직 구성원의 혁신 행동 에 미치는 영향을 부분적으로 매개했다. 한편 리더의 진정성 리더십은 서번트 리더십과 구성원의 심리적 안전감 사이의 관계를 조절하였다. 즉, 진정성이 높은 서번트 리더는 조직구성원의 심리적 안전감을 증폭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다음과 같이 해석될 수 있다. 서번트 리더 와 함께 일하는 구성원들은 조직 내에서 자신이 안전하다고 인식함으로써 더욱 새롭고 혁신적인 행동을 할 수 있다. 이에 더해, 구성원들이 자신 의 리더가 진정성을 지녔다고 느낀다면, 보다 더 큰 심리적 안전감을 경험한다는 것이다. 본 연구의 기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기존의 서번트 리더십과 혁신 행동과의 관계에 대한 기존의 논의들을 토대로 그 작동 기제에 대해서 보다 정교하게 논의하였다. 둘째, 서번트 리더십과 심리적 안전감의 관계에서 진정성 리더십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밝혔다. 이를 통해 조직의 리더들은 서번트 리더십과 리더의 진정성의 중요성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위의 결과를 중심으로 본 연구의 함의와 한계점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impact of servant leadership on the innovative behavior of employees and the mediating effect of psychological Safety and moderating effect of Authentic Leadership. Ithis paper, we tried to reveal how the servant leadership leads to their innovative behaviors. The analysis of this paper utilized the results of 347 individual level data through online surveys.We established a hypotheses that servant leadership may increase employee’s innovative behavior via mediating effect of psychological safety as well as moderating effect of authentic leadership. The results of correlation analysis shows that servant leadership has a positive impact on their innovative behavior, and that the psychological safety of the members has a positive impact on the Innovative behavior. In addition, the psychological safety of the members partially mediated the impact of the leader's servant leadership on the innovative behavior. The leader's authentic leadership has been confirmed to have a moderating effect that strengthens the influence of servant leadership on the psychological safety. In other words, highly authentic servant leaders have been shown to facilitate the positive effect of servant leadership on psychological safet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discussed around the above results.

      • KCI등재

        포용적 리더십이 구성원의 발언행동에 미치는 영향: 심리적 안전감의 매개효과와 학습목표성향 및 권력거리성향의 조절효과

        김상범,이상호,이서진 한국인사관리학회 2022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Vol.46 No.3

        Recently, inclusive leadership is considered as a major leadership concept positively affecting a subordinate’s psychological safety and voice behavior. In this vein, it is suggested that further research on the effect of inclusive leadership is needed to be performed across various industries. In addition, it is pointed that more studies are needed to investigate the contingency factors or boundary conditions to explain relative effects of psychological safety. Based on the social information processing theory, this study examined the influence of inclusive leadership on subordinates’ voice behavior through psychological safety in a bank industry. This study also examined the moderating effects of subordinate’s learning goal orientation and power distance orient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safety and voice behavior. Five hypotheses were developed based on literature review and data were collected using off-line questionnaires from employees working for a large-size bank in Korea. A total of 730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the analyses to test hypotheses. The results supported all of five hypotheses developed in this study. First, the result shows that there is a significant and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inclusive leadership and a subordinate’s voice behavior. Second, inclusive leadership significantly and positively relates to a subordinate’s psychological safety. Third, a subordinate’s psychological safety partially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inclusive leadership and voice behavior. Forth, a subordinate’s learning goal orientation positively moder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safety and voice behavior. Finally, a subordinate’s power distance orientation negatively moder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safety and voice behavior. This study shows the importance of inclusive leadership of bank branch manager and its relationships with a subordinate’s psychological safety and voice behavior, and the boundary conditions explaining the relative effect of psychological safety on voice behavior. Further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are discussed and the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proposed. 최근에 포용적 리더십은 구성원의 심리적 안전감과 발언행동에 영향을 주는 대표적인 리더십으로등장하고 있으며, 다양한 산업에 걸쳐 이에 관한 추가적인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또한 심리적 안전감의 상대적 효과를 설명할 수 있는 상황적 요인이나 경계조건에 대한 선행연구의 부족함이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본 연구는 사회적 정보처리 관점에서 은행 지점장의 포용적 리더십이 구성원의 심리적 안전감을 매개로 발언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또한 심리적 안전감이 발언행동에 미치는 과정에서 구성원의 심리적 안전감과 권력거리성향의 조절효과를 살펴보았다. 선행연구에 관한 이론적 검토를 바탕으로 총 5개의 가설을 설정하였으며, 국내 대형은행의 지점 직원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가설을 검증하였다. 총 730부의 설문자료를 바탕으로 한 실증분석 결과, 5개의 가설은 모두 채택되었다. 첫째, 포용적 리더십 지각은 구성원의 발언행동과 유의한 정(+)의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포용적 리더십 지각은 구성원의 심리적 안전감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으며, 셋째, 심리적 안전감은 포용적 리더십 지각과 구성원의 발언행동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구성원의 학습목표성향은 심리적 안전감과 발언행동간의 관계를 정(+)적으로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구성원의 권력거리성향은 심리적 안전감과 발언행동 간의 관계를 부(-)적으로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포용적 리더십이 구성원의 심리적 안전감을 매개로 발언행동에 영향을 주는 과정을 확인하였다. 특히, 국내⋅외에서 연구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은 은행 지점장을 대상으로 포용적 리더십이구성원의 발언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밝힘으로써 선행연구의 영역을 확대하는데 기여하였다. 또한 심리적 안전감이 발언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학습목표지향성과 권력거리성향의 조절효과를 밝혀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포용적 리더십과 심리적 안전감의 중요성에 대한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고 미래 연구방향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상사의 행동특성이 구성원의 심리적 안전감, 침묵과 친사회적 발언행동에 미치는 영향

        최선규(Choi, Sun Gyu),지성구(Ji, Seong Goo) 한국인사관리학회 2012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Vol.36 No.4

        본 연구는 상사의 행동특성이 구성원의 심리적 안전감, 침묵행동과 친사회적 발언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연구하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사의 행동특성을 협동적 행동, 경쟁적 행동, 그리고 개인주의적 행동으로 구분하고 각각의 행동특성이 심리적 안전감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그리고 심리적 안전감이 구성원의 침묵행동과 친사회적 발언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연구하였다. 또한 이들 관계에서 심리적 안전감의 매개효과를 함께 연구하였다. 설정된 연구모형과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제조업과 서비스기업에 근무하는 조직구성원 204명을 대상으로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상사의 행동특성 중 협동적 행동은 심리적 안전감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경쟁적 행동은 심리적 안전감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개인주의적 행동은 예상과 달리 심리적 안전감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심리적 안전감은 구성원의 침묵행동에는 부(-)의 영향을, 친사회적 발언행동에는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구성원의 심리적 안전감은 상사의 행동특성과 침묵행동, 친사회적 발언행동 사이에서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구성원이 지각하는 상사의 행동특성은 심리적 안전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심리적 안전감은 구성원이 업무나 조직에 관련된 아이디어, 의견 등을 의도적으로 표현하지 않고 억제하거나 혹은 적극적으로 의견을 표현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연구의 시사점과 한계, 그리고 향후 연구 과제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e impact of supervisor’s behavior on the psychological safety, employee silence, and prosocial voice. Specifically, we examined relationships between the supervisor behaviors: cooperative, competitive, and individualistic and psychological safety, respectively. And, we examined the impact of psychological safety on silence and prosocial voice. Also we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 of psychological safety between supervisor’s behavior and two outcome variables To test the proposed research model and hypotheses, empirical data was collected from 204 full-time employees working manufactures, information technology company. Results indicate supervisor’s cooperative behavior was positive relations with psychological safety, while competitive behavior was negative effects on psychological safety. Contrary to hypothesis, supervisor’s individualistic behavior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psychological safety. Results also showed that, while psychological safety was positively related to prosocial voice, it was negatively related to silent behavior. Also, we found statistically significant mediating effects of psychological safety for silent behavior and prosocial voice behavior. We discuss the implications of these of findings for both theory and practice.

      • KCI등재

        성격과 리더배려행동이 팀 응집력에 미치는 영향: 관계갈등과 심리적 안전감의 순차적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김영식,김인혜 한국산업및조직심리학회 2018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Vol.31 No.1

        본 연구는 개인의 성격(개방성, 신경증)과 리더배려행동이 팀 응집력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기 위해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개인수준과 팀 수준으로 구분하여 진행하였다. 첫째, 개인수준에서 개방성과 신경증이 팀 수준의 심리적 안전감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 심리적 안전감이 팀 응집력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또한, 성격과 팀 응집력의 관계에서 심리적 안전감이 매개하는지를 알아보았다. 둘째, 팀 수준에서 리더배려행동이 관계갈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고, 관계갈등이 심리적 안전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그리고 리더배려행동과 팀 응집력의 관계에서 관계갈등과 심리적 안전감이 순차적으로 매개하는지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모 대학 학부생 194명, 35개 팀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신경증이 심리적 안전감과 부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매개효과에서도 신경증과 팀 응집력 간 관계에서 심리적 안전감이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개방성은 유의미한 결과를 확인할 수 없었다. 팀 수준에서 리더배려행동은 관계갈등과 부적 상관이 있었고, 관계갈등과 심리적 안전감 또한 부적 상관이 있었으며, 심리적 안전감과 팀 응집력은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 리더배려행동과 팀 응집력 간의 관계에서 관계갈등과 심리적 안전감이 순차적으로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연구결과를 종합하여 학문적 의의 및 실무적 시사점, 그리고 제한점 및 향후 연구과제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조직 내 사회적 교환관계와 역할내․외 안전행동 간의 관계와 심리적 안전감의 매개역할 연구: 항공사 승무원을 중심으로

        서동희,김학수 한국항공경영학회 2024 한국항공경영학회지 Vol.22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role of psychological safe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MX, TMX, and in-role and extra-role safety behavior among airline flight attendants. The safety management of airlines has gained attention particularly in these days due to incidents involving passengers attempting to open or opening exit doors during flights. Considering that flight attendants are responsible for the core aspect of in-flight safety, their safety behaviors can be deemed highly significant. It is essential to create a work atmosphere that fosters the promotion of flight attendants safety behaviors. The psychological safety is the belief that no matter what comments or actions they make, it will not lead to significant harm to themselves, as part of their perception of the work environment. In addition, flight attendants can foster a sense of psychological safety, conducive to active communication, by cultivating positive relationships with supervisors and colleagues with whom they work closely. The focus of this study lies on the organizational social exchange relationships, particularly Leader-Member Exchange (LMX) and Team-Member Exchange (TMX). LMX denotes a vertical exchange relationship characterized by long-term mutually beneficial norms, emotional support, and recognition between supervisors and subordinates. On the other hand, TMX signifies a horizontal exchange relationship within a team, involving the provision of task-related information and assistance among team members. By summarizing this logic, it was assumed that psychological safety would play a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MX, TMX, and in-role and extra-role safety behavior. Data from 304 airline flight attendants were collected using methods such as in-person visits and emails,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psychological safety had a positive effect on in-role and extra-role safety behavior. Secondly, LMX and TMX had a positive effect on psychological safety. Third, psychological safety was found to play a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exchange relationships, LMX and TMX, and in-role and extra-role safety behavior. Specifically, LMX showed a complete mediating effect on in-role and extra-role safety behavior only through psychological safety enhancement, while TMX played both direct effects on in-role and extra-role safety behavior and a partial mediating effect through psychological safety. As implications of this study, it highlights the significance of flight attendants’ in-role and extra-role safety behaviors. Moreover, by elucidating the mediating role of psychological safety, which emphasizes interpersonal aspec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MX, TMX, and in-role and extra-role safety behavior, the study expands the scholarly understanding of flight attendants’ safety behaviors. Furthermore, it is significant in that practical management strategies were proposed to encourage flight attendants’ in-role and extra-role safety behavior to the airline’s leaders and management. 본 연구의 목적은 항공사 승무원을 대상으로 LMX, TMX와 역할내․외 안전행동 간의 관계에서 심리적 안전감의 매개역할을 규명하는 것이다. 승객이 비행 중인 항공기의 출입문을 개방하거나 개방하려는 시도가 발생하면서 항공사의 안전관리가 주목을 받고 있는데 승무원은 기내안전을 책임지는 핵심적인 역할을 하므로 승무원의 안전행동은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승무원의 안전행동을 촉진시킬 수 있는 업무 분위기를 조성할 필요가 있는데, 승무원이 업무환경에 대한 인식으로서 자신이 어떠한 발언 등을 하더라도 자신에게 큰 위해가 되지 않는다는 믿음인 심리적 안전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승무원은 같이 근무하는 상사, 동료와 좋은 관계가 형성되어야 의사소통을 활발하게 할 수 있는 심리적 안전감이 촉진될 수 있다. 조직 내 사회적 교환관계인 LMX(Leader-Member Exchange)와 TMX (Team-Member Exchange)에 관심을 두었는데, LMX는 상사와 부하직원 간의 장기적인 상호호혜적 규범, 정서적 관심․인정 등의 수직적인 교환관계를 의미하며, TMX는 팀원과 팀의 다른 구성원 간에 업무와 관련된 정보, 도움 등을 제공하는 수평적 교환관계를 의미한다. 이러한 논리를 정리하여 LMX, TMX와 역할내․외 안전행동 간의 관계에서 심리적 안전감은 매개역할을 할 것으로 보았다. 직접 방문, 이메일 등의 방식으로 항공사 승무원 304명 자료를 수집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심리적 안전감은 역할내․외 안전행동에 정적인 영향이 나타났다. 둘째, LMX, TMX는 심리적 안전감에 정적인 영향이 나타났다. 셋째, LMX, TMX와 역할내․외 안전행동 간의 관계에서 심리적 안전감의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LMX는 심리적 안전감을 통해서만 역할내․외 안전행동을 향상시키는 완전 매개효과가 나타났고, TMX는 역할내․외 안전행동의 직접적인 효과와 더불어 TMX가 심리적 안전감을 거쳐 역할내․외 안전행동을 향상시키는 부분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본 연구의 시사점으로 승무원의 역할내․외 안전행동의 중요성을 제시하고, 조직 내 사회적 교환관계인 LMX, TMX와 역할내․외 안전행동 간의 관계에서 대인관계적인 측면을 강조하는 심리적 안전감의 매개역할을 규명하면서 승무원의 안전행동에 대한 학문적 외연을 확장시켰다. 또한, 항공사의 경영진과 리더에게 승무원의 역할내․외 안전행동을 촉진시키는 실무적 관리방안을 제시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 KCI등재
      • KCI등재

        참여적 리더십이 발언행동에 미치는 영향: 심리적 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와 심리적 안전감의 조절효과

        한진환(Han, Jin Hwan) 한국산업경제학회 2022 산업경제연구 Vol.35 No.5

        최근에 기업들은 4차 산업혁명으로 인한 급변하는 경영환경에 적절하게 대처하기 위한 전략으로서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통해 지속성장과 발전을 도모하기 위해 모든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따라서 기업에서는 변화를 주도하는 방식으로 환경변화를 유연하게 수용하며 끊임없이 반응하여 조직구성원들이 자발적으로 발언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고 있다. 본 연구는 참여적 리더십과 발언행동 간에 심리적 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 그리고 참여적 리더십을 통한 심리적 임파워먼트와 발언행동 사이의 관계에서 심리적 안전감의 조절 효과를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300인 이상의 기업에 근무하는 직장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의 방법으로 2차에 걸쳐 자료를 수집하고 가설을 검증하였다. 총 405부를 회수하여 응답이 부적절하다고 판단되는 8부를 제외한 397부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참여적 리더십은 발언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성원의 창의력과 혁신의 기반이 되는 발언행동을 유발하고 지속적으로 강화하기 위해서는 참여적 리더십이 무엇보다도 필요하다는 것을 발견한 것이다. 둘째, 참여적 리더십은 심리적 임파워먼트를 높이고 심리적 임파워먼트는 조직 구성원의 발언행동을 유발시킨다는 점을 확인하였다는 점이다. 셋째, 심리적 임파워먼트와 발언행동 간 심리적 안전감의 조절효과가 확인되었으며, 참여적 리더십이 심리적 임파워먼트를 통하여 발언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심리적 안전감의 수준에 의존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즉, 구성원의 심리적 안전감이 참여적 리더십과 발언행동 간에 심리적 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를 조절하는 조절된 매개효과가 있음을 밝혔다. 이러한 조절된 매개효과는 참여적 리더십이 심리적 임파워먼트를 통하여 발언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심리적 임파워먼트의 간접효과와 심리적 안전감의 조절효과를 통합하여 조건부간접효과를 검증하였다는 점이 기존 연구와의 차별성을 갖는다. 따라서 참여적 리더십이 심리적 임파워먼트를 통해서 발언행동을 유도하기 위해서는 심리적 안전감 수준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여야 할 것이다. This study has empirically verified the psychological empowerment mediation effect between participative leadership and voice behaviors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psychological safety in the psychological empowerment and voice behaviors through the participative leadership. This study targeted workers in the companies with more than 300 employees and collected data in two times of questionnaire survey and verified hypotheses. A total of 405 response copies were collected and 397 copies of them except eight copies, whose responses were inadequate, were used for an analysis.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participative leadership has a direct effect on voice behaviors. It was found that participative leadership is essentially necessary to induce voice behaviors that become the basis of organizational members’ creativity and innovation and to continuously consolidate the voice behaviors.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participative leadership enhances psychological empowerment and the psychological empowerment induces organizational members’voice behaviors. Third, the psychological safety moderating effect was ascertained between psychological empowerment and voice behaviors. it was confirmed that the effect of participative leadership on voice behaviors through psychological empowerment depends on psychological safety level. Namely it was identified that there was the controlled mediation effect controlling the mediation effect of psychological empowerment between participative leadership and voice behaviors in terms of organizational members’ psychological safety. That the conditional indirect effect was verified by integrating the indirect effect of psychological empowerment and the control effect of psychological safety in the effects of participative leadership on voice behaviors through psychological empowerment in terms of the controlled mediation effect has differentiation from the existing studies. For participative leadership to induce voice behaviors through psychological empowerment, a method to promote psychological safety level should be sought.

      • KCI등재
      • KCI등재

        리더의 유머 사용과 조직 구성원의 건설적 발언행동의 관계: 심리적 안전감의 매개효과와 외향적 성격의 조절효과

        한준구 한국경영컨설팅학회 2018 경영컨설팅연구 Vol.18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how and when the leader 's use of humor affects constructive voice behaviors of organization members. Although existing research on voice behaviors mainly discusses motivators/inhibitors of voice, in this study I attempted to examine how the use of humor by leaders in the aspect of communication affects the voice behavior of organizational members. Based on broaden-and-build theory, I set up the psychological safety as a mechanism to connect the leader’s use of humor and constructive voice behaviors and verify it empirically. I also hypothesized that the extraversion personality, which is a personal factor, interacts with the psychological safety and affects constructive voice behavior. To verify this, I surveyed 120 people from four domestic organizations and collected data. The results showed that the more humor the leader uses, the more constructive voice behaviors do. The use of humor in the leader increases the psychological safety, and this psychological safety affects constructive voice behaviors of the organization members. The extraversion personality, which is a personal characteristic, influenced constructive voice behaviors through psychological safety and interaction. Specifically, organizational members with high extroversion showed little change in constructive voice behavior as the psychological safety increased. However, in the case of organizational members with low extroversion, more constructive voice behavior was observed as the psychological safety increased. In conclusion, I discussed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본 연구은 리더의 유머 사용이 심리적 안전감을 매개를 통하여 조직 구성원의 건설적 발언행동에 영향을 주는 것을 확인하고자 한다. 기존의 발언행동과 관련된 연구들이 주로 발언행동을 촉진/저해하는 요소와 발언행동의 결과에 대하여 논의하고 있으나, 조직 내 커뮤니케이션 관점에서 접근한 연구는 매우 제한적이었다. 본 연구는 조직 구성원의 발언행동과 관련한 선행 연구들의 이러한 한계점을 극복하고자 출발하였다. 구체적으로 커뮤니케이션 측면에서 리더의 유머 사용이 조직 구성원의 발언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가를 살펴보고자 한다. 확장-구축이론과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심리적 안전감을 리더의 유머 사용과 조직 구성원의 건설적 발언행동으로 연결되는 매개변수로 설정하고 이를 검증하였다. 또한 개인적 요소인 외향적 성격이 심리적 안전감과 상호작용하여 건설적 발언행동에 영향을 줄 것이라는 가설을 세워 이를 확인하였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국내 4개 조직의 12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리더가 커뮤니케이션 과정에서 유머를 많이 활용할수록 조직 구성원들은 건설적 발언행동을 많이 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리더의 유머 사용은 심리적 안전감을 높이며, 이러한 심리적 안전감은 조직 구성원의 건설적 발언행동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나 심리적 안전감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개인적 특성인 외향적 성격은 심리적 안전감과 상호작용을 통하여 건설적 발언에 영향을 주었다. 구체적으로 외향적 성격이 높은 조직 구성원의 경우 심리적 안전감이 증가함에 따른 건설적 발언행동의 변화가 거의 나타나지 않았지만, 외향적 성격이 낮은 조직 구성원의 경우에는 심리적 안전감이 증가할수록 건설적 발언행동을 더욱 많이 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결론에서는 본 연구의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과 한계점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 KCI등재

        심리적 안전감이 침묵행동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정미 한국전문경영인학회 2024 專門經營人硏究 Vol.27 No.1

        본 연구는 심리적 안전감이 침묵행동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함으로써 심리적 안전감에 관한 이론적 확장과 함께 조직관리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국내 기업에서 근무하는 구성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최종적으로 896명의 응답자를 토대로 실증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와 이에 대한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심리적 안전감은 침묵행동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와 더불어 심리적 안전감은 이직의도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심리적 안전감은 자기효능감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기효능감은 심리적 안전감과 침묵행동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자기효능감은 심리적 안전감 과 이직의도 간의 관계를 매개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침묵행동은 이직의도에 정(+) 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아울러 본 연구의 분석결과에 따른 학문적 시사점과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ttempted to propose an organizational management plan along with theoretical expansion on psychological safety by verifying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in the effect of psychological safety on defensive silence behavior and turnover intention. This study conducted an empirical analysis based on a final sample of 896 respondents targeting members of domestic companies. The results and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psychological safety was confirmed to have a negative (-) effect on silent behavior. In addition, psychological safety was confirmed to have a negative(-) effect on turnover intention. Second, psychological safety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self-efficacy. Third, self-efficacy was found to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safety and silent behavior. However, self-efficacy did not appear to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safety and turnover intention. Fourth, defensive silent behavior was confirme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urnover intention. In addition, academic and practical implications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were presen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