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자서전적 기억 기능과 주관적 건강의 관계

        김인혜,안현서,신지원,박상미 한국노인작업치료학회 2022 한국노인작업치료학회지 Vol.4 No.2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사회 노인의 자서전적 기억기능과 주관적 건강의 관계를 확인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 본 온라인 조사연구에서는 60세 이상의 우울증이 없는 지역사회 거주노인을 대상으로 자서전적 기억 기능, 주관적 건강, 사회인구학적 정보, 주관적 기억력, 사회관계 만족도를 측정했다. 이를 위해 한국판 우울증 선별도구(Patient Health Questionnaire-9; PHQ-9), 한국판 자서전적 기억 기능 척도(Korean version of Thinking About Life Experiences Scale; TALE-K)와 본 연구팀에서 개발한 설문지가 적용되었다. 주관적 건강과 자서전적 기억 기능 수준 간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이 사용되었다. 결과 : 112명의 자료가 최종 분석에 사용되었다. 대상자들의 주관적인 건강의 평균 점수는 3.36(표준편차 0.64)점이었고, TALE-K의 하위 영역별 평균 점수는 자기 기능 1.94점(표준편차 0.70), 사회기능 2.00점(표준편차 0.70), 지도 기능 2.13점(표준편차 0.68)이었다. 주관적 건강은 성별, 나이, 교육연수, 동거형태, 사회경제적 지위, 주관적 기억력, 만성질환의 개수, 사회관계 만족을 통제하고도 자서전적 기억 기능 중, 사회기능과 부적 상관관계(표준베타 -0.409, p<0.01)를 나타냈다. 자서전적 기억 기능 중, 자기 기능과 지도 기능은 주관적 건강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 :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비교적 건강한 노인의 자서전적 기억기능 중 사회기능이 주관적 건강상태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노인의 건강 증진과 자서전적 기억 기능 사이의 관계에 대한 근거를 강화하기 위한 추후 연구가 필요하다.

      • KCI등재

        대중매체와 개인매체를 통해 제공된 영양 관련 정보의 질 평가

        김인혜,최광남,배현주 한국식품조리과학회 2017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Vol.33 No.4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strategy for the spread of proper information regarding nutrition through television, newspapers, and social network service (SNS). Methods: A total of 341 nutrition-related information offered through television (TV), newspapers, and SNS were evaluated according to 8 quality assessment items. Statistical analyses were conducted using the SPSS program (ver. 22.0) for ANOVA analysis and Duncan’s multiple range test. Results: The evaluation score of TV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other media in terms of the provision of scientific evidence (p<0.01), clarity and concreteness of contents (p<0.001), sufficient explanation of the contents (p<0.05). Moreover, the evaluation scores of newspapers and SN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V in terms of the consistency in title and contents of the article (p<0.01), and no exaggeration or distortion on the contents (p<0.001). In the case of SNS, the evaluation score for a sufficient explanation of technical terms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TV and newspapers (p<0.001). As a result of a quality evaluation according to keywords, the evaluation score of information about sugar and sodium, and nutrition labeling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other keywords in terms of clarity and concreteness of contents (p<0.001). The evaluation score of information regarding diet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the other keywords in 7 out of 8 items. Conclusion: To spread proper information regarding nutrition, it is necessary that practical information be provided with a sufficient explanation through a wide variety of media. Furthermore, consistent conduction of education for information users and providers is necessary.

      • KCI등재

        Alloxan에 의한 HIT-T15 세포의 산화적 손상에 대한 매실 (Prunus mume Sieb. et Zucc.) 주정추출물의 세포보호효과

        김인혜,김종배,조강진,김재현,엄애선 한국자원식물학회 2012 한국자원식물학회지 Vol.25 No.2

        The present study was designed to examine the potential antidiabetic and antioxidant effect of ethanol extract from Prunus mume fruit (PME) against alloxan-induced oxidative stress in pancreatic -cells, HIT-T15. To evaluate the antidiabetic effect of PME, 3-(4,5-dimethylthiazolyl-2)-2,5-diphenyltetrazoliu bromide (MTT) cell proliferation assay,lactate dehydrogenase (LDH) release assay, NAD +/NADH ratio and insulin secretion were assessed. We also measured its antioxidant effect against alloxan-induced oxidative stress in the cells by assessing the levels of the antioxidant enzymes including superoxide dismutase (SOD), glutathione S-transferase (GST), glutathione reductase (GR) and glutathione peroxidase (GPx).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showed that alloxan significantly decreased cell viability, increased LDH leakage, and lowered NAD +/NADH ratio and insulin secretion in HIT-T15 cells. However, PME significantly increased the viability of alloxan-treated cells and lowered LDH leakage. The intracellular NAD +/NADH ratio and insulin secretion were also increased by 1.5~1.9-fold and 1.4-fold, respectively, after treatment with the PME. The HIT-T15 cells treated with alloxan showed significant decreases in the activities of antioxidant enzymes, while PME significantly elevated the levels of antioxidant enzymes. Based on these results, we suggest that PME could have a protective effect against the cytotoxicity and dysfunction of pancreatic β-cells in the presence of alloxan-induced oxidative stress. 본 연구는 췌장베타세포인 HIT-T15 세포를 이용하여매실주정추출물(PME)의 alloxan에 의한 산화스트레스로부터의 세포보호, 인슐린 분비능 및 항산화 효소 활성을 평가하였다. PME는 alloxan에 의해 유발된 산화스트레스로부터 세포를 보호하여 세포생존율을 증가시켰다. PME는세포막 손상지표인 LDH 방출을 억제하였고 NAD+/NADHratio를 유의적으로 증가시켜 세포사멸이 억제되어짐을 확인하였다. 또한 alloxan 단독처리군에 비해 250 ㎍/ml PME 처리군에서 인슐린 분비량이 유의성 있게 증가하였다. Alloxan과 PME를 동시에 처리하여 HIT-T15세포의 항산화효소 활성을 측정했을 때 산화스트레스에 의해 감소되었던 항산화효소 활성이 PME에 의해 보호되는 효과를 확인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로부터 PME는 세포괴사 및 DNA fragmentation을 억제하고 세포내 항산화효소 활성을 증가시켜 alloxan에 의해 유발된 산화스트레스로부터 췌장베타세포를 보호하고 이에 따른 인슐린 분비능 조절 효과가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 최근 한반도 폭염 및 열대야의 도시별 특성 분석

        김인혜,김재민,이그림,임철희,이윤곤 한국기상학회 2021 한국기상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21 No.10

        한국에서 기후위기로 이상 기상현상의 발생이 빈번해지고 있고 특히 여름철에는 폭염과 열대야로 인한 인명피해와 사회경제적 손실이 커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대도시의 지리적 위치에 따른 폭염과 열대야 현상의 차이를 파악하기 위해 2000 2020년 동안 기상청 관측소 93개의 지상관측 기온자료를 사용하여 한국 7개 대도시(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를 중심으로 폭염과 열대야의 특성과 시계열 변화를 분석하였다. 21년간 폭염 발생 빈도는 대구, 인천, 광주에서 8월에 각각 매년 2.99%, 6.34%, 4.39%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고, 9월에는 모든 도시에서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는데(매년 9.04%로 감소) 특히 매년 부산에서 13.18%, 인천에서 14.42%만큼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폭염 경보일수는 21년간 서울과 광주에서 8월에 매년 8.44%, 8.09%만큼 증가하였고, 대전에서는 6월에 매년 27.27%만큼 감소하였다. 열대야 일수의 경우 7개 도시에서 모두 8월에 유의미한 증가 추세를 보였다. 폭염과 열대야가 각 도시에 전반적인 영향을 준 사례를 중점적으로 알아보기 위해 도시별로 같은 날 관측소 75% 이상에서 폭염과 열대야가 발생한 일수를 살펴보았다. 내륙도시인 서울, 대구, 광주, 대전에서는 21년 동안 폭염이 지속적으로 나타난 반면, 해안도시인 부산과 인천에서는 2010년 이후부터 관측되었다. 특히 울산은 21년 동안 폭염이 나타나지 않았다. 열대야 일수를 살펴본 결과 내륙도시인 서울, 부산에서는 2010년 이후에 증가하였고, 해안도시인 인천과 울산에서는 열대야 현상이 2010년 이후부터 관측되었다. 본 연구에서 규명한 도시별 폭염과 열대야의 변화 특징은 지역에 따른 여름철 이상 기상현상 대응 방안 수립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며, 장기적으로는 기후재난으로 인한 사회경제적 피해를 경감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